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809Y1 - 다용도 밴드 - Google Patents

다용도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809Y1
KR200199809Y1 KR2020000011585U KR20000011585U KR200199809Y1 KR 200199809 Y1 KR200199809 Y1 KR 200199809Y1 KR 2020000011585 U KR2020000011585 U KR 2020000011585U KR 20000011585 U KR20000011585 U KR 20000011585U KR 200199809 Y1 KR200199809 Y1 KR 2001998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s
body portion
band
ellipsoids
annula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태
Original Assignee
김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태 filed Critical 김병태
Priority to KR2020000011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8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8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8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변 장식용구로 사용되는 다용도 밴드에 관한 고안으로, 보다 상세히는 헤어밴드나 팔찌(발목에 착용되는 것도 포함) 및 반지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고신축이면서 길이조절이 자재로운 다용도 밴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크고 작은 직경의 구슬(11, 11, …)들과, 상기 구슬(11, 11, …)들을 연결하는 이음선(12)으로 형성되는 타원체가 연속되는 몸체부(1); 상기 몸체부(1)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타원체와 동일하게 형성되면서, 상기 각 타원체의 중심인 이음선(12)상에 중앙이 천공되는 환형고리(21)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의 일단에 이어지는 종결부(2); 상기 환형고리(21)의 천공보다 약간 큰 직경인 다수의 큰구슬(31)이 연결선(32)으로 이어져서 상기 종결부(2) 반대쪽의 몸체부(1)에 이어지는 삽착부(3);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착용 의도에 따라 말 그대로의 형태조절이 자재로우며, 게다가 그 총길이의 조절도 가능하며, 그 자체가 미려한 아름다움을 가지면서, 기타의 장식품을 추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Description

다용도 밴드{Mulipurpose band}
본 고안은 신변 장식용구로 사용되는 다용도 밴드에 관한 고안으로, 보다 상세히는 헤어밴드나 팔찌(발목에 착용되는 것도 포함) 및 반지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고신축이면서 길이조절이 자재로운 다용도 밴드에 관한 것이다.
생활이 윤택하여 질수록 사람들은 기호품이나 문화생활에 보다 많은 주의를 기울이게 되며, 특히 우리나라가 경공업분야에서는 세계적인 수준에 달한 작금에는 신변잡화나 악세사리등은 많은 연구나 노력 없이도 다양한 제품이 제작/판매되고 있는 실정인데, 이는 본 고안과 같은 밴드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어서 여러가지 형태의 밴드가 출하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대개 착용이 편하거나 착용자에게 편리함을 허여하는 그 기능상의 장점을 가지는 실용적 차원에서보다는 착용하므로서 보다 아름답게 보이게하거나 눈에 뜨이게 하는 장식품으로서의 의장적 기능을 주로하여 개발되는 것들이 태반이다.
그래서, 본 고안과 같이 하나의 밴드로 예컨대 헤어밴드나 팔찌 또는 반지등과 같이 여러가지로 적용될 수 있는 다용도 밴드는 그다지 연구되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진정한 의미에서의 본 고안의 선행기술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본 고안의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이하에 선 고안을 소개 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5에 도시한 실용신안공고 제95-7632호인 '헤어밴드 및 팔찌용 가변형 밴드'는 연질합성수지(플라스틱)나 고무로 되고, 가변형 플라스틱이나 구리, 아연 또는 알루미늄의 연질 금속판봉(14)을 삽입할 수 있는 중공부(15)를 형성한, 밴드 본체(1)의 상기 중공부(15)에 상기 플라스틱이나 구리, 아연 또는 알루미늄의 금속판봉(14)을 밀삽하여 양단(2)을 캡이나 씰(22)로 밀봉한 것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 고안은 밴드 본체(1)가 연질플라스틱이나 고무로 되어 있어서 자유자재로 형성조절이 가능하며, 형상조절이 된 밴드 본체(1)를 일정형상으로 고정하는 것은 밴드내부에 관삽된 플라스틱이나 금속의 판봉(14)이 가변성이므로 일단 변형시키면 그 상태에서 고정되게 되므로 형상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어서, 착용코저하는 사람의 두상이나 손목 또는 팔목 등의 둘레사이즈에 무관하게 임의로 형상을 조절할 수가 있고 사용과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고안은 비록 출원인은 본체(1)가 연질합성수지나 고무로 되어서 형상이 자유자재로 조절된다고 주장하나, 본체(1)가 대상으로 되어 있고 게다가 중심부에 금속으로 된 판봉(14)에 의해 자체 탄성이 있어서 특정 형태로 변형시키더라도 다시 원 제작상태로 복원되게 되어 고작해야 만곡직경을 어느정도 크거나 작게 조절할 수 있을 뿐 진정한 의미에서의 자유자재한 조절이 되지는 않는 것이며, 게다가 길이조절은 전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자는 상기한 문제점을 예의주시하여 이러한 문제점들을 완전히 해소하고자 본 고안의 연구 개발하였던 바, 사용자의 착용 의도에 따라 말 그대로의 형태조절이 자재로우며, 게다가 그 총길이의 조절도 가능하며, 그 자체가 미려한 아름다움을 가지면서, 기타의 장식품을 추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본 고안을 완성하였는데, 이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 상태도,
도 2는 도 1의 각부 확대 절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5는 종래 고안의 구성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몸체부(본체)
11. 구슬 12. 이음선 13. 천공
14. 금속판봉 15. 중공부
2. 종결부
21. 환형고리 22. 캡
3. 삽착부
31. 큰구슬 32. 연결선
4. 장식
41. 꽂음돌기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 상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A-A선 및 B-B선에서 절단하여 확대 도시한 확대 절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크고 작은 직경의 구슬(11, 11, …)들과, 상기 구슬(11, 11, …)들을 연결하는 이음선(12)으로 형성되는 타원체가 연속되는 몸체부(1); 상기 몸체부(1)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타원체와 동일하게 형성되면서, 상기 각 타원체의 중심인 이음선(12)상에 중앙이 천공되는 환형고리(21)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의 일단에 이어지는 종결부(2); 상기 환형고리(21)의 천공보다 약간 큰 직경인 다수의 큰구슬(31)이 연결선(32)으로 이어져서 상기 종결부(2) 반대쪽의 몸체부(1)에 이어지는 삽착부(3);로 이루어 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상태도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종결부(2)의 각 타원체에 형성되는 환형고리(21)가 그 중심인 이음선(12)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2이상 형성되고, 상기 삽착부(3)를 이루는 큰구슬(31) 및 연결선(32)도 상기 환형고리(21)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를 이루는 각 타원체에 소정 직경의 천공(13)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기능한다.
본 고안의 일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의 밴드는 몸체부(1)와 종결부(2) 및 삽착부(3)로 이루어지는데, 밴드의 중간부인 몸체부(1)는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크고 작은 직경의 구슬(11, 11, …)들과, 상기 구슬(11, 11, …)들을 연결하는 이음선(12)으로 형성되는 타원체가 연속되는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구슬(11, 11, …)들과 이음선(12)은 천이나 합성수지 또는 고무등과 같은 자체 탄성을 가지는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몸체부(1)는 밴드 전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상기와 같이 구슬과 선의 연속이므로 임의의 형태로의 변형이 손쉬우면서 변형시 복원력도 발생되지 않게 된다.
게다가, 종결부(2)는 상기 몸체부(1)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타원체와 동일하게 형성되면서, 상기 각 타원체의 중심인 이음선(12)상에 중앙이 천공되는 환형고리(21)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의 일단에 이어지는 것으로, 종결부(2)를 이루는 각 타원체도 몸체부(1)의 각 타원체와 동일하고, 다만 중심선상에 환형고리(21)가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이는 후술하는 큰구슬(31)이 삽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삽착부(3)는 상기 종결부(2) 반대쪽의 몸체부(1)에 이어지는 것으로 상기 환형고리(21)의 천공보다 약간 큰 직경인 다수의 큰구슬(31)이 연결선(32)으로 이어져서 이루어지므로, 큰구슬(31)이 상기 종결부(2)의 환형고리(21)에 삽입될 때 약간의 힘을 가하여야 소재의 탄성에 의하여 환형고리(21)가 넓어지면서 삽입이 되나, 이는 착용시 손쉽게 풀어지지 않도록 하고자 하는 구조이며, 즉 환형고리(21)의 내경과 이에 삽입/삽출되는 큰구슬(31)의 직경차에 비례하여 삽착 의 손쉬움 및 착용의 탈락등이 결정되므로 이들을 잘 고려하여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더구나, 본 고안의 밴드는 종결부(2)에도 다수의 환형고리(21)가 형성되고, 이에 체결되는 삽착부(3)도 다수의 큰구슬(31)이 연결선(32)으로 이어져 있으므로, 이는 환형고리(21)에 어느 큰구슬(31)까지 삽입시키는가에 따라 밴드의 전체 직경이 손쉽게 조절이 되며, 밴드를 이루는 각부(1, 2, 3)들이 모두 탄력성이 좋은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착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꾸기듯이 오므리면, 한줌도 되지 않을 정도로 되어 보관이 손쉬우며, 착용시에도 헤어밴드에 알맞는 기장을 가지는 것일지라도 2회 또는 그 이상을 감아서 손목이나 발목등에 착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용도가 다양하며, 특히 상기 밴드를 투명 수지로 제작하면 빛을 산락시켜서 반짝이는 보석 또는 이미테이션의 기능도 가지므로 목걸이 대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기본 구성과 더불어, 상기 종결부(2)의 각 타원체에 형성되는 환형고리(21)가 그 중심인 이음선(12)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2이상 형성되고, 상기 삽착부(3)를 이루는 큰구슬(31) 및 연결선(32)도 상기 환형고리(21)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것이므로, 즉, 환형고리(21)와 큰구슬(31)이라는 체결수단을 복수화하여 더욱 공고한 체결력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밴드의 자중이 무거워지더라도 충분한 착용력을 허여하여 다양한 형상의 밴드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기본 구성과 더불어, 상기 몸체부(1)를 이루는 각 타원체에 소정 직경의 천공(13)이 형성된 것인데, 상기 천공(13)은 장식품, 예컨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꽃이나 별과 같은 모양으로 제작되어 중심부 하단에 꽂음돌기(41)가 형성된 장식(4)을 꽂아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장식(4)이 넓은 면적인 경우에는 꽂음돌기(41)를 두개 이상 형성하여 상기 둘 이상의 천공(13)에 꽂아서도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장식을 보장하게 된다.
본 고안은 사용자의 착용 의도에 따라 말 그대로의 형태조절이 자재로우며, 게다가 그 총길이의 조절도 가능하며, 그 자체가 미려한 아름다움을 가지면서, 기타의 장식품을 추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3)

  1.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크고 작은 직경의 구슬(11, 11, …)들과, 상기 구슬(11, 11, …)들을 연결하는 이음선(12)으로 형성되는 타원체가 연속되는 몸체부(1);
    상기 몸체부(1)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타원체와 동일하게 형성되면서, 상기 각 타원체의 중심인 이음선(12)상에 중앙이 천공되는 환형고리(21)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의 일단에 이어지는 종결부(2);
    상기 환형고리(21)의 천공보다 약간 큰 직경인 다수의 큰구슬(31)이 연결선(32)으로 이어져서 상기 종결부(2) 반대쪽의 몸체부(1)에 이어지는 삽착부(3);
    로 이루어 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결부(2)의 각 타원체에 형성되는 환형고리(21)가 그 중심인 이음선(12)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2이상 형성되고,
    상기 삽착부(3)를 이루는 큰구슬(31) 및 연결선(32)도 상기 환형고리(21)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밴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를 이루는 각 타원체에 소정 직경의 천공(13)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밴드.
KR2020000011585U 2000-04-24 2000-04-24 다용도 밴드 KR2001998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585U KR200199809Y1 (ko) 2000-04-24 2000-04-24 다용도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585U KR200199809Y1 (ko) 2000-04-24 2000-04-24 다용도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809Y1 true KR200199809Y1 (ko) 2000-10-16

Family

ID=1965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585U KR200199809Y1 (ko) 2000-04-24 2000-04-24 다용도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8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9809Y1 (ko) 다용도 밴드
US20020092323A1 (en) Decorative bead for bracelets, necklaces and the like
KR200474073Y1 (ko) 장식체의 교체 및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장신구.
US4573243A (en) Sliding hook device for clasping pearl or glass bead necklaces that have a free hanging end
KR200322802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KR200373539Y1 (ko)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KR200322652Y1 (ko)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는 장신구
CN209436422U (zh) 饰品组合结构
CN218044074U (zh) 一种改良型弹性珠链
CN205358484U (zh) 一种可穿戴手环
KR100572726B1 (ko)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JP3224771U (ja) 身飾品
KR100362990B1 (ko) 몸 치장용 장신구
KR200389919Y1 (ko) 끈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목걸이
KR200168567Y1 (ko) 장신구
CN213096528U (zh) 一种双链式手工手链
JPH0525454Y2 (ko)
JPH11196911A (ja) リング体及びこれを用いた装飾品
KR20090011868U (ko) 장신구
CN213096529U (zh) 一种双链式手链
KR890003835Y1 (ko) 신변장신구
KR200193581Y1 (ko) 장식미를 갖는 목걸이 구조
JP2018015515A (ja) 装身具
AU2005100294A4 (en) Leg jewelry
KR200233862Y1 (ko) 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