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472A -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안티 다이브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안티 다이브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0472A
KR20030090472A KR1020020028957A KR20020028957A KR20030090472A KR 20030090472 A KR20030090472 A KR 20030090472A KR 1020020028957 A KR1020020028957 A KR 1020020028957A KR 20020028957 A KR20020028957 A KR 20020028957A KR 20030090472 A KR20030090472 A KR 20030090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eleration
control method
electronically controlled
controlled suspension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20028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0472A/ko
Publication of KR20030090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47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60G17/0164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mainly during accelerating or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60G17/01933Velocity, e.g. relative velocity-displacement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10Acceleration;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0Speed
    • B60G2400/204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01Attitude or posture control
    • B60G2800/014Pitch; Nose d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 급정차시 댐퍼(damper)를 하드(hard)하게 제어하여 차량의 다이브(dive) 현상을 방지하는 안티 다이브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 주행에 있어서, 운전자가 차량을 급제동시키는 경우 차량이 다이브하게 되어 뒷바퀴의 접지력이 약해진다. 따라서, 차량의 자세가 불안정해지고 승차감도 떨어진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정보 및 차속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급정차함을 감지할 경우 급정차 정도에 대응하여 댐퍼를 하드하게 제어해서 타이어의 접지력을 확보하여 차량의 다이브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차량의 자세가 안정해지고 승차감도 향상된다.

Description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안티 다이브 제어방법{ANTI DIVE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ALLY CONTROLLED SUSPENSION}
본 발명은 전자제어 현가장치(electronically controlled suspension)의 안티 다이브(anti-dive)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이 급정차시 댐퍼(damper)를 하드(hard)하게 제어하여 차량의 다이브 현상을 방지하는 안티 다이브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 주행에 있어서, 운전자가 차량을 급제동시키는 경우 차량이 다이브하게 되어 뒷바퀴의 접지력이 약해진다. 따라서, 차량의 자세가 불안정해지고 승차감도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브레이크 정보 및 차속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급정차함을 감지할 경우 급정차 정도에 대응하여 댐퍼를 하드하게 제어해서 타이어의 접지력을 확보하여 차량의 다이브 현상을 방지하는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안티 다이브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 센서(brake sensor), 차속 센서, 및 전후륜 댐퍼를 구비한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안티 다이브 제어 시스템에서 안티 다이브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브레이크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브레이크가 작동시 상기 차속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감가속도를 계산하는 제 2 단계; 상기 감가속도가 설정된 감가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감가속도가 상기 설정된 감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하는 양에 대응하여 상기 전후륜 댐퍼의 감쇠력을 설정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안티 다이브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브레이크 센서 12 : 차속 센서
14 : 제어부 16 : 전륜 댐퍼
18 : 후륜 댐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제어부(14)가 브레이크 센서(10)로부터 제공되는 브레이크 정보 및 차속 센서(12)로부터 제공되는 차속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급정차함을 감지할 경우 급정차 정도에 대응하여 전륜 댐퍼(16)의 감쇠력 및 후륜 댐퍼(18)의 감쇠력을 제어하도록 해서 타이어의 접지력을 확보하여 차량의 다이브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안티 다이브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제어부(14)는 브레이크 센서(1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브레이크 작동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0).
제어부(14)는 브레이크가 작동시 차속 센서(12)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감가속도를 계산한다(단계 12). 브레이크 작동 시에만 차량의 감속도를 G 단위로 계산한다.
제어부(14)의 감가속도 계산의 예를 보면, 먼저, 수학식 1과 같이 차속을 MKS 단위계로 변환한다. 다음,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동안의 감가속도를 계산한다. 예로, u2(k)가 1일 때, "(u1(k)-u1(k-1))〉0"이면 y(k)는 0이고 그 외의 y(k)는 "(u1(k-1)-u1(k))/td"이다. u2(k)가 1이 아닐 때, y(k)는 0이다. 이때, u1(k)는 입력 변수 1로서 V_mks이고, u2(k)는 입력 변수 2로서 1 또는 0으로 표시되는 브레이크 작동 신호이고, td는 튜닝(tuning) 변수로서 0.26인 루핑 타임(looping time)이고, y(k)는 출력 변수로서 "decelmks"이다. 루핑 타임은 추후 튜닝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다. 이어, 수학식 2를 사용하여 계산된 감가속도를 G 단위로 환산한다.
제어부(14)는 계산된 감가속도가 설정된 감가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4).
제어부(14)는 감가속도가 상기 설정된 감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하는 양에 대응하여 전륜 댐퍼(16)의 감쇠력 및 후륜 댐퍼(18)의 감쇠력을 하드하게 설정한다(단계 16). 이때, 전후륜의 게인(gain)에 비례하게 전륜 댐퍼(16)의 감쇠력 및 후륜 댐퍼(18)의 감쇠력을 하드하게 설정한다.
초과 양에 대응하여 댐퍼의 감쇠력을 설정함에 있어, 차량의 특성과 댐퍼의 감쇠력 크기에 맞게 미리 튜닝(tuning)해 놓아야 한다. 전륜 댐퍼(16) 및 후륜 댐퍼(18)가 리바운드측과 컴프레션측의 감쇠력이 같이 증감하는 노말 타입(normal type)의 댐퍼일 경우 전륜 댐퍼(16) 및 후륜 댐퍼(18)를 모두 하드 모드로 설정한다. 전륜 댐퍼(16) 및 후륜 댐퍼(18)가 리바운드측과 컴프레션측의 감쇠력이 반대로 증감하는 리버스 타입(reverse type)의 댐퍼일 경우 전륜 댐퍼(16)는 소프트/하드로 설정하고 후륜 댐퍼(18)는 하드/소프트로 설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브레이크 정보 및 차속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급정차함을 감지할 경우 급정차 정도에 대응하여 댐퍼를 하드하게 제어해서 타이어의 접지력을 확보하여 차량의 다이브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차량의 자세가 안정해지고 승차감도 향상된다.

Claims (5)

  1. 브레이크 센서, 차속 센서, 및 전후륜 댐퍼를 구비한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안티 다이브 제어 시스템에서 안티 다이브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브레이크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브레이크가 작동시 상기 차속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감가속도를 계산하는 제 2 단계;
    상기 감가속도가 설정된 감가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감가속도가 상기 설정된 감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하는 양에 대응하여 상기 전후륜 댐퍼의 감쇠력을 설정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안티 다이브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륜 댐퍼는 노말 타입의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안티 다이브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륜 노말 타입의 댐퍼를 모두 하드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안티 다이브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륜 댐퍼는 리버스 타입의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안티 다이브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리버스 타입의 댐퍼는 소프트/하드로 설정하고 상기 후륜 리버스 타입의 댐퍼는 하드/소프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안티 다이브 제어방법.
KR1020020028957A 2002-05-24 2002-05-24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안티 다이브 제어방법 KR20030090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957A KR20030090472A (ko) 2002-05-24 2002-05-24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안티 다이브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957A KR20030090472A (ko) 2002-05-24 2002-05-24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안티 다이브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472A true KR20030090472A (ko) 2003-11-28

Family

ID=3238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957A KR20030090472A (ko) 2002-05-24 2002-05-24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안티 다이브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04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75132A (zh) * 2022-01-29 2022-05-1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半主动悬架控制方法、控制器、汽车、设备及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75132A (zh) * 2022-01-29 2022-05-1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半主动悬架控制方法、控制器、汽车、设备及介质
CN114475132B (zh) * 2022-01-29 2024-01-1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半主动悬架控制方法、控制器、汽车、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89829B2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KR102373365B1 (ko) 다단 스위치를 구비한 전자제어 현가장치 및 그의 감쇠력 제어 방법
US20060290078A1 (en) Electrically controlled suspension system
US10106008B2 (en) Suspens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vehicle
US9956841B2 (en) Suspens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000027739A (ko) 전자 제어 현가 장치
JP4379184B2 (ja) 車両の制動制御装置
JP4416919B2 (ja) 車両速度の制御方法並びに装置
US20160272030A1 (en) Suspens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vehicle
US20040212159A1 (en) Method for adjusting a damping coefficient of a spring strut of a vehicle and arrangement therefor
JP2007112207A (ja) 車両の制駆動力制御装置
KR20030090472A (ko)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안티 다이브 제어방법
KR100837234B1 (ko) 차량의 esp, cdc 및 agcs 통합 제어 장치 및그방법
US10703161B2 (en) Suspens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vehicle
JP2009126418A (ja) 車両運動制御システム
KR20070073407A (ko) 전자제어 현가장치 및 안티 다이브 제어방법
KR20000055865A (ko) 전자 제어 현가 장치
KR101254231B1 (ko) 차량의 협조 제어 시스템 및 그의 협조 제어 방법
KR100808422B1 (ko) 차량용 전자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3072535A (ja) 車両用電動ブレーキ装置の制御方法、及び車両用制動システム
JP2003063473A (ja) 自動車の車体姿勢調整装置
KR100814755B1 (ko)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H08238915A (ja) 車体挙動制御装置
KR102614161B1 (ko) 차량의 댐퍼속도 도출 시스템
KR100702325B1 (ko)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안티 스쿼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