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9822A -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9822A
KR20030089822A KR1020020027706A KR20020027706A KR20030089822A KR 20030089822 A KR20030089822 A KR 20030089822A KR 1020020027706 A KR1020020027706 A KR 1020020027706A KR 20020027706 A KR20020027706 A KR 20020027706A KR 20030089822 A KR20030089822 A KR 20030089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ibration
speaker
bobbin
vibr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은
백민선
Original Assignee
맥스타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스타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맥스타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7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9822A/ko
Publication of KR20030089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82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는 종래기술에 의한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가 공기를 진동하는 방식이고, 안마효과를 얻기 위한 진동장치의 경우에는 상,하 진동 왕복 횟수가 60회 이하였기 때문에 안마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어기(10)로부터 음향신호를 공급받는 코일(21)을 구비한 보빈(22)이 고정 설치되는 제 1지지체(32); 상기 코일(21)에 의한 왕복운동을 하는 코어(24)가 고정 설치되는 제 2지지체(34); 및 상기 제 1지지체(32)와 제 2지지체(34)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빈(22)과 코어(24)가 각각 독립적으로 유동가능하게, 즉 탄력 지지됨으로서 보빈(22)과 코어(24)의 밀고 당기는 작용에 의해 각 지지체(32,34)에 진동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양방향 진동은 물론 단방향 진동이 가능하게 되어 기존의 진동장치에 비해 빠른 진동속도(폭넓은 주파수 대역 : 가청주파수 대역 1Hz-20,000Hz)로 진동발생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진동과 음향효과가 각각의 지지체에서 발생하게 되고, 또한 코일 및 코어에 전의한 발열을 각 지지체가 바람을 발생시켜 냉각하게 됨으로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a vibration apparatus using a 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빈과 코어를 각각 탄력지지시켜 보빈과 코어가 서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함으로서, 보빈과 코어에 의해서 양방향에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거나, 일측의 지지체를 무진동부재로 구성하게 되면 단방향 진동도 가능하게 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장치는 다양한 구조가 소개되어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구조의 진동장치는 전기에너지가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되는 구조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이 감겨진 보빈(2)에 코어(3)가 삽입되어, 제어기(4)로부터 단속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코일(1)에 의해 보빈(22)의 내부에서 자장이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보빈(2)에 삽입된 코어(3)가 기계적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코어(3)가 왕복운동을 하게 되어 일정한 진동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진동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2)이 고정체에 고정되어 있고, 코어(3)가 제어기(4)에 의해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기 코어(3)에 의해서만 진동을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진동폭 조절이 곤란하였고, 진동수가 저속이며 코어(3) 및 코일의 전의에 의한 발열에 의해 진동장치 자체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진동장치는 보빈(2) 또는 코어(3)가 고정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진동이 일방향에서만 발생하였고, 열발생으로 사용시간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특히, 스피커형 진동장치의 경우에는 가청주파수 대역까지만 진동이 가능하지만 인체 또는 사물을 직접 진동시켜 두르리는 효과를 얻을 수 없어서 안마용으로 사용하기 곤란하였던 것이다.
또한, 스피커형 진동장치의 경우에는 완전 밀폐형 및 지동 구속형으로 주파수 대역이 좁은 문제점이 있었고, 음질왜곡이 발생하였으며, 완전 밀폐형으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코일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코일이 감겨진 보빈과 코어가 서로 움직이면서 양방향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일측 지지체를 무진동부재로 사용할 경우에 단방향 진동이 가능하며, 음향신호의 따라 진동의 강,약/장,단이 가변될 수 있는 스피커를 이용한 개방형 진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보빈과 코어 및 상기 보빈과 코어가 탄력 지지되는 각 지지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구조의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진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장치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진동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지지체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
도 5a,5b는 도 2에 도시된 지지체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 6a,6b,6c는 도 2에 도시된 결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 7a,7b는 도 2에 도시된 간격유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의 지지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기 21 : 코일
22 : 보빈 24 : 코어
32,34 : 제 1,2지지체 40 : 간격유지부재
42 : 나사공 44 : 나사돌기
50 : 결합부 52 : 볼트
54 : 체결너트 56 : 장볼트
58 : 결합너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코일이 감겨진 보빈과 이 보빈에 삽입되는 코어가 각각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각각의 지지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전원 인가시 보빈과 코어가 동시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된, 즉 보빈과 코어가 개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양방향에서 진동이 발생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기로부터 전긱적신호(아날로그 음향신호, 디지털 음향신호, 디지털 펄스신호)를 공급받는 코일을 구비한 보빈의 일측이 고정 설치되는 제 1지지체; 상기 코일의 자장에 의한 기계적 왕복운동을 하는 코어의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제 2지지체; 및 상기 보빈에 코어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 1지지체와 제 2지지체를 마주보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2지지체는 얇은 금속판 또는 고무재, 합성수지재로 된 진동판으로 구성하여 양방향 진동이 가능하게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측을 무진동부재로 구성하여 단방향 진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결합부는 접착제, 초음파 용접, 볼트/너트, 리벳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재로 된 간격유지부재와 결합나사 또는 코일 스프링, 고무재, 우레탄 및 장볼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는 가장자리측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가 절개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제 1탄성 지지단, 상기 제 1탄성 지지단을 제외한 중앙부가 가장자리보다 돌출되도록 일측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제 1지지부를 구비한 제 1지지체; 가장자리측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가 절개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제 2탄성 지지단, 상기 제 2탄성 지지단을 제외한 중앙부가 가장자리보다 돌출되도록 일측으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내측면에 코어가 고정 설치되는 제 1지지부를 구비한 제 2지지체; 제어기로부터 음향신호를 공급받는 코일을 구비한 보빈의 양측면에 상기 제 1탄성 지지단 및 제 2탄성 지지단의 외측면을 각각 고정시켜 상기 제 1지지체와 제 2지지체를 마주보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보빈과 코어가 각각 지지체에 탄력 지지되도록 설치됨으로, 아날로그에 음향신호 대역까지 또는 디지털로 이루어진 펄스신호전달시 코어와 보빈이 동시에 각각 유동되어 양방향 진동을 발생시키게 됨과 동시에 음향 및 펄스신호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고, 음향신호 및 펄스신호의 크기에 따라 진동의 강,약/장,단이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코어와 코일 및 보빈이 개방된 상태로 설치됨으로 코일에 발생되는 열의 방출이 용이하여 지속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어느 한쪽의 지지체를 고정하게 되면 고정된 지지체에는 진동효과가 매우 커지고, 고정되지 않은 측의 지지체로부터는 음향효과가 커지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는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제 1,2지지체(32,34)와, 상기 제 1,2지지체(32,34)를 이격시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50)로 구성된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2지지체(32,34)는 대략 0.1-2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탄성이 양호한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 1,2지지체(32,34)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독립된 다수개의 탄성발생용 장공(33,35)이 각각 천공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탄성발생용 장공(33,35)은 서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조합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발생용 장공(33,35)은 상기 보빈(22)과 코어(24)가 탄력 지지되어 원활하게 왕복운동을 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 1,2지지체(32,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 모양을 갖는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한 제 1,2지지체(32,34)는 이러한 형상 모양에 구애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 1,2지지체(32,34)에 보빈(22) 및 코어(24)가 설치되기 위한 나사 관통공이 위한 형성됨은 물론이며, 상기 보빈(22) 및 코어(24)는 상기 제 1,2지지체(32,34)의 중앙에 각각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상기 보빈(22)과 코어(24)는 상기 제 1,2지지체(32,34)에 접착제, 나사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 1,2지지체(32,34)를 진동이 가능한 금속판 뿐만 아니라,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이 가능한 합성수지재, 고무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2지지체(32,34)가 고무판으로 구성됨으로 인하여 진동의 발생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무판에 탄성발생용 장공을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지지체(32,3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진동이 되지 않는 무진동부재로 대체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경우에는 진동이 진동이 가능한 재질된 측의 지지체가 진동을 하게 되어 일방향 진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50)는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 1지지체(32)와 제 2지지체(34)를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에 나사공(42)이 형성된 원통형의 간격유지부재(40)와, 상기 제 1,2지지체(32,34)를 관통하여 상기 각 나사공(42)에 체결되는 결합나사(52)로 구성된 결합부(50)가 제공된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나사돌기(44)가 각각 형성된 간격유지부재(40)와, 상기 제 1,2지지체(32,34)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상기 각 나사돌기(44)에 체결되는 결합너트(54)로 구성된 결합부(50)가 제공된다.
한편,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이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간격유지부재(40)와, 상기 간격유지부재(40)를 관통하는 장볼트(56) 및 상기 제 1,2지지체(32,3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장볼트(56)의 양단에 체결되는 체결너트(58)로 구성된 결합부(50)가 제공된다.
이때, 탄성을 갖는 간격유지부재(40)는 코일 스프링, 고무재, 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간격유지부재(40)로 이루어진 결합부(50)는 제 1지지체(32)와 제 2지지체(34)를 이격시킨 상태로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간격유지부재(40)를 제 1지지체(32)와 제 2지지체(34) 사이에 위치시키되, 상기 나사공(42)이 나사 관통공에 일치되도록 하거나 나사돌기(44) 또는 장볼트(56)의 양단이 나사 관통공으로 관통되도록 한 후에, 상기 결합나사(52) 또는 결합너트(54),체결너트(58) 등으로 체결하게 되면 상기 제 1지지체(32) 및 제 2지지체(34)는 상기 간격유지부재(40)의 길이만큼의 간격을 유지하여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2지지체(32,34)의 마주보는 각 내측면에 상기 보빈(22)과 코어(24)가 각각 나사 또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 설치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코일 스프링 또는 고무재, 우레탄 등은 상기 제 1,2지지체(32,34)가 보빈(22)과 코어(24)에 의해 진동될 때, 그 진동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2지지체(32,34)의 일부분, 즉 중앙부분만 진동되지 않고 제 1,2지지체(32,34) 전체가 모두 진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결합부(50)의 간격유지부재(40)는 그 형상 모양이 도면에 도시된 형상 모양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 기둥, 원통형, 다각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결합부(50)는 이러한 구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용접이나 리벳과 같이 다양한 구조의 결합부(50)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간격유지부재(40)와 제 1,2지지체(32,34)의 재질이나 구조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발생용 장공(33,35)이 각각 형성된 제 1,2지지체(32,34)의 내측면에 보빈(22)과 코어(24)가 각각 볼트 너트 또는 나사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 1,2지지체(32,34)의 가장자리 사이에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나사공(42)이 각각 형성된 간격유지부재(40)가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50)의 각 체결너트(54)가 상기 제 1,2지지체(32,34)를 관통하여 상기 각 나사공(42)에 체결되어 제 1,2지지체(32,34)가 상기 간격유지부재(40)를 사이에 두고 결합된 상태에서 제어기(10)로부터 전기적신호, 예를들면 아날로그, 디지털 음향신호, 디지털 펄스신호 등, 전기적신호가 상기 코일(21)에 공급되면, 상기 코어(24)는 상기 코일(21)에 형성되는 자장에 의해 상기 보빈(22)에 내부로 삽입되거나 빠져나오는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코어(24)는 보빈(22)에 형성되는 자장에 의해 인력과 척력에 의해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데, 상기 보빈(22)도 탄성을 갖는 제 1지지체(32)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코어(24)와 보빈(22)은 서로 밀어내거나 서로 당기는 작동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 1,2지지체(32,34)는 동시에 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24)와 보빈(22)이 탄성발생용 장공(33,35)에 의해 탄성을 갖는 제 1,2지지체(32,34)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밀고 당기는 작동을 하게 됨으로, 진동은 제 1,2지지체(32,34)에서 동시에 발생하게 되어 양방향으로의 진동발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2지지체(32,34)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판으로 형성된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양방향 진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2지지체(32,34)가 진동을 하게 되면, 그 작용에 의해 공기가 유동되어 바람을 일으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코어(24)와 코일(21)의 전의에 의한 열이 냉각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빈(22)의 코일(21)은 제어기(10)로부터는 전달되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이에 해당되는 자장을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음향을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정하지 않은 음향신호가 입력되면 음향이 발생됨은 물론, 진동이 음향의 강약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의 지지체 예를들면, 제 1지지체(32)가 무진동부재(진동되지 않는 재질 예를들면, 두께가 두꺼운 고무, 목재, 금속, 합성수지재 등)로 구성되면, 상기 제 1지지체(32)에서는 진동이 발생하지 않고, 제 2지지체(34)에서만 진동이 발생하게 됨과 동시에 음향효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일측의 지지체를 무진동부재로 구성하게 되면 단방향 진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이때의 진동부재로 된 지지체의 진동을 한층 극대화된다.
다시 설명하면, 일측의 지지체가 진동을 하지 않게 되면 마주보는 측의 지지체가 최대치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어 진동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지지체(32) 또는 제 2지지체(34) 중에서 어느 하나를 고정시키게 되면, 고정된 지지체의 진동은 증가되고, 고정되지 않은 부분, 예를들어 코어(24)가 설치된 지지체(34)가 고정되지 않으면 상기 코어(24)는 최대치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어 음향에 의한 진동은 물론 음향효과가 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음악을 청취할 수 있음은 물론, 진동에 의한 안마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a,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50)를 구성하는 간격유지부재(40)가 코일 스프링 또는 고무재로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24)와 보빈(22)이 작동하게 되면 상기 제 1,2지지체(32,34)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간격유지부재(40)에 전달된 진동은 감소되지 않고 자체 탄성을 갖는 상기 코일 스프링 또는 고무재에 전달되어 증폭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고, 이와 같이 증폭된 진동은 제 1,2지지체(32,34)의 전체에 전달되는 것이다.
즉, 제 1,2지지체(32,34)의 중앙부에서 발생한 진동이 그 전체로 전달되어 진동의 전달(타물체로의 전달)을 극대화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의한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는 제 1지지체(32)와 제 2지지체(34)가 서로 이격되지 않고 밀착되게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제 1,2지지체(32,34)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보빈(22)과 코어(24)를 제 1,2지지체(32,34)의 각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한다.
그러나 이경우에는 진동효과 및 음향효과가 저하되기 때문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지지체(32,34)에 오목한 제 1,2수납부(32A,34A)를 형성하여 상기 제 1,2수납부(32A,34A)에 보빈(22)과 코어(24)를 나사 또는 접착체 등을 이용하여 각각 설치한다.
이러한 제 1,2수납부(32A,34A)는 상기 제 1,2지지체(32,34)의 중앙부를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굴곡시켜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 1지지체(32)의 제 1수납부(32A)에는 보빈(22)을 설치하고, 제2지지체(34)의 제 2수납부(34A)에 코어(24)를 상기 보빈(22)과 마주보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 1지지체(32) 및 제 2지지체(34)의 가장자리를 밀착시킨 후 리벳, 초음파 용접, 볼트와 너트 등으로 결합시키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가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제 1,2지지체(32,34) 사이에 공간이 불필요하게 되고 간격유지부재(40)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빈(22)과 코어(24)가 제 1,2수납부(32A,34A)의 내부에 설치됨으로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고, 각 지지체(32,34)의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의 작동은 전술한 제 1실시예의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의 작동과 동일하다.
다만, 상기 간격유지부재(40)가 삭제되고, 상기 제 1,2지지체(32,34)가 밀착되어 결합된 구조이기 때문에 간격유지부재(40)에 의해 진동 극대화 현상은 발생되지 않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수납부(32A,34A)에 탄성발생용 장공(33,3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빈(22)과 코어(24)는 탄력 지지되고, 따라서 보빈(22)과 코어(24)의 왕복작동시 상기 보빈(22)과 코어(24)에 의해 양방향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에 의한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는 제 1지지체(32) 및 제 2지지체(34)에 방사형으로 배열되고 탄성을 갖도록 가장자리측을 제외한 나머지가 절개된 구조의 제 1,2탄성 지지단(32B,34B)가 다수개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제 1,2탄성 지지단(32B,34B)이 그 일부분만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나머지는 절개되어 중앙부를 향한 부위는 자유단으로 남게 되어 탄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제 1지지체(32) 및 제 2지지체(34)는 서로 동일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제 1,2탄성 지지단(32B,34B)를 제외한 나머지 중앙부가 각각 일측으로 돌출되게 굴곡되어 제 1,2지지부(32C,34C)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 1,2지지체(32,34)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2지지부(32C,34C)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상기 제 1,2탄성 지지단(32B,34B)가 마주보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시킨 후에, 상기 제 2지지체(34)의 제 2지지부(34C) 내측면에 코어(24)를 나사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코어(24)가 제 2지지부(34C)에 고정 설치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22)의 일측면에 제 1탄성 지지단(32B)를 결합부(50)로 고정시키고, 상기 보빈(22)의 타측면에는 제 2탄성 지지단(34B)를 결합부(50)로 고정시킨다.
즉, 상기 제 1,2탄성 지지단(32B,34B)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보빈(22)의 양측면에 나사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예를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22)의 양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22A)을 형성하고, 상기 제 1,2탄성 지지단(32B,34B)에는 나사 관통공을 형성하여 체결나사(52A)을 나사관통공으로 관통시킨 후에 상기 체결공(22A)에 체결하여 상기 제 1,2탄성 지지단(32B,34B)를 보빈(22)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2탄성 지지단(32B,34B)가 보빈(22)의 양측면에 설치되면 상기 보빈(22)과 코어(24)는 마주보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보빈(22)의 양측면에 제 1,2탄성 지지단(32B,34B)를 고정시키는 작업으로 제 1,2지지체(32,34)의 조립이 완료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보빈(22)은 가장자리측을 제외한 나머지가 절개되어 형성된 각 탄성 지지단(32B,34B)에 설치되기 때문에 탄력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빈(22)의 코일(21)에 제어기(10)로부터 전기적신호 예를들면, 음향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코일(21)에 자장이 형성되어 상기 보빈(22)과 코어(24)는 기계적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보빈(22)이 제 1,2탄성 지지단(32B,34B)에 탄력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음향신호가 전달되면 보빈(22)은 코어(24)와의 인력과 척력에 의해 자유스럽게 움직이면서 진동을 발생시키게 되고, 발생된 진동은 제 1,2탄성 지지단(32B,34B)를 통하여 각 지지체(32,34)에 전달되는 것이다.
또한, 진동의 발생과 함께 음향도 발생된다. 즉, 음향은 보빈(22)과 코어(24)의 왕복운동에 의한 각 지지체(32,34)의 진동에 의해 발생됨으로 음향과 진동을 동시에 발생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2탄성 지지단(32B,34B)의 탄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탄성 지지단(32B)과 제 2탄성 지지단(34B)의 절개부위 끝부분과 연통되는 탄성발생용 장공(33,35)을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체(32) 및 제 2지지체(34)의 가장자리에 각각 천공한다.
이와 같이 제 1,2탄성 지지단(32B,34B)의 주변에 탄성발생용 장공(33,35)를 각각 천공함으로서 제 1,2탄성 지지단(32B,34B)에 결합된 보빈(22)이 더욱 자유스럽게 유동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 제 1,2지지체(32,34)의 외측면, 즉 상기 제 1지지부(32C)와 제 2지지부(34C)의 외측면에는 보강용 엠보싱(72A,72B)이 돌출 형성된 제 1,2커버부재(70A,70B)가 나사 또는 리벳,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2커버부재(70A,70B)는 상기 제 1,2지지체(32,34)를 보호하면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 1,2,3실시예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마 베개 또는 쿠션(90)과 같은 물체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가 내장된 쿠션(90)을 안거나 사용자의 등에 받칠 경우에 음향이 발생되고 이러한 음향의 발생에 의해 진동이 양방향으로 발생되어 기존의 일방향 진동장치에 비해 진동에 의한 안마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음은 물론, 음향이 발생되어 안마와 동시에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진동이 전기적신호의 강약에 의해 가변됨으로 획일적인 강도의 상,하진동만을 발생시키는 일반적인 진동장치와는 구별된다.
이러한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쿠션(90)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의자, 침대, 발 안마기 등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한 양방양향 진동장치는 보빈과 코어가 각각 독립적으로 유동가능하게, 즉 탄력 지지됨으로서 보빈과 코어의 밀고 당기는 작용에 의해 보빈과 코어가 설치된 각각의 지지체에 진동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양방향 진동이 가능하게 되어 기존의 일방향 진동장치에 비해 진동발생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빠른 진동속도(폭넓은 주파수 대역 : 가청주파수 대역 1Hz-20,000Hz)로 진동발생)가 제공되고, 아날로그에 음향신호 대역까지 또는 디지털로 이루어진 펄스신호 전달시 음향과 진동의 발생은 물론, 물질적인 충격과 음향신호 및 펄스신호의 크기에 따라 진동의 강,약/장,단이 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보빈의 양측에 각각의 지지체를 직접 결합시키게 됨으로 조립공정이 단순화되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2)

  1. 제어기(10)로부터 전기적신호를 공급받는 코일(21)을 구비한 보빈(22)의 일측이 고정 설치되는 제 1지지체(32);
    상기 코일(21)의 자장에 의한 기계적 왕복운동을 하는 코어(24)의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제 2지지체(34); 및
    상기 보빈(22)에 코어(24)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 1지지체(32)와 제 2지지체(34)를 마주보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체(32)와 제 2지지체(34)에는 상기 코어(24)와 보빈(22)이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다수의 탄성발생용 장공(33,35)이 각각 독립적으로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체(32)에는 중앙부가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되어 제 1수납부(32A)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지지체(34)에는 상기 제 1수납부(32A)와 대칭형상의 제 2수납부(34A)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체(32)와 제 2지지체(34)는 진동이 가능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체(32)와 제 2지지체(34)는 진동이 가능한 고무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체(32)와 제 2지지체(34)는 진동이 가능한 합성수지재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제 1지지체(32)와 제 2지지체(34) 중에서 어느 하나는 무진동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50)는 초음파 용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50)는 리벳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50)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5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에 나사공(42)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 1지지체(32)와 제 2지지체(34)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간격유지부재(40); 및
    상기 제 1지지체(32)와 제 2지지체(34)를 관통하여 상기 각 나사공(42)에 체결되는 결합나사(5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5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에 나사돌기(44)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 1지지체(32)와 제 2지지체(34)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간격유지부재(40); 및
    상기 제 1지지체(32)와 제 2지지체(34)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각 나사돌기(44)에 체결되는 결합너트(54);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50)는 상기 제 1지지체(32)와 제 2지지체(34) 사이에 설치되고 자체 탄성을 갖는 다수개의 간격유지부재(40);
    상기 제 1지지체(32)와 상기 간격유지부재(40)와 상기 제 2지지체(34)를 차례로 관통하는 장볼트(56); 및
    상기 제 1지지체(32)와 제 2지지체(34)의 외측으로 돌출된 장볼트(56)의 양단에 체결되는 체결너트(58);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40)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40)는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40)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17. 가장자리측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가 절개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제 1탄성 지지단(32B), 상기 제 1탄성 지지단(32B)을 제외한 중앙부가 가장자리보다 돌출되도록 일측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제 1지지부(32C)를 구비한 제 1지지체(32);
    가장자리측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가 절개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제 2탄성 지지단(34B), 상기 제 2탄성 지지단(34B)을 제외한 중앙부가 가장자리보다 돌출되도록 일측으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내측면에 코어(24)가 고정 설치되는 제1지지부(34C)를 구비한 제 2지지체(34);
    제어기(10)로부터 전기적신호를 공급받는 코일(21)을 구비한 보빈(22)의 양측면에 상기 제 1탄성 지지단(32B) 및 제 2탄성 지지단(34B)의 외측면을 각각 고정시켜 상기 제 1지지체(32)와 제 2지지체(34)를 마주보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50)는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50)는 상기 제 1탄성 지지단(32B) 및 제 2탄성 지지단(34B)를 관통하여 상기 보빈(22)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체결공(22A)에 체결되는 체결나사(52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체(32) 및 제 2지지체(34)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 1탄성 지지단(32B)과 제 2탄성 지지단(34B)의 절개부위와 연통되는 탄성발생용 장공(33,35)이 각각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부(32C)와 제 2지지부(34C)의 외측면에는제 1,2커버부재(70A,70B)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커버부재(70A,70B)에는 보강용 엠보싱(72A,72B)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KR1020020027706A 2002-05-20 2002-05-20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KR20030089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706A KR20030089822A (ko) 2002-05-20 2002-05-20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706A KR20030089822A (ko) 2002-05-20 2002-05-20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822A true KR20030089822A (ko) 2003-11-28

Family

ID=32383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706A KR20030089822A (ko) 2002-05-20 2002-05-20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98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765B1 (ko) * 2002-09-13 2004-12-14 한광전자의료기 주식회사 의료용 안마매트
KR20220000051U (ko) * 2020-06-30 2022-01-06 이재언 고출력 진동발생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959A (ko) * 1997-05-20 1998-12-05 양승택 골도 및 기도 청각 겸용의 골도 진동자
KR20010007873A (ko) * 2000-10-13 2001-02-05 박선영 건강용 전기 안마매트
KR20010100036A (ko) * 2000-09-20 2001-11-14 나승문 솔레노이드형 진동체를 사용한 안마 매트
KR20020045666A (ko) * 2000-12-09 2002-06-20 이형도 진동 스피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959A (ko) * 1997-05-20 1998-12-05 양승택 골도 및 기도 청각 겸용의 골도 진동자
KR20010100036A (ko) * 2000-09-20 2001-11-14 나승문 솔레노이드형 진동체를 사용한 안마 매트
KR20010007873A (ko) * 2000-10-13 2001-02-05 박선영 건강용 전기 안마매트
KR20020045666A (ko) * 2000-12-09 2002-06-20 이형도 진동 스피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765B1 (ko) * 2002-09-13 2004-12-14 한광전자의료기 주식회사 의료용 안마매트
KR20220000051U (ko) * 2020-06-30 2022-01-06 이재언 고출력 진동발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2092A (en) Selective call receiver having audible and tactile alerts
US6738489B2 (en) Vibration speaker
KR20050030183A (ko) 음향 및 진동발생용 마이크로스피커
KR102010926B1 (ko) 패널 가진형 스피커
WO2018012181A1 (ja) スピーカー装置
KR101607526B1 (ko) 음파 엑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안마기
CN109195718B (zh) 振动致动器
KR20170017471A (ko) 선형음향 변환장치
US11984018B2 (en) Sensory vibration generation apparatus and sensory vibration producing apparatus
KR20030089822A (ko) 스피커를 이용한 진동장치
JP4237424B2 (ja) 電気音響変換器
CN210670544U (zh) 屏幕振动发声装置和电子设备
JP3576524B2 (ja) 振動発生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機器
KR102127526B1 (ko) 선형 진동모터
KR100385591B1 (ko) 진동 스피커
KR100519823B1 (ko) 다기능 엑츄에이터
JP3143314U (ja) 調圧型カプセル構造体
KR20130068262A (ko) 진동발생장치
JP2000166210A (ja) 発音振動体
JPH0310990Y2 (ko)
WO1992019018A1 (en) Piezo-electric resonant vibrator for a selective call receiver
KR200388877Y1 (ko) 개량된 음향-진동 변환장치
KR101622578B1 (ko) 감각신호출력장치
JPH11207027A (ja) ゲーム機
KR200388875Y1 (ko) 개량된 음향-진동 변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