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4169A - 차양장치 - Google Patents

차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4169A
KR20030094169A KR1020030079770A KR20030079770A KR20030094169A KR 20030094169 A KR20030094169 A KR 20030094169A KR 1020030079770 A KR1020030079770 A KR 1020030079770A KR 20030079770 A KR20030079770 A KR 20030079770A KR 20030094169 A KR20030094169 A KR 20030094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support
rail
sunscreen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1943B1 (ko
Inventor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이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석 filed Critical 이종석
Priority to KR1020030079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1943B1/ko
Publication of KR20030094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9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with material fixed on sections of a collapsible frame especially Florentine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레일을 이용하여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고 차양막의 장력조절이 가능하며 시공공차에 대한 융통성이 확대된 차양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레일과 결착슬릿이 형성된 1조의 차양막 지지대 및 이 결착슬릿에 끼워지는 걸림부가 형성된 차양막과: 벽체에 고정되어 직선경로를 제공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이 베이스 프레임의 레일에 설치되어 차양막 지지대의 위치조정을 가능케 하는 상,하부브라켓과: 이 상,하부브라켓과 베이스 프레임을 매개시키기 위해 차양막 지지대의 레일에 삽입되어 상,하부브라켓에 체결되는 체결판 및 장착된 차양막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차양막 지지대의 양단에 설치되는 마감장식커버 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부브라켓의 수평지지대를 가변되게 마련하여 차양먁의 경사각 조절을 가능케 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차양막 지지대에 다수의 결착슬릿을 형성하여 차양막과 차양막 지지대의 면이 조합된 마감면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그 상품의 다양한 변화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양장치{awning}
본 발명은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을 이용하여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고 차양막의 장력조절이 가능하며 시공공차에 대한 융통성이 확대된 차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양장치는 건물의 입구나 창문, 쇼윈도우 등에 설치되어 강렬한 직사광선 또는 빗물을 침입을 방지함으로써 안락한 실내를 유지시키는 외장장치이다.
이러한 차양장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며, 건물 옥외공간을 확장시켜 매장의 확대효과를 볼 수 있을 뿐더러, 주위 환경에 어울리는 색체 및 공간연출이 가능하다.
즉, 차양장치의 다양한 형상과 모양 및 색체의 조합은 시각적으로 주위를 환기시키는 장식체의 한 분야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광고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차양장치는 그 기능상 기후를 감당할 것이 요구되며, 차양막은 내후성이 우수하여 장시간 고유의 색상을 지니고 있을 것이 요구되며, 직사광선을 충분히 차단시킬 것과 강한 풍압에 견딜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한 차양장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양막으로 이루어져있으며, 프레임과 차양막의 형태에 따라 고정식과 가변식으로 구분된다.
고정식은 확정된 트러스 구조물에 차양막이 설치된 것이며, 가변식은 권취로울러와 가변아암을 통해 사용자의 임의에 의해 차양막의 설치와 해제가 가능토록 마련된 것이다.
그런데, 고정식 차양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에 따른 운반과 설치가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차양장치는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는 입체 구조물로서, 이것이 점유하는 공간은 프레임이 차지하게 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프레임은 시공장소의 치수에 따라 작업장에서 완제품으로 제작된 후 현장에서 건물벽체에 장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 운반을 고려할 때, 그 무게에 비해 부피가 큰 물체를 운반하기 위한 과도한 운반수단이 요구된다.
또한, 현장시공에 있어서, 시공공차에 대한 융통성이 없는 것으로, 치수의 오류가 있거나 벽체에 간섭물체가 있는 경우, 이러한 공차를 극복할 수단이 없었던 것이다.
더욱이, 고정장착된 차양막은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그 분해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차양막의 세탁이 곤란한 것이다.
또한, 태풍이나 폭풍시 차양막을 걷어 들일 수 없으므로, 재산상의 손해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물론, 조립성을 향상시킨 도 1a 의 건물용 차양장치(출원번호 20-1994-012835)나 도1b 와 같은 차양장치(출원번호20-2002-0013102)가 종래에도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종래에 용접되는 프레임의 각 멤버를 분리하고 현장에서 조임부재를 통해 프레임을 조립할 수 있는 것에 불과하여, 현장시공의 융통성이나 사용자의 입장에서 분해의 용이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레일을 이용하여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고 차양막의 장력조절이 가능하며 시공공차에 대한 융통성이 확대된 차양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레일과 결착슬릿이 형성된 1조의 차양막 지지대 및 이 결착슬릿에 끼워지는 걸림부가 형성된 차양막과: 벽체에 고정되어 직선경로를 제공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이 베이스 프레임의 레일에 설치되어 차양막 지지대의 위치조정을 가능케 하는 상,하부브라켓과: 이 상,하부브라켓과 베이스 프레임을 매개시키기 위해 차양막 지지대의 레일에 삽입되어 상,하부브라켓에 체결되는 체결판 및 장착된 차양막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차양막 지지대의 양단에 설치되는 마감장식커버 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차양막 지지대가 장착된 상태에서 하부브라켓을 하방으로 조정하여 차양막의 장력 조절이 용이해 지는 것이며,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부브라켓의 수평지지대를 가변되게 마련하여 경사각의 조절을 가능케 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차양막 지지대에 다수의 결착슬릿을 형성하여 차양막과 차양막지지대의 면이 조합된 마감면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그 상품의 다양한 변화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조립가능한 차양장치를 나타낸 사시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를 나타낸 분해 및 결합상태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를 나타낸 측단면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 및 측단면 확대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양막,12 - 차양막 지지대,
14,26 - 레일,16 - 결착슬릿,
18 - 걸림부,20 - 베이스 프레임,
22 - 상부브라켓,24 - 하부브라켓,
28 - 체결판,30 - 보울트,
32 - 마감장식커버,34 - 너트,
36 - 수평지지대,38 - 수직지지대,
40 - 장식보강대,42 - 지지프레임,
44 - 연장고정대,46 - 커버모울딩,
48 - 와셔,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예시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의 분해설명도 및 결합설명도이고, 예시도면 도 3 은 측단면설명도로서, 본 발명은 차양막(10)의 상단과 하단을 가로질러 지지하는 1조의 차양막 지지대(12)가 마련되어 이 차양막 지지대(12)에 레일(14)과 결착슬릿(16)이 형성되며, 차양막(10)에는 상기 결착슬릿(16)에 끼워져 맞물리는 돌출된 걸림부(18)가 형성되는 한편, 벽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20)임이 마련되고, 이 베이스 프레임(20)의 양단에 상기 차양막 지지대(12)가 상부브라켓(22)과 하부브라켓(24)을 매개로 설치됨과 더불어, 베이스프레임(20)에는 차양막(10)의 장력이 조절되게 상기 상,하부브라켓(22)(24)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레일(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여기서, 상부브라켓(22) 또는 하부브라켓(24)은 그 수평부는 차양막 지지대(12)의 레일(14)에 체결판(28)이 삽입되고 보울트(30) 조임으로 레일(14)에 압착되면서 체결되는 한편, 그 수직부는 베이스 프레임(10)의 레일(26)에 삽입되고 보울트(30) 조임으로 레일(26)과 압착되면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양막 지지대(12)의 양단에는 차양막(10)과의 결합 후 차양막(10)의 돌출을 방지함과 더불어 외관이 마감되게 마감장식커버(32)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하여 현장시공이 더욱 간편하고, 특히 차양막의 장력조절이 용이하며, 그 분해가 용이할 뿐더러 현장시공의 시공공차에 융통성이 부여된 차양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차양막(10)과 차양막 지지대(12)가 기초 조립과 프레임을 제공한다.
차양막 지지대(12)에는 레일(14)과 결착슬릿(16)이 형성되며, 레일(14)에는 체결판(28)을 통해 상세히 후술되는 베이스 프레임(20)과 결합된다.
상기 결착슬릿(16)은 차양막(10)의 상단과 하단을 가로질러 차양막 지지대(12)가 지지하도록 이것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이 결착슬릿(16)에 차양막(10)의 걸림부(18)가 끼워진다.
이러한 끼움방식에 의해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며, 해체의 용이성은 직물로이루어진 차양막(10)에 있어서는 그 세탁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차양막(10)의 걸림부(18)는 로프 등이 재봉되어져 유동성있게 마련되며, 이 상단과 하단을 가로질러 고정된 차양막(10)에 장력을 가하게 되면, 팽팽한 차양막이 마련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된 차양막(10)의 장력조절과 전체 장착을 위한 프레임의 제공은 베이스 프레임(20)과 각 브라켓에 의해 수행된다.
베이스 프레임(20)은 고정벽체에 앵커보울트(미도시) 등으로 장착되어, 벽체의 상하방향으로 프레임을 제공하며, 이 베이스 프레임(20)에 상하부브라켓(22)(24)이 고정된다.
상부브라켓(22)과 베이스 프레임(20)과의 체결은 베이스 프레임(20)의 레일(26)에 상부브라켓(22)의 수직부가 삽입되고 보울트(30)와 너트(34) 및 와셔(48)에 의해 레일(26)과 압착되면서 체결된다.
여기서, 와셔(48)는 너트(34)의 풀림을 방지하는 역할보다는 너트의 체결면을 확장하는 것에 주된 역할을 하게된다.
또한, 도시된 보울트(30)는 상부브라켓(22)과 일체로 형성된 스터드 보울트이지만, 관통홀을 형성하여 헤드가 형성된 보울트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반대 방식으로는 상부브라켓에 태핑이 형성된 체결공이나 너트가 일체로 장착되고 베이스 프레임 외측에서 보울트가 끼워져 상부브라켓 외측면과 베이스 프레임 내측면이 압착되면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미도시).
한편, 상부브라켓(22)의 절곡부위는 베이스 프레임(20) 상단에 거치되며, 이에 의해 상부브라켓(22)은 하부브라켓(24)과는 달리 확정된 고정위치를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부브라켓(22)과 차양막 지지대(12)의 체결은 레일(14)에 체결판(28)이 삽입되고, 체결판(28)에 보울트(30)가 형성되어져 너트(34)에 의해 레일(14)이 압착되면서 고정된다.
이러한 체결방식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20)의 장착위치 조정이 어느정도 가능해 진다.
즉, 벽체의 문제 또는 기타 외부요인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20)의 장착위치, 특히 장착폭이 어느정도 변경되더라도, 체결판(28)과 레일(14)이 이러한 현장시공 공차를 감당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하부브라켓(24)은 베이스 프레임(20)에서 위치조정 후 상부브라켓(22)과 마찬가지로 베이스 프레임(20) 및 차양막 지지대(12)와 체결되지만, 상부브라켓(22)과는 다른 작용을 하게된다.
즉, 본 발명은 차양막(10)의 현장시공시 하부브라켓(24)의 위치조정에 의해 차양막(10)의 장력이 조절된다.
차양막(10)이 차양막 지지대(12)에 고정된 상태에서 차양막 지지대(12)이 상하부 브라켓(22)(24)에 장착되며, 상부브라켓(22)이 베이스 프레임(20)과 체결된 상태에서, 하부브라켓(24)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차양막(10)에 장력이 작용되어 팽팽한 상태를 조성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하부브라켓(24)은 벽체로부터 차양막을 이격시켜 경사진 차양막을 형성시키는 부재이므로, 단순 "L" 으로는 외력에 대한 강성이 취약할 우려가 있다.
또한, 경사각의 변경이 필요할 경우가 있으며,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4 와 같이, 하부브라켓(24)에는 수평지지대(36)와 수직지지대(38)를 대각으로 지지하는 장식보강대(40)가 장착되며, 수평지지대(36)는 장식보강대(40)와 결합되는 지지프레임(42)과 연장고정대(44)로 분리되어 수평지지대(36)의 길이가 가변되게 상기 지지프레임(42)에 연장고정대(44)가 삽입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현장요건에 의해 연장고정대(44)와 베이스 프레임(20)의 장착위치조절를 통해 차양막(10)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예를 들어 의뢰자가 경사각 조정을 필요로 할 때, 이것의 적용이 바로 현장에서 수행되므로, 그 상품성과 현장시공성의 향상이 기대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차양막 지지대(12)를 통하여 현장시공성의 향상을 더욱 보완하고, 차양막 외관 변경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예시도면 5와 같이 차양막 지지대(12)의 결착슬릿(16)은 차양막 지지대(12)에서 차양막(10)의 장착위치가 변경되게 차양막 지지대(12)의 외주를 따라 다수로 형성되고, 미결착되는 결착슬릿(16)에는 커버모울딩(46)이 삽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점선으로 도시된바와 같이 차양막 지지대(12)와 차양막(10)의 결합 형태에 있어서, 그 단부의 조합적인 마감면 형태가 그 결합위치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며, 다양한 상품의 변화가 가능해 진다.
특히, 차양막 지지대(12)가 파이프 형상이 아닌 사각이나 다각으로 마련되어지면, 차양막(10)과 차양막 지지대(12)의 면각에 의해 변화된 차양막 양단의 마감면의 형성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차양막 지지대(12)의 외주에 따라 그 장착위치가 변경되므로, 그 범위내에서 차양막(10)의 길이 조절 역시 가능한 것으로, 상기 가변되는 하부브라켓을 더욱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일과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차양막이 마련됨으로써, 그 조립이 용이하며 현장요건에 의해 치수가 변경되더라도 이에 마추어 융통적으로 장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차양막이 장착된 차양막 지지대를 하방을 잡아 당김으로써, 차양막의 장력조절이 용이하여 그 설치가 더욱 간편해 진다.
또한, 교체가능한 차양막 지지대의 면각과 다수의 결착슬릿에 의해 다양한 마감면의 연출이 가능하며, 가변되는 하부브라켓에 의해 하나의 유닛을 이루는 고정식 차양장치에서 다양한 모양의 연출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차양막(10)의 상단과 하단을 가로질러 지지하는 1조의 차양막 지지대(12)가 마련되어 이 차양막 지지대(12)에 레일(14)과 결착슬릿(16)이 형성되며, 차양막(10)에는 상기 결착슬릿(16)에 끼워져 맞물리는 돌출된 걸림부(18)가 형성되는 한편, 벽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20)임이 마련되고, 이 베이스 프레임(20)의 양단에 상기 차양막 지지대(12)가 상부브라켓(22)과 하부브라켓(24)을 매개로 설치됨과 더불어, 베이스 프레임(20)에는 차양막(10)의 장력이 조절되게 상기 상,하부브라켓(22)(24)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레일(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브라켓(22) 또는 하부브라켓(24)은 그 수평부는 차양막 지지대(12)의 레일(14)에 체결판(28)이 삽입되고 보울트(30) 조임으로 레일(14)에 압착되면서 체결되는 한편, 그 수직부는 베이스 프레임(10)의 레일(26)에 삽입되고 보울트(30) 조임으로 레일(26)과 압착되면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차양막 지지대(12)의 양단에는 차양막(10)과의 결합 후 차양막(10)의 돌출을 방지함과 더불어 외관이 마감되게 마감장식커버(32)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브라켓(24)에는 수평지지대(36)와 수직지지대(38)를 대각으로 지지하는 장식보강대(40)가 장착되며, 수평지지대(36)는 장식보강대(40)와 결합되는 지지프레임(42)과 연장고정대(44)로 분리되어 수평지지대(36)의 길이가 가변되게 상기 지지프레임(42)에 연장고정대(44)가 삽입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양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차양막 지지대(12)의 결착슬릿(16)은 차양막 지지대(12)에서 차양막(10)의 장착위치가 변경되게 차양막 지지대(12)의 외주를 따라 다수로 형성되고, 미결착되는 결착슬릿(16)에는 커버모울딩(46)이 삽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KR1020030079770A 2003-11-12 2003-11-12 차양장치 KR100551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770A KR100551943B1 (ko) 2003-11-12 2003-11-12 차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770A KR100551943B1 (ko) 2003-11-12 2003-11-12 차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169A true KR20030094169A (ko) 2003-12-11
KR100551943B1 KR100551943B1 (ko) 2006-02-20

Family

ID=3238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770A KR100551943B1 (ko) 2003-11-12 2003-11-12 차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19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613B1 (ko) * 2006-08-31 2007-05-23 주식회사 하영건축사사무소 아파트의 우수유입 방지형 베란다구조
KR101393418B1 (ko) * 2013-11-21 2014-05-12 안혜연 Diy 차양용 브라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353B1 (ko) * 2013-06-19 2015-06-04 이남수 방수형 어닝 마운트 블록, 어닝 마운트 블록을 포함하는 어닝 마운트 구조체 및 어닝 마운트 구조체를 사용하여 조립된 어닝 구조물
KR20170022453A (ko) * 2015-08-20 2017-03-02 주식회사 엔디시 연장 가능한 차양 받침대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46848C2 (de) * 1977-10-19 1983-10-13 Schmitz-Werke Gmbh + Co, 4407 Emsdetten Markise
JPS5899430U (ja) * 1981-12-28 1983-07-06 大網 正家 テント用伸縮ア−ム
JPS58111743U (ja) * 1982-01-27 1983-07-30 不二サッシ株式会社 装飾用テントの骨組用自在断手
JPS61189920U (ko) * 1985-05-17 1986-11-26
JPS6280931U (ko) * 1985-11-11 1987-05-23
JPH04120832U (ja) * 1991-04-15 1992-10-28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簡易庇
NL9102115A (nl) * 1991-12-18 1993-07-16 Stichting Research And Dev Zpl Zonnescherm.
KR200263074Y1 (ko) * 2001-10-25 2002-01-31 용 출 전 차양막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613B1 (ko) * 2006-08-31 2007-05-23 주식회사 하영건축사사무소 아파트의 우수유입 방지형 베란다구조
KR101393418B1 (ko) * 2013-11-21 2014-05-12 안혜연 Diy 차양용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1943B1 (ko) 2006-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562B1 (ko)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차양 시스템
US9951520B2 (en) Column for supporting a covering and screen construction comprising such a column
KR100868918B1 (ko) 장력의 분산조절이 이루어지게 한 천막조형물의 차양막고정설치구
KR100551943B1 (ko) 차양장치
KR200320122Y1 (ko) 파고라 조형물의 차양막 테두리 장력조절구조
CN104878886A (zh) 点支式玻璃幕墙的外遮阳装置及其安装方法
KR102010253B1 (ko) 차양용 빗물받이
KR101139907B1 (ko) 차양막 주름 방지를 위한 경첩형 장력조절장치
KR100458264B1 (ko) 차양장치
US20070029050A1 (en) Hanging device for a Roman shade
KR101736715B1 (ko) 가변조립식 기둥과 지붕으로 구성된 옥외용 퍼걸러
CA2939794C (en) Building-mounted awning with single location attachment
KR101319842B1 (ko) 어닝용 고정 브라켓
US20050279032A1 (en) Prefabricated multi-module storefront system
JP3182410B2 (ja) 屋根端部の化粧構造及び化粧材の取付金具
JP2574932Y2 (ja) パーゴラ取付構造
KR20080074675A (ko) 대형텐트용 천막의 고정구조
KR200349174Y1 (ko) 암막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KR200242945Y1 (ko) 장식용 커튼의 설치구조
US20040089426A1 (en) Shade and privacy extension accessory
JPH0543123Y2 (ko)
JP4057598B2 (ja) 簾横張り取り付け装置
KR200193230Y1 (ko) 돔식 천창의 연결장치
KR20200000735U (ko) 현수막 걸이대가 형성된 기능성 어닝
KR20170077345A (ko) 조립식 차양막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