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8201A -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8201A
KR20030088201A KR1020020026136A KR20020026136A KR20030088201A KR 20030088201 A KR20030088201 A KR 20030088201A KR 1020020026136 A KR1020020026136 A KR 1020020026136A KR 20020026136 A KR20020026136 A KR 20020026136A KR 20030088201 A KR20030088201 A KR 20030088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oe vera
weight
mask solution
purified water
ment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만형
Original Assignee
(주)제노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노덤 filed Critical (주)제노덤
Priority to KR1020020026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8201A/ko
Publication of KR20030088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20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Abstract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제조방법은 알란토인 0.1∼2.0중량%, POE(12) 노닐페닐에테르(Nonylphenyl Ether) 0.3∼5.0중량%, 디메치콘 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 0.2∼2.0중량%, 염화 칼륨/염화 마그네슘/멘톨 추출물 0.005∼3.0중량%, 알로에 베라 추출물 0.01∼20중량%, 황산알루미늄칼륨 0.2∼2.0중량%,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1∼0.5중량%, 향료(Ralph Type BP 7606) 0.0001∼0.1중량% 및 나머지를 정제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로 한다.

Description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S FOR ALOE VERA MASK SOLUTION AND PROCESSING MAKE THE SAME}
본 발명은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미용에 사용되는 알로에 베라 분말(Aloe vera powder)과 정제수를 혼합하여 특유의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로에베라는 아프리카가 원산지인 백합과(Liliaceous)에 속하는 다년생의 식물로 외국에서는 민간 약초로써 오랫동안 이용되어 왔으며, 그 첫 기록은 기원전 1552년 이집트문명 학 전문인 독일인 에버스(Ebers)가 고대 이집트의 무덤속 미이라 관에서 발견한 파피루스에서 찾아볼 수 있고, 그리스의 본초, 중국의 개보본초, 우리나라의 동의보감 및 대한약전에도 이것에 대한 사용 기록이 있다.
알로에베라의 구성성분으로는 알로인(Aloin),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알로에 베라 린네(Aloe vera Linne : Aloe barbadensis Miller), Aloe-emodin, Aloe-ulcin, 고분자 다당체, 당 단백질 , 아미노산 및 미네랄 등이 알려져 있으며, 그 약리 효과로는 통증의 완화, 항 알러지작용, 항균작용, 강장작용, 항 염증작용, 항 종양작용, 혈당강화작용, 카드뮴 독성 완화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현재까지 규명된 알로에의 생리활성 및 미용효과는 세포재생기능, 항염 기능, 항균 및 항 진균작용, 피부보습증진기능, 미백기능, 피부탄력증진기능, 상처치유기능, 피 지방 노폐물제거기능, 피부 분비물 조절 및 트러블 방지작용, 및 자외선 흡수작용 등이며 이러한 기능을 나타내게 하는 알로에의 성분들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즉, 염증, 홍반에 효과가 있는 글루코단백질(glucoproteins)인 알렉신( alexin a., alexin b.) ; 방부, 항세균 염증에 효과가 있는 페놀류(phenols)인 알로에 에모신(aloe emosin), 알로에 신(aloe sin); 보습작용과 피부탄력에 효과를 지닌 다당류(polysaccharides); 아미노산류; 피부세포의 재생 성장에 관여하는 지질류인 이소프레노이드류(isoprenoids), 알칸류, 지방산; 단백질(protein); 유기화합물; 미네랄류(Na, K, Mg, Ca 등); 안트라퀴논(anthraquinones); 비타민류; 레시틴(Recithin)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알로에 베라 분말과 정제수를 혼합한 종래의 화장용액의 경우에는 사용 후 피부의 경피에 흡수되어 발휘하는 보습기능, 미백효과, 진정효과 및 쿨링 효능 등에서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또한, 기존 용액은 얼굴을 깨끗이 세정(cleansing)한 후, 알로에 베라 분말(Aloe vera powder)과 차가운 정제수를 1 : 2.5의 비율로 1∼2분 정도 혼합한 혼합액을 흐르지 않는 상태로 얼굴에 도포한 다음 15분 내지 20분 정도 경과 후 고무 팩을 얼굴에서 제거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어져 왔으며, 사용 즉시에는 시원함을 느끼다가도 시간이 서서히 경과하면 얼굴이 정상 체온으로 올라가 진정효과가 감소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 용액이 사용하는 일반적인 정제수 대신에 정제수에 10여 가지의 다른 화장품원료로 이루어진 배합물을 첨가하여 혼합액을 제조한 다음, 알로에 베라 분말과 상기 혼합액을 1 : 2.5의 비율로 혼합하여 용액을 제조함으로써 이를 얼굴에 도포하였을 때 피부에 탄력과 보습을 더하여 주고, 피부가 시원한 느낌을 지속시켜줄 뿐만 아니라 유해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 주는 것으로써, 기존의 정제수로 이루어진 용액 보다 우수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드름피부, 알러지 피부 및 예민한 피부 등에 보습효과로 인하여 활력을 부여하며, 알로에 고유의 특성은 피부를 청결하게 하고, 피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묵은 노폐물을 제거해 주고, 아울러 미백, 진정효과에도 탁월하며, 피부에 시원한 느낌이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주어 쿨링 효과가 크게 증대시키는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의 I.R 분석표.
도 3은 본 발명의 알로에 베라 분말의 I.R 분석표.
도 4는 본 발명의 알로에 베라 분말과 정제수를 혼합 후 전자현미경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알로에 베라 분말과 제조된 용액의 혼합 후 전자현미경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알로에 베라 분말과 용액을 사용하기 전과 후의 전자현미경 사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은 디메치콘 코포리올 메틸 에테르(Di methicone Copolyol Methyl Ether : KF-6011) 0.2∼2.0중량%, POE(12)노닐페닐에테르(Emalex NP-12) 0.3∼5.0중량%, 알란토인 0.1∼2.0 중량%, 방부제 0.1∼0.5중량%, 염화칼슘 0.005∼3.0중량%, 염화 마그네슘 0.005∼3.0중량%, 황산알루미늄칼륨 0.2∼2.0중량%, 알로에 베라 추출물 0.01∼20중량%, 멘톨 0.005∼3.0중량%, 향료0.0001∼0.1중량% 및 나머지가 정제수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은 디메치콘 코포리올 메틸 에테르(Di methicone Copolyol Methyl Ether : KF-6011) 0.2∼2.0중량%, POE(12) 노닐페놀에테르 0.3∼5.0중량%, 알란토인 0.1∼2.0중량%, 방부제 0.1∼0.5중량%, 염화칼슘 0.005∼3.0중량%, 염화 마그네슘 0.005∼3.0중량%, 황산알루미늄칼륨 0.2∼2.0중량%, 알로에 베라 추출물(1:1) 0.01∼20중량%, 알로에 베라 추출물(200:1) 0.01∼10중량%, 멘톨 0.005∼3.0중량%, 향료 0.0001∼0.1중량% 및 나머지가 정제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
이때, 상기 향료는 그린 플로르 계열인 Ralph Type BP 7605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정제수 이외로 첨가되는 조성물의 양은 3.0∼10.0 중량%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정제수와 멘톨성분을 넣은 용기를 가열 교반하는 멘톨의 수가용성분 추출하는 1차 처리단계; 상온상태에서 알란토인, 방부제를 넣어 완전히 수용성상으로 용해시키는 2차 처리단계; 용해가 끝나면 알로에 추출물 , KF-6011를 넣어 완전히 수상상태로 용해시키는 3차 처리단계; 및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황산알루미늄칼륨 각각을 적량 취하여 교반과 동시에 완전히 용해시키는 4차 처리단계로 이루이지는 수상성분 제조단계; 별도의 용기에 가용화제인 NP-12를 적량을 취하고 여기에 향료를 첨가한 후 자석 바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유상성분 제조단계; 상기 유상성분 제조단계에서 만들어진 유상성분을 교반하면서 여기에 수상성분제조단계에서 만들어진 수상성분을 서서히 가해 이루어지는 균일혼합물 제조단계; 및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균일 혼합물을 탈포 및 여과하여 포장하는 제조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은 다음과 방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용액을 제조하는 경우, 정제수에 용해되는 성분을 수상성분(water­phase composition)으로 하여 일정온도(40∼50℃)에서 수상성분과 유상성분(oil­phase composition)을 일반 교반기가 아닌 특수 겸용 교반기를 사용하여 균질상태로 혼합 용해시키며,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 탈포 및 여과하는 과정으로 제조가 완료한다.(겸용교반기의 정의: 가열장치와 교반기형태가 동시에 이루어짐)
첨가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양은 5∼10중량%가 적당하다.
우선 멘톨 성분의 융점(melting point)이 47.5℃인 점을 고려하여 일부 정제수에 멘톨을 적량을 취하여 일정온도범위(40∼50℃)에서 겸용 교반기를 이용, 균일하게 용해시켜 수상성분을 얻는다.
멘톨성분이 완전 용해되면 정제수를 보충하고, 상온상태를 유지하면서 알란토인,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를 적정량을 가하여 교반하면서 용해시킨다. 방부제 성분인 메틸파라벤(Methyl paraben)은 융점이 높아 실시 예 41에서는 제외했다.
수상용해가 완전히 끝난 것을 확인하고,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황산알루미늄칼륨을 각각 적량을 취하여 교반시키면서 용해시킨다.
용해가 끝난 것이 확인되면 KF-6011,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적량을 취하여 교반, 용해시킨다. 완전히 수상용해가 끝나면 남아 있는 정제수를 보충하여 준다.
가용화제인 NP-12를 다른 용기에 적량을 취해 넣은 다음, 향료를 첨가하고 자석바(Magnetic bar)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상기의 가용화제 및 향료가 완전히 혼합되면 이미 만들어진 수상성분에 첨가, 교반기를 이용하여 용해시킨다. 혼합완료 후 30분 정도 방치한 다음 탈기 및 여과하여 용기에 포장한다.
이렇게 제조하여 포장된 제품을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Aloe vera mask solution)" 이라 부른다.
이를 도식으로 표현한 것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0>
아래 표 1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을 사용하여 상기 제조공정에 따라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에서 기재된 수치는 중량%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Chemical Name 실 시 예(중량%)
1 2 3 4 5 6 7 8 9 10
정제수 98.67 98.52 98.63 98.10 98.50 98.77 98.69 98.68 98.81 97.89
KF-6011 0.5 0.5 0.5 0.3 0.3 0.5 0.5 0.5 0.5 0.5
EMALEX NP-12 0.18 0.18 0.18 0.5 0.3 0.18 0.18 0.18 0.18 0.5
Allantion 0.12 0.12 0.12 0.12 0.12 0.12 0.2 0.2 0.12 0.12
Gemall-115 0.1 0.1 0.1 0.2 0.2 0.1 0.2 0.2 0.2 0.2
CaCl2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MgCl6H2O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Aloe vera(200:1) 0.15 0.3 0.2 0.6 0.4 0.15 0.1 0.1 0.01 0.01
Aloe vera(1:1) 0.6
Methyl paraben 0.2 0.2 0.2 0.15 0.15 0.15 0.1 0.1 0.15 0.15
Fragrance 0.06 0.06 0.05 0.01 0.01 0.01 0.01 0.02 0.01 0.01
합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실시 예 1에서 기본적인 원료를 넣어 용액을 만들었다.
피부와의 친화력이 우수하고 강력한 보습효과를 나타내는 KF-6011을 0.3∼0.5중량%와 알로에 베라 추출물 0.01∼0.6중량%를 넣어 실험하였으며, 알로에 베라 (200:1)는 융점이 100℃ 이상이므로 실험장치를 고려하여, 실시 예 25부터는 제외했다. 실시 예 1∼10에서 보듯이 가용화제(NP-12)는 0.18∼0.5중량%를 넣어 비교실험을 하였으며, 이 경우 0.5중량%가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실시 예 11부터는 0.5중량% 사용하였다.
향료는 얼굴에 사용하기 때문에 가장 느낌이 좋으면서 편안한 동시에 알로에 베라 분말의 베이스향과 이상적인 상승효과를 고려하여 선별 제조하였다.
<실시 예 11∼20>
하기 표 2에서 보듯이 KF-6011 0.1∼0.5중량% 범위를 설정하여 반복실험하였고, NP-12 0.5∼0.7중량%를 비교 실험하였으며, 수렴제로 피부나 점막에 수축하므로 발한 방지를 목적으로 발한방지에 효과적인 AlK(SO4)2·12H2O 원료를 사용하여 0.2∼0.3중량% 범위를 정하여 비교 실험하였고, 제조방법은 표 1에서 사용했던 동일한 방법으로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을 제조하였다
[표 2]
Chemical Name 실 시 예(중량%)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정제수 97.23 97.63 97.05 96.90 97.28 97.18 97.05 97.25 97.38 97.58
KF-6011 0.3 0.1 0.3 0.5 0.3 0.5 0.3 0.1 0.3 0.5
EMALEX NP-12 0.7 0.5 0.7 0.7 0.7 0.5 0.7 0.7 0.5 0.5
Allantion 0.12 0.12 0.3 0.3 0.12 0.12 0.3 0.3 0.12 0.12
Gemall-115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CaCl2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MgCl6H2O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Aloe vera(200:1)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Aloe vera(1:1) 1.0 1.0 1.0 1.0 1.0 1.0 1.0 1.0 1.0 0.6
Methyl paraben 0.2 0.2 0.2 0.15 0.15 0.15 0.1 0.1 0.15 0.15
Fragrance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AIK(SO4)2·12H2O 0.2 0.2 0.2 0.2 0.2 0.3 0.3 0.3 0.3 0.3
합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황산알루미늄칼륨의 함량범위에서 별다른 차이가 없었고, 제조단가를 고려하여 실시 예 41부터는 0.2 중량%를 적용하였다.
알로에 베라(1:1)는 실시 예 11∼20에서 보듯이 0.6∼1.0중량% 범위에서 실험을 하였으나,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 예 21∼30>
아래 표 3에 보듯이 실시 예 21∼23은 KF-6011 0.3중량% 범위, AlK(SO4)2·12H2O 0.02∼0.2중량% 범위, 알로에 베라(200:1) 0.0001∼0.02중량%로 각각 범위를 설정하였고, 향료를 얼굴에 도포 했을 때 가장 안정적인 향 4가지를 선별하여, 실시 예 24 Ralph Type BP 7605, 실시 예 25 Calyx BP 5515, 실시 예 26 Glamourous Type BP 8658, 실시 예 27 Rose AF HR 23823의 향료(제조회사:BELMAY)를 사용하였고, 시원한 성분인 멘톨을 원료를 선정하여 실시 예 28∼30에서 0.1∼0.0001중량% 범위를 설정하여 실험을 하였고, 상기와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을 제조하였다.
[표 3]
Chemical Name 실 시 예(중량%)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정제수 97.799 97.899 97.399 96.899 95.899 94.7993 97.3993 96.3993 95.3993 94.3993
KF-6011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EMALEX NP-12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Allantion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Gemall-115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CaCl2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MgCl2·6H2O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Aloe vera(200:1)
Aloe vera(1:1) 0.6 0.6 0.6 0.6 0.6 0.6 1.0 2.0 3.0 4.0
Methyl paraben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Fragrance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AIK(SO4)2·12H2O 0.2 0.2 0.2 0.2 0.2 0.3 0.3 0.3 0.3 0.3
Menthol 0.001 0.001 0.001 0.001 0.001 0.0007 0.0007 0.0007 0.0007 0.0007
ENB-VCE 0.1 0.2 0.5 1.0 2.0 3.0
합 계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실시 예 31∼40>
아래 표 4에 보듯이 실시 예 31∼36은 미백효과를 좀더 높이기 위해 ENB-VCE(제조회사 :EnB Tech) 원료를 선별하여 0.1∼3.0중량% 범위에서 실험하였고, 실시 예 37∼40은 ENB-VCE원료를 사용하지 않고 알로에 베라 액상(1:1)을 1.0∼4.0중량% 범위에서 비교실험을 했다. 향료는 표 3에서 비교실험 한 결과 Ralph Type BP7605가 가장 안정적인 결과가 나와 실시 예 31∼40은 동일한 향료를 사용, 상기와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을 제조하였다
[표 4]
Chemical Name 실 시 예(중량%)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정제수 97.799 97.899 97.399 96.899 95.899 94.7993 97.3993 96.3993 95.3993 94.3993
KF-6011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EMALEX NP-12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Allantion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Gemall-115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CaCl2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MgCl2·6H2O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Aloevera(200:1)
Aloe vera(1:1) 0.6 0.6 0.6 0.6 0.6 0.6 1.0 2.0 3.0 4.0
Methyl paraben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Fragrance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AIK(SO4)2·12H2O 0.2 0.2 0.2 0.2 0.2 0.3 0.3 0.3 0.3 0.3
Menthol 0.001 0.001 0.001 0.001 0.001 0.0007 0.0007 0.0007 0.0007 0.0007
ENB-VCE 0.1 0.2 0.5 1.0 2.0 3.0
합 계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미백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 예 31∼36에서 ENB-VCE 0.1∼3.0중량%범위로 실험한 결과,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실시 예 37 실험부터는 적용하지 않았다.
알로에 베라 액상(1:1)은 실시 예 37∼40에서 1.0∼4.0중량%범위로 실험하였으나, 중량% 변화에 따른 효과는 큰 차이점이 없었다. 따라서 경제성을 고려 1.0중량%로 확정했다.
<실시 예 41∼44>
아래 표 5의 실시 예 41∼44에서는 메틸파라벤의 융점이100℃이상으로 적용하기에 너무 높아 방부제로는 Germall-115만을 단독으로 사용하였다. 알로에 베라 액상(1:1)은 0.5∼1.0중량%범위에서 실험한 결과 1.0중량%일 때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멘톨은 0.001∼0.1중량%범위에서 실험한 결과 0.01중량%일 때가 가장 좋았다. 향료는 그린 플로르향인 Ralph Type BP 7605가 가장 안정적인 결과를 나타냈으며, 실시 예 44의 조성물이 가장 이상적인 조성물로 나타났으며, 상기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을 제조하였다.
[표 5]
Chemical Name 실시 예(중량%)
41 42 43 44
정제수 98.054 97.64 97.549 97.544
KF-6011 0.3 0.3 0.3 0.3
EMALEX NP-12 0.5 0.5 0.5 0.5
Allantion 0.12 0.12 0.12 0.12
Gemall-115 0.3 0.3 0.3 0.3
CaCl2 0.01 0.01 0.01 0.01
MgCl2·6H2O 0.01 0.01 0.01 0.01
Aloe vera(1:1) 0.5 1.0 1.0 1.0
AIK(SO4)2·12H2O 0.2 0.2 0.2 0.2
Menthol 0.1 0.01 0.001 0.01
Fragrance 0.006 0.01 0.01 0.006
합 계 100.000 100.00 100.000 100.000
본 발명으로 만든 용액은 알로에 베라 분말에 사용함으로써 거친 살결의 치료는 물론, 싱싱하고 아름다운 살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피부 속의 때를 벗겨줄 분만 아니라 피부의 노화한 각질층을 조금 벗겨 낼 수가 있다.
콜드마스크(cold mask)라 할 정도로 차갑기 때문에 즉시 붉고 열이 많은 피부에 사용하면 즉시 신선함을 느낄 수 있다.
피부에 상쾌함을 주고 오래도록 시원하여 진정은 물론 안색정화에도 탁월한 효과 있다.
피부조직의 탄력성을 증대시키고, 잔주름 형성을 방지하여 피부노화를 예방하고, 미백 기능이 있어 표피층을 아름답게 하여 준다.
혈액 순환 촉진과 피부산소 소통증대로 신진대사가 잘 되므로 피부가 새롭고 신선해진다. 그 결과 여드름·기미·주근깨도 조금씩 없어진다.
또한 햇볕에 그을린 피부, 동상을 입은 피부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식물성 천연성분의 추출물인 멘톨을 흡수시켜 체온보다 온도를 낮춰 표면온도를 내려가게 하므로 에너지를 방출하여 지방세포를 박리하여 안면축소에도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디메치콘 코포리올 메틸 에테르(Di methicone Copolyol Methyl Ether : KF-6011) 0.2∼2.0중량%, POE(12)노닐페닐에테르(Emalex NP-12) 0.3∼5.0중량%, 알란토인 0.1∼2.0 중량%, 방부제 0.1∼0.5중량%, 염화칼슘 0.005∼3.0중량%, 염화 마그네슘 0.005∼3.0중량%, 황산알루미늄칼륨 0.2∼2.0중량%, 알로에 베라 추출물 0.01∼20중량%, 멘톨 0.005∼3.0중량%, 향료 0.0001∼0.1중량% 및 나머지가 정제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
  2. 디메치콘 코포리올 메틸 에테르(Di methicone Copolyol Methyl Ether : KF-6011) 0.2∼2.0중량%, POE(12) 노닐페놀에테르 0.3∼5.0중량%, 알란토인 0.1∼2.0중량%, 방부제 0.1∼0.5중량%, 염화칼슘 0.005∼3.0중량%, 염화 마그네슘 0.005∼3.0중량%, 황산알루미늄칼륨 0.2∼2.0중량%, 알로에 베라 추출물(1:1) 0.01∼20중량%, 알로에 베라 추출물(200:1) 0.01∼10중량%, 멘톨 0.005∼3.0중량%, 향료 0.0001∼0.1중량% 및 나머지가 정제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는 그린 플로르 계열인 Ralph Type BP 76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 이외로 첨가되는 조성물의 양은 3.0∼10.0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
  5. 정제수와 멘톨성분을 넣은 용기를 가열 교반하는 멘톨의 수가용성분 추출하는 1차 처리단계; 상온상태에서 알란토인, 방부제를 넣어 완전히 수용성상으로 용해시키는 2차 처리단계; 용해가 끝나면 알로에 추출물 , KF-6011를 넣어 완전히 수상상태로 용해시키는 3차 처리단계; 및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황산알루미늄칼륨 각각을 적량 취하여 교반과 동시에 완전히 용해시키는 4차 처리단계로 이루이지는 수상성분 제조단계;
    별도의 용기에 가용화제인 NP-12를 적량을 취하고 여기에 향료를 첨가한 후 자석 바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유상성분 제조단계;
    상기 유상성분 제조단계에서 만들어진 유상성분을 교반하면서 여기에 수상성분제조단계에서 만들어진 수상성분을 서서히 가해 이루어지는 균일혼합물 제조단계; 및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균일 혼합물을 탈포 및 여과하여 포장하는 제조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이 스킨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20026136A 2002-05-13 2002-05-13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88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136A KR20030088201A (ko) 2002-05-13 2002-05-13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136A KR20030088201A (ko) 2002-05-13 2002-05-13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201A true KR20030088201A (ko) 2003-11-19

Family

ID=32382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136A KR20030088201A (ko) 2002-05-13 2002-05-13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82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0099A (zh) * 2013-11-06 2014-02-05 刘凤琪 一种抗疲劳面膜及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9180A (en) * 1981-09-10 1983-01-18 Randolph C. Karrh Cosmetic facial preparation containing aloe vera
JPS61236711A (ja) * 1985-04-12 1986-10-22 Mikasa Seiyaku Kk アロエ含有パツク剤
JPS62263193A (ja) * 1986-05-09 1987-11-16 Ichimaru Pharcos Co Ltd アロエ由来水溶性抽出物
JPH02231408A (ja) * 1989-03-06 1990-09-13 Lion Corp 新規な皮膚外用剤
US5139771A (en) * 1990-04-16 1992-08-18 Revlon, Inc. Rinse away face masque
KR20020039888A (ko) * 2000-11-22 2002-05-30 정덕순 피부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9180A (en) * 1981-09-10 1983-01-18 Randolph C. Karrh Cosmetic facial preparation containing aloe vera
JPS61236711A (ja) * 1985-04-12 1986-10-22 Mikasa Seiyaku Kk アロエ含有パツク剤
JPS62263193A (ja) * 1986-05-09 1987-11-16 Ichimaru Pharcos Co Ltd アロエ由来水溶性抽出物
JPH02231408A (ja) * 1989-03-06 1990-09-13 Lion Corp 新規な皮膚外用剤
US5139771A (en) * 1990-04-16 1992-08-18 Revlon, Inc. Rinse away face masque
KR20020039888A (ko) * 2000-11-22 2002-05-30 정덕순 피부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0099A (zh) * 2013-11-06 2014-02-05 刘凤琪 一种抗疲劳面膜及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9980B2 (ja) 二酸化炭素含有粘性組成物
KR100880661B1 (ko)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6473996B (zh) 一种控油焕肤祛痘修复洗面奶及其制备方法
KR20080108718A (ko) 천연 연화식물체를 포함하는 피부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CN102210637A (zh) 含备长炭的中药组份洁肤养护液洗化妆品
KR101723845B1 (ko) 천연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천연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US6264930B1 (en) Hair and skin treatment product
JP3995720B2 (ja) 化粧用ボディーケア調製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6511211A (zh) 一种抗炎祛痘护肤乳液及其制备方法
CN113679640A (zh) 一种天然滋养净肤护肤祛痘洁面凝露及其制备方法
CN101569599A (zh) 一种芳香精华防脱发、育发组合物及其制造方法
JP3563021B2 (ja) 化粧用パックの製造方法
CN104887602A (zh) 茉莉洗头洗面液
CN107823046A (zh) 天然醒脑健脑生发防脱发洗发护发的洗发液
US20010014315A1 (en) Bar soap composition
CN106265226A (zh) 中药保健洗发香波
KR102255269B1 (ko) 두피 케어용 비누 제조방법
US20010014316A1 (en) Liquid cleansing composition
KR20030088201A (ko) 알로에 베라 마스크 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010014314A1 (en) Foot soap composition
KR20070022949A (ko) 마사지용 스크럽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09488B1 (ko) 시이트형 하이드로겔 팩의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시이트형 하이드로겔 팩의 제조방법
CN108929811A (zh) 一种艾草手工皂
KR102588898B1 (ko) 두피 케어용 그린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919845A (zh) 黄连杀菌爽口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