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2989A - 선외기의 하우징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선외기의 하우징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2989A
KR20030092989A KR1020020030853A KR20020030853A KR20030092989A KR 20030092989 A KR20030092989 A KR 20030092989A KR 1020020030853 A KR1020020030853 A KR 1020020030853A KR 20020030853 A KR20020030853 A KR 20020030853A KR 20030092989 A KR20030092989 A KR 20030092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pper housing
lower housing
outboard moto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권
Original Assignee
김종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권 filed Critical 김종권
Priority to KR1020020030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2989A/ko
Publication of KR20030092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98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20/32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20/14Transmission between propulsion power unit and propulsion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04Irons, steels or ferrous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10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20/32Housings
    • B63H2020/323Gear 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외기의 하우징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일정 체적을 가진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를 왕복 운동하도록 조립되는 피스톤으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의 행정에 의해 출력을 발생시키는 엔진부; 다수의 기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엔진부에서 생성된 출력을 변환시키는 기어부; 2개 이상의 날개를 가지며, 상기 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 타원형의 기둥으로 구성되며, 그 상측에 상기 엔진부가 설치되는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측 전방으로부터 후방까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엔진부의 출력을 상기 프로펠러로 전달시키는 기어부가 내장되는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의 결합상태가 보다 견고해지도록 하는 선외기의 하우징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상술된 본 발명의 하우징 결합구조는 별도의 부재없이 보다 견고하며, 단순화된 조립구조를 통해 선외기의 제조원가를 저감시킨다. 또한 선외기의 신뢰성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선외기의 하우징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HOUSING FOR OUT BOARD MOTOR}
본 발명은 선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펠러가 부착되고 엔진으로부터의 출력을 프로펠러로 전달하는 기어가 내장되는 하부하우징이 상부하우징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선박용 추진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가 존재하며, 선외기는 이러한 형태중의 하나이다. 상기 선외기는 내장된 실린더와 그 내부에 위치된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의해 출력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출력으로 하부하우징의 후방에 설치된 프로펠러가 회전하여 추진력이 발생되며, 주로 소형선박의 추진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선외기는 전체적으로 흡입-압축-폭발-배기의 행정에 의해 출력을 발생시키는 엔진부, 상기 엔진부에서 생성된 출력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기어부, 그리고 상기 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엔진부는 상부하우징의 상측에 설치되며, 기어부는 하부하우징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엔진부는 내부에 일정의 체적을 포함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 동작하도록 조립되는 피스톤으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은 하나의 기통을 형성하게 된다. 선외기는 단수의 기통을 가진 단기통 선외기와 2개이상의 복수개의 기통을 가진 다기통 선외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다기통 선외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엔진부는 그 상측에 설치되는 연료탱크로 부터 휘발유 또는 경유등의 연료가 공급되어 흡입-압축-폭발-배기의 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행정은 자동차등의 내연기관에서도 널리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엔진부의 출력을 상기 프로펠러로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와 기어로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는 수직의 축으로 형성되며, 상부측은 상기 엔진부에 직접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고 하부측은 상기 기어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기어는 상기 샤프트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의 수직 회전을 수평회전으로 변환하여 상기 프로펠러로 전달시킨다.
한편,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엔진부가 그 상측에 설치되도록 하는 상부하우징과 기어부가 수용되는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등의 결합장치에 의해 하부하우징이 상부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으로 전체적인 하우징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선외기가 소형 선박등에 사용되기 위해 조립되는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하우징(1)의 상방에 엔진부(도시생략)가 설치되도록 조립하고, 또한 상기 엔진부에서 생성되는 출력이 하부로 전달되도록 샤프트(도시생략)가 상기 상부하우징(1)의 내부를 관통하여 조립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의 상측은 상기 엔진부에 직접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1)의 상면 외측으로 돌출되며, 하측은 상기 하부하우징(2) 내측의 기어에 연결되도록 하면 외측으로도 돌출된다. 그리고 하부하우징(2)의 내부에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프로펠러(10)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도시생략)가 수용되도록 조립되며, 상기 하부하우징(2)의 상부결합면(2a)에는 고정볼트(4a)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각각 조립된 상부하우징(1)과 하부하우징(2)은 상기 고정볼트(4a)와 너트(4b)가 결합되는 것에 의해 고정되며,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1)과 하부하우징(2)이 결합될 때에는 상기 상부하우징(1)과 하부하우징(2)의 사이에는 가스켓(6)이 개재된다.
상기 가스켓(6)은 상기 하부하우징(2)의 상부 결합면(2a)과 동일한 형상의외형을 가지며, 일측에는 상기 고정볼트(4a)가 관통하도록 천공된 결합공(6a)과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연통공(6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스켓(6)은 상기 상부하우징(1)과 하부하우징(2)의 사이에 개재되어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일정의 탄성력을 지닌 합성수지재와 금속재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설명된 선외기는 지금까지 여러 가지 소형 선박의 추진장치로 사용되어 왔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상기 하부하우징(2)이 상기 상부하우징(1)에 고정되는 면적이 협소하여 외부의 충격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2)이 상기 상부하우징(1)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상기 하부하우징(2)의 상부 결합면(2a)에 고정볼트(4a)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4a)를 상기 상부하우징(1)의 체결홀(1a)을 관통시킨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1)측에서 상기 고정볼트(4a)의 단부에 너트(4b)를 체결하면 상기 하부하우징(2)이 상기 상부하우징(1)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하우징(2)이 결합되는 면적이 협소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이 상기 하부하우징(2)에 가해질 때, 상기 하부하우징(2)이 상기 상부하우징(1)에서 이탈하거나 그 고정상태가 헐거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하우징(2)이 상부하우징(1)에서 이탈하게 되면, 선외기가 파손되는 것을 물론이며 하부하우징(2)의 분실에 의한 수리작업 및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2)이 상기 상부하우징(1)에서 이탈하지 않더라도 이미 고정상태가 헐거워지면 상기 상부하우징(1)와 하부하우징(2) 사이로 물이 유입된다. 상기 하우징(1,2) 사이로 물이 유입되면, 내부에 장착된 샤프트와 기어에 물이 유입된다. 샤프트와 기어에 물이 유입된 상태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철소재로 제작된 샤프트와 기어에 녹이 발생하게 되며, 결국 상기 샤프트와 기어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샤프트와 기어의 작동이 원만하지 못하게 되는 것은 결과적으로 선외기의 출력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이며, 급기야 선외기의 고장을 일으키게 된다.
둘째, 상부하우징(1)과 하부하우징(2)의 조립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하우징(1)과 하부하우징(2)의 사이에는 상부하우징(1)과 하부하우징(2)의 결합부위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켓(6)이 개재된다. 따라서 조립단계에서 상기 가스켓(6)을 추가로 개재시키기 위해서는 결합공(6a)과 연통공(6b)이 천공된 구조의 가스켓(6)을 상기 하부하우징(2)의 상부 결합면(2a) 위에 가 조립해야 하며, 가스켓(6)이 가 조립된 상태의 하부하우징(2)을 상기 상부하우징(1)에 상기 고정볼트(4a)와 너트(4b)를 통해 조립해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가스켓(6)의 결합공(6a)을 상기 결합볼트(4a)에 일치시키는 추가의 조립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셋째, 선외기의 제조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1)과 하부하우징(2) 사이에 개재되는 가스켓(6)은 결합공(6a)과 연통공(6b)이 천공된 구조의 가스켓(6)으로 마련해야 하므로 복잡한 구조의 가스켓(6)을 추가로 제작하는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넓은 결합 면적을 가지도록 하는 하부하우징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스켓을 삭제하는 것에 의해 선외기의 조립공정을 단순하게 하는 것과,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선외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선외기의 하우징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선외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선외기의 하우징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상부하우징 11a : 결합홀
11b : 안정판 12 : 하부하우징
12a : 결합면 14a : 고정볼트
14b : 너트 18 : 프로펠러
20 : 고정브라켓 22 : 연결브라켓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일정 체적을 가진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를 왕복 운동하도록 조립되는 피스톤으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의 행정에 의해 출력을 발생시키는 엔진부; 다수의 기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엔진부에서 생성된 출력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기어부; 2개 이상의 날개를 가지며, 상기 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 타원형의 기둥으로 구성되며, 그 상측에 상기 엔진부가 장착되는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측 전방으로부터 후방까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엔진부의 출력을 상기 프로펠러로 전달시키는 기어부가 내장되는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의 결합상태가 보다 견고해지도록 하는 선외기의 하우징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 결합구조중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은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고정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은 스틸재질로 구성되는 것과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은 다이캐스팅 제조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래등의 사형에 의한 주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술된 본 발명에 따라 보다 견고한 결합구조가 제공되며, 구성요소의 삭제에 의해 조립공정의 단순화와 제조원가를 절감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에 따른 선외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선외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11)을 중심으로 상방에는 엔진부(E)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엔진부(E)는 행정에 의해 출력을 발생시키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동 운동하여 출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으로 구성된다. 상기 엔진부(E)의 상측에는 연료탱크(F)가 설치된다. 상기 연료탱크(F)는 내부에 연료를 저장하며, 그 일측에는 연료가 상기 엔진부(E)로 공급되도록 하는 연료호스(도시생략)가 또한 상기 연료탱크(F)의 상측에는 외부로 부터 상기 연료탱크(F) 내부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연료주입구는 캡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료탱크(F)는 합성수지재 또는 경합금의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은 선외기 전체의 중량을 보다 작게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11)의 좌측에는 선외기가 선박의 후방에 설치되고 또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브라켓(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20)은 대략 U자형태의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선외기에서 발생하는 소정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11)과 고정브라켓(20)의 사이에는 상기 고정브라켓(20)이 상기 상부하우징(11)에 연결 및 결합되도록 하는 연결브라켓이(2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11)은 유선형의 원통으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엔진부(E)의 출력을 하부하우징(12) 내부의 기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11)의 하측에는 안정판(1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정판(11b)은 상기 상부하우징(11)의 길이보다 큰 장형의 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정판(11b)는 상기 상부하우징(11)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하우징(11)의 하방에는 하부하우징(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하우징(12)의 하부 우측에는 선외기의 출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프로펠러(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로펠러(18)는 2개 이상의 날개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회전하는 것으로 선외기가 선박에 설치되었을 때 추진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상기 하부하우징(12)의 구성을 도 4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부하우징(12)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하우징(11)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면(12a)이 장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면(12a)은 상기 상부하우징(11)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하우징(11)의 안정판(11b)의 폭과 길이에 상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결합면(12a)에는 상기 하부하우징(12)을 상기 상부하우징(1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14a)가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하부하우징(12)이 상부하우징(11)과 조립되는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상부하우징(11)에 사프트가 조립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하우징(12)에는 상기 고정볼트(14a)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14a)가 상기 상부하우징(11)의 체결홀(11a)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부하우징(12)의 결합면(12a)은 상기 상부하우징(11)의 하면에 연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11a)을 통해 돌출된 고정볼트(14a)에는 너트(14b)가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볼트(14a)와 너트(14b)가 서로 체결되면 상기 하부하우징(12)의 결합면(12a)은 상기 상부하우징(11)의 하면에 더욱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하우징(11)에 하부하우징(12)이 조립되면, 종래보다 넓은 면적의 밀착 고정면적을 가지면서 조립되므로 보다 큰 결합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외기의 하우징 결합구조는 종래 기술에비해 구성요소의 갯수 및 조립공정의 단순화를 제시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선외기가 최적의 성능을 낼수 있도록 한다.
상술된 본 명세서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그 취지와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이에따라 본 발명은 상술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의 범위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결합구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보다 폭 넓은 결합 면적을 가지게 되므로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의 결합력이 증대되고, 외부 충격에 보다 견고하게 견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부하우징이 상부하우징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하우징 결합부위 사이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궁극적으로 선외기의 성능과 신뢰성 유지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결합구조에 의해 조립공정이 실질적으로 단순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구조에 따른 넓은 결합면적은 기존의 협소한 결합면적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던 가스켓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가스켓의 조립공정이 삭제된다. 따라서, 선외기의 제품 생산성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의 결합구조에 의해 선외기의 제조비가 절감될 수 있다.
기존의 복잡한 구조의 가스켓을 삭제하는 것에 의해 가스켓을 별도로 제작하기 위한 공정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선외기의 제조비가 실질적으로 절감되는 잇점이 있다.

Claims (7)

  1. 내부에 일정 체적을 가진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를 왕복 운동하도록 조립되는 피스톤으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의 행정에 의해 출력을 발생시키는 엔진부;
    다수의 기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엔진부에서 생성된 출력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기어부;
    2개 이상의 날개를 가지며, 상기 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
    타원형의 기둥으로 구성되며, 그 상측에 상기 엔진부가 설치되는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측 전방으로부터 후방까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엔진부의 출력을 상기 프로펠러로 전달시키는 기어부가 내장되는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외기의 하우징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은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외기의 하우징 결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고정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외기의 하우징 결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은 스틸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외기의 하우징 결합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은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외기의 하우징 결합구조.
  6. 제 4 항 또는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은 주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외기의 하우징 결합구조
  7. 제 4 항 또는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은 다이캐스팅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외기의 하우징 결합구조.
KR1020020030853A 2002-05-29 2002-05-29 선외기의 하우징 결합구조 KR20030092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853A KR20030092989A (ko) 2002-05-29 2002-05-29 선외기의 하우징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853A KR20030092989A (ko) 2002-05-29 2002-05-29 선외기의 하우징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989A true KR20030092989A (ko) 2003-12-06

Family

ID=3238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853A KR20030092989A (ko) 2002-05-29 2002-05-29 선외기의 하우징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2989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3282A (en) * 1974-10-02 1977-07-05 Heinz Pichl Housing for outboard motors
JPH0195993A (ja) * 1987-10-08 1989-04-14 Sanshin Ind Co Ltd 船舶推進機の動力伝達構造
JPH02269424A (ja) * 1989-04-10 1990-11-02 Sanshin Ind Co Ltd 船外機用充電装置の取付け構造
US5224888A (en) * 1991-06-06 1993-07-06 Sanshin Kogyo Kabushiki Kaisha Boat propulsion assembly
US5234362A (en) * 1992-01-21 1993-08-10 Outboard Marine Corporation Outboard motor with improved housing interface
JPH07315292A (ja) * 1995-04-27 1995-12-05 Honda Motor Co Ltd 船外機のエンジンオイルドレン構造
EP0990778A2 (en) * 1998-09-28 2000-04-0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Cooling device in outboard engine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3282A (en) * 1974-10-02 1977-07-05 Heinz Pichl Housing for outboard motors
JPH0195993A (ja) * 1987-10-08 1989-04-14 Sanshin Ind Co Ltd 船舶推進機の動力伝達構造
JPH02269424A (ja) * 1989-04-10 1990-11-02 Sanshin Ind Co Ltd 船外機用充電装置の取付け構造
US5224888A (en) * 1991-06-06 1993-07-06 Sanshin Kogyo Kabushiki Kaisha Boat propulsion assembly
US5234362A (en) * 1992-01-21 1993-08-10 Outboard Marine Corporation Outboard motor with improved housing interface
JPH07315292A (ja) * 1995-04-27 1995-12-05 Honda Motor Co Ltd 船外機のエンジンオイルドレン構造
EP0990778A2 (en) * 1998-09-28 2000-04-0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Cooling device in outboard engin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7847A (en) Composite engine block having high strength to weight ratio
US6481389B2 (en) Piston oil-cooling device in an engine
JP4749254B2 (ja) 駆動軸を備える船舶推進機
US6427655B2 (en) Intake manifold of outboard motor
US6354893B1 (en) Mounting structure for an outboard motor
US5405276A (en) Water injection propulsion device
JPH02141392A (ja) 船舶推進機の電圧発生装置
KR20030092989A (ko) 선외기의 하우징 결합구조
FI79993B (fi) Drivanordning foer fartyg.
US6029540A (en) Power output system for an outboard engine
KR20030093068A (ko) 선외기의 하우징 결합구조
US6196887B1 (en) Marine drive transmission
CN101082292A (zh) 发动机的泵驱动装置
CN201407287Y (zh) 船用液压联轴器和配油器的组合结构
US6374795B2 (en) Engine
US6283099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912769B2 (ja) 駆動軸を備える船舶推進機
JP2006112435A (ja) 内燃機関の補機取り付け構造
JPH1182049A (ja) 内燃機関の補機取り付け構造
US7980218B2 (en) Pump driving device in engine
US6790111B2 (en) Outboard motor
US6186844B1 (en) Outboard motor
JP4749251B2 (ja) 駆動軸を備える船舶推進機
CN215949614U (zh) 一种新型柴油发动机机油泵安装方式的缸体
US20010017111A1 (en) Inboard four cycle gasoline marine engine for small water cr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