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262A - 진동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진동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262A
KR20130068262A KR1020110135251A KR20110135251A KR20130068262A KR 20130068262 A KR20130068262 A KR 20130068262A KR 1020110135251 A KR1020110135251 A KR 1020110135251A KR 20110135251 A KR20110135251 A KR 20110135251A KR 20130068262 A KR20130068262 A KR 20130068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vibration
vibration generating
elastic memb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택
강대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5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8262A/ko
Priority to US13/419,015 priority patent/US20130154403A1/en
Priority to CN201210065712.2A priority patent/CN103157591B/zh
Publication of KR20130068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 및 상기 진동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공진되는 공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발생장치{Vibrator}
본 발명은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 및 테블릿 PC 등에 사용되고 있는 진동발생장치는 장수명과 빠른 응답성을 갖는 판스프링형 리니어 액츄에이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경우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진동량을 증가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다.
그런데, 핸드폰 및 테블릿 PC에서는 다양한 진동모드를 활용하여 촉각 피드백(Haptic feedback) 기능을 차별화하는 경향이 보다 더 뚜렷해지고 있다.
이러한, 촉각 피드백 기능을 충실히 실현하기 위해서는 진동발생장치의 진동량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핸드폰 및 테블릿 PC에서는 진동량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전력 소모량을 저감시키는 기술 개발이 함께 필요한 실정이다.
하기의 특허문헌 1,2에는 판스프링을 구비하는 선형진동자가 개시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1-0125988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1-0125987
동일한 소모전력으로 진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 및 상기 진동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공진되는 공진부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진동발생부가 설치되는 제1 공간부와, 상기 제1 공간부에 연결되며 상기 공진부가 설치되는 제2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제1 공간부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되는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가장자리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관통홀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탄성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탄성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설치부재 및 상기 제1 설치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중량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코일에 연결되는 회로기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신장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관통홀을 형성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진부는 상기 제2 공간부에 배치되도록 가장자리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설치부재 및 상기 제2 설치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중량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제1 공간부에 배치되도록 가장자리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설치부재와, 상기 제1 설치부재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되는 마그넷과, 상기 제1 설치부재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중량부재 및 상기 마그넷에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진부는 상기 제2 공간부에 배치되도록 가장자리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설치부재 및 상기 제2 설치부재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중량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마그넷의 상면에 설치되는 요크를 더 구비할 수 잇다.
상기 코일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완충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공진부를 통해 진동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증폭됨으로써 동일한 소모전력으로 진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한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는 일예로서, 케이스(120), 진동발생부(140) 및 공진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20)는 진동발생부(140)와 공진부(160)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즉, 케이스(120)는 진동발생부(140)가 설치되는 제1 공간부(S1)와, 제1 공간부(S1)에 연결되며 공진부(160)가 설치되는 제2 공간부(S2)를 형성한다.
그리고, 케이스(120)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대략 "8"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케이스(120)는 오목한 그릇 형상을 가지는 하부 케이스(122)와, 하부 케이스(122)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124)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22)에는 진동발생부(140)를 구성하는 후술할 마그넷(142)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홈(122a)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22)에는 진동발생부(140)를 구성하는 후술할 회로기판(152)가 인출되기 위한 인출홀(122b)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24)에도 설치홈(122a)의 상부에 배치되는 장착홈(124a)이 구비될 수 있다.
진동발생부(140)는 케이스(120) 내부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킨다. 즉, 진동발생부(140)는 제1 공간부(S1)에 설치되며, 진동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진동발생부(140)는 일예로서, 마그넷(142), 제1 탄성부재(144), 코일(146), 제1 설치부재(148), 제1 중량부재(150) 및 회로기판(1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그넷(142)은 제1 공간부(S1)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마그넷(142)은 하부 케이스(122)에 형성되는 설치홈(122a)에 하단부가 삽입되며, 상부 케이스(124)에 형성되는 장착홈(124a)에 상단부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넷(142)은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공간부(S1)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144)는 마그넷(142)이 관통되는 관통홀(144a)이 형성되며 가장자리가 케이스(1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탄성부재(144)는 제1 설치부재(148)와 제1 중량부재(150)가 상,하로 진동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1 탄성부재(144)는 케이스(120)에 고정 설치되는 장착부(144b)와, 장착부(144b)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신축되는 탄성부(144c) 및 탄성부(144c)로부터 연장되며 관통홀(144a)을 형성하는 지지부(144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부(144b)는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지며, 하부 케이스(122)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장착부(144b)는 접착제에 의해 하부 케이스(122)에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144c)는 장착부(144b)와 지지부(144d)를 연결하며, 진동 발생시 신축된다.
지지부(144d)는 중앙에 마그넷(142)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144a)이 형성되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44d)의 상면에는 코일(146)과 제1 설치부재(148)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코일(146)은 관통홀(144a)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제1 탄성부재(144)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코일(146)은 지지부(144d)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마그넷(142)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즉, 코일(146)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코일(146)의 내부에 마그넷(142)이 삽입 배치된다.
한편, 코일(146)에 전원이 공급되면, 코일(146)과 마그넷(142)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코일(146)이 상,하부로 진동된다. 즉, 코일(146)에 공진 주파수의 교번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146)과 마그넷(142)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코일(146)은 상,하 운동하며 진동을 발생시킨다.
제1 설치부재(148)은 코일(146)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도록 제1 탄성부재(144)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설치부재(146)는 코일(146)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1 탄성부재(144)의 지지부(144d)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설치부재(148)는 제1 중량부재(15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횡단면이 'ㄴ'자 형상을 가지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중량부재(150)는 제1 설치부재(148)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중량부재(150)는 코일(146)과 마그넷(142)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구동력이 발생되는 경우 진동이 지속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진동 발생에 대한 작동을 살펴보기로 한다.
즉, 코일(146)에 공진 주파수의 교번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146)과 마그넷(142)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코일(146)이 진동될 수 있는 구동력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제1 탄성부재(144)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코일(146), 제1 설치부재(148) 및 제1 중량부재(150)가 상,하로 진동될 수 있다.
회로기판(154)은 케이스(120)의 외부로 인출되며, 코일(146)에 연결되어 코일(146)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회로기판(154)는 플렉시블 회로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단이 코일(146)에 연결되며, 타단은 하부 케이스(122)의 인출홈(122b)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회로기판(154)은 제1 중량부재(150)에 고정 설치되어 코일(146)에 연결될 수 있다.
공진부(160)는 진동발생부(14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진동될 수 있다.
한편, 공진부(160)는 제2 탄성부재(162)와, 제2 설치부재(164) 및 제2 중량부재(166)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162)는 가장자리가 케이스(1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탄성부재(162)는 제2 공간부(S2)에 배치되도록 하부 케이스(122)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탄성부재(162)는 제2 설치부재(164)와 제2 중량부재(166)의 진동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2 탄성부재(162)는 케이스(120)에 고정 설치되는 장착부(162a)와, 장착부(162a)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신축되는 탄성부(162b) 및 탄성부(162b)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162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부(162a)는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지며, 하부 케이스(122)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장착부(162a)는 접착제에 의해 하부 케이스(122)에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162b)는 장착부(162a)와 지지부(162c)를 연결하며, 진동 발생시 신축된다.
지지부(162c)는 탄성부(162b)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면에 제2 설치부재(164)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62c)가 고리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부(162c)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제2 설치부재(164)는 제2 탄성부재(162)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설치부재(164)는 제2 중량부재(166)가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종단면이 'ㄴ'자 형상을 가지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중량부재(166)는 제2 설치부재(164)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공진부(160)는 진동발생부(140)의 공진주파수와 동일한 공진주파수로 진동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제2 중량부재(166)와 제2 탄성부재(162)는 진동발생부(140)의 공진부파수와 동일한 공진주파수로 진동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진부(160)는 제2 탄성부재(162), 제2 설치부재(164) 및 제2 중량부재(166)만으로 구성되어 진동발생부(140)로부터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외부 전원의 공급 없이 공진부(160)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진동발생부(14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공진부(160)가 진동되어 진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진동발생부(14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공진부(160)가 공진되도록 함으로써 진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진동발생부(140)와 공진부(160)가 별도의 진동전달부재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진동발생부(140)로부터 발생된 진동에 의해 공진부(160)가 공진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소모전력으로 진동량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200)는 일예로서, 케이스(220), 진동발생부(240) 및 공진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220)는 진동발생부(240)와 공진부(260)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즉, 케이스(220)는 진동발생부(240)가 설치되는 제1 공간부(S1)와, 제1 공간부(S1)에 연결되며 공진부(260)가 설치되는 제2 공간부(S2)를 형성한다.
그리고, 케이스(220)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대략 "8"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케이스(220)는 오목한 그릇 형상을 가지는 하부 케이스(222)와, 하부 케이스(222)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224)로 구성될 수 있다.
진동발생부(240)는 케이스(220) 내부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킨다. 또한, 진동발생부(240)는 제1 공간부(S1)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진동발생부(240)는 제1 탄성부재(242), 제1 설치부재(244), 마그넷(246), 제1 중량부재(248) 및 코일(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242)는 제1 공간부(S1)에 배치되도록 가장자리가 케이스(220)에 고정 설치된다. 즉, 제1 탄성부재(242)는 하부 케이스(222)에 가장자리가 고정 설치되어 제1 공간부(S1)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탄성부재(242)는 하부 케이스(222)에 고정 설치되는 장착부(242a)와, 장착부(242a)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신축되는 탄성부(242b) 및 탄성부(242b)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242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부(242a)는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지며, 하부 케이스(222)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장착부(242a)는 접착제에 의해 하부 케이스(222)에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242b)는 장착부(242a)와 지지부(242c)를 연결하며, 진동발생시 신축된다.
지지부(242c)는 탄성부(242b)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면에는 제1 설치부재(244)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242c)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설치부재(244)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242)의 지지부(242c) 상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설치부재(244)는 원형의 그릇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마그넷(246)은 제1 설치부재(244)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된다. 즉, 마그넷(246)은 그릇 형상을 가진 제1 설치부재(244)의 중앙부에 삽입 배치된다.
그리고, 마그넷(246)은 횡단면이 원형을 가질 수 있다.
제1 중량부재(248)는 제1 설치부재(244)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제1 중량부재(248)는 제1 설치부재(244)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코일(250)은 마그넷(246)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250)은 케이스(220)에 설치되는 회로기판(252)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코일(250)은 상부 케이스(224)의 저면에 설치되는 회로기판(252)에 고정 장착되어 마그넷(246)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250)은 탄성부재(242)의 신축시 마그넷(246)이 내부로 입출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코일(250)에 전원이 공급되면, 코일(250)과 마그넷(246)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마그넷(246)에 구동력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마그넷(246)이 설치되는 제1 설치부재(244)와, 제1 설치부재(244)에 설치되는 제1 중량부재(248)가 상,하로 진동될 수 있다.
한편, 진동발생부(240)는 마그넷(246)의 상면에 설치되는 요크(254)가 구비될 수 있다. 요크(254)는 마그넷(246)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이 코일(250) 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하여, 진동발생부(240)는 코일(25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케이스(220)에 설치되는 완충부재(25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완충부재(256)는 마그넷(246)의 상,하 진동시 마그넷(246)과 상부 케이스(224)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공진부(260)는 진동발생부(24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진동될 수 있다.
한편, 공진부(260)는 제2 탄성부재(262), 제2 설치부재(264) 및 제2 중량부재(26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262)는 가장자리가 케이스(2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탄성부재(262)는 제2 공간부(S2)에 배치되도록 하부 케이스(222)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탄성부재(262)는 제2 설치부재(264)와 제2 중량부재(266)의 진동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2 탄성부재(262)도 하부 케이스(222)에 고정 설치되는 장착부(262a)와, 장착부(262a)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신축되는 탄성부(262b) 및 탄성부(262b)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262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부(262a)는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지며, 하부 케이스(222)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장착부(262a)는 접착제에 의해 하부 케이스(222)에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262b)는 장착부(262a)와 지지부(262c)를 연결하며, 진동발생시 신축된다.
지지부(262c)는 탄성부(262b)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면에는 제2 설치부재(264)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262c)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설치부재(264)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262)의 지지부(262c) 상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설치부재(264)는 원형의 그릇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중량부재(266)는 제2 설치부재(264)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제1 중량부재(266)는 제2 설치부재(264)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공진부(260)는 진동발생부(240)와 동일한 공진주파수로 진동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제2 중량부재(266)와 제2 탄성부재(262)는 진동발생부(240)의 공진주파수와 동일한 공진주파수로 진동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진부(260)는 제2 탄성부재(262), 제2 설치부재(264) 및 제2 중량부재(266)만으로 구성되어 진동발생부(240)로부터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외부 전원의 공급 없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진동발생부(24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공진부(260)가 진동되어 진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진동발생부(24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공진부(260)가 공진되도록 함으로써 진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진동발생부(240)와 공진부(260)가 별도의 진동전달부재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진동발생부(240)로부터 발생된 진동에 의해 공진부(260)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소모전력으로 진동량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100, 200 : 진동발생장치
120, 220 : 케이스
122, 222 : 하부 케이스
124, 224 : 상부 케이스
140, 240 : 진동발생부
160, 260 : 진동부

Claims (10)

  1.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 및
    상기 진동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공진되는 공진부;
    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진동발생부가 설치되는 제1 공간부와, 상기 제1 공간부에 연결되며 상기 공진부가 설치되는 제2 공간부를 형성하는 진동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제1 공간부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되는 마그넷;
    상기 마그넷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가장자리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관통홀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탄성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코일;
    상기 코일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탄성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설치부재; 및
    상기 제1 설치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중량부재;
    를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코일에 연결되는 회로기판을 더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신장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관통홀을 형성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진동발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상기 제2 공간부에 배치되도록 가장자리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제2 탄성부재;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설치부재; 및
    상기 제2 설치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중량부재;
    를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제1 공간부에 배치되도록 가장자리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설치부재;
    상기 제1 설치부재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되는 마그넷;
    상기 제1 설치부재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중량부재; 및
    상기 마그넷에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코일;
    을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상기 제2 공간부에 배치되도록 가장자리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제2 탄성부재;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설치부재; 및
    상기 제2 설치부재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중량부재;
    를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마그넷의 상면에 설치되는 요크를 더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코일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완충부재를 더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KR1020110135251A 2011-12-15 2011-12-15 진동발생장치 KR20130068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251A KR20130068262A (ko) 2011-12-15 2011-12-15 진동발생장치
US13/419,015 US20130154403A1 (en) 2011-12-15 2012-03-13 Vibrator
CN201210065712.2A CN103157591B (zh) 2011-12-15 2012-03-13 振动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251A KR20130068262A (ko) 2011-12-15 2011-12-15 진동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262A true KR20130068262A (ko) 2013-06-26

Family

ID=4858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251A KR20130068262A (ko) 2011-12-15 2011-12-15 진동발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154403A1 (ko)
KR (1) KR20130068262A (ko)
CN (1) CN1031575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377621U (zh) * 2015-11-03 2016-07-06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振动电机
CN114337179A (zh) * 2018-08-28 2022-04-12 美蓓亚三美株式会社 振动致动器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80792C (zh) * 1998-07-06 2008-04-09 三洋电机株式会社 音响·振动发生装置
US6487300B1 (en) * 1999-12-17 2002-11-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Vibration speaker
JP2007275776A (ja) * 2006-04-06 2007-10-25 Citizen Electronics Co Ltd 振動体
JP4319213B2 (ja) * 2006-10-16 2009-08-2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KR20090115339A (ko) * 2008-05-02 200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KR20090011533U (ko) * 2008-05-08 2009-11-12 안국찬 옷걸이
KR20100005288A (ko) * 2008-07-07 2010-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100101927A (ko) * 2009-03-10 2010-09-20 동인하이텍주식회사 수평형 진동모터
JP5537984B2 (ja) * 2010-02-16 2014-07-02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往復振動発生器
JP5659426B2 (ja) * 2010-02-16 2015-01-28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57591B (zh) 2017-08-08
CN103157591A (zh) 2013-06-19
US20130154403A1 (en)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69688B2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電子機器
KR101069997B1 (ko) 리니어 진동 모터
US20060113932A1 (en) Vibrator unit and portable telephone employing it
JP6010080B2 (ja) リニア振動モータ
KR101881400B1 (ko) 진동발생장치
KR20110010995A (ko) 선형 진동자
JP2007222794A (ja) 振動体
KR101779290B1 (ko) 선형 진동자
CN208571882U (zh) 电磁激励器以及屏幕发声装置
KR101607526B1 (ko) 음파 엑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안마기
KR100974899B1 (ko) 선형 진동 엑츄에이터
KR20130068262A (ko) 진동발생장치
KR101339531B1 (ko) 진동발생장치용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KR20150121553A (ko) 선형 진동자
KR101316782B1 (ko) 압전소자가 장착된 바이브레이터
KR20180000228A (ko) 자기 브레이크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진동발생장치
KR102127526B1 (ko) 선형 진동모터
KR20160019584A (ko) 선형 진동자
KR101821953B1 (ko) 관성형 가진기
KR101397816B1 (ko) 진동발생장치
JP2000308323A (ja) 振動体
JP2000166210A (ja) 発音振動体
KR100519823B1 (ko) 다기능 엑츄에이터
JP2012217014A (ja) 発振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629168B1 (ko) 선형진동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