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3364A -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3364A
KR20030093364A KR1020020029734A KR20020029734A KR20030093364A KR 20030093364 A KR20030093364 A KR 20030093364A KR 1020020029734 A KR1020020029734 A KR 1020020029734A KR 20020029734 A KR20020029734 A KR 20020029734A KR 20030093364 A KR20030093364 A KR 20030093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ne
waste container
air
vacuum cleaner
d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7114B1 (ko
Inventor
오장근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9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114B1/ko
Priority to JP2002237540A priority patent/JP3764410B2/ja
Priority to US10/243,780 priority patent/US6968595B2/en
Priority to RU2002128372/12A priority patent/RU2241368C2/ru
Priority to CA002411936A priority patent/CA2411936C/en
Priority to AU2002302113A priority patent/AU2002302113B2/en
Priority to DE10303731A priority patent/DE10303731B4/de
Priority to GB0302626A priority patent/GB2389036B/en
Priority to NL1022600A priority patent/NL1022600C2/nl
Priority to CNB031044220A priority patent/CN1245136C/zh
Priority to ES200301085A priority patent/ES2270642B1/es
Priority to IT000357A priority patent/ITTO20030357A1/it
Priority to FR0306342A priority patent/FR2840181A1/fr
Publication of KR20030093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rotating vanes, discs, drums or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08Vortex chamber constructions
    • B04C5/081Shapes or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04C5/185Dust collectors
    • B04C5/187Dust collectors forming an integral part of the vortex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03Vacuum clea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오물의 역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오물수거통 내에 서식하는 세균을 살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그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유로를 구비함과 동시에 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자외선 램프가 오물수거통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하기 위하여 오물수거통의 일측에 그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램프 위치홈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청소기 사용시 오물수거통의 램프 위치홈부에 위치한 자외선 램프에서 오물수거통 내부로의 계속적인 자외선 조사가 이루어지므로, 오물수거통에 존재하는 각종 세균을 살균할 수 있으며, 또한, 오물수거통에 저장되는 오물의 저장 높이가 돌출유로 근방에서 낮아지면서 오물수거통의 돌출유로 근방의 오물과 사이클론 본체 사이의 공간이 크게 확보되므로, 상기 돌출유로를 통하여 역류하는 오물의 양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CYCLONE-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H THE SAME}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청소기의 흡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먼지 및 오물을 포함한 흡입공기에 대하여 선회기류를 형성토록 함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선회기류로부터 먼지 및 오물을 분리 수거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의 전형적인 한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참조부호 100은 사이클론 집진장치, 200은 청소기 본체, 그리고, 300은 흡입브러쉬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론 집진장치(100)는, 사이클론 본체(10), 오물수거통(20), 그릴 조립체(30) 및 돌출유로(40)를 구비한다.
상기 사이클론 본체(10)는 공기인입관(11)과 공기배출관(12)을 구비한다. 상기 공기인입관(11)은 청소기 본체(200)에 흡입브러쉬(300)의 흡입구(도시안됨)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공기유입로(2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출관(12)은청소기 본체(200)에 상기 흡입브러쉬(300)의 모터구동실(310)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공기배출로(220)에 연결된다. 상기 흡입브러쉬(300)를 통하여 유입되는 먼지 및 오물을 포함한 공기는 상기 공기유입로(210) 및 공기인입관(11)을 통하여 사이클론 본체(10)의 접선방향으로 유입되며, 이에 의해 사이클론 본체(10)에는 선회기류가 형성된다. 이 선회기류에 포함된 먼지 및 오물은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며, 정화된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관(12), 공기배출로(220) 및 모터구동실(31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오물수거통(20)은 상기 사이클론 본체(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사이클론 본체(10)의 선회기류에 의해 원심 분리되는 먼지 및 오물을 수거한다.
상기 그릴 조립체(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클론 본체(10) 내부의 상기 공기배출관(12) 입구에 설치되어, 선회기류로부터 분리된 먼지 및 오물이 상기 공기배출관(12)을 통하여 역류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그릴 조립체(30)는 그릴 바디(31) 및 이 그릴 바디(31)의 외주면에 상기 공기배출관(12)과 연통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유로(32)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유로(40)는 상기 사이클론 본체(10)의 선회기류로부터 분리되는 큰 오물들이 그 하부의 오물수거통(20)으로 원활히 수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돌출유로(40)는 상기 사이클론 본체(10)의 하단부와 상기 오물수거통(20)의 상단부 일측을 외측면에 대해 각각 반경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돌출부(40a)(40b)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된 일반적인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론 본체(10)의 공기인입관(11) 및 공기배출관(12)이 각각 청소기 본체(200)의 공기유입로(210) 및 공기배출로(220)에 연결되도록 청소기 본체(200)에 장착된다.
청소가 시작되면, 모터구동실(310)의 모타가 구동됨에 따라 흡입브러쉬(300)에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 흡입력에 의해 피청소면의 먼지 및 오물을 포함한 공기가 흡입브러쉬(300), 공기유입로(210) 및 공기인입관(11)을 통하여 사이클론 본체(10) 내로 유입된다. 이 때,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인입관(11)에 의해 사이클론 본체(10)의 내주를 따라 사선방향으로 유도되어 선회기류를 형성하게 되며, 이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오물은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어 오물수거통(20)으로 수거된다. 그리고, 정화된 공기는 그릴 조립체(30)의 유로(32), 공기배출관(12), 공기배출로(220) 및 모터구동실(3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오물 분리 과정에서 큰 오물들은 상기 돌출유로(40)를 따라 오물수거통(20)으로 원활히 수거되며, 따라서, 큰 오물이 사이클론 본체(10) 내에 존재함으로써 상기 큰 오물에 의해 그릴 조립체(30)의 유로(32)가 막히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으로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는, 청소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200)가 흡입브러쉬(300)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으며, 청소기 본체(200)에 장착된 사이클론 집진장치(100)도 상기 청소기 본체(200)의 경사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오물수거통(20)에 저장되는 오물은 도 2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오물수거통(20)의 돌출유로(40) 근방의 오물 저장 높이가 높은 상태로 저장되게 되며, 이에 의해 오물수거통(20)의 돌출유로(40) 근방의 저장 오물과 사이클론 본체(10)와의 사이가 근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돌출유로(40)를 통한 오물의 역류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역류하는 오물은 결국 그릴 조립체(30)의 유로(3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므로, 청소 효율 저하 및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며, 또한, 상기 유로(32)를 통과하지 못하는 큰 오물은 상기 유로(32)를 막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청소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오물의 역류는 돌출유로(40)가 사이클론 본체(10)의 후면, 즉 청소기 본체(200)에 장착되는 면에 형성됨으로써 발생되는 것으로 그 구조 변경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서 오물이 저장되는 공간인 오물수거통(20)은 각종 세균이 서식 및 번식 하기에 매우 적당한 장소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오물수거통(20)에는 진드기 종류와 같은 각종 세균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세균들이 오물의 역류 현상에 편승하여 외부로 배출되거나 오물수거통(20)의 오물을 비우는 과정에서 외부로 유출되면서 주변 위생 환경을 오염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청소기 사용시 오물수거통의 오물저장공간, 특히 돌출유로 근방의 저장 오물과 사이클론 본체 사이의 공간을 크게 확보함으로써 돌출유로를 통하여 역류하는 오물의 양을 현저하게 줄일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물수거통 내에 서식하는 각종 세균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 위생 환경을 청결히 유지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구비된 진공청소기의 청소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진공청소기의 청소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사이클론 본체11;공기인입관
12;공기배출관20;오물수거통
30;그릴 조립체40;돌출유로
50;램프 위치홈부60;격판
100;사이클론 집진장치200;청소기 본체
300;흡입브러쉬500;자외선 램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청소기 본체에 흡입브러쉬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공기유입로와 연결되는 공기인입관 및 청소기 본체에 모터구동실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공기배출로와 연결되는 공개배출관을 구비하며, 상기 공기인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먼지 및 오물을 포함한 공기에 대하여 선회기류를 형성하는 사이클론 본체; 상기 사이클론 본체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사이클론 본체의 선회기류에 의해 원심 분리되는 먼지 및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통; 및 상기 공기배출관을 통하여 먼지 및 오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사이클론 본체 내부의 상기 공기배출관 입구에 설치된 그릴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오물수거통의 일측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자외선 램프가 위치되는 램프 위치홈부가 그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오물수거통 내에 존재하는 각종 세균을 살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상기 사이클론 본체에서 선회기류로부터 원심 분리되는 큰 오물이 상기오물수거통으로 원활히 수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사이클론 본체와 상기 오물수거통의 일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돌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유로는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는 면을 후면으로 할 때 전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청소기 사용시 오물수거통의 램프 위치홈부에 위치한 자외선 램프에서 오물수거통 내부로의 계속적인 자외선 조사가 이루어지면서 오물수거통에 존재하는 각종 세균을 살균하게 된다.
또한,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돌출유로가 그 전면에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청소기 사용시 오물수거통에 저정되는 오물의 저장 높이가 돌출유로 근방에서 낮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돌출유로 근방의 오물과 사이클론 본체 사이의 공간이 크게 확보됨으로써 상기 돌출유로를 통한 오물의 역류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유로는 상기 사이클론 본체의 하단 일측과 상기 오물수거통의 상단 일측을 그 외측면에 대하여 각각 반경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 제 1 및 제 2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돌출부에는 적어도 한 쌍의 파지돌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상기 사이클론 본체와 상기 오물수거통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사이클론 본체의 하단에 결합되는 격판을 구비하며, 상기 격판에는 상기 돌출유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격판에 의해 사이클론 본체와 오물수거통이 구획되므로, 오물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하며, 진공모터가 장착되는 모터구동실을 갖춘 흡입브러쉬; 상기 흡입브러쉬에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흡입브러쉬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공기유입로 및 상기 모터구동실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공기배출로를 가지는 청소기 본체; 상기 공기유입로와 연결되는 공기인입관 및 상기 공기배출로와 연결되는 공기배출관을 구비하며, 상기 공기인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먼지 및 오물을 포함한 공기에 대하여 선회기류를 형성하는 사이클론 본체; 상기 사이클론 본체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사이클론 본체의 선회기류에 의해 원심 분리되는 먼지 및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통; 상기 공기배출관을 통하여 먼지 및 오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사이클론 본체 내부의 상기 공기배출관 입구에 설치된 그릴 조립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기 오물수거통 장착 위치에 설치된 자외선 램프; 및 상기 오물수거통을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할 때 상기 자외선 램프가 상기 오물수거통에 위치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상기 오물수거통의 일측에 그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램프 위치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100)는, 사이클론 본체(10), 오물수거통(20), 그릴 조립체(30), 돌출유로(40) 및 램프 위치홈부(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진공청소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사이클론 집진장치(100), 청소기 본체(200), 흡입브러쉬(300) 및 자외선 램프(500)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클론 본체(10)에는 공기인입관(11)과 공기배출관(12)이 구비되며, 상기 사이클론 본체(10)가 장착되는 청소기 본체(200)에는 상기 흡입브러쉬(300)의 흡입구(도시되지 않음)와 연통하는 공기유입로(210) 및 상기 흡입브러쉬(300)의 모터구동실(310)과 연통하는 공기배출로(220)가 구비된다. 상기 사이클론 본체(10)는 그의 공기인입관(11)이 상기 공기유입로(210)에, 그리고, 공기배출관(12)이 상기 공기배출로(220)에 연결되도록 청소기 본체(200)에 장착된다. 따라서, 청소시 상기 흡입브러쉬(300)를 통하여 유입되는 먼지 및 오물을 포함한 공기는 상기 공기유입로(210) 및 공기인입관(11)을 통하여 사이클론 본체(10)의 접선방향으로 유입되며, 이에 의해 사이클론 본체(10)에는 선회기류가 형성된다. 이 선회기류에 포함된 먼지 및 오물은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며, 정화된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관(12), 공기배출로(220) 및 모터구동실(31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오물수거통(20)은 상기 사이클론 본체(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사이클론 본체(10)의 선회기류에 의해 원심 분리되는 먼지 및 오물을 수거한다.
상기 그릴 조립체(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클론 본체(10) 내부의 상기 공기배출관(12) 입구에 설치되어, 선회기류로부터 분리된 먼지 및 오물이 상기 공기배출관(12)을 통하여 역류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그릴 조립체(30)는 그릴 바디(31) 및 이 그릴 바디(31)의 외주면에 상기 공기배출관(12)과 연통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유로(32)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유로(40)는 상기 사이클론 본체(10)의 선회기류로부터 분리되는 큰 오물들이 그 하부의 오물수거통(20)으로 원활히 수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돌출유로(40)는 상기 사이클론 본체(10)의 하단부와 상기 오물수거통(20)의 상단부 일측을 외측면에 대해 각각 반경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돌출부(40a)(40b)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돌출유로(40)의 구조 및 형상은 종래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본 발명에 의한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돌출유로(40)의 특징은 그 형성위치가 종래와는 달리,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청소기 본체(200)에 장착되는 면을 후면으로 할 때, 전면에 위치된다는 점이다. 이에 의하면, 청소기 사용시 청소기 본체(200)가 소정각도로 경사짐으로써 사이클론 집진장치도 같은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오물을 분리 수거하는 과정에서, 오물수거통(20)에 저장되는 오물의 저장 높이, 특히 오물수거통(20)의 돌출유로(40) 근방의 오물 저장 높이가 도면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낮아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로 인해 오물수거통(20)의 돌출유로(40) 근방의 오물과 사이클론 본체(10) 사이의 공간이 크게 확보되기 때문에, 상기 돌출유로(40)를 통하여 역류하는 오물의 양을 종래에 비하여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돌출부(40b), 즉 오물수거통(20) 측에 형성되는 제 2 돌출부(40b)에는 파지를 위한 적어도 한 쌍의 파지돌기(41)가 형성될 수 있으며,이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파지돌기(41)를 손으로 잡고 편리하게 오물수거통(20)을 청소기 본체(200)나 사이클론 본체(10)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상기 램프 위치홈부(50)는 상기 오물수거통(20)의 후면 하단부측에 오물수거통(20)의 내측으로 소정깊이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자외선 램프(500)는 상기 청소기 본체(200)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장착위치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오물수거통(20)을 청소기 본체(200)에 장착하게 되면, 그의 램프 위치홈부(50)에 상기 자외선 램프(50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자외선 램프(500)는 청소기 구동과 함께 점등되며, 따라서, 청소기 사용시 상기 자외선 램프(500)에 의해 발생되는 자외선은 오물수거통(200)의 내부에 계속적으로 조사되게 된다. 이에 의해 오물수거통(20) 내에 서식하는 각종 세균은 상기 자외선에 의해 살균되어 제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오물수거통(20)에 존재하는 각종 세균이 청소기 외부로 배출 및/또는 유출되는 일이 없다. 즉, 주변 위행 환경을 청결히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상기 사이클론 본체(10)와 상기 오물수거통(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사이클론 본체(10)의 하단에 결합되는 격판(60)을 구비한다. 상기 격판(60)에는 상기 돌출유로(40)와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61)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상기 사이클론 본체(10)에서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각종 오물은 상기 통공(61)을 통하여 오물수거통(20)으로 배출되어 수거될 수 있다. 그러나, 오물수거통(20)에 수거된 오물들은 이 오물수거통(20)과 상기 사이클론 본체(10)가 상기 격판(60)에 의해 분리되도록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클론 본체(1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은 어렵다. 즉,상기 상기 격판(60)에 의해 오물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격판(60)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같으므로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구비된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하는 상태가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론 집진장치(100)는 사이클론 본체(10)의 공기인입관(11)이 청소기 본체(200)의 공기유입로(210)와, 그리고, 공기배출관(12)이 공기배출로(220)로 연결되도록 청소기 본체(200)에 장착되며, 오물수거통(20)은 상기 사이클론 본체(1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사이클론 집진장치(100)의 청소기 본체(200)에 대한 장착으로 청소기 본체(200)에 구비된 자외선 램프(500)는 상기 오물수거통(20)의 램프 위치홈부(50)에 위치되게 된다.
청소가 시작되면, 모터구동실(310)의 모타가 구동됨에 따라 흡입브러쉬(300)에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 흡입력에 의해 피청소면의 먼지 및 오물을 포함한 공기가 흡입브러쉬(300), 공기유입로(210) 및 공기인입관(11)을 통하여 사이클론 본체(10) 내로 유입된다. 이 때,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인입관(11)에 의해 사이클론 본체(10)의 내주를 따라 사선방향으로 유도되어 선회기류를 형성하게 되며, 이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오물은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어 오물수거통(20)으로 수거된다. 그리고, 정화된 공기는 그릴 조립체(30)의 유로(32), 공기배출관(12), 공기배출로(220) 및 모터구동실(3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오물 분리 과정은 종래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본 발명은 큰 오물 배출 경로를 이루는 돌출유로(40)가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물수거통(20)에 저장되는 오물의 높이가 도면에서 일점쇄선으로 형성된다. 즉, 오물수거통(20)의 돌출유로(40) 근방의 오물 저장 높이가 낮아져 이 오물과 사이클론 본체(10) 사이의 공간이 크게 확보되며, 따라서, 상기 돌출유로(40)를 통하여 역류하는 오물의 양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소기 사용 중 오물수거통(20)의 램프 위치홈부(50)에 위치된 자외선 램프(500)에서 오물수거통(20)의 내부에 대한 계속적인 자외선 조사가 이루어지며, 따라서, 오물수거통(20) 내에 존재하는 각종 세균이 살균되어 제거되게 된다. 즉, 오물수거통(20) 내에 세균이 서식할 수 없으므로 세균에 의한 주변 위생 환경이 오염될 우려가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전면에 돌출유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기 사용시 오물수거통에 수거되어 저장되는 오물과 사이클론 본체 사이의 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돌출유로를 통하여 역류하는 오물의 양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돌출유로를 통하여 다량의 오물이 역류함으로써 발생되는 종래와 같은 주변 환경의 오염 및 그릴 조립체의 유로가 막히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기 사용시 오물수거통에 계속적인 자외선 조사가 이루어지므로, 오물수거통 내의 세균을 살균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세균으로 인해 주변 위생 환경이 오염되는 일이 없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청소기 본체에 흡입브러쉬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공기유입로와 연결되는 공기인입관 및 청소기 본체에 모터구동실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공기배출로와 연결되는 공개배출관을 구비하며, 상기 공기인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먼지 및 오물을 포함한 공기에 대하여 선회기류를 형성하는 사이클론 본체;
    상기 사이클론 본체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사이클론 본체의 선회기류에 의해 원심 분리되는 먼지 및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통; 및
    상기 공기배출관을 통하여 먼지 및 오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사이클론 본체 내부의 상기 공기배출관 입구에 설치된 그릴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오물수거통의 일측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자외선 램프가 위치되는 램프 위치홈부가 그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오물수거통 내에 존재하는각종 세균을 살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본체에서 선회기류로부터 원심 분리되는 큰 오물이 상기 오물수거통으로 원활히 수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사이클론 본체와 상기 오물수거통의 일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돌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유로는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는 면을 후면으로 할 때 전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유로는 상기 사이클론 본체의 하단 일측과 상기 오물수거통의 상단 일측을 그 외측면에 대하여 각각 반경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 제 1 및 제 2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에는 적어도 한 쌍의 파지돌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본체와 상기 오물수거통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사이클론 본체의 하단에 결합되는 격판을 구비하며, 상기 격판에는 상기 돌출유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6.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하며, 진공모터가 장착되는 모터구동실을 갖춘 흡입브러쉬;
    상기 흡입브러쉬에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흡입브러쉬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공기유입로 및 상기 모터구동실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공기배출로를 가지는 청소기 본체;
    상기 공기유입로와 연결되는 공기인입관 및 상기 공기배출로와 연결되는 공기배출관을 구비하며, 상기 공기인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먼지 및 오물을 포함한 공기에 대하여 선회기류를 형성하는 사이클론 본체;
    상기 사이클론 본체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사이클론 본체의 선회기류에 의해 원심 분리되는 먼지 및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통;
    상기 공기배출관을 통하여 먼지 및 오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사이클론 본체 내부의 상기 공기배출관 입구에 설치된 그릴 조립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기 오물수거통 장착 위치에 설치된 자외선 램프; 및
    상기 오물수거통을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할 때 상기 자외선 램프가 상기 오물수거통에 위치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상기 오물수거통의 일측에 그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램프 위치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본체에서 선회기류로부터 원심 분리되는 큰 오물이 상기 오물수거통으로 원활히 수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사이클론 본체와 상기 오물수거통의 일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돌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유로는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는 면을 후면으로 할 때 전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유로는 상기 사이클론 본체의 하단 일측과 상기 오물수거통의 상단 일측을 그 외측면에 대하여 각각 반경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 제 1 및 제 2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에는 적어도 한 쌍의 파지돌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본체와 상기 오물수거통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사이클론 본체의 하단에 결합되는 격판을 구비하며, 상기 격판에는 상기 돌출유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2002-0029734A 2002-05-29 2002-05-29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진공청소기 KR100437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734A KR100437114B1 (ko) 2002-05-29 2002-05-29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진공청소기
JP2002237540A JP3764410B2 (ja) 2002-05-29 2002-08-16 真空掃除機用サイクロン集塵装置及びこれを具備する真空掃除機
US10/243,780 US6968595B2 (en) 2002-05-29 2002-09-13 Vacuum cleaner with ultraviolet sterilization lamp
RU2002128372/12A RU2241368C2 (ru) 2002-05-29 2002-10-22 Пылесос с циклонным пылесборником
CA002411936A CA2411936C (en) 2002-05-29 2002-11-15 Vacuum cleaner having a cyclone-type dust-collecting apparatus
AU2002302113A AU2002302113B2 (en) 2002-05-29 2002-11-22 Vacuum Cleaner Having a Cyclone-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DE10303731A DE10303731B4 (de) 2002-05-29 2003-01-30 Staubsauger mit einer Staubsammelvorrichtung vom Wirbelungstyp
GB0302626A GB2389036B (en) 2002-05-29 2003-02-05 Vacuum cleaner having a cyclone-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NL1022600A NL1022600C2 (nl) 2002-05-29 2003-02-05 Stofzuiger voorzien van een stofopvanginrichting van het cycloontype.
CNB031044220A CN1245136C (zh) 2002-05-29 2003-02-13 具有旋风式集尘装置的真空吸尘器
ES200301085A ES2270642B1 (es) 2002-05-29 2003-05-12 Aspiradora con un aparato de recogida de polvo de tipo ciclonico.
IT000357A ITTO20030357A1 (it) 2002-05-29 2003-05-16 Aspirapolvere avente un apparecchio di raccolta della
FR0306342A FR2840181A1 (fr) 2002-05-29 2003-05-26 Dispositif de collecte de poussiere de type cyclone et aspirateur equipe de ce dispositi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734A KR100437114B1 (ko) 2002-05-29 2002-05-29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364A true KR20030093364A (ko) 2003-12-11
KR100437114B1 KR100437114B1 (ko) 2004-06-23

Family

ID=19720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734A KR100437114B1 (ko) 2002-05-29 2002-05-29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968595B2 (ko)
JP (1) JP3764410B2 (ko)
KR (1) KR100437114B1 (ko)
CN (1) CN1245136C (ko)
AU (1) AU2002302113B2 (ko)
CA (1) CA2411936C (ko)
DE (1) DE10303731B4 (ko)
ES (1) ES2270642B1 (ko)
FR (1) FR2840181A1 (ko)
GB (1) GB2389036B (ko)
IT (1) ITTO20030357A1 (ko)
NL (1) NL1022600C2 (ko)
RU (1) RU2241368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407B1 (ko) * 2002-02-06 2004-05-3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HK1057306A2 (en) * 2003-11-01 2004-02-27 Se Kit Yuen Optoelectronic dust collecting machine for killing bacteria and viruses
CN100405963C (zh) * 2004-05-28 2008-07-30 东芝泰格株式会社 电动吸尘器
US20060010639A1 (en) * 2004-07-14 2006-01-19 Yuen Se K Electro-optical vacuum cleaner
SE530664C2 (sv) * 2004-08-05 2008-08-05 Dragoljub Perunicic Kompaktdammsugare
US20060037173A1 (en) * 2004-08-23 2006-02-23 Erna-Mas Makine Ticaret Vesanayi Anonim Sirketi Motor-driven, re-chargeable, movable device with rotary brushes and dust collector
KR100603209B1 (ko) * 2005-02-23 2006-07-2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자외선 투과창을 가지는 오물수거통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US20060216193A1 (en) * 2005-03-22 2006-09-28 Johnson Kaj A Cleaning tools with UV flash unit
US20060278088A1 (en) * 2005-06-10 2006-12-14 Helsel Darin R Vacuum apparatus and method using ultraviolet radiation for sanitization
US7530140B2 (en) * 2005-09-23 2009-05-12 Royal Appliance Mfg. Co. Vacuum cleaner with ultraviolet light source and ozone
CA2545168A1 (en) * 2006-04-28 2007-10-28 Giovanni Cuffaro Air purifying vacuum cleaner system
KR100757384B1 (ko) 2006-05-25 2007-09-1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GB2441174A (en) * 2006-08-25 2008-02-27 Richards Morphy N I Ltd Floor cleaning apparatus will and illuminated dust chamber
EP1949967B1 (en) * 2007-01-24 2015-03-25 LG Electronics Inc. Dust collector of a vacuum cleaner
KR101401521B1 (ko) * 2007-11-13 2014-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US8105532B2 (en) 2008-10-27 2012-01-31 Verilux, Inc. Mobile disinfectant device and methods
US8282697B2 (en) * 2009-02-16 2012-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RU2555618C2 (ru) 2011-03-11 2015-07-10 Альфред Кэрхер Гмбх Унд Ко. Кг Циклонный сепаратор для всасывающего уборочного аппарата и всасывающий уборочный аппарат с циклонным сепаратором
US8330121B2 (en) 2011-05-03 2012-12-11 Verilux, Inc. Dynamic display and control of UV source for sanitization in mobile devices
EP2775893A4 (en) * 2011-11-10 2015-09-02 Stryker Corp CLEANING SYSTEM AND EQUIPMENT THEREFOR
CN103008124B (zh) * 2012-12-16 2015-03-18 哥乐巴环保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旋风分离器
AU2014352815B2 (en) * 2013-11-22 2017-09-07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Vacuum cleaner including a removable dirt collection assembly
EP4186406B1 (de) 2013-12-12 2024-04-17 Alfred Kärcher SE & Co. KG Bodenreinigungsmaschine mit stabeinrichtung
DE102014114813A1 (de) 2014-10-13 2016-04-14 Alfred Kärcher Gmbh & Co. Kg Flächen-Reinigungs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Flächen-Reinigungsmaschine
DE102014114809A1 (de) 2014-10-13 2016-04-14 Alfred Kärcher Gmbh & Co. Kg Flächen-Reinigungsmaschine mit Befeuchtungseinrichtung
DE102014114776A1 (de) 2014-10-13 2016-04-14 Alfred Kärcher Gmbh & Co. Kg Flächen-Reinigungsmaschine
RU2671397C1 (ru) 2014-10-13 2018-10-30 Альфред Кэрхер Гмбх Унд Ко. Кг Машина для 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ей
JP2018529501A (ja) 2015-10-12 2018-10-11 アルフレッド ケルヒャー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ンパニー カーゲー 表面洗浄機
CN109068924B (zh) 2016-03-09 2022-01-28 阿尔弗雷德·卡赫欧洲两合公司 表面清洁机
GB2563666B (en) * 2017-06-23 2019-09-04 Dyson Technology Ltd Separa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CN108014355B (zh) * 2017-09-01 2021-05-25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手持式对缝隙内表面菌斑进行清除的设备
KR102208334B1 (ko) * 2019-09-05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IT201900016307A1 (it) * 2019-09-13 2021-03-13 De Longhi Appliances Srl Dispositivo aspirapolvere e metodo di sanificazione di un dispositivo aspirapolvere
CN113101774A (zh) * 2021-04-07 2021-07-13 龙岩市辉丰工贸有限公司 一种具有杀菌功能的工业除尘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0152A (en) * 1945-01-16 1952-03-25 John T Kilbride Vacuum cleaner with sterilizing means
US2632912A (en) * 1948-10-29 1953-03-31 Hoover Co Illuminating means for tank type suction cleaners
JPS5766728A (en) 1980-06-19 1982-04-23 James Dyson Vacuum cleaner
KR880010808A (ko) * 1987-03-12 1988-10-24 임호섭 집진장치
JPH01151424A (ja) 1987-12-09 1989-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KR900000269U (ko) * 1988-06-30 1990-01-17
GB2277251A (en) 1993-04-19 1994-10-26 Hung Yung Feng Vacuum cleaner with ultra-violet sterilizing bulb
KR100223855B1 (ko) * 1997-07-26 1999-10-15 구자홍 진공청소기 집진실의 탈취/살균장치
KR100232536B1 (ko) 1997-12-31 2000-01-15 배길성 진공청소기용 본체의 자외선램프설치구조
KR20000056752A (ko) * 1999-02-25 2000-09-15 구자홍 싸이클론 집진장치
JP3476066B2 (ja) 1999-07-19 2003-12-10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100314940B1 (ko) 1999-12-08 2001-11-23 이충전 진공 청소기의 자외선 살균장치
KR100406638B1 (ko) * 2000-01-22 2003-11-2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0332982B1 (ko) * 2000-05-31 2002-04-15 이충전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가지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JP2001346733A (ja) 2000-06-09 2001-12-18 Suiden Co Ltd 電機掃除機
AU754573B2 (en) 2000-06-16 2002-11-21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Upright-type vacuum cleaner having a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6428589B1 (en) * 2000-09-29 2002-08-06 Royal Appliance Mfg. Co. Two-stage particle separator for vacuum cleaners
KR100382451B1 (ko) 2000-11-06 2003-05-0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장치
KR20020072009A (ko) * 2001-03-08 2002-09-14 엘지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390608B1 (ko) * 2001-03-12 2003-07-0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392606B1 (ko) * 2001-03-24 2003-07-2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412586B1 (ko) * 2001-06-01 2003-12-3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그릴 조립체
JP2004159813A (ja) * 2002-11-12 2004-06-10 Sanyo Electric Co Ltd 集塵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SE530664C2 (sv) * 2004-08-05 2008-08-05 Dragoljub Perunicic Kompaktdammsugare
KR100603209B1 (ko) * 2005-02-23 2006-07-2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자외선 투과창을 가지는 오물수거통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TO20030357A1 (it) 2003-11-30
NL1022600C2 (nl) 2004-03-23
JP2003339582A (ja) 2003-12-02
ES2270642A1 (es) 2007-04-01
CN1245136C (zh) 2006-03-15
US20030221279A1 (en) 2003-12-04
CA2411936A1 (en) 2003-11-29
JP3764410B2 (ja) 2006-04-05
US6968595B2 (en) 2005-11-29
GB2389036B (en) 2004-08-04
RU2241368C2 (ru) 2004-12-10
DE10303731B4 (de) 2006-05-11
NL1022600A1 (nl) 2003-12-02
GB0302626D0 (en) 2003-03-12
CN1462605A (zh) 2003-12-24
DE10303731A1 (de) 2003-12-18
ES2270642B1 (es) 2008-03-16
AU2002302113A1 (en) 2003-12-18
GB2389036A (en) 2003-12-03
CA2411936C (en) 2007-08-28
KR100437114B1 (ko) 2004-06-23
AU2002302113B2 (en) 2009-08-27
FR2840181A1 (fr) 200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7114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진공청소기
KR100437364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592098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377016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0437371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630952B1 (ko) 진공청소기용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진공청소기
KR100392606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470561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688613B1 (ko) 진공청소기용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444322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725514B1 (ko) 진공청소기용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445806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20060068666A (ko) 사이클론 공기청정기
KR20020072741A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GB2389327A (en) Detachable outflow grill for cyclone
WO2007021146A1 (en) Dust container of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nd supporting structure for cover thereof
RU2002128372A (ru) Циклонный пылесборник пылесоса и пылесос с таким пылесборником
KR20040044297A (ko) 그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집진장치
KR100332982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가지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0577679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KR20040017195A (ko) 진공청소기의 습식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1208496B1 (ko) 다중 싸이클론 집진장치
KR20020034299A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20000067144A (ko) 진공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장치
KR200341682Y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