KR20030094918A - 이중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이중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4918A
KR20030094918A KR1020020032267A KR20020032267A KR20030094918A KR 20030094918 A KR20030094918 A KR 20030094918A KR 1020020032267 A KR1020020032267 A KR 1020020032267A KR 20020032267 A KR20020032267 A KR 20020032267A KR 20030094918 A KR20030094918 A KR 20030094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wire
inner wire
decorative member
suppor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신
Original Assignee
박순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신 filed Critical 박순신
Priority to KR1020020032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4918A/ko
Publication of KR20030094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91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유연성을 갖는 내부 와이어와, 내부 와이어의 표면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장식부재; 장식부재가 권취되는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탄성을 갖는 지지와이어; 장식부재가 권취된 지지와이어의 양단에 결합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며, 장식부재의 내부와이어와 코일스프링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변형되어 결합되는 이중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액세서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이중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액세서리{Accessary using dual coil spring}
본 발명은 이중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탈부재 없이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유연성과 탄성을 가짐과 동시에 액세서리로서의 심미감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이중 코일스프링을 적용한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장신용 액세서리는 고가의 보석 제품들과는 달리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는 패션 및 화장 기법에 따라 빠르고 다양하게 변화되면서 그 제품들의 제조방법이나 구성들이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몇 가지 살펴보면, 가장 많이 애용되는 체인제품으로부터 주조 형성하는 캐스팅 제품과 구성부품 하나하나를 프레싱 조립하는 핸드메이드 제품 및 볼 체인과 컷팅 체인제품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제품들은 한 종류당 여러 가지의 다양한 모양으로 가공하여 제공된다.
그러나, 사용자나 생산자는 모두가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제품들에 대하여 식상한 나머지 새로운 제품을 요구하기에 이르렀고 그러는 중에 국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143호 "체인 장신구"가 고안되었으나, 이 제품은 구조적으로 실시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이중결합체인"으로 통칭되는 국내 특허 제103898호 "이중 결합식 장신용 체인"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특허의 경우는 제조과정에 비하여 조직무늬가 너무 단조롭기 때문에 심미감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 제239079호에서는 표면에 반사면이 구비된 체인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그 내부에 다른 체인을 결합하는 장신용 체인 및 심지체인과 외부체인을 결합하는 공지의 장신용 액세서리 체인에 있어서, 가늘고 곧은 내부철선의 외경에 틈새 없이 외부철선을 촘촘하게 감아서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 요철선을 형성하는 것과; 요철선을 일정한 지름의 중공이 형성되도록 촘촘하게 감는 것과; 중공에 와이어를 넣어서 양단부를 납 또는 신주를 용해시켜서 용접 구성한 이중 코일 스프링 타입 장신용 액세서리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 고안에 따르면 요철선에 있어서 내부철선의 외경에 감겨진 외부철선이 내부철선과 간격이 발생하여 요철선을 감을 때, 내부철선과 외부철선 사이에 흔들림이 발생하여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요철선에 의해 형성되는 중공에 삽입되는 와이어가 단지 유연성만을 갖기 때문에 착탈고리가 필요하며 자체적으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와이어가 탄성을 갖도록 하여 자체적으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액세서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와이어에 권취되는 장식부재를 구성하는 코일스프링과 내부와이어를 프레스 가공하여 결합시킴으로서 권취시에 작업성이 좋아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를 제작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연성을 갖는 내부 와이어와, 내부 와이어의 표면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장식부재; 장식부재가 권취되는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탄성을 갖는 지지와이어; 장식부재가 권취된 지지와이어의 양단에 결합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며, 장식부재의 내부와이어와 코일스프링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변형되어 결합되는 이중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액세서리가 개시된다.
코일스프링 내부의 중공과 내부와이어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반원형으로 가공되며, 반원형의 편평한 부분이 지지와이어에 접촉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액세서리 중에서 목걸이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다른 종류의 액세서리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장식부재(20)는 유연성을 갖는 내부 와이어(10)와, 내부 와이어(10)의 표면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코일스프링(1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지지와이어(30)는 목걸이에 적합하도록 원형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원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지지와이어(30)의 표면에는 장식부재(20)가 권취되고, 권취된 장식부재(20)의 코일스프링(12)의 코일이 이루는 경계(12a)에 의해 심미감을 증대시켜 준다.
장식부재(20)가 권취된 지지와이어의 양단에는 보호부재(40), 예를 들어, 구형상의 보호구가 결합되어 양단의 날카로운 부분을 커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식부재(20)의 내부와이어(10)와 코일스프링(12)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변형되어 결합되며, 바람직하게, 코일스프링(12) 내부의 중공과 내부와이어(10)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반원형으로 가공되어 반원형의 편평한 부분이 지지와이어(30)에 접촉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것은 후술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를 제작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질의 유연성을 갖는 내부와이어(10)에 코일스프링(12)이 연속적으로 권취되고 프레스 가공된다. 또는 코일스프링(12)이 연속적으로 제작되고 그 내부에 내부와이어(1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III-I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장식부재(20)의 내부와이어(10)와 코일스프링(12)이 변형되어 결합된다.
일 예로, 코일스프링(12) 내부의 중공과 내부와이어(10)는 반원형으로 가공되어 반원형의 편평한 부분(14)이 지지와이어(30)에 접촉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코일스프링(12)이 내부와이어(10)의 표면에 권취되고 프레스 가공으로 상호 결합된 장식부재(20)가 지지와이어(30)의 표면에 권취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장식부재(20)가 반원형으로 가공되어 반원형의 편평한 부분(14)이 지지와이어(30)에 접촉되도록 권취함으로써 접촉면적을 넓혀 결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12)과 내부와이어(10)가 프레스 가공으로 결합되어 있어 상호 움직임이 없기 때문에 권취시 작업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지지와이어(30)가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지며, 이와 동시에 탄성을 갖기 때문에 착용이 편리하다.
마지막으로 보호구(40)에 장식부재와 지지와이어의 양단을 삽입하여 납 등을이용하여 결합시켜 목걸이를 완성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내부와이어나 지지와이어의 단면형상을 원형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재질에 있어서도 특별히 제한할 필요는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가지의 이점을 갖는다.
먼저, 장식부재를 이루는 코일스프링과 내부와이어가 프레스 가공으로 결합되어 있어 상호 움직임이 없기 때문에 장식부재를 지지와이어에 권취하는 경우 작업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장식부재가 반원형으로 가공되는 경우, 반원형의 편평한 부분을 지지와이어에 접촉하도록 권취함으로써 접촉면적을 넓혀 결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지지와이어가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지며, 이와 동시에 탄성을 갖기 때문에 사용자는 착용시 힘을 가해 보호구 사이의 간격을 넓히더라도 곧 바로 원형으로 복귀되므로 착용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유연성을 갖는 내부 와이어와, 상기 내부 와이어의 표면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장식부재;
    상기 장식부재가 권취되는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탄성을 갖는 지지와이어;
    상기 장식부재가 권취된 지지와이어의 양단에 결합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장식부재의 내부와이어와 코일스프링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변형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액세서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 내부의 중공과 내부와이어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반원형으로 가공되며, 상기 반원형의 편평한 부분이 상기 지지와이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액세서리.
KR1020020032267A 2002-06-10 2002-06-10 이중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액세서리 KR200300949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267A KR20030094918A (ko) 2002-06-10 2002-06-10 이중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267A KR20030094918A (ko) 2002-06-10 2002-06-10 이중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액세서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575U Division KR200289614Y1 (ko) 2002-06-10 2002-06-10 이중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918A true KR20030094918A (ko) 2003-12-18

Family

ID=32386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267A KR20030094918A (ko) 2002-06-10 2002-06-10 이중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4918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6A (ja) * 1989-05-29 1991-01-07 Shimizu Corp 閉鎖性水域の水質浄化設備
JPH038908A (ja) * 1989-06-06 1991-01-16 Toa Harbor Works Co Ltd 既設杭式構造物の荷重に対する補強方法
KR930003143U (ko) * 1991-07-15 1993-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229321Y1 (ko) * 2001-02-03 2001-07-03 허종일 장신구용 체인
KR200239079Y1 (ko) * 2000-12-22 2001-09-25 신홍상 이중 코일스프링 타입 장신용 액세서리
JP2001286313A (ja) * 2000-04-05 2001-10-16 Ando Seisakusho:Kk 装飾具用ワイ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6A (ja) * 1989-05-29 1991-01-07 Shimizu Corp 閉鎖性水域の水質浄化設備
JPH038908A (ja) * 1989-06-06 1991-01-16 Toa Harbor Works Co Ltd 既設杭式構造物の荷重に対する補強方法
KR930003143U (ko) * 1991-07-15 1993-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2001286313A (ja) * 2000-04-05 2001-10-16 Ando Seisakusho:Kk 装飾具用ワイヤ
KR200239079Y1 (ko) * 2000-12-22 2001-09-25 신홍상 이중 코일스프링 타입 장신용 액세서리
KR200229321Y1 (ko) * 2001-02-03 2001-07-03 허종일 장신구용 체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96874S1 (en) Watch dial
WO2009126168A1 (en) Decorative and removable earbud cover
KR200289614Y1 (ko) 이중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액세서리
KR20030094918A (ko) 이중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액세서리
KR200476905Y1 (ko) 장식구 부착용 반지 몸체 구조
US20170042304A1 (en) Bendable Wire Frame
KR200304058Y1 (ko) 동물 귀 머리띠
KR200280016Y1 (ko) 장식체 교체형 반지
JP3246677U (ja) 装身具、装身具セットおよび装身具の組立キット
KR200377335Y1 (ko) 기능성 끈
KR200193551Y1 (ko) 망사 악세사리
CN217309363U (zh) 一种灵动吊坠及首饰
KR200210879Y1 (ko) 초음파융착기에 의해 악세사리가 고정된 장신구
US20230270223A1 (en) Hair accessory
KR200463726Y1 (ko) 장식부가 가변이 되는 펜던트
JP3200874U (ja) アクセサリー
KR20090011868U (ko) 장신구
KR200369884Y1 (ko) 손톱 장신구
KR101910929B1 (ko) 볼륨 장신구 제조 방법
KR200327456Y1 (ko) 두 손가락 반지
KR200210241Y1 (ko) 스프링에 탄력강선을 끼운 장신구
JP3089664U (ja) サイズ調整体及びそれを備えた装身具
KR200199809Y1 (ko) 다용도 밴드
KR200192493Y1 (ko) 제작이 간단한 머리핀
KR200166100Y1 (ko) 장신구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