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166A -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0166A
KR20030090166A KR1020020028167A KR20020028167A KR20030090166A KR 20030090166 A KR20030090166 A KR 20030090166A KR 1020020028167 A KR1020020028167 A KR 1020020028167A KR 20020028167 A KR20020028167 A KR 20020028167A KR 20030090166 A KR20030090166 A KR 20030090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paper
gear
swing
swing arm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1030B1 (ko
Inventor
윤권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8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030B1/ko
Publication of KR20030090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0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14Platen-shift mechanisms; Driving gear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Landscapes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개시된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는, 기록용지를 피딩시키는 기록용지이송부와 원고를 피딩시키는 원고이송부 및 기록용지에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카트리지를 탑재하고 기록용지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캐리지를 포함하는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로서, 기록용지이송부와 원고이송부를 구동하는 피딩모터와, 피딩모터의 회전력이 기록용지이송부 또는 원고이송부로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절환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하나의 피딩모터에 의해 기록용지 및 원고를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Paper feeding apparatus for inkjet facsimile}
본 발명은 잉크젯 방식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록용지 및 원고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된 용지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시밀리는 전화선 등을 이용하여 원고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 들여 상대방에게 전송하거나 상대방이 전송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를 말하며, 특히 수신한 정보를 기록용지에 출력하는 장치로서 잉크젯 프린팅방식을 이용하는 팩시밀리를 잉크젯 방식 팩시밀리라 한다.
잉크젯 프린팅방식이라함은, 기록용지를 이송시키면서 기록용지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하는 잉크카트리지로부터 기록용지에 잉크액적을 토출하여 화상을 출력하는 방식을 말한다.
따라서 통상의 잉크젯 방식 팩시밀리에는 기록용지와 원고를 각각 이송시키고, 잉크카트리지를 왕복슬라이딩시키는 3개의 모터를 구비한 구동장치가 채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잉크젯 팩시밀리 구동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잉크젯 팩시밀리 구동장치는, 카세트(133)로부터 기록용지(S)를 한 장씩 인출하여 정속이송시키는 ASF(automatic sheet feeder)로울러(132) 및 피드로울러(131)를 구동하는 제1피딩모터(130)와, 스태커(stacker)(미도시)로부터 원고(D)를 한 장씩 인출하여 정속이송시키는 ADF(automatic document feeder)로울러(122) 및 화이트(white)로울러(121)를 구동하는 제2피딩모터(120) 및 잉크카트리지(114)를 탑재하고 기록용지(S)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왕복슬라이딩하는 캐리지(111)를 구동하는 캐리지모터(11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a는 도 1의 용지이송장치에 의한 기록용지이송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피딩모터(130)의 회전력은 참조부호 G1 내지 G5로 표시된 기어를 거쳐 피드로울러(131)로 전달되며, 다시 참조부호 G4, G6 내지 G10으로 표시된 기어를 거쳐 ASF로울러(132)로 전달된다. 여기서 기어 G7은 기어 G6의 회전축에 연결된 제1스윙아암(134)에 설치되어, 제1피딩모터(1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스윙아암(134)과 함께 회전하여 기어 G8에 연결되거나 또는 기어 G8로부터 이탈된다.
제1피딩모터(130)가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스윙아암(134)은 기어 G8을 향하여 회전하여 기어 G7이 기어 G8에 연결되어 ASF로울러(132)에 제1피딩모터(130)의 회전력이 전달되므로 ASF로울러(132)가 카세트(133)로부터 기록용지(S)를 이송하기 시작한다. 이 때 피드로울러(131)는 기록용지(S)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ASF로울러(132)에 의해 이송된 기록용지(S)는 피드로울러(131)에 접촉하여 멈추게 된다. 이는 기록용지(S)가 ASF로울러(132)에 의해 불완전하게 이송되어 기록용지(S)의 선단부가 피드로울러(131)에 동시에 진입하지 못하는 스큐(SKEW)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피드로울러(131)가 기록용지(S)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기록용지(S)가 스큐된 상태로 이송되는 것을 막고 기록용지(S)의 선단부를 정렬시켜 스큐를 정정하기 위함이다.
다시, 제1피딩모터(130)가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스윙아암(134)은 기어 G8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어 G7이 기어 G8에서 이탈되므로 제1피딩모터의 회전력이 ASF로울러(132)에 전달되지 못한다. 이 때 피드로울러(13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기록용지(S)를 이송시키게 된다.
도 2b는 도 1의 용지이송장치에 의한 원고이송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피딩모터(120)의 회전력은 참조부호 G11 내지 G19로 표시된 기어를 거쳐 ADF로울러(122) 및 화이트로울러(121)로 전달된다. 여기서 기어 G18은 기어 G17의 회전축에 연결된 제2스윙아암(123)에 설치되어, 제2피딩모터(1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2스윙아암(124)과 함께 회전하여 기어 G19에 연결되거나 또는 기어 G19로부터 이탈된다.
제2피딩모터(120)가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스윙아암(124)은 기어 G19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어 G18이 기어 G19에서 이탈되므로 제2피딩모터(120)의 회전력이 화이트로울러(121)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화이트로울러(121)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 때 ADF로울러(122)는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고(D)를 화이트로울러(121)로 이송하며, 이송된 원고(D)의 선단부는 회전하지 않는 화이트로울러(121)에 의해 더 이상 이송되지 못하고 상기 기록지이송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고(D)의 선단부를 화이트로울러(121)에 정렬함으로써 스큐를 정정하게 된다. 다시, 제2피딩모터(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스윙아암(124)은 기어 G19를 향하여 회전하여 기어 G18과 기어 G19가 연결되고, 원고(S)가 화이트로울러(121)에 의해 이송된다.
이 때, 일반적으로 ADF로울러(122)에는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원웨이클러치(one way clutch)(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 기어 G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ADF로울러(122)에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ADF로울러(122)는 자유로운 상태로 화이트로울러(121)에 의해 이송되는 원고와 마찰하며 원고이송방향으로 회전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기록용지 및 원고를 스큐없이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에서는 원고 및 기록용지를 스큐없이 이송하기 위해 정역회전 동작이 가능한 두 개의 모터를 사용하고 있어 원가상승의 원인이 된다. 즉, 기록용지와 원고를 피딩하는 모터를 각각 따로 구비하고 있으므로 모터구동을 위한 드라이버 IC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고, 또 두 개의 모터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높은 용량의 전원공급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여 원고이송부 및 기록용지이송부를 구동하면서도 모터를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스큐프리(skew free)구동이 가능한 용지이송장치의 창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여 스큐없이 기록용지와 원고를 이송시킬 수 있는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에 있어서 기록용지이송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에 있어서 원고이송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용지이송장치 중 동력절환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c는 도 3b의 동력절환수단이 원고이송부를 구동하는 경우의 동력절환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도 3a에 도시된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에 있어서 기록용지이송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4b는 도 3a에 도시된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에 있어서 원고이송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캐리지 121......화이트로울러
122......ADF로울러 131......피드로울러
132......ASF로울러 300......피딩모터
310......제3스윙아암 311......제1돌출부
320......토오션스프링 371......경사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는, 기록용지를 이송시키는 기록용지이송부와 원고를 이송시키는 원고이송부 및 상기 기록용지에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카트리지를 탑재하고 상기 기록용지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캐리지를 포함하는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로서, 상기 기록용지이송부와 상기 원고이송부를 구동하는 피딩모터; 상기 피딩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기록용지이송부 또는 상기 원고이송부로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절환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절환수단은, 상기 피딩모터와 동력연결된 제1스윙기어; 상기 제1스윙기어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제3스윙아암; 상기 제3스윙아암에 상기 제1스윙기어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제2스윙기어; 상기 제2스윙기어가 상기 기록용지이송부와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3스윙아암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캐리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스윙기어가 상기 원고이송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3스윙아암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과 상기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제3스윙아암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이용하여, 피딩모터의 회전력을 기록용지이송부 또는 원고이송부로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캐리지의 위치를 이용하고 있어 피딩모터의 회전방향과 무관하므로, 일단 기록용지이송부 또는 원고이송부 중 어느 한쪽으로 피딩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피딩모터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절환하며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스큐프리구동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그 중에서 동력절환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용지이송부(160)는 피드로울러(131)와 ASF로울러(132)와 참조부호 G5 내지 G10로 표시된 기어 및 제1스윙아암(134)를 구비하고 있으며, 원고이송부(170)는 ADF로울러(122)와 화이트로울러(121)와 참조부호 G14 내지 G19로 표시된 기어 및 제2스윙아암(124)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 기록용지이송부(160)와 원고이송부(170)를 구동하는 피딩모터(300)의 회전력이 기록용지이송부(160)와 원고이송부(170)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기어 G4 또는 기어 G14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동력절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동력절환수단은, 제1스윙기어(G31), 제2스윙기어(G32),제3스윙아암(310), 토오션스프링(320) 및 회전수단을 구비한다.
제1스윙기어(G31)는 피딩모터(300)와 제2스윙기어(G32)의 사이에 설치되어 피딩모터(300)의 회전력을 제2스윙기어(G32)로 전달한다. 제1스윙기어(G31)는 제2스윙기어(G32)와 함께 제3스윙아암(310)에 설치되어 피딩모터(300)와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스윙기어(G32)는 제3스윙아암(310)에 설치되며, 제1스윙기어(G31)와 동력연결되어 있다. 제3스윙아암(310)이 제1스윙기어(G3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원고이송부(170) 또는 기록용지이송부(160)에 선택적으로 동력연결된다.
제3스윙아암(310)은 제1스윙기어(G31)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원고이송부(170)와 기록용지이송부(160)와의 사이에서 스윙한다.
토오션스프링(320)은 제2스윙기어(G32)가 기록용지이송부(160)의 G4와 연결되는 방향으로 제3스윙아암(310)에 탄성력을 부가한다. 토오션스프링(320)의 코일부(323)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윙기어(G31)의 회전축(381)에 삽입되고, 제1아암(321)은 제3스윙아암(310)에 고정되며 제2아암(322)은 상기 기어들이 설치된 샤시(미도시)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자연히 제2스윙기어(G32)는 기록용지이송부(160)로 동력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오션스프링(320)을 사용하고 있으나, 압축 또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캐리지의 위치에 따라 제2스윙기어(G32)가 기록용지이송부(160)와 원고이송부(170) 중 어느 한 쪽에 연결되도록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제3스윙아암(31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회전수단은, 제3스윙아암(310)에 캐리지(111)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돌출부(311)와, 제1돌출부(311)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형성된 경사면(371)을 갖는 캐리지(1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캐리지(111)가 제1돌출부(311)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경사면(371)과 제1돌출부(311)가 접촉하면서 토오션스프링(320)의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제3스윙아암(310)을 회전시킨다.
제1돌출부(311) 및 경사면(371)은 반드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캐리지(111)의 이동에 따라 상호 접촉하면서 제3스윙아암(310)을 회전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다.
이제 상술한 구성에 의한 작동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에는 토오션스프링(320)의 탄성력에 의해 제1스윙기어(G3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3스윙아암(310)이 기어 G4를 향하여 회전하여 제2스윙기어(G32)가 기어 G4에 연결되어 기록용지이송부(160)의 구동이 가능하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이송장치에 의한 기록용지이송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딩모터(300)가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스윙아암(134)은 기어 G8을 향하여 회전하여 기어 G7이 기어 G8에 연결되어 ASF로울러(132)에 피딩모터(130)의 회전력이 전달되므로 ASF로울러(132)가 카세트(133)로부터 기록용지(S)를 이송하기 시작한다. 이 때 피드로울러(131)는 기록용지(S)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ASF로울러(132)에 의해 이송된기록용지(S)는 피드로울러(131)에 접촉하여 멈추게 된다. 이는 기록용지(S)가 ASF로울러(132)에 의해 불완전하게 이송되어 기록용지(S)의 선단부가 피드로울러(131)에 동시에 진입하지 못하는 스큐(SKEW)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피드로울러(131)가 기록용지(S)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기록용지(S)가 스큐된 상태로 이송되는 것을 막고 기록용지(S)의 선단부를 정렬시켜 스큐를 정정하기 위함이다.
다시, 피딩모터(130)가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스윙아암(134)은 기어 G8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어 G7이 기어 G8에서 이탈되므로 피딩모터의 회전력이 ASF로울러(132)에 전달되지 못한다. 이 때 피드로울러(13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기록용지(S)를 이송시키게 된다.
기록용지(S)가 피드로울러(131)에 의해 이송되기시작하면 캐리지(11)를 기록용지(S)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잉크카트리지(114)로부터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원고이송부(380)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제3스윙아암(310)을 기어 G14를 향하여 회전시켜 제2스윙기어(G32)가 기어 G14와 연결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제3스윙아암(310)에는 캐리지(111)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제1돌출부(3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캐리지(111)에는 상기 제1돌출부(311)를 향하여 경사면(371)이 형성되어 있다.
도 3c는 원고이송부를 구동하는 경우의 동력절환수단을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이송부(170)을 구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캐리지(111)가 제1돌출부(311)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 때 제1돌출부(311)가 캐리지(111)에 형성된 경사면(371)에 접촉하면서 캐리지가 참조부호 400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토오션스프링(320)의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제3스윙아암(310)이 제1스윙기어(G31)의 회전축(381)을 중심으로 기어 G14를 향하여 회전하면서 제2스윙기어(G32)가 기어 G14에 연결되어 피딩모터(300)의 회전력이 원고이송부(380)로 전달되게 된다.
피딩모터(300)가 회전하면서 원고이송동작이 시작되면 캐리지(111)는 원고이송동작이 끝날 때까지 움직이지 않고 경사면(371)이 제1돌출부(311)와 접촉하여 제2스윙기어(G32)가 기어 G14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왜냐하면 캐리지(111)가 참조부호 400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 탄성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해 제2스윙기어(G32)가 기어 G14으로부터 이탈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2스윙기어(G32)가 기어 G14에 연결시키기 위해 캐리지(111)가 이동한 위치는 통상적으로 기록용지(S)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왕복슬라이딩하는 폭을 넘어선 위치에 있다. 그렇지않으면 기록용지(S)에 화상을 형성하는 중에 경사면(371)이 제1돌출부(311)와 접촉하여 제3스윙아암(310)이 G14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기록용지이송부(390)와의 동력연결이 끊어지기 때문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이송장치에 의한 원고이송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딩모터(300)가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스윙아암(124)은 기어 G19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어 G18이 기어 G19에서 이탈되므로 피딩모터(300)의 회전력이 화이트로울러(121)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화이트로울러(121)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 때 ADF로울러(12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고(D)를 화이트로울러(121)로 이송하며, 이송된 원고(D)의 선단부는 회전하지않는 화이트로울러(121)에 의해 더 이상 이송되지 못하고 상기 기록지이송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고(D)의 선단부를 화이트로울러(121)에 정렬함으로써 스큐를 정정하게 된다.
다시, 피딩모터(300)가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스윙아암(124)은 기어 G19를 향하여 회전하여 기어 G18과 기어 G19가 연결되고, 원고(S)가 화이트로울러(121)에 의해 이송된다.
이 때, 일반적으로 ADF로울러(122)에는 한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원웨이클러치(one way clutch)가 구비되어 있어 기어 G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ADF로울러(122)에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ADF로울러(122)는 자유로운 상태로 화이트로울러(121)에 의해 이송되는 원고와 마찰하며 원고이송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기록용지(S) 및 원고(D)는 캐리지의 작용에 의해 하나의 피딩모터로써 선택적으로 구동가능하며, 더 나아가 피딩모터를 정역회전함으로써 스큐프리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기록용지이송부 또는 원고이송부로 선택적으로 동력을 연결하여 하나의 피딩모터에 의한 구동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둘째, 피딩모터의 회전방향과 무관하게 캐리지에 의해 동력의 절환이 이루어지므로 피딩모터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자유로이 구동할 수 있어 스큐프리(skew free)구동 즉, 스큐없이 기록용지 및 원고를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3)

  1. 기록용지를 피딩시키는 기록용지이송부와 원고를 피딩시키는 원고이송부 및 상기 기록용지에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카트리지를 탑재하고 상기 기록용지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캐리지를 포함하는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로서,
    상기 기록용지이송부와 상기 원고이송부를 구동하는 피딩모터; 및
    상기 피딩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기록용지이송부 또는 원고이송부로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절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절환수단은,
    상기 피딩모터와 동력연결된 제1스윙기어;
    상기 제1스윙기어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제3스윙아암;
    상기 제3스윙아암에 상기 제1스윙기어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제2스윙기어;
    상기 제2스윙기어가 상기 기록용지이송부와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3스윙아암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2스윙기어가 상기 원고이송부로 연결되도록 상기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3스윙아암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제3스윙아암에 상기 캐리지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돌출부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된 경사면을 갖는 캐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
KR10-2002-0028167A 2002-05-21 2002-05-21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 KR100421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167A KR100421030B1 (ko) 2002-05-21 2002-05-21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167A KR100421030B1 (ko) 2002-05-21 2002-05-21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166A true KR20030090166A (ko) 2003-11-28
KR100421030B1 KR100421030B1 (ko) 2004-03-04

Family

ID=32383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167A KR100421030B1 (ko) 2002-05-21 2002-05-21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0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811B1 (ko) * 2006-05-16 2007-03-12 조동신 기능성 유방온열 내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9970A (ja) * 1986-05-29 1987-12-04 Pentel Kk プリンタの用紙送り機構
JPH03114765A (ja) * 1989-09-28 1991-05-15 Nec Eng Ltd ドットインパクトプリンタの印字間隙自動調整機構
JPH03133856A (ja) * 1989-10-17 1991-06-07 Ricoh Co Ltd 紙送り機構
JP3028107B2 (ja) * 1991-04-11 2000-04-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リンタの連帳単票切換え装置
JP2679890B2 (ja) * 1991-04-15 1997-11-19 株式会社テック ファクシミリ装置
KR960030728U (ko) * 1995-03-17 1996-10-22 용지 픽업장치
JPH1179465A (ja) * 1997-09-02 1999-03-23 Canon Inc 給紙装置および給紙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11245475A (ja) * 1998-02-27 1999-09-14 Victor Co Of Japan Ltd 熱転写型プリンタ
JP3551116B2 (ja) * 2000-03-03 2004-08-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811B1 (ko) * 2006-05-16 2007-03-12 조동신 기능성 유방온열 내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1030B1 (ko) 200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301B2 (en) Sheet feed devices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es comprising such sheet feed devices
US20040124575A1 (e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power switching apparatus, and driving apparatus of multi-function machine using the same
US767387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feeding roller having play in rotating direction
JP2001240275A (ja) 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記録装置
KR100485789B1 (ko)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JP2004203513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記録装置
JP4396680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465242B1 (ko) 사무기기의 구동장치 및 그 방법
JP4556931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421030B1 (ko)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
JP3754036B2 (ja) 印刷機の給紙装置及び印刷機
US779848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tructure for flexibly supporting feeding roller
US7380783B2 (en) Apparatus providing reduction in media skew during a sheet picking operation
KR100492092B1 (ko)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JP4612896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記録装置
KR200217777Y1 (ko) 복합기의 원고/용지 이송장치
KR100222692B1 (ko) 잉크-젯 프린터와 셔틀 스캐너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복합장치.
KR100318740B1 (ko) 팩시밀리의 원고 정렬 장치
JP4877302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記録装置
KR100271161B1 (ko) 원고의 선단 정렬 장치 및 방법
KR200363253Y1 (ko) 복합기의 동력전달장치
US2007015424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476773B1 (ko) 복합기의 구동장치
KR20080035175A (ko) 복합기의 구동장치
JP2005119858A (ja) 記録シート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