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7501A -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7501A
KR20030087501A KR1020020025888A KR20020025888A KR20030087501A KR 20030087501 A KR20030087501 A KR 20030087501A KR 1020020025888 A KR1020020025888 A KR 1020020025888A KR 20020025888 A KR20020025888 A KR 20020025888A KR 20030087501 A KR20030087501 A KR 20030087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ut
boundary stone
road boundary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8312B1 (ko
Inventor
이익규
Original Assignee
이익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규 filed Critical 이익규
Priority to KR10-2002-0025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312B1/ko
Publication of KR20030087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3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7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with the work mounted on a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3Gantry type saw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with a plurality of saw bl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로경계석(50)을 연속적인 단일 작업라인의 각 절단절삭장치들에 의해 한쪽의 수직측면과 함께 다른 한쪽의 경사측면(52)의 테두리면(53)이 직선절삭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환경과 생산단가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자, 유압실린더(74)에 의해 일측이 경사 또는 수평상태에서 수평주롤러(61)의 회전에 따른 수평부롤러(67) 위의 고무벨트(64)에 의해 원석(50)이 이송되면서 절단가공되는 원석이송장치(60a)(60b)와, 원석이송장치 (60a)에 의해 탑재이송된 도로경계석(50) 원석을 길이방향으로 경사절단 또는 수직절단할 수 있도록 각각 그 크기를 달리하는 다수의 경사길이절단휠(30a) 또는 수직길이절단휠(30b)들이 설치되는 경사수직절단장치(10a)와, 고정된 메인베드(16b)를 따라 각각 상하좌우이동이 조절되면서 절삭가공할 도로경계석(50)의 테두리 경사각도에 맞게 테두리절삭휠(30c)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직경사절단장치 (10a)에 의해 길이절단된 각각의 도로경계석(90) 원석의 일측 테두리부위를 절삭가공하는 테두리절삭장치(10b)와, 또 다른 원석이송장치(60b)에 의해 탑재이송된 도로경계석(50) 원석을 폭절단할 수 있도록 수평높이를 같이하는 규격폭절단휠(30d)들이 설치되는 규격폭절단장치(10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A Stone Cut Working System Of The Road Boundary Stone}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경계석을 연속공정으로 절단가공하기 위한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변의 경계표시 및 안전수단으로 사용되는 도로경계석을 한 공정의 작업중 다른 공정도 동시에 작업이가능한 연속적인 단일 작업라인의 각 절단절삭장치들에 의해 한쪽의 수직측면과 함께 다른 한쪽의 경사측면의 테두리면이 직선절삭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높혀 작업환경도 청결하게 하는 동시에 생산단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도 양쪽의 도로변에는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경계표시로서 화강암의 원석을 사용한 도로경계석이 점차적으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도로경계석은 수분 및 마모에 취약한 대부분의 콘크리트재와는 달리 원형 훼손이 거의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면서 도로 미관도 살릴 수 있는 이점 때문에 다소 초기비용의 부담이 있더라도 그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이러한 도로경계석은 차도쪽 측면부위를 일정각도 경사지게 절단처리하여 도로변에 설치함으로서, 타이어의 바깥쪽 측면부위가 접촉되더라도 도로경계석의 경사각도에 의해 타이어의 직접적인 접촉훼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금까지 대부분의 도로경계석은 경사면을 갖는 기계적인 대량생산이 곤란하여 단순 직육면형태로 제품생산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경우에 따라 경사면을 갖는 도로경계석이 절단가공하기 위해서는 생산한 원석을 일정크기로 절단처리한 후에, 지게차를 이용해서 우선 길이절단장치로 이동하여 일정간격 횡방향으로 길이절단하고, 일정간격으로 길이절단된 원석을 다시 지게차를 이용해서 폭절단장치로 이동하여 일정폭의 종방향으로 폭절단하였다.
그러다가, 특허출원 2001-0012648에서와 같이 도로경계석을 탑재이송시키는이송대차를 이용하여 별도의 방향회전없이도 직진이동만으로도 소정의 경계석규격으로 도로경계석을 가공형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석재절단시스템은 대차이송식으로 반복이송됨으로써, 경사 또는 수직길이방향의 절단가공공정의 작업후 규격폭방향의 절단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경사 또는 수직길이방향의 절단가공장치를 작동시키지 못했고, 마지막공정인 테두리면절삭공정의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앞의 경사 또는 수직길이방향의 절단장치와 규격폭절단장치를 작동시키지 못했다.
따라서, 원석을 사용한 도로경계석을 절단가공처리하기 위한 작업공정이 한 공정의 작업중 다른 공정도 동시에 작업이 가능하게 연속적이지 못해 각 작업공정으로 원석을 이송시키기 위한 번거로운 이송공정이 추가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인력소모는 물론 작업효율이 떨어지면서 작업공간도 필요이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으면서 대량생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곤란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로경계석의 경사측면에 대해 절삭가공으로 타이어의 접촉정도가 줄어들게 형성되었던 일정각도의 테두리부위는 경사측면보다 그 경사각도가 조금 크게 경사지기는 하였으나, 테두리부위가 직선절곡된 콘크리트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타이어와의 접촉파손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사측면의 테두리부위가 직선형태로 그 절삭가공이 자동으로 대량생산될 수 있도록 하여 타이어와의 접촉정도를 구조적으로 확실하게 줄이고자 발명된 것으로, 도로변의 경계표시 및 안전수단으로 사용되는 도로경계석을 연속적인 단일 작업라인의 각 절단절삭장치들에 의해 한쪽의 수직측면과 함께 다른 한쪽의 경사측면의 테두리면이 직선절삭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높히면서 작업환경도 청결하게 하는 동시에 생산단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기울기조절이 가능하면서 도로경계석을 탑재이송시키는 원석이송장치를 각각의 공정별로 배치시켜 한 공정의 작업중 다른 공정도 동시에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방향회전없이 직진이동만으로 소정의 경계석규격으로 도로경계석을 가공형성할 수 있는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 평면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 측면구조도.
도 3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의 경사길이방향절단장치 작동구조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의 테두리절삭장치 작동구조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에 적용된 규격폭절단장치의 정면방향, 평면방향, 그리고 측면방향구조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의 원석이송장치 작동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의 원석이송장치의 측면구조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을 통해 절단가공된 도로경계석을 도로변에 설치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 : 경사수직절단장치 10b : 테두리절삭장치
10c : 규격폭절단장치 12a,12b : 가이드포스트
14a,14b : 가이드샤프트 16a,16b : 메인베드
18a,18b : 크로스포스트 20a,20b : 베드구동모터
21b : 경계석통과홈 22a,22b : 구동체인
23b : 지지브래킷 24a,24b,24c : 휠구동모터
25b : 휠구동축 26a,26b : 구동벨트
28a,28b : 휠회전축 30a : 경사길이절단휠
30b : 수직길이절단휠 30c : 테두리절삭휠
30d : 규격폭절단휠 32a,32b : 냉각수살수구
34a,34b : 냉각수공급관 38b : 모터지지플레이트
42 : 제어반 43 : 제품이송대
44 : 지게차 45 : 호이스트
50 : 도로경계석 51 : 수직측면
52 : 경사측면 53 : 테두리면
56 : 타이어 57 : 미끄럼방지구
58 : 롤러주축 60a,60b : 원석이송장치
61 : 수평주롤러 62 : 미끄럼방지홈
63 : 방수홈 64 : 고무벨트
65 : 롤러베어링 66 : 리테이너
67 : 수평부롤러 68 : 롤러고정구
69 : 미끄럼방지돌기 71 : 기둥후레임
72 : 후레임힌지 73 : 수평후레임
74 : 유압실린더 75 : 방수덮개
76 : 벨트구동모터 77 : 절단홈
81 : 전후작동모터 82 : 전후샤프트기어
83 : 샤프트고정구 84 : 샤프트이동기어
85 : 전후베드 86 : 전후이동체
87 : 전후레일 88 : 레일홈
91 : 상하작동모터 92 : 상하샤프트기어
93 : 절단기몸체 94 : 높이조절힌지
95 : 베벨기어 98 : 높이조절구
99 : 높이조절공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일측이 기울어지거나 수평상태에서 수평주롤러의 회전에 따른 수평부롤러 위의 고무벨트에 의해 원석이 이송되면서 경사진 모양이나 수직모양으로 절단가공되는 원석이송장치와, 원석이송장치에 의해 탑재이송된 도로경계석 원석을 길이방향으로 경사절단 또는 수직절단할 수 있도록 각각 그 크기를 달리하는 다수의 경사길이절단휠 또는 수직길이절단휠들이 설치되는 경사수직절단장치와, 고정된 메인베드를 따라 각각 상하이동 및 좌우이동이 조절되면서 절삭가공할 도로경계석의 테두리 경사각도에 맞게 테두리절삭휠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직경사절단장치에 의해 길이절단된 각각의 도로경계석 원석의 일측 테두리부위를 절삭가공하는 테두리절삭장치와, 또 다른 원석이송장치에 의해 탑재이송된 도로경계석 원석을 경계석규격으로 폭절단할 수 있도록 수평높이를 같이하는 규격폭절단휠들이 설치되는 규격폭절단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규격폭절단장치는 도로경계석 원석을 절단하도록 규격폭절단휠이 회전가능하게 결합형성된 절단기몸체와, 절단기몸체가 상하이동되게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그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상하샤프트기어와, 절단기몸체의 양측에 일체형성된 전후이동체가 전후이동될 수 있게 전후레일이 돌출형성된 전후베드와, 절단기몸체가 전후이동체와 함께 전후이동되게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그 양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전후샤프트기어와, 양측의 전후베드를 사방에서 지지하는 기둥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규격폭절단장치는 전후베드의 기울기조절이 가능하도록 전후베드의 하단과 기둥후레임은 높이조절힌지에 의해 결합형성되고 전후베드의 상단에는 전후베드 상단측의 기둥후레임의 상단과 볼트결합되도록 높이조절공을 관통형성된 높이조절구가 설치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후샤프트기어 및 상하샤프트기어는 이동될 수 있도록 전후이동체 각각의 일측에 그 주연을 치합할 수 있는 기어형태로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후샤프트기어 및 상하샤프트기어는 각각의 일단에 형성된 직각 치합되는 베벨기어에 의해 각각 전후작동모터 및 상하작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원석이송장치는 고무벨트 하방 내측에서 기울어져 미끄러지지 않도록돌출형성된 미끄럼방지돌기와 수평주롤러의 주연에 요홈형성된 미끄럼방지홈이 교합되어 고무벨트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원석이송장치는 유압실린더의 타측이면서 고무벨트의 상부에 원석의 경사시 기울어지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돌출형성된 미끄럼방지구가 수평주롤러에서 원활히 회전되면서 경사길이절단휠 또는 수직길이절단휠에 의해 절단되지 않도록 경사, 수직길이절단휠이 지나가는 위치에 맞게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홈이 요홈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원석이송장치는 수평주롤러의 양 내측 주연이면서 수평주롤러의 양측에 설치형성된 방수덮개의 단부 하측의 롤러베어링과 리테이너가 설치된 부분에 물이 흘러 들어오지 않도록 방수홈이 요홈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로경계석은 수평면인 상하부위에 대해 길이방향 양측부위가 수직측면 및 경사측면으로 절단형성되는 한편, 경사측면의 상측부위가 직선형태로 절삭가공되어 도보변의 차도쪽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에 대한 구성설명 및 작동관계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며, 설명편의상 도로변의 도로경계석(50)으로 사용되는 원석을 제품형성된 도로경계석(50)과 동일부호로 처리한다.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시스템평면구조 및 시스템측면구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로경계석(50) 원석을 길이방향으로 경사절단할 수 있도록 각각 그 크기를 달리하는 다수의 경사길이절단휠(30a)들이설치되거나 수직절단할 수 있도록 수평높이를 같이하는 수직길이절단휠(30b)들이 설치되는 경사수직절단장치(10a)와, 각각의 도로경계석(50)에 대해 그 수직측면(51)과 경사측면(52)을 마무리 절삭가공하면서 상기 경사측면(52)의 테두리면(53)을 직선형태로 절삭가공하게 되는 테두리절삭장치(10b)와, 도로경계석(50) 원석을 경계석규격으로 폭절단할 수 있도록 수평높이를 전체덕으로 조절할수 있는 규격폭절단휠(30c)들이 설치되는 규격폭절단장치(10c)를 포함하여 연속공정이 이루어지는 단일 작업라인에 각각 설치구성된다.
즉, 작업라인 단부에 각각 그 크기를 달리하는 다수의 경사길이절단휠(30a) 또는 수직길이절단휠(30b)들이 설치된 경사수직절단장치(10a)가 배치되어 원석이송장치(60a)에 의해 경사지게 또는 수평하게 탑재고정된 도로경계석(50) 원석을 우선 길이방향으로 경사절단 또는 수직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경계석규격으로 경사절단 또는 수직절단된 도로경계석(50)의 수직측면(51) 또는 경사측면(52)에 대해 마감절삭하여 직선형태 테두리면(53)을 절삭가공할 수 있도록 테두리절삭휠(30c)가 전방 양측에 배치구성되고, 수평높이를 같이하는 규격폭절단휠(30d)들이 도로경계석 길이규격과 절단기울기에 맞게 설치된 규격폭절단장치(10c)가 테두리절삭장치(10b)의 뒤에 배치되어 원석이송장치(60b)에 의해 일정속도로 통과되는 도로경계석(50) 원석을 경계석규격으로 폭절단하게 배치구성된다.
이때, 원석이송장치(60a)(60b)는 공정상 경사수직절단장치(10a) 및 테두리절삭장치(10b)의 작업중 규격폭절단장치(10c)의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경사수직절단장치(10a) 및 테두리절삭장치(10b)와 규격폭절단장치(10c)로 나뉘어 배치된다.
우선, 상기 경사수직절단장치(10a)는 도 3a 내지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라인 양쪽으로 가이드포스트(12a)에 설치된 가이드샤프트(14a)가 구동체인(22a)을 통해 크로스포스트(18a) 위쪽의 베드구동모터(20a)와 동력연결되어 메인베드(16a)를 수직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베드(16a) 저부의 휠회전축(28a)에 그 크기를 달리하여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경사길이절단휠(30a)들이 구동벨트(26a)를 통해 휠구동모터(24a)와 동력연결되어 회전작동된다.
이때, 상기 경사길이절단휠(30a)들은 단일개의 휠회전축(28a)을 중심으로 동일 수평선상에 축설되면서 서로 그 크기(구경)를 달리하여 유압실린더(74)에 의해 고무벨트(64) 일측의 높이조절을 통해 경사조절된 원석이송장치(60a)에 의해 정지대기하는 도로경계석(50) 원석을 길이방향으로 경사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로경계석(50) 원석을 수직으로 절단하는 경우에는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길이절단휠(30a) 대신 수직길이절단휠(30b)을 장착시키고 원석이송장치(60a)의 유압실린더(74)를 하강조절하여 고무벨트(64)를 수평으로 한 후, 경사절단이 이루어지듯 도로경계석(50) 원석을 수직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절삭장치(10b)는 도 5a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쪽의 가이드포스트(12b)가 종설되면서 이들 가이드포스트(12b)의 상단 사이에는 메인베드(16b)가 횡설고정되며, 상기 가이드포스트(12b) 상단에 설치된 베드구동모터(20b)로부터의 구동동력이 구동체인(22b)을 통해 상기 메인베드(16b)에 횡설되어 회전동작되는 가이드샤프트(14b)로 전달되며, 상기 가이드샤프트(14b)에는 일정간격마다 테두리절삭휠(30c)이 회전작동될 수 있는 수평이동플레이트(39)가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샤프트(14b)의 회전동작에 따라 상기 수평이동플레이트(39)가 좌우이동되면서 간격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수평이동플레이트(39)에는 베드구동모터(20b)로부터의 구동동력을 통해 수직이동되면서 해당 테두리절삭휠(30c)의 상하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수직이동플레이트(40)가 설치되며, 상기 수직이동플레이트(40)에 설치된 휠구동모터(24b)로부터의 구동동력이 구동벨트(26b)를 통해 휠회전축(28b)으로 절단되어 해당 테두리절삭휠(30c)을 회전작동시켜 도로경계석(50) 원석의 일측 테두리부위를 일정각도로 절삭가공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수평이동플레이트(39) 및 수직이동플레이트(40)를 통해 각각 좌우간격 및 상하높이가 조절되면서 절삭가공할 도로경계석(50)의 테두리부위에 맞게 경사조절된 테두리절삭휠(30c)이 해당 휠구동모터(24b)로부터의 구동동력에 의해 회전동작되면서 횡방향으로 길이절단되어 통과되는 도로경계석(50) 원석의 일측 테두리부위를 해당 경사각도로 절삭가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들 테두리절삭휠(30c)은 수직경사절단장치(10a)의 수직,경사길이절단휠(30a)(30b)과는 달리 경사상태에서 회전동작되면서 서로 접촉파손되지 않도록 메인베드(16b)에 지그재그로 설치되며, 아울러 상술한 수직경사절단장치(10a)의 수직,경사길이절단휠(30a)(30b)과 같이 각각의 테두리절삭휠(30c)에는 냉각수공급관(54b)을 통해 공급되는 각각의 냉각수살수구(32b)를 통해 냉각수가 배출살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규격폭절단장치(10c)는 도 6a 내지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단기몸체(23)의 내측 하부에 휠구동모터(24c)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규격폭절단휠(30d)을 통해 기울기조절이 가능한 원석이송장치(60b)에 의해 이송된 도로경계석(50) 원석을 절단가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따라서, 절단기몸체(93) 상단에는 구동력을 전달 할 수 있는 상하작동모터(91)가 설치되며, 상기 상하작동모터(91)의 양측에 연결되면서 직각으로 치합되는 베벨기어(95)에는 상기 절단기몸체(93)가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샤프트기어(92)가 연결형성된다.
또한, 상하샤프트기어(92)와 맞물려 돌아갈 수 있는 샤프트이동기어(84)가 관통형성된 전후이동체(86)가 절단기몸체(93)의 양측에 형성되어 절단기몸체(93)와 함께 본 고안의 경계석 절단가공장치에서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샤프트이동기어(84)가 그 양측면에 또한 설치형성된다.
그리고, 전후이동체(86)는 하부 중앙에 레일홈(88)이 요홈형성되어 상부 중앙에 전후레일(87)이 돌출형성된 전후베드(85)의 위에서 이동하게 되고, 절단기몸체(93)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전후베드(85)를 지지할 수 있도록 그 사방에 기둥후레임(71)이 지지형성되며, 상기 전후베드(85)의 상하단에는 그 양쪽을 잇는 후레임(97)이 연결형성된다.
또한, 상측 수평후레임(71) 중앙에는 양측에 직각으로 치합되는 베벨기어(95)가 연결된 전후작동모터(81)가 설치형성되며, 상기 베벨기어(95)의 일측에는 전후이동체(86)가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그 측면에 위치형성된 샤프트이동기어(84)의 내부에 치합되는 전후샤프트기어(82)가 연결형성된다.
그리고, 전후샤프트기어(82)가 지지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전후베드(85)의 상하부 측면에는 샤프트고정구(83)가 각각 설치형성되며, 상기 전후베드(85)의 기울기조절이 가능하여 수직 또는 경사진 형태의 도로경계석(50) 규격폭을 절단하도록 상기 전후베드(85)의 하단과 기둥후레임(71)은 높이조절힌지(94)에 의해 결합형성되고, 상기 전후베드(85)의 상단에는 높이조절구(98)가 설치형성된다.
또한, 높이조절구(98)는 원추형으로 높이조절힌지(94)의 회전에 따라 전후베드(85) 상단의 기둥후레임(71)의 상단과 볼트결합되도록 그 자체와 상기 기둥후레임(71)의 상단에 높이조절공(99)이 관통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실시예에서는 샤프트기어(82)를 사용하였으나, 절단기몸체(83)를 전후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유압실린더(도면부호 생략)를 사용하더라도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규격폭절단장치(10c)는 미리 도로경계석(50) 원석과 원석이송장치(60b)의 기울기에 맞게 전후베드(85)의 기울기를 높이조절구(98)를 조절하여 맞춘다.
그리고, 전후작동모터(81)를 작동시켜 베벨기어(95)에 회전력을 전달시키고, 다시 상기 베벨기어(95)는 전후샤프트기어(82)에 회전력을 전달시켜전후이동체(86)에 연결된 절단기몸체(93)를 사용자가 절단하고자 하는 원석이송장치(60b)에 의해 이송된 도로경계석(50) 원석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하작동모터(91)를 작동시켜 베벨기어(95)에 회전력을 전달시키고, 다시 상기 베벨기어(95)는 상하샤프트기어(92)에 회전력을 전달시켜 절단기몸체(93)를 사용자가 절단하고자 하는 도로경계석(50) 원석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규격폭절단휠(30d)이 휠구동모터(24c)에 의해 회전되는 동시에 전후작동모터(81)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절단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절단기몸체(93)를 수평이동시키는 동시에, 상하작동모터(91)를 작동시켜 도로경계석(50) 원석이 원석이송장치(60b) 위에 놓인 경사각에 맞게 절단기몸체(93)를 상하이동시킴으로서 경사각을 갖는 모양의 도로경계석을 절단하여 가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원석이송장치(60a)(60b)는 도 7a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74)에 의해 일측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수평주롤러(61)의 회전에 의해 원석(50)이 이동되면서 경사진 모양으로 절단가공이 가능한 장치이다.
따라서, 수직방향의 기둥후레임(71)이 일측에 후레임힌지(72)에 의해 수평방향의 수평후레임(73)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형성되고, 상기 수평후레임(73)은 다시 타측의 유압실린더(74) 하단과 후레임힌지(72)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형성되며, 또한 유압실린더(74)의 상단은 타측 수직방향의 기둥후레임(71) 일측에 후레임힌지(72)에 의해 일측이 상승 및 하강하여 원석이송장치(60a)(60b)가 경사지도록 결합형성된다.
그리고, 기둥후레임(71)의 상부 양측으로 수평주롤러(61)가 앞뒤로 설치형성되고 앞뒤의 수평주롤러(61)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수평부롤러(67)가 원석(50)의 이송중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롤러고정구(6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나란히 설치형성된다.
또한, 기둥후레임(71)의 일측에 수평주롤러(61)를 설치형성시키는 롤러주축(67)의 주연에는 수평주롤러(61)의 회전이 원활히 되도록 롤러베어링(65)이 설치형성되며, 그 안쪽에는 롤러베어링(65)에서 수평주롤러(61)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되어 회전하도록 리테이너(66)가 설치형성된다.
그리고, 수평주롤러(61)의 회전에 의해 연속회전하여 원석(50)을 이송시키도록 고무벨트(64)가 상기 양쪽 수평주롤러(61)에 감겨져 설치형성되고, 상기 고무벨트(64)의 하방 내측에는 기울어져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방지돌기(69)가 돌출형성되면서 상기 수평주롤러(61)의 주연에는 상기 미끄럼방지돌기(69)가 교합될 수 있도록 미끄방지홈(62)이 요홈형성된다.
또한, 유압실린더(74)의 타측이면서 고무벨트(64)의 상부에는 원석(50)이 기울어지면서 미끄려져 흘러내리지 않도록 미끄럼방지구(57)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수평주롤러(61)의 양측에는 방수덮개(75)가 설치형성되며, 상기 수평주롤러(61)의 양 내측 주연이면서 상기 방수덮개(75)의 단부 하측에는 롤러베어링(65)과 리테이너(66)가 설치된 부분에 물이 흘러들어오지 않도록 방수홈(63)이 요홈형성된다.
그리고, 일측의 롤러주축(58)의 단부는 벨트구동모터(76)에 동력연결되며, 미끄럼방지구(57)는 수평주롤러(61)에서 원활히 회전되면서 경사길이절단휠(30a) 및 수직길이절단휠(30b)에 의해 절단되지 않도록 고무벨트(64)의 원석이송방향과교차되는 방향으로 원석이송중 절단가공을 위한 경사,수직길이절단휠(30a)(30b)이 지나가는 위치에 맞게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홈(77)이 요홈형성된다.
상기의 원석이송장치(60a)(60b)는 원석(50)을 경사진 모양으로 절단하는 경우에는 유압실린더(74)에 의해 동측의 기둥후레임(71)과 더불어 수평주롤러(61)가 상승하여 고무벨트(61) 위에 상기 원석(50)이 탑재이송되면서 미끄럼방지구(57)에 의해 흘러내리지는 않게 된다.
또한, 원석(50)의 이송중 절단홈(77)은 미끄럼방지구(57)가 수평주롤러(61)에 원활히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원석(50)의 규격폭절단휠(30d)에 의한 규격폭이 절단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미끄럼방지구(57)가 절단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수평주롤러(61)의 외측에 감기는 고무벨트(64)가 경사시 수평주롤러(61) 주연의 미끄럼방지홈(62)과 고무벨트(64) 하부 내측의 미끄럼방지돌기(69)에 의해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의 원석이송장치(60a)(60b)는 원석(50)을 수직모양으로 절단하는 경우에는 유압실린더(74)에 의해 동측의 기둥후레임(71)과 더불어 수평주롤러(61)가 하강하여 고무벨트(61) 위에 상기 원석(50)이 탑재이송된다.
아울러, 작업중의 물이나 빗물 등이 수평주롤러(61)와 수평부롤러(67)의 회전부분을 덮은 방수덮개(75)에 의해 스며들지 않고 방수홈(63)을 따라 흘러내려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장치에 의하면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별도의 호이스트(45)에 의해 운반된 도로경계석(50) 원석은 원석이송장치(60a)(60b)에 의해 이송되어 유압실린더(74)에 의해 필요에 따라 경사조절되거나 수평조절된 도로경계석(50) 원석이 작업라인 중앙에 각각 그 크기를 달리하는 경사길이절단휠(30a) 또는 그 크기를 같이하는 수직길이절단휠(30b)들이 길이방향으로 왕복작동되게 설치된 경사수직절단장치(10a)에 정지대기하면서 우선 길이방향으로 경사절단 또는 수직절단된다.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그 수직측면 및 경사측면이 절단처리된 도로경계석 (50) 원석은 원석이송장치(60a)(60b)에 의해 운반탑재되어 일정속도로 이송되면서 테두리절삭장치(10b)에 의해 그 경사측면(52) 또는 수직측면(51)이 마감절단되어 그 상측의 테두리면(53)은 연속적으로 절삭가공되어 타이어(56)와의 접촉파손이 줄어들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부드럽게 직선형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수평높이를 같이하면서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규격폭절단휠(30d)들이 도로경계석 길이규격에 맞게 설치된 규격폭절단장치(10c)로 또 다른 원석이송장치(60a)(60b)에 의해 도로경계석(50) 원석이 일정속도로 이송되어 상기 규격폭절단장치(10c)의 규격폭절단휠(30d)들에 의해 경계석규격으로 폭절단된다.
그리고, 상기 규격폭절단장치(10c)를 통과하는 도로경계석(50)은 경사수직절단장치(10a) 및 수직방향길이절단장치(10b)와 같이 직각회전없이 길이방향으로 진행통과되면서 자동으로 절단처리되어 작업을 마친 후, 별도의 호이스트(45)에 의해 제품이송대(43)로 운반된다.
아울러, 원석이송장치(60a)(60b)는 경사절단 또는 수직절단공정 및 테두리직선절삭공정을 위한 것과 규격폭절단공정을 위한 것으로 나누어 배치됨으로서 동시작업이 가능한 연속적인 단일공정을 이룬다.
또한,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에 의해 수직측면 (51) 및 일정각도의 경사측면(52)과 그 테두리면(53)이 절단형성 및 절삭가공된 도로경계석(50)은 도 9a 및 도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부위에 테두리면 (53)이 직선형태로 절삭가공된 도로경계석(50)의 경사측면(52)을 도로변의 차도쪽으로 향하도록 설치하게 되면, 비교적 외부충격에 대해 파손이 쉬운 차량의 타이어(56)의 측면부위가 접촉되더라도 경사절단 및 직선가공된 도로경계석(50)의 경사측면(52) 및 테두리면(53)에 의해 타이어(56)의 파손발생이 구조적으로 억제될 수 있어 차량의 타이어(56) 파손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에 대한 구성관계 및 작동원리의 설명으로, 도로경계석(50)으로 사용되는 원석(50)을 경사수직절단장치(10a)와 테두리절삭장치(10b) 및 규격폭절단장치(10c)를 통해 단일 작업라인에서 연속처리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구조응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작동원리에서 벗어남이 실시될 수 있는 기술사상 내의 다양한 구조변경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에 의하면, 도로변의 경계표시 및 안전수단으로 사용되는 도로경계석을 연속적인 단일 작업라인의 각 절단절삭장치들에 의해 한쪽의 수직측면과 함께 다른 한쪽의 경사측면의테두리면이 직선절삭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높히면서 작업환경도 청결하게 하는 동시에 생산단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도로경계석을 탑재이송시키는 원석이송장치에 대해서도 별도의 방향회전없이도 직진이동만으로도 소정의 경계석규격으로 도로경계석을 가공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일측의 기울기조절이 가능한 원석이송장치를 통해 석재를 공정별로 별도로 이송작동시킴으로서 기울기에 따른 각 공정을 동시이면서 연속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절단가공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가공형상으로 대량생산될 수 있는 도로경계석은 기존의 도로변에 설치적용된 직육면형태와는 달리, 인도쪽으로는 수직형태이면서 차도쪽으로는 경사측면의 테두리면이 직선처리되어 도로변에 설치됨으로서 차량의 타이어 파손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규격폭절단장치는 이송대차 위에 놓인 경사진 모양의 도로경계석의 경사각에 따라 절단날의 몸체가 전후로 이동하게 되는 전후베드를 기울게 형성시킴으로서 절단날의 크기를 석재 두께의 2배 이상 형성시킬 필요가 없으며, 절삭단면을 최소화하여 절삭시간도 줄일 수 있어 경사진 모양의 도로경계석을 효율적으로 절단하여 가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유압실린더(74)에 의해 일측이 기울어지거나 수평상태에서 수평주롤러(61)의 회전에 따른 수평부롤러(67) 위의 고무벨트(64)에 의해 원석(50)이 이송되면서 경사진 모양이나 수직모양으로 절단가공되는 원석이송장치(60a)(60b)와,
    상기 원석이송장치(60a)에 의해 탑재이송된 도로경계석(50) 원석을 길이방향으로 경사절단 또는 수직절단할 수 있도록 각각 그 크기를 달리하는 다수의 경사길이절단휠(30a) 또는 수직길이절단휠(30b)들이 설치되는 경사수직절단장치(10a)와,
    고정된 메인베드(16b)를 따라 각각 상하이동 및 좌우이동이 조절되면서 절삭가공할 도로경계석(50)의 테두리 경사각도에 맞게 테두리절삭휠(30c)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직경사절단장치(10a)에 의해 길이절단된 각각의 경계석(90) 원석의 일측 테두리부위를 절삭가공하는 테두리절삭장치(10b)와,
    또 다른 원석이송장치(60b)에 의해 탑재이송된 도로경계석(50) 원석을 경계석규격으로 폭절단할 수 있도록 수평높이를 같이하는 규격폭절단휠(30d)들이 설치되는 규격폭절단장치(10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규격폭절단장치(10c)는 도로경계석(50) 원석을 절단하도록 규격폭절단휠(30d)이 회전가능하게 결합형성된 절단기몸체(93)와, 상기 절단기몸체(93)가 상하이동되게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그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상하샤프트기어(92)와, 상기 절단기몸체(93)의 양측에 일체형성된 전후이동체(86)가 전후이동될 수 있게 전후레일(87)이 돌출형성된 전후베드(85)와, 상기 절단기몸체(93)가 전후이동체(86)와 함께 전후이동되게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그 양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전후샤프트기어(81)와, 양측의 전후베드(85)를 사방에서 지지하는 기둥후레임(7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규격폭절단장치(10c)는 전후베드(85)의 기울기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후베드(85)의 하단과 기둥후레임(71)은 높이조절힌지(94)에 의해 결합형성되고 상기 전후베드(85)의 상단에는 전후베드(85) 상단측의 기둥후레임(71)의 상단과 볼트결합되도록 높이조절공(99)을 관통형성된 높이조절구(98)가 설치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샤프트기어(12) 및 상하샤프트기어(22)는 이동될 수 있도록 전후이동체(16) 각각의 일측에 그 주연을 치합할 수 있는 기어형태로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샤프트기어(12) 및 상하샤프트기어(22)는 각각의 일단에 형성된 직각 치합되는 베벨기어(31)에 의해 각각 전후작동모터(11) 및 상하작동모터(21)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석이송장치(60a)(60b)는 고무벨트(64) 하방 내측에서 기울어져 미끄러지지 않도록 돌출형성된 미끄럼방지돌기(69)와 수평주롤러(61)의 주연에 요홈형성된 미끄럼방지홈(62)이 교합되어 상기 고무벨트(64)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석이송장치(60a)(60b)는 유압실린더(74)의 타측이면서 고무벨트(64)의 상부에 원석(50)의 경사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돌출형성된 미끄럼방지구(57)가수평주롤러(61)에서 원활히 회전되면서 경사길이절단휠(30a) 또는 수직길이절단휠(30b)에 의해 절단되지 않도록 경사, 수직길이절단휠(30a)(30b)이 지나가는 위치에 맞게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홈(77)이 요홈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석이송장치(60a)(60b)는 수평주롤러(61)의 양 내측 주연이면서 상기 수평주롤러(61)의 양측에 설치형성된 방수덮개(75)의 단부 하측의 롤러베어링(65)과 리테이너(66)가 설치된 부분에 물이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방수홈(63)이 요홈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경계석(50)은 수평면인 상하부위에 대해 길이방향 양측부위가 수직측면(61) 또는 경사측면(62)으로 절단형성되는 한편, 상기 수직측면(61) 또는 경사측면(62)의 상측부위가 직선형태로 절삭가공되어 도보변의 차도쪽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
KR10-2002-0025888A 2002-05-10 2002-05-10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 KR100468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888A KR100468312B1 (ko) 2002-05-10 2002-05-10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888A KR100468312B1 (ko) 2002-05-10 2002-05-10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501A true KR20030087501A (ko) 2003-11-14
KR100468312B1 KR100468312B1 (ko) 2005-01-27

Family

ID=32382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888A KR100468312B1 (ko) 2002-05-10 2002-05-10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31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356B1 (ko) * 2006-12-06 2007-03-16 (주)청원산업 논슬립홈 형성이 가능한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KR100715621B1 (ko) * 2006-03-21 2007-05-09 이익규 회전기능을 갖는 경계석 절단가공장치
KR100773703B1 (ko) * 2006-09-11 2007-11-08 이익규 이형의 경사각도로 절단할 수 있는 경계석 절단장치
KR100841731B1 (ko) * 2007-10-18 2008-06-27 바위산업 주식회사 이형 절단할 수 있는 경계석 절단장치
CN102744792A (zh) * 2012-07-11 2012-10-24 北京珠峰天宫玉石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石材地板组块加工的自动切削设备
CN102975293A (zh) * 2012-12-12 2013-03-20 晋江市连盛液压机械有限公司 一种双“门”字梁的石材切割机
KR101286356B1 (ko) * 2011-07-11 2013-07-15 변유신 경사형 경계석 절삭장치 및 절삭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700B1 (ko) * 2011-04-19 2012-01-18 바위산업 주식회사 자투리판석 가공장치 및 가공된 블럭형 도로시설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7833A (ja) * 1991-03-04 1993-09-17 Komatsu Eng Kk 石板切断用多頭丸鋸盤
KR100726801B1 (ko) * 2001-02-13 2007-06-14 이익규 경계석 절단가공장치
KR100434859B1 (ko) * 2001-03-12 2004-06-07 이익규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621B1 (ko) * 2006-03-21 2007-05-09 이익규 회전기능을 갖는 경계석 절단가공장치
KR100773703B1 (ko) * 2006-09-11 2007-11-08 이익규 이형의 경사각도로 절단할 수 있는 경계석 절단장치
KR100693356B1 (ko) * 2006-12-06 2007-03-16 (주)청원산업 논슬립홈 형성이 가능한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KR100841731B1 (ko) * 2007-10-18 2008-06-27 바위산업 주식회사 이형 절단할 수 있는 경계석 절단장치
KR101286356B1 (ko) * 2011-07-11 2013-07-15 변유신 경사형 경계석 절삭장치 및 절삭방법
CN102744792A (zh) * 2012-07-11 2012-10-24 北京珠峰天宫玉石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石材地板组块加工的自动切削设备
CN102975293A (zh) * 2012-12-12 2013-03-20 晋江市连盛液压机械有限公司 一种双“门”字梁的石材切割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8312B1 (ko)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731B1 (ko) 이형 절단할 수 있는 경계석 절단장치
KR100715620B1 (ko)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장치
KR100468312B1 (ko)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
KR101262235B1 (ko) 천연석재를 이용한 미끄럼방지용 도로경계석의 절단가공장치 및 그 방법
KR101704444B1 (ko) 톱곡선 성형장치 및 이것에 의해 가공된 석재
JP3104959U (ja) ワイヤソー加工機
KR101059737B1 (ko)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 제작장치
KR100747484B1 (ko) 경계석 절단가공장치
KR20160035323A (ko) 석재 쌍방향 가공 장치
KR100466793B1 (ko) 석재가공장치
KR100434859B1 (ko)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
KR100773703B1 (ko) 이형의 경사각도로 절단할 수 있는 경계석 절단장치
KR100726801B1 (ko) 경계석 절단가공장치
KR100914614B1 (ko) 경계석 홈파기장치
WO2005014267A1 (en) Retreading of tyres
JP3004583U (ja) 石材研磨機
KR100700113B1 (ko) 도로경계석 모서리부 절삭장치
JP2002307273A (ja) 研削加工機
EP0052627B1 (en) Abrasive grinding machine
KR100894847B1 (ko)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 및 이를 채용한 금속판재 양면가공장치
EP0980740B1 (en) Machine for stone surface treatment, particularly for slabs made of stone or similar, such as marbles, granites, but also ceramics and other building materials, used for flooring and lining
KR200231371Y1 (ko) 경계석 절단가공장치
KR102290525B1 (ko) 압연 테이블롤 연마장치
KR200393679Y1 (ko) 도로경계석 모서리부 절삭장치
JP2001003577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撤去方法および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