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7408A - 이동형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7408A
KR20030087408A KR1020020025470A KR20020025470A KR20030087408A KR 20030087408 A KR20030087408 A KR 20030087408A KR 1020020025470 A KR1020020025470 A KR 1020020025470A KR 20020025470 A KR20020025470 A KR 20020025470A KR 20030087408 A KR20030087408 A KR 20030087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vehicle
elevating
lift bar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0187B1 (ko
Inventor
김철응
Original Assignee
김철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응 filed Critical 김철응
Priority to KR10-2002-0025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187B1/ko
Publication of KR20030087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1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이 주차공간에서 상하 2단으로 주차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주차된 차량 중 하측 차량의 주차상태에서 상측의 차량을 출고 및 상측에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도록 하여 주차 공간의 확보와 더불어 주차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형 주차장치{SLIDING PARKING-DEVICE}
본 발명은 이동형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주차공간에서 상하 2단으로 주차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주차된 차량 중 하측 차량의 주차상태에서 상측 차량을 출고 및 상측에 다른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도록 하여 주차 공간의 확보와 더불어 주차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이동형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급성장에 따른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자동차는 날로 증가되는 추세에 있으나 주택 및 일반 건물에서는 이에 따른 주차 공간을 확보하지 못해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를 대두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협소한 주차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주차를 하기 위해 현재 다양한 방법의 주차시설이 제시된 바 있으며, 그 중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이 2단의 리프트식 주차장치이다. 이는 자동차가 올려지는 패널과, 이 패널을 들어 올리기 위한 전동장치 및 유압장치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들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패널이 승강되는 구조이다. 하지만, 상기한 시설은 차량이 2단으로 주차된 상태에서 상측 차량을 출고하기 위해서는 하측 차량을 먼저 출고시킨 다음 상측 차량을 출고시켜야 함에 따라 주차 및 출고시 불필요한 시간의 낭비 또는 하측 차량이 키 잠금상태에서는 상측 차량을 출고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차량이 2단으로 주차 가능하도록 하고 동시에 주차된 차량 중 하측 차량을 주차시킨 상태에서도 상측에 차량을 주차할 수 있음은 물론 하측 차량의 이동없이도 상측 차량만을 출고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구성도
도 3은 도 1의 "C"부 확대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의 작동상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100a: 가이드부재 110,120: 레일
130,140: 바퀴 200,200a: 수직 포스트
210,220: 안내레일 240,250: 랙바
300,300a,300b: 승강 체인 320,330,340: 체인풀리
400: 승강 리프트바 420: 팔레트판
430,440: 피니언기어 450,460: 아이들기어
470,480: 브래킷 500: 실린더
520: 피스톤로드 600: 케이스
620: 모터 630,640: 기어
650: 회전바 660,660a: 조인트
670,670a: 수직축 680,680a: 베벨기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차공간의 바닥면에서 차량의 전후방 바퀴 사이의 폭보다 좁을 폭을 가지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가능하도록 평행하게 배열되는 이동용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단부에 각기 세워져 고정되며, 대향면에 수직한 안내레일을 형성하는 수직 포스트; 양단이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승하강하게 되며, 일측에 차량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팔레트판을 갖는 승강 리프트바; 상기 수직 포스트의 상단을 연결하는 케이스내에 제공된 복수개의 체인 풀리와 연결되며, 분할된 양단이 상기 승강 리프트바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 리프트바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강 체인; 상기 케이스내에 제공되며, 내부에 구비된 전후진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분할된 승강 체인의 다른 단부가 각기 연결되도록 하여 전후진시 승강 체인의 길이를 가변시켜 상기 승강 리프트바를 승하강 시키게 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중앙부에 구비된 모터와, 이 모터의 축과기어로 치합되어 회전되는 회전바와, 이 회전바의 양단과 각기 직교되게 조인트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는 수직축과, 이 수직축의 하단과 상기 바퀴의 축을 연결하여 회전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팔레트판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일측 팔레트판의 폭이 넓게 형성되도록 하여 차량 종류에 따른 바퀴폭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안내레일의 대응벽에 제공되는 랙바와, 상기 승강 리프트바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랙바와 치합 회전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를 수용하며 상기 안내레일에 삽입되어 승하강 하게 되는 박스형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내측에서 상기 피니언기어의 상하측에 이격되게 제공되어 상기 랙바에 치합되는 아이들기어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구성도, 도 3은 도 1의 "C"부 확대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전후방 바퀴 사이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평행하게 배열되고, 이송수단에 의해 주차공간의 바닥면에 일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100)(100a)와, 상기 가이드부재(100)(100a)의 일측에 각각 세워져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200)(200a)와, 상기 수직 포스트(200)(200a) 사이에서 분할된 승강 체인(300)(300a) 및 이동수단에 의해 상하 이동하게 되며 일측에 차량을 안치시키는 팔레트판(420)을 구비하는 승강 리프트바(400)와, 전후 이동시 승강 체인(300)을 풀고 당겨 그 길이를 가변 시킴으로써 상기 승강 리프트바(400)를 승하강 시키게 되는 실린더(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110)(120)은, 주차 공간의 바닥면에 한 쌍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평행한 이들 사이의 폭은 차량의 전후방 바퀴 사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레일(110)(120)에 올려진 상기 가이드부재(100)(100a)의 이동시 차량 바퀴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재(100)(100a)는, 소정 면적과 길이를 가지며 저면에 전후방으로 상기 레일(110)(120)을 따라 이동하도록 된 바퀴(130)(140)가 구비된다.
상기 수직 포스트(200)(200a)는, 상기 가이드부재(100)(100a)의 일측에 각기 세워져 고정되며 대향면에는 수직한 안내레일(210)(220)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 리프트바(400)는, 상기 안내레일(210)(220)에 제공되는 이동수단에 의해 승강되며, 일측에는 지지바를 매개로 차량 바퀴가 안착되는 팔레트판(420)이 한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팔레트판(420)은 좌우 양쪽 중 한 쪽의 폭이 넓게 형성된다. 이는 차량 종류 또는 차량 제조회사에 의해 좌우의 바퀴 폭이 다양하게 제공되는 차량에 적용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승강 체인(300)은, 상기 수직 포스트(200)(200a)의 상단에 양단이 고정되는 케이스(600)내, 외의체인풀리(320)(330)(340)들과 연결되며 그 양단이 각각 상기 승강 리프트바(400)의 양단과 연결되어 승강 리프트바(400)를 승강시키게 된다.
즉, 상기 승강 체인(300)은 양쪽으로 분할된 승강 체인(300a)(300b)으로 이루어지며 한 쪽 승강 체인(300a)은 일단이 상기 승강 리프트바(400)의 한쪽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 포스트(200)(200a)의 상단에 제공되는 양쪽의 체인풀리(320)(330)에 의해 지그재그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500)의 피스톤로드(520) 단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다른 쪽 승강 체인(300b)은 일단이 상기 승강 리프트바(400)의 다른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 포스트(200)의 상단에 제공되는 체인풀리(340)를 통해 상기 피스톤로드(520)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로드(520)의 전후 이동에 따라 양쪽의 체인(300a)(300b)이 당겨지고 풀림되게 된다.
상기 실린더(500)는, 상기 수직 포스트(20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기 케이스(600)내에 제공되며, 내부의 전,후진 피스톤로드(520) 선단에 분할된 상기 승강 체인(300a)(300b)의 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유공압에 의한 피스톤로드(520)의 전후진시 이들을 풀고 당기게 된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케이스(600)의 외측 하부 중앙에 결합 구비된 모터(620)와, 이 모터(620)의 축과 기어(630)(640)로 치합되어 회전되는 회전바(650)와, 이 회전바(650)의 양단과 각기 직교되게 조인트(660)(660a)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는 수직축(670)(670a)과, 이 수직축(670)(670a)의 하단과 상기 바퀴(130)의 축을 연결하여 회전력을 바퀴(130)에 전달하는 베벨기어(680)(680a)로 이루어져 있다. 이로 인해, 모터(620)의 구동시 회전바(650)가 회전하게 되며 동시에 회전바(650)에 의해 수직축(670)(670a)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연속된 회전으로 수직축(670)(670a)과 베벨기어(680)(680a)로 연결된 바퀴축이 회전되어 바퀴(130)(140)가 레일(110)(120)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바퀴축이 회전되어 구동하는 바퀴(130)는 랙기어 형상을 취하여 소정구간 레일(110)(120)에 랙바를 형성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바퀴의 장치하중에 의한 슬립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인트(660)(660a)는 공지의 유니버셜 조인트로서 수평 회전력을 수직한 회전력으로 연동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수직 포스트(200)(200a)의 안내레일(210)(220) 대응벽에 제공되는 랙바(240)(250)와, 상기 승강 리프트바(400)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랙바(240)(250)와 각기 치합되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430)(440)와, 상기 피니언기어(430)(440)를 수용하며 상기 안내레일(210)(220)에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되어 승하강 하게 되는 박스형 브래킷(470)(480)과, 상기 브래킷(470)(480)의 내측에서 상기 피니언기어(430)(440)의 상하측에 이격되게 제공되어 상기 랙바(240)(250)에 치합되는 아이들기어(450)(460)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래킷(470)(480)의 상면에 승강 체인(300a)(300b)의 단부가 연결된다.
이는 상기 실린더(500)의 피스톤로드(520)의 전진에 따른 상기 승강 체인(300a)(300b)의 당김시 팔레트판(420)의 수직 하중에 따른 승강 리프트바(400)의 휨력을 상기 브래킷(470)(480)이 안내레일(210)(220) 사이에서 지지되어 보상되도록 하고 또한 아이들기어(450)(460)에 의해 랙바(240)(250)를 따라 수직 이송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미설명 부호 180은 휠지지판으로 상기 가이드부재(100)(100a)의 외측에 제공되어 차량 바퀴가 안내됨과 동시에 차량 바퀴가 상기 가이드부재(100)(100a)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형 주차장치의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도면상 미기재된 부호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차량을 주차시키고자 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실린더(500)에서 실린더로드(520)을 수축시켜 팔레트판(420)을 하강시킨다. 이어 팔레트판(420)에 차량 바퀴가 위치되도록 한 후 실린더(50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피스톤로드(520)가 전진, 즉 신장되면서 분할된 승강 체인(300a)(300b)의 단부를 동시에 밀게되고 연속해서 승강 체인(300a)(300b)의 다른 단은 체인풀리(320)(330)(340)의 안내로 승강 리프트바(400)의 양단을 수직으로 들어올리게 되어 이에 구비된 팔레트판(420)이 차량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주차시킬 수 있게 된다. 연속해서 차량이 올려지고 난 빈 공간에는 다른 차량을 주차시키면 된다.
또한 1층에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 2층에 주차된 차량을 출고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b와 같이 조작버튼(미도시)을 통해 모터(620)를 동작시키면 모터축과 기어(630)(640) 치합된 회전바(650)가 수평한 상태로 회전되고 동시에 조인트(660)(660a)를 통해 수직축(670)(670a)이 수직상태로 회전되며 연속해서 수직축(670)(670a)과 베벨기어(680)(680a)로 연결된 바퀴(130)가 회전되어 가이드부재(100)(100a)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후, 도 4c와 같이 상측 차량이 하측에 주차된 차량과 간섭이 없도록 하강 될 수 있는 위치만큼 이동하게 되면 상기 실린더(500)를 작동시켜 피스톤로드(520)를 후진시키면 승강 체인(300a)(300b)이 각각 체인풀리(320)(330)(340)를 매개로 풀려지면서 상기 승강 리프트바(400)는 하향 이동되어 지면에 팔레트판(420)을 안착시키게 되고, 이때 차량을 전진시켜 출고시키면 된다.
또한 이와는 역순으로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도 주차된 차량의 이동없이 2단으로 차량을 편리하게 주차시킬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 피니언기어(430)(440)를 하측 아이들기어(460)와 자리를 바꾸어 승강 리프트바(400)의 위치를 더 하강시킬 수도 있는 것이고 이러한 변형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당연한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는, 차량이 주차공간에서 상하 2단으로 주차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주차된 차량의 하측 차량이 주차상태에서 상측의 차량을 출고 및 상측에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차 공간의 확보와 더불어 주차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주차공간의 바닥면에서 차량의 전후방 바퀴 사이의 폭보다 좁을 폭을 가지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가능하도록 평행하게 배열되는 이동용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단부에 각기 세워져 고정되며, 대향면에 수직한 안내레일을 형성하는 수직 포스트; 양단이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승하강하게 되며, 일측에 차량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팔레트판을 갖는 승강 리프트바; 상기 수직 포스트의 상단을 연결하는 케이스내에 제공된 복수개의 체인 풀리와 연결되며, 분할된 양단이 상기 승강 리프트바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 리프트바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강 체인; 상기 케이스내에 제공되며, 내부에 구비된 전후진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분할된 승강 체인의 다른 단부가 각기 연결되도록 하여 전후진시 승강 체인의 길이를 가변시켜 상기 승강 리프트바를 승하강 시키게 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주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중앙부에 구비된 모터와, 이 모터의 축과 기어로 치합되어 회전되는 회전바와, 이 회전바의 양단과 각기 직교되게 조인트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는 수직축과, 이 수직축의 하단과 상기 바퀴의 축을 연결하여 회전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주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판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일측 팔레트판의 폭이 넓게 형성되도록 하여 차량 종류에 따른 바퀴폭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주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안내레일의 대응벽에 제공되는 랙바와, 상기 승강 리프트바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랙바와 치합 회전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를 수용하며 상기 안내레일에 삽입되어 승하강 하게 되는 박스형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내측에서 상기 피니언기어의 상하측에 이격되게 제공되어 상기 랙바에 치합되는 아이들기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주차장치.
KR10-2002-0025470A 2002-05-09 2002-05-09 이동형 주차장치 KR100460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470A KR100460187B1 (ko) 2002-05-09 2002-05-09 이동형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470A KR100460187B1 (ko) 2002-05-09 2002-05-09 이동형 주차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160U Division KR200285517Y1 (ko) 2002-05-09 2002-05-09 이동형 주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408A true KR20030087408A (ko) 2003-11-14
KR100460187B1 KR100460187B1 (ko) 2004-12-08

Family

ID=3238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470A KR100460187B1 (ko) 2002-05-09 2002-05-09 이동형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1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9338A (zh) * 2019-03-08 2019-05-21 谢法丽 无避让立体车库用下层车位托盘移动机构
CN109812094A (zh) * 2019-02-28 2019-05-28 浙江零壹智能工程有限公司 一种停车场用自动停车装置
CN109944486A (zh) * 2019-04-25 2019-06-28 李剑峰 一种错列式可升降多层停车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2094A (zh) * 2019-02-28 2019-05-28 浙江零壹智能工程有限公司 一种停车场用自动停车装置
CN109812094B (zh) * 2019-02-28 2024-02-27 喜鹊云(浙江)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场用自动停车装置
CN109779338A (zh) * 2019-03-08 2019-05-21 谢法丽 无避让立体车库用下层车位托盘移动机构
CN109944486A (zh) * 2019-04-25 2019-06-28 李剑峰 一种错列式可升降多层停车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0187B1 (ko) 200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15936C (en) Vehicles and trailers incorporating moveable load carrying platforms
US4936730A (en) Elevated garage
CN108100058B (zh) 叉臂托举式牵引车
KR101878663B1 (ko)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
KR200285517Y1 (ko) 이동형 주차장치
KR100460187B1 (ko) 이동형 주차장치
US1724713A (en) Scaffolding
KR101275981B1 (ko) 차동기어장치를 이용한 운반차
KR100702666B1 (ko) 다층형 주차설비
CN2390858Y (zh) 微型万能举升机
JP3631608B2 (ja) 電気式荷役車両
US2358501A (en) Jack or elevator device for vehicles
KR100591789B1 (ko) 하물 상차장치
KR200376411Y1 (ko) 하물 상차장치
CN210659452U (zh) 一种机械式驱动轮升降机构
JPH0859195A (ja) リフター
CN218986667U (zh) 一种带有升降装置的物流推车
CN216583984U (zh) 一种大长宽比升降平台
CN216711487U (zh) 一种防滑折叠式地面升举机
CN218538028U (zh) 升降系统及仓储机器人
KR102658483B1 (ko) 2단식 차량 주차설비
CN218198066U (zh) 一种可实现剪式升降机吊运的救援服务车
CN209921379U (zh) 一种升高车
JP2004092354A (ja) 駐車装置
JPH0678389U (ja) 回転テーブル付昇降リフ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