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7921A - 시퀀셜 접속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부가콘택트 - Google Patents

시퀀셜 접속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부가콘택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7921A
KR20030087921A KR10-2003-0022908A KR20030022908A KR20030087921A KR 20030087921 A KR20030087921 A KR 20030087921A KR 20030022908 A KR20030022908 A KR 20030022908A KR 20030087921 A KR20030087921 A KR 20030087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eceptacle
additional
housing
sequenti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쿠가주야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030087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92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the spring member surrounding the socke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소형 리셉터클 콘택트의 경우에도 시퀀셜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부가콘택트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퀀셜 접속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는 시퀀셜 접속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부가콘택트를 제공한다.
시퀀셜 접속커넥터(A)는 콘택트 수용캐버티(11a) 내의 리셉터클 콘택트(20a)와 하우징(10)의 내벽과의 사이에 삽입배치된 부가콘택트(30)를 구비한다. 부가콘택트(30)는 리셉터클 콘택트(20a)에 접촉하는 접촉판부(31)와, 접촉판부(31)의 삽입방향 후단측에서 만곡부(32)를 통해 뻗고 하우징(10)의 내벽에 파고들어 계지부(33)와 접촉판부(31)의 삽입방향 전단측에서 뻗어 리셉터클 콘택트(20a)의 전단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고 상대 수형콘택트(42a)의 진입로를 가로지르는 접촉암(34)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시퀀셜 접속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부가콘택트{Sequential connection type connector and additional contact used in the same}
본 발명은 시퀀셜 접속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부가콘택트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화교환기 등의 배선 접속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접지용 콘택트, 전원용 콘택트 및 신호용 콘택트를 구비한 시퀀셜 접속커넥터가 사용된다.
이 시퀀셜 접속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도 6에 있어서, 시퀀셜 접속커넥터(이하, 단순히 커넥터라 한다.)(100)는 복수의 콘택트 수용통로(111a, 111b)를 갖는 하우징(110)과 콘택트 수용통로(111a, 111b) 내에 수용 고정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121a, 121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리셉터클 콘택트(121a, 121b) 중, (121a)는 접지용이고 (121b)는 신호용이며 각각의 리셉터클 콘택트(121a, 121b)는 전선(W)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콘택트(121a, 121b) 각각은 상대 수형콘택트(221a, 221b)의 각각을 수용하는 리셉터클부(122a, 122b)를 갖고 리셉터클부(122a, 122b) 각각의 내부에는 상대 수형콘택트(221a, 221b)의 각각에 접촉하는 탄성접촉편(124a, 124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접지용 리셉터클 콘택트(121a)의 리셉터클부(122a) 상벽(123a)에는 대략 U자형상의 별체의 클립(125)이 상기 상벽(123a)을 끼우듯이 장착되어 있다.별체의 클립(125)을 접지용 리셉터클 콘택트(121a)에 장착하면 클립(125)의 전단의 만곡부(125a)가 리셉터클 콘택트(121a)의 전단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한다. 이로 인해 상대 수형 콘택트(221a, 221b) 중, 접지용 리셉터클 콘택트(121a)에 접속해야 하는 접지용 상대 수형 콘택트(221a)가 최초로 클립(124)에 접촉하고 이어서 신호용 상대 수형 콘택트(221b)가 신호용 리셉터클 콘택트(121b)에 접촉하여 시퀀셜 접속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퀀셜 접속을 행하는 것은 시퀀셜 접속을 행함으로써 전기적 노이즈의 발생을 저지하여 데이터나 회로기판으로의 악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클립(125)을 리셉터클 콘택트(121b)의 리셉터클부(122b)의 상벽(123b)에 장착함으로써 리셉터클 콘택트(121b)에 접촉해야 하는 상대 수형 콘택트(221b)를 최초로 클립(125)에 접촉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 도시한 종래의 시퀀셜 접속커넥터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6에 도시한 커넥터(100)의 경우, 리셉터클 콘택트(121a, 121b)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리셉터클부(122a, 122b) 내에 공간적 여유가 있어 별체의 클립(125)을 리셉터클 콘택트(121a, 121b)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소형의 리셉터클 콘택트의 경우에는 리셉터클부 내에 공간적 여유가 없어, 클립(125)을 리셉터클 콘택트에 장착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한편, 소형의 리셉터클 콘택트의 리셉터클부 상벽에 클립(125)을 장착하면 클립(125)의 만곡부(125a)의 하부가 리셉터클부의 상대 수형 콘택트 수용 공간 내에 돌출하고 만다. 이 때문에 리셉터클부 내에 수용된 상대 수형 콘택트에 의한 리셉터클부 내의 탄성접촉편으로의 부하가 설계 당초의 그것과 달라져 버리고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대 수형 콘택트와의 소망하는 접속성능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었다. 이로 인해 소형 리셉터클 콘택트의 경우, 시퀀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소형 리셉터클 콘택트의 경우에도 시퀀셜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부가콘택트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퀀셜 접속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는 시퀀셜 접속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부가콘택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시퀀셜 접속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부가콘택트를 부가콘택트 수용캐버티 내에 삽입배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시퀀셜 접속커넥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시퀀셜 접속커넥터에 삽입배치되는 부가콘택트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 5는도 1의 시퀀셜 접속커넥터에 삽입배치되는 부가콘택트를 나타내고, (A)는 정면측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 (B)는 배면측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종래예의 시퀀셜 접속커넥터의 단면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하우징 11a, 11b 콘택트 수용캐버티
20a, 20b 리셉터클 콘택트 30 부가콘택트
31 접촉판부 32 만곡부
33 계지부 34 접촉암
38, 39 광폭부 42a, 42b 포스트 콘택트(상대 수형콘택트)
A 시퀀셜 접속커넥터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관계되는 시퀀셜 접속커넥터는 콘택트 수용캐버티를 갖는 절연성 하우징과, 상기 콘택트 수용캐버티 내에 수용된 리셉터클 콘택트를 구비한 시퀀셜 접속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수용캐버티 내의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의 사이에 삽입배치된 부가콘택트를 구비하고, 해당 부가콘택트는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는 접촉판부와, 해당 접촉판부의 삽입방향 후단측에서 만곡부를 통해 뻗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파고드는 계지부와, 해당 접촉판부의 삽입방향 전단측에서 뻗어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의 전단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여 상대 수형콘택트의 진입로를 가로지르는 접촉암을 구비하고, 상기 부가콘택트는 상기 계지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파고들고 상기 접촉판부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벽 및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간에 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시퀀셜 접속커넥터에 의하면, 부가콘택트를 콘택트 수용캐버티 내의 리셉터클 콘택트와 하우징의 내벽과의 사이에 삽입배치된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를 감합접속하면 상대 수형콘택트 중 부가콘택트와 접촉하고 있는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속 해야 하는 상대 수형콘택트가 우선 부가콘택트의 접촉암에 접촉하고, 그 후 다른 상대 수형콘택트가 부가콘택트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여 시퀀셜 접속이 달성된다. 여기서 부가콘택트는 콘택트 수용캐버티 내의 리셉터클 콘택트와 하우징의 내벽과의 사이에 삽입배치되므로 소형 리셉터클 콘택트의 경우에도 시퀀셜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부가콘택트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그리고 부가콘택트는 접촉판부의 삽입방향 전단측에서 뻗어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의 전단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여 상대 수형콘택트의 진입로를 가로지르는 접촉암을 구비하므로, 상대 수형콘택트가 확실하게 접촉암에 접촉하여 시퀀셜 접속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부가콘택트는 접촉판부의 삽입방향 후단측에서 만곡부를 통해 뻗는 계지부가 하우징의 내벽에 파고 들어 접촉판부가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함으로써 하우징의 내벽 및 리셉터클 콘택트간에 협지되므로 접촉판부와 계지부간의 만곡부의 탄성력이 접촉판부에 작용하여 리셉터클 콘택트와 부가콘택트와의 안정된 접촉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계되는 시퀀셜 접속커넥터는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가콘택트는 대략 S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프링 영역을 크게할 수 있고, 소형변형이 어려운 부가콘택트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계되는 시퀀셜 접속커넥터는 청구항 1 또는 2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가콘택트는 상기 만곡부가 하우징 랜스의 선단에 당접하여 삽입방향의 위치결정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시퀀셜 접속커넥터에 의하면 부가콘택트가 콘택트 수용캐버티 내의 콘택트와 하하우징의 내벽과의 사이에 삽입배치된 때에 부가콘택트의 만곡부가 하우징 랜스의 선단에 당접하여 삽입방향의 위치결정이 행해지고, 부가콘택트의 삽입방향의 정확한 위치결정이 행해진다. 또한 부가콘택트의 만곡부가 하우징 랜스의 선단에 당접함으로써 하우징랜스에 의한 콘택트의 계지를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계되는 시퀀셜 접속커넥터는 청구항 1 또는 3기재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가콘택트의 상기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측부에는 상기 부가콘택트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광폭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시퀀셜 접속커넥터에 의하면 부가콘택트의 삽입배치시 혹은 그 후에 있어서, 부가콘택트의 광폭부에 의한 부가콘택트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로 인해 부가콘택트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어느 한쪽을 극히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계되는 시퀀셜 접속커넥터에 사용되는 부가콘택트는 콘택트 수용캐버티를 갖는 절연성 하우징과, 상기 콘택트 수용캐버티 내에 수용된 리셉터클 콘택트를 구비한 시퀀셜 접속커넥터에 사용되는 부가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는 접촉판부와, 해당 접촉판부의 후단측에서 만곡부를 통해 뻗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파고드는 계지부와, 해당 접촉판부의 전단측에서 뻗어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의 전단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여 상대 수형콘택트의 진입로를 가로지르는 접촉암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부가콘택트에 의하면 부가콘택트를 콘택트 수용캐버티 내의 리셉터클 콘택트와 하우징의 내벽과의 사이에 삽입배치가 가능하고, 소형 리셉터클의 경우에도 시퀀셜 접속을 가능케 하는 부가콘택트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부가콘택트를 콘택트 수용캐버티 내의 리셉터클 콘택트와 하우징의 내벽과의 사이에 삽입배치된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를 감합접속하면 상대 수형콘택트 중 부가콘택트와 접촉하고 있는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속 해야 하는 상대 수형콘택트가 우선 부가콘택트의 접촉암에 접촉하고, 그 후 다른 상대 수형콘택트가 부가콘택트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여 시퀀셜 접속이 달성된다. 여기서 부가콘택트는 접촉판부의 삽입방향 전단측에서 뻗어 리셉터클 콘택트의 전단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여 상대 수형콘택트의 진입로를 가로지르는 접촉암을 구비하므로, 상대 수형콘택트가 확실하게 접촉암에 접촉하여 시퀀셜 접속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발명의 청구항 6에 관계되는 부가콘택트는 청구항 5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대략 S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시퀀셜 접속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단면도이다. 도 2는 부가콘택트를 부가콘택트 수용캐버티 내에 삽입배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시퀀셜 접속커넥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시퀀셜 접속커넥터에 삽입배치되는 부가콘택트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시퀀셜 접속커넥터에 삽입배치되는 부가콘택트를 나타내고, (A)는 정면측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 (B)는 배면측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시퀀셜 접속커넥터(이하, 단순히 커넥터라 한다)(A)는 상하 2단으로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 수용캐버티(11a, 11b)를 갖는 절연성 하우징(10)과, 콘택트 수용캐버티(11a, 11b)의 각각의 내부에 수용된 리셉터클 콘택트(20a, 20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커넥터(A)는 상대측 커넥터(B)와 감합 접속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대측 커넥터(B)는 커넥터(A)의 하우징(10)을 수용가능한 커넥터 수용캐버티(41)를 갖는 절연성 하우징(40)과, 상하 2단의 리셉터클 콘택트(20a, 20b)에 접촉하도록 상하 2단으로 배치된 복수의 포스트 콘택트(상대 수형콘택트)(42a, 42b)를 구비하고 있다. 상단의 포스트 콘택트(42a)는 접지용 콘택트이고 하단의 포스트 콘택트(42b)는 신호용 콘택트이며 각각의 포스트 콘택트(42a, 42b)의 선단위치는 삽입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콘택트 수용캐버티(11a, 11b)의 각각의 삽입방향 전단(도 1에서의 우단)에는 포스트 콘택트(42a, 42b)가 삽통가능한 장방형의 개구(12)가 형성되고, 각 개구(12)의 삽입방향 전측에는 개구(12)의 사방을 둘러싸는 듯한경사면(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콘택트 수용캐버티(11a, 11b)의 각각의 내부에는 각 콘택트 수용캐버티(11a, 11b) 내에 수용되는 리셉터클 콘택트(20a, 20b)의 삽입방향 후측으로의 이탈방지를 수행하는 하우징 랜스(16)가 형성되어 있다. 각 하우징 랜스(16)는 콘택트 수용캐버티(11a, 11b)의 각각의 상벽 후방부에서 콘택트 수용캐버티(11a, 11b) 내에 돌출하고, 전방으로 뻗는 외팔보(canti) 교량형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콘택트 수용캐버티(11a, 11b)의 하우징 랜스(16)의 삽입방향 전방측에는 각 콘택트 수용캐버티(11a, 11b)와 연통함과 동시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 수용캐버티(11a, 11b)보다도 폭이 좁은 부가콘택트 수용캐버티(15)가 형성되어 있다. 부가콘택트 수용캐버티(15)는 하우징(10)의 삽입방향 전단에 개구되어 있다. 상단의 부가콘택트 수용캐버티(15)의 삽입방향 전단 상방에는 후술하는 부가콘택트(30)의 접촉암(34)이 상방으로 변위한 때에 접촉암(34)을 릴리프(relief)하는 릴리프 요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상단 개구(12)에는 부가콘택트(30)의 접촉암(34)이 하방으로 변위한 때에 접촉암(34)의 선단에 형성된 세폭부(細幅部)(371)를 수용하는 수용 요부(14)가 개구(12)에서 하방으로 뻗어 있다. 하우징(10)은 절연성 합성수지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리셉터클 콘택트(20a, 20b) 중 상단의 리셉터클 콘택트(20a)는 접지용 콘택트를 구성하고, 하단의 리셉터클 콘택트(20b)는 신호용 콘택트를 구성하고 있다. 각 리셉터클 콘택트(20a, 20b)는 금속판을 펀칭 및 절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시하지 않은 전선이 압착되는 전선압착부(21)와 포스트 콘택트(42a,42b)의 각각을 수용하는 리셉터클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부(22)내에는 포스트 콘택트(42a, 42b)를 수용한때에 포스트 콘택트(42a, 42b)의 각각에 탄성접촉하는 탄성접촉편(23)이 설치되어 있다. 각 리셉터클 콘택트(20a, 20b)는 하우징(10)의 삽입방향 후방측에서 콘택트 수용캐버티(11a, 11b)의 각각의 내부에 리셉터클부(22)를 선두로 하여 삽입된다. 각 리셉터클 콘택트(20a, 20b)가 콘택트 수용캐버티(11a, 11b) 내에 삽입되면 하우징 랜스(16)가 리셉터클부(22)의 후방에 위치하고 리셉터클 콘택트(20a, 20b)의 삽입방향 후측으로의 이탈방지를 행한다.
또한 하우징(10)의 상단 부가콘택트 수용캐버티(15) 내, 즉 상단의 콘택트 수용캐버티(11a) 내의 리셉터클 콘택트(20a)와 하우징(10)의 내벽과의 사이에는 부가콘택트(30)가 삽입배치된다. 이 부가콘택트(30)는 도 1,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S자형으로 형성되고, 리셉터클 콘택트(20a)의 리셉터클부(22)에 접촉하는 접촉판부(31)와 접촉판부(31)의 삽입방향 후단측에서 만곡부(32)를 통해 뻗는 계지부(33)와, 접촉판부(31)의 삽입방향 전단측에서 뻗어 콘택트(20a)의 리셉터클부(22)의 전단보다도 돌출하고 포스트 콘택트(42a)의 진입로를 가로지르는 접촉암(34)을 구비하고 있다. 부가콘택트(30)는 스테인레스등의 금속판을 타발 및 곡면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부가콘택트(30)는 계지부(33)가 하우징(10)의 내벽으로 파고들어 접촉판부(31)가 리셉터클 콘택트(20a)의 리셉터클부(22)에 접촉함으로써 하우징(10)의 내벽 및 리셉터클 콘택트(20a)간에 협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부가콘택트(30)는 상단의 콘택트 수용캐버티(11a) 내의 리셉터클 콘택트(20a)와 하우징(10)의 내벽과의 사이에 삽입배치되므로, 소형의 리셉터클 콘택트(20a)라도 시퀀셜 접속이 가능하게 하는 부가콘택트(30)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부가콘택트(30)는 접촉판부(31)의 삽입방향 전단측에서 뻗어 리셉터클콘택트부(20a)의 리셉터클부(22)의 전단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고 나아가 포스트 콘택트(42a)의 진입로를 가로지르는 접촉암(34)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포스트 콘택트(42a)가 확실하게 접촉암(34)에 접촉하고 시퀀셜 접속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나아가 부가콘택트(30)는 대략 S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수철 영역을 크게 할 수 있고 소성변형이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부가콘택트(30)는 계지부(33)가 하우징(10)의 내벽으로 파고들어 접촉판부(31)가 리셉터클 콘택트(20a)의 리셉터클부(22)에 접촉함으로써 하우징(10)의 내벽 및 리셉터클 콘택트(20a)간에 협지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접촉판부(31)과 계지부(33)과의 사이의 만곡부(32)의 탄성력이 접촉판부(31)에 작용하여 리셉터클 콘택트(20a)와 부가콘택트(30)와의 안정된 접촉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접촉암(34)은 접촉판부(31)의 삽입방향 전단측에서 경사 전방의 상방으로 뻗는 용수철 판부(35)와 용수철 판부(35)의 전단측에서 만곡부(36)을 통해 경사 후방의 하방으로 뻗어 포스트 콘택트(42a)의 진입로를 가로질러 포스트 콘택트(42a)와 접촉하는 접촉부(37)을 구비하고 있다. 접촉부(37)의 선단에는 세폭부(371)가 형성되고, 세폭부(371)의 전면에는 경사면(372)이 형성되어 있다. 이경사면(372)은 상대측 커넥터(B)가 비스듬히 감합하고 포스트 콘택트(42a)가 세폭부(371)에 접촉하는 때에 부가콘택트(30)측으로의 부담을 경감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세폭부(371)의 선단면(373)은 포스트 콘택트(42a)와의 매끄러운 접동을 확보하기 위해 반원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37) 및 세폭부(371)의 전측 뿔가장자리가 R형상으로 되어 있다. 접촉부(37) 및 세폭부(371)의 전측 뿔가장자리가 R형상을 이룸으로써 상대측 커넥터(B)를 경사 감합한 때의 포스트 콘택트(42a)로의 손상을 회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포스트 콘택트(42a)와의 매끄러운 접촉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부가콘택트(30)는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공구(T)에 의해 만곡부(32)의 내측을 압압하여 하우징(10)의 전방측보다 상단의 부가콘택트 수용캐버티(15) 내에 삽입된다. 이 때 부가콘택트(30)는 만곡부(32)의 외측이 하우징 랜스(16)의 선단에 당접하여 삽입방향의 위치결정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부가콘택트(30)의 삽입방향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부가콘택트(30)의 만곡부(32)가 하우징 랜스(16)의 선단에 당접함으로써 하우징 랜스(16)에 의한 리셉터클 콘택트(20a)의 계지를 보강할 수 있다. 그리고 공구(T)에 의해 만곡부(32)의 내측을 압압하여 부가콘택트(30)를 부가콘택트 수용캐버티(15) 내에 삽입하는 때에는 공구(T)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암(34)의 만곡부(36)의 상면에 접하고 용수철 판부(35)가 하방으로 변위하여 세폭부(371)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세폭부(371)는 하우징(10)의 상단 개구(12)에서 하방으로 뻗는 수용요부(14) 내에 수용되므로 부가콘택트(30)의 삽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부가콘택트(30)의 계지부(33) 근방 및 용수철 판부(35)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측부에는 부가콘택트 수용캐버티(15) 내측벽에 당접함으로써 부가콘택트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광폭부(38, 3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부가콘택트(30)의 삽입배치 혹은 그 후에 부가콘택트(30)의 광폭부(38, 39)가 부가콘택트 수용캐버티(15) 내측벽에 당접하면 부가콘택트(30)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로 인해 부가콘택트(30)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어긋남을 최대한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용수철 판부(35)의 측부에 형성된 광폭부(39)의 외측 각부(角部)는 R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로 인해 용수철 판부(35)가 변위하는 때에 부가콘택트 수용캐버티(15)의 내측벽에 대한 광폭부(39)의 접촉 영향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과 같이 상단의 부가콘택트 수용캐버티(15) 내에 부가콘택트(30)를 삽입배치한 상태에서 상대측 커넥터(B)를 감합접속하면, 우선 접지용 콘택트를 구성하는 상단의 포스트 콘택트(42a)의 선단이 부가콘택트(30)의 접촉부(37) 외면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우선 접지용 콘택트를 구성하는 상단의 포스트 콘택트(42a)와 접지용 콘택트를 구성하는 상단의 리셉터클 콘택트(20a)가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그리고 포스트 콘택트(42a)의 삽입을 진행시키면 포스트 콘택트(42a)가 접촉부(37)외면에서 세폭부(371)의 외면 및 선단면(373)을 따라 접동하고, 이에 따라 접촉암(34)이 용수철 판부(35)의 후방측 단부 근방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변위한다. 이 접촉암(34)이 상방으로 변위한 때에는 부가콘택트 수용캐버티(15)에 형성된 릴리프 요부(151) 내에 접촉암(34)의 만곡부(36) 근방이 위치하고 접촉암(34)과 하우징(10)과의 접촉이 회피된다. 그리고 포스트 콘택트(42a)의 삽입을 더욱 진행시키면 포스트 콘택트(42a)는 상단의 리셉터클 콘택트(20a)의 리셉터클부(22) 내에 수용되고 포스트 콘택트(42a)가 탄성접촉편(23)에 접촉한다. 이 때 동시에 신호용 콘택트를 구성하는 하단의 포스트 콘택트(42b)가 신호용 콘택트를 구성하는 하단의 리셉터클 콘택트(20b)의 리셉터클부(22) 내에 수용되고, 포스트 콘택트(42b)가 탄성접촉편(23)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신호용 콘택트를 구성하는 하단의 포스트 콘택트(42b)와 신호용 콘택트를 구성하는 하단의 리셉터클 콘택트(20b)가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단의 부가콘택트 수용캐버티(15) 내에 부가콘택트(30)를 삽입함으로써 우선 접지용 콘택트를 구성하는 상단의 포스트 콘택트(42a)와 접지용 콘택트를 구성하는 상단의 리셉터클 콘택트(20a)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키고, 이어서 신호용 콘택트를 구성하는 하단의 포스트 콘택트(42b)와 신호용 콘택트를 구성하는 하단의 리셉터클 콘택트(20b)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킴으로써 시퀀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셉터클 콘택트(20a, 20b)는 상하 2단으로 배치될 필요는 없고 1단, 상하 3단 혹은 그 이상으로 배치되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중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관계되는 시퀀셜 접속커넥터에 의하면, 콘택트 수용캐버티의 리셉터클 콘택트와 하우징의 내벽과의 사이에 삽입배치된 부가콘택트를 구비하므로, 소형 리셉터클 콘택트의 경우에도 시퀀셜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부가콘택트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부가콘택트는 접촉판부의 삽입방향 전단측에서 뻗어 리셉터클 콘택트의 전단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여 상대 수형콘택트의 진입로를 가로지르는 접촉암을 구비하므로, 상대 수형콘택트가 확실하게 접촉암에 접촉하여 시퀀셜 접속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부가콘택트는 접촉판부의 삽입방향 후단측에서 만곡부를 통해 뻗는 계지부가 하우징의 내벽에 파고 들어 접촉판부가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함으로써 하우징의 내벽 및 리셉터클 콘택트간에 협지되므로 접촉판부와 계지부간의 만곡부의 탄성력이 접촉판부에 작용하여 리셉터클 콘택트와 부가콘택트와의 안정된 접촉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계되는 시퀀셜 접속커넥터에 의하면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가콘택트는 대략 S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프링 영역을 크게 할 수 있고, 소형변형이 어려운 부가콘택트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계되는 시퀀셜 접속커넥터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가콘택트는 상기 만곡부가 하우징 랜스의 선단에 당접하여 삽입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부가콘택트의 만곡부가 하우징 랜스의 선단에 당접함으로써 하우징랜스에 의한 콘택트의 계지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계되는 시퀀셜 접속커넥터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3기재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가콘택트의 상기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측부에는 상기 부가콘택트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광폭부가 형성되므로, 부가콘택트의 삽입배치시 혹은 그 후에 있어서, 부가콘택트의 광폭부에 의해 부가콘택트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로 인해 부가콘택트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어느 한쪽을 극히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계되는 시퀀셜 접속커넥터에 사용되는 부가콘택트에 의하면,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는 접촉판부와, 해당 접촉판부의 후단측에서 만곡부를 통해 뻗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파고드는 계지부와, 해당 접촉판부의 전단측에서 뻗어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의 전단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여 상대 수형콘택트의 진입로를 가로지르는 접촉암을 구비하므로, 청구항 1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소형 리셉터클의 경우에도 시퀀셜 접속을 가능케 하는 부가콘택트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대 수형콘택트가 확실하게 접촉암에 접촉하여 시퀀셜 접속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관계되는 시퀀셜 접속커넥터에 사용되는 부가콘택트에 의하면, 청구항 5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대략 S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스프링영역을 크게 할 수 있고, 소성변형이 어려운 구조의 부가콘택트로 할 수 있다.

Claims (6)

  1. 콘택트 수용캐버티를 갖는 절연성 하우징과, 상기 콘택트 수용캐버티 내에 수용된 리셉터클 콘택트를 구비한 시퀀셜 접속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수용캐버티 내의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의 사이에 삽입배치된 부가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부가콘택트는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는 접촉판부와, 상기 접촉판부의 삽입방향 후단측에서 만곡부를 통해 뻗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파고드는 계지부와, 상기 접촉판부의 삽입방향 전단측에서 뻗어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의 전단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대 수형콘택트의 진입로를 가로지르는 접촉암을 구비하고, 상기 부가콘택트는 상기 계지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파고들고 상기 접촉판부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벽 및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간에 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퀀셜 접속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콘택트는 대략 S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퀀셜 접속커넥터.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콘택트는 상기 만곡부가 하우징 랜스의 선단에 당접하여 삽입방향의 위치결정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퀀셜 접속커넥터.
  4. 제1항 내지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콘택트의 상기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측부에는 상기 부가콘택트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광폭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퀀셜 접속커넥터.
  5. 콘택트 수용캐버티를 갖는 절연성 하우징과, 상기 콘택트 수용캐버티 내에 수용된 리셉터클 콘택트를 구비한 시퀀셜 접속커넥터에 사용되는 부가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는 접촉판부와, 해당 접촉판부의 후단측에서 만곡부를 통해 뻗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파고드는 계지부와, 해당 접촉판부의 전단측에서 뻗어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의 전단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대 수형콘택트의 진입로를 가로지르는 접촉암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퀀셜 접속커넥터에 사용되는 부가콘택트.
  6. 제5항에 있어서,
    대략 S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퀀셜 접속커넥터에 사용되는 부가콘택트.
KR10-2003-0022908A 2002-05-09 2003-04-11 시퀀셜 접속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부가콘택트 KR200300879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34034A JP3699057B2 (ja) 2002-05-09 2002-05-09 シーケンシャル接続コネクタ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付加コンタクト
JPJP-P-2002-00134034 2002-05-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921A true KR20030087921A (ko) 2003-11-15

Family

ID=29397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908A KR20030087921A (ko) 2002-05-09 2003-04-11 시퀀셜 접속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부가콘택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90192B2 (ko)
JP (1) JP3699057B2 (ko)
KR (1) KR20030087921A (ko)
TW (1) TWI2608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8348B2 (en) * 2002-11-27 2005-06-21 Alcoa Fujikura Limited Box terminal with extended contact surfaces and controlled damage location during high voltage arcing with and without suppression under a magnetic field
US7462079B2 (en) * 2005-11-14 2008-12-0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with wire trap
CA2573845C (en) * 2006-04-20 2009-11-24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 components
US7285006B1 (en) * 2006-10-12 2007-10-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pring-clamp style contact for PCB to terminate solar panel tabbing
US7347741B1 (en) * 2007-01-16 2008-03-2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tact with locking lances
US20090126966A1 (en) * 2007-11-21 2009-05-2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Wire management transition block
US7618279B1 (en) 2008-06-26 2009-11-17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One-piece push-in electrical contact terminal
US8535095B2 (en) * 2009-01-22 2013-09-17 Ls Cable & System Ltd. Clip-type elastic contact piece and shielded connector housing assembly having the same
JP5359975B2 (ja) * 2010-04-07 2013-12-0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6445270B2 (ja) * 2014-07-17 2018-12-2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
JP6653449B2 (ja) * 2016-06-20 2020-02-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ンセント
JP6451714B2 (ja) * 2016-10-06 2019-01-16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コネクタ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6987A (en) * 1972-06-09 1974-03-12 Amp Inc Electrical receptacle and connector
US4787886A (en) * 1987-02-05 1988-11-29 Cosman Eric R Pressure sensor controlled valve
JPS63261685A (ja) 1987-04-07 1988-10-28 アンプ インコ−ポレ−テツド 多端子コネクタ
DE4413643C2 (de) * 1994-04-20 1996-03-28 Vossloh Schwabe Gmbh Elektrische Anschluß- und Verbindungsklemme
US5591039A (en) * 1995-06-01 1997-01-07 Elcon Products International Socket contact with arc arresting member
US6146187A (en) * 1998-11-25 2000-11-14 Supplie & Co. Import/Export, Inc. Screwless terminal block
GB0104860D0 (en) * 2000-03-02 2001-04-18 Yazaki Corp Connector assembly
JP2001250622A (ja) * 2000-03-03 2001-09-14 Yazaki Corp 接続端子
US6537092B2 (en) * 2001-02-02 2003-03-25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Arc discharge suppressive connector
FR2824960B1 (fr) * 2001-05-15 2003-08-15 Entrelec Dispositif de raccordement a pousso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211762A1 (en) 2003-11-13
JP2003331992A (ja) 2003-11-21
US6890192B2 (en) 2005-05-10
TWI260834B (en) 2006-08-21
JP3699057B2 (ja) 2005-09-28
TW200405626A (en)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4420B1 (en) Electrical connector
US6585537B1 (en) Cable end connector with locking member
US5535513A (en) Method for making surface mountable connectors
US4647136A (en) Modular plug and printed circuit connector
US6494781B2 (en) Card edge connector
US4648665A (en) Electronic key assemblies
US6659797B2 (en) Connector with resiliently deflectable lock arm
US10404022B2 (en) Terminal of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pring durability
US20050112952A1 (en) Power jack connector
KR20000076849A (ko) 전기커넥터
KR20030087921A (ko) 시퀀셜 접속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부가콘택트
US20010021609A1 (en) Battery connector
US20040067677A1 (en)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used in the same
KR100742599B1 (ko)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및 전기커넥터
US7922507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a flange-like plane portion for guiding insertion of a card
US5057032A (en) Board edge connector
US6659804B2 (en) Multi-contact connector
US20050266722A1 (en) Board attachment type electrical connector
US6971923B1 (en)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organizer
US6780063B2 (en) Wire connected modular jack and assembling method
US6186833B1 (en) Hybrid connector with audio jack
WO2004049520A1 (ja) 基板用電気コネクタ、基板用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の成形方法、および基板用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の射出成形用金型
KR100618477B1 (ko) 메모리 카드 커넥터
KR101175170B1 (ko) 소켓 콘택트
JP3246894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