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7398A - 연료탱크의 배플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연료탱크의 배플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7398A
KR20030087398A KR1020020025457A KR20020025457A KR20030087398A KR 20030087398 A KR20030087398 A KR 20030087398A KR 1020020025457 A KR1020020025457 A KR 1020020025457A KR 20020025457 A KR20020025457 A KR 20020025457A KR 20030087398 A KR20030087398 A KR 20030087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fuel tank
welded
press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8742B1 (ko
Inventor
강현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5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742B1/ko
Publication of KR2003008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7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60K2015/0775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for reducing movement or slash noise of fu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60K2015/07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in-tank reservoirs or baffles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fuel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배플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료탱크의 바디 내측으로 압입되는 배플의 외주연단에 절곡부를 형성시켜 배플의 최외각이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한 배플을 바디 내측에 압입한 상태에서 별도의 접합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용접 결합시키므로서, 스팟(spot)용접 과정을 삭제할 수 있음에 따라 연료탱크 바디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플을 바디 내측으로 압입하는 과정이 용이해져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의 출렁임에 의한 충격이 배플에 가해질때 그 충격을 접합플레이트가 흡수하게되므로 배플과 바디와의 결합강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연료탱크의 배플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탱크의 배플결합구조{Baffle combination structure of fuel tank}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배플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료탱크 바디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플을 바디 내측으로 압입하는 과정이 용이해져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의 출렁임에 의한 충격이 배플에 가해질때 그 충격을 접합플레이트가 흡수하게되므로 배플과 바디와의 결합강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연료탱크의 배플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연료탱크를 도시한 것으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연료탱크(1)의 외형을 이루는 바디(2)와, 상기 바디(2)의 내측으로 압입되어 바디(2)에 스팟용접되는 것으로 그 단면이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연료의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다수의 유동홀(4)을 구비하고 있으며, 외주면상에는 스팟용접을 위한 용접부(5)가 일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배플(3)과, 바디(2)의 양측으로 용접결합되어 바디(2) 내부를 밀폐하는 플레이트(6)로 구성된다.
상기와같은 종래의 연료탱크를 결합할때에는 먼저, 바디(2)와 배플(3)을 각각 제작한 후 바디(2)의 내측으로 배플(3)을 압입한다.
이후, 바디(2)와 배플(3)의 용접부(5)를 A와 같이 바디(2)의 내외측에서 일정간격으로 스팟(SPOT)용접을 실시하여 배플(3)과 바디(2)를 상호 결합시키고, 이상태에서 바디(2)의 양측에 플레이트(6)를 결합시켜 용접 결합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연료탱크의 배플결합구조는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연료탱크의 제조를 위해서 바디(2)와 배플(3)를 별도로 제작한 후 바디(2)의 내측으로 배플(3)을 압입한 상태에서 스팟용접하여 상호 결합시키고 있으나, 롤벤딩(Roll bending) 후 수작업으로 가접합시킨 상태에서 용접하여 제작되는 바디(2)의 크기가 설계된 것보다 작게 형성된 경우 배플(3)을 바디(2) 내측으로 압입시키기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잘 안들어가는 배플(3)을 과도한 힘으로 강제 압입시킴에 따라 이과정에서 바디에 충격이 가해지면서 바디의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프레싱 작업에 의해 성형되는 배플의 경우에는 외각의 용접부(5)를 제작할때 용접부의 스프링백(Spring Back) 현상에 의해 배플의 전체적인 외경이 크게 제작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와같이 배플의 압입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배플(3)을 바디(2) 내측으로 압입함에 따라 바디 내측면에 배플이 직각을 유지하지 못하고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경우가 발생하게되는데, 이와같은 경우에는 스팟용접시 바디와 용접부의 사이에 갭(Gap)이 있는 상태로 용접이되므로 바디와 배플의 결합강도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바디의 크랙(Crack)발생율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대로 바디(2)가 설계도면보다 크게 제작된 경우에는 배플(3)과 바디(2) 사이에 갭이 발생하게 되므로, 스팟 용접시 바디의 형상이 변형될뿐만 아니라 바디(2)의 강도가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또한, 바디(2)와 배플(3)을 스팟 용접할때 용접건을 바디의 내외측에 위치시켜 용접해야만 하므로 용접건의 직각유지가 어렵고, 이에의해 스팟용접의 불량율이 증가하여 바디와 배플의 결합강도가 매우 약해지며, 연료탱크 내에서 연료의 출렁임에 의해 충격이 배플에 가해질때 그 충격이 배플과 바디의 스팟용접부위에 집중되게되어 그 결합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바디 내측으로압입되는 배플의 외주연단에 절곡부를 형성시켜 배플의 최외각이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한 배플을 바디 내측에 압입한 상태에서 별도의 접합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용접 결합시키므로서, 스팟(spot)용접 과정을 삭제할 수 있음에 따라 연료탱크 바디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플을 바디 내측으로 압입하는 과정이 용이해져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의 출렁임에 의한 충격이 배플에 가해질때 그 충격을 접합플레이트가 흡수하게되므로 배플과 바디와의 결합강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연료탱크의 배플 결합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연료탱크용 바디의 내측으로 배플을 압입시켜 결합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외주연단에 일정각도 경사진 절곡부를 형성시켜 배플의 최외각이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배플의 최외각을 일측으로 접어서 용접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플을 바디 내측으로 압입한 후 바디의 내측으로부터 별도의 접합 플레이트를 맞대어 용접하되,
상기 접합플레이트의 일측을 바디에 용접하고, 타측을 배플의 용접부에 용접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배플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배플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배플의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탱크 2 : 바디
10 : 배플 11 : 유동홀
12 : 절곡부 13 : 용접부
20 : 접합플레이트 6 : 플레이트
이하, 첨부된 도면 도 2 와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표기하여 중복설명을 피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연료탱크(1)의 바디(2) 내측으로 압입되는 배플(10)의 형상을 변형시켜 배플(10)을 바디(2) 내측으로 압입할때 보다 용이하게 압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배플(10)은 도 3 에 도시한 바와같이 외주연단에 일정각도 경사진 절곡부(12)를 형성시켜 배플(10)의 최외각이 자체 탄성을 가지도록 하고, 배플(10)의 최외각을 일측으로 접어서 용접부(13)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한, 배플(10)에는 여러개의 유동홀(11)을 형성시켜 연료탱크(1) 내에서의 연료 출렁임시 상기 유동홀(11)을 통해 연료가 유동되면서 연료의 출렁임현상이 감소되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플(10)을 바디(2)에 직접 용접하지 않고 별도의 접합플레이트(20)를 이용하여 바디(2)에 결합시킨다.
즉, 상기 접합플레이트(20)는 배플(10)을 바디(2) 내측으로 압입시킨 상태에서 접합플레이트(20)의 일측(B)을 배플(10)의 용접부(5)에 용접 결합하고, 타측(C)을 바디(2)의 내측면에 용접시켜 배플(10)을 바디(2)에 결합한다.
상기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료탱크(1)의 바디(2) 내측으로 배플(10)을 압입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배플(10)에 절곡부(12)가 형성되어있어서 배플(10)의 최외각부분이 자체 탄성을갖게 된다.
따라서, 바디(2)의 직경이 설계치보다 작게 제작되었을때에도 배플(10)을 압입할때 배플(10)의 최외각이 도 3 의 점선도시부분과 같이 수축하게되므로 배플(10)을 바디(2) 내측으로 용이하게 압입할 수 있게된다.
배플(10)을 원하는 위치까지 압입한 후에는 별도 준비되는 접합플레이트(20)를 상기 배플(10)의 용접부(13)에 맞댄 후 접합플레이트(20)의 일측(B)을 상기 용접부(13)에 용접시켜 결합하고, 접합플레이트(20)의 타측(C)을 바디(2)의 내측에 용접 결합시키므로서 배플(10)을 바디(2)에 완전히 결합한다.
배플(10)을 바디(2)에 결합시킨 후에는 바디(2)의 양측으로 별도의 플레이트(6)를 용접결합하여 연료탱크의 결합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설명과같은 본 발명의 배플결합구조는 배플 결합시 별도의 스팟용접을 실시하지 않아도 되므로 바디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원가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연료의 출렁임에 의해 충격이 배플(10)에 가해질때 그 충격을 접합플레이트(20)가 흡수하게되므로 배플과 바디의 결합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바디 내측으로 압입되는 배플의 외주연단에 절곡부를 형성시켜 배플의 최외각이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한 배플을 바디 내측에 압입한 상태에서 별도의 접합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용접 결합시키므로서, 스팟(spot)용접 과정을 삭제할 수 있음에 따라 연료탱크 바디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플을 바디 내측으로 압입하는 과정이 용이해져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의 출렁임에 의한 충격이 배플에 가해질때 그 충격을 접합플레이트가 흡수하게되므로 배플과 바디와의 결합강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연료탱크의 배플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연료탱크용 바디(2)의 내측으로 배플(10)을 압입시켜 결합하는 것에 있어서,
    배플(10)의 최외각이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배플(10)의 최외각을 일측으로 접어서 용접부(13)를 형성하고,
    상기 배플(10)을 바디(2) 내측으로 압입한 후 바디(2)의 내측으로부터 별도의 접합 플레이트(20)를 맞대어 용접하되,
    상기 접합플레이트(20)의 일측을 바디(2)에 용접하고, 타측을 배플(10)의 용접부(13)에 용접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하는 연료탱크의 배플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10)의 외주연단에 일정각도 경사진 절곡부(12)를 형성시켜 배플(10)의 최외각이 탄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배플결합구조.
KR10-2002-0025457A 2002-05-09 2002-05-09 연료탱크의 배플결합구조 KR100448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457A KR100448742B1 (ko) 2002-05-09 2002-05-09 연료탱크의 배플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457A KR100448742B1 (ko) 2002-05-09 2002-05-09 연료탱크의 배플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398A true KR20030087398A (ko) 2003-11-14
KR100448742B1 KR100448742B1 (ko) 2004-09-16

Family

ID=32382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457A KR100448742B1 (ko) 2002-05-09 2002-05-09 연료탱크의 배플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7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820B1 (ko) * 2007-12-14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배플 플레이트
WO2018101871A1 (en) * 2016-12-01 2018-06-07 Scania Cv Ab Baffle plate, fuel tank and vehicle
CN113002295A (zh) * 2021-04-30 2021-06-22 合肥丰科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具有减少液体晃荡功能的铝合金油箱
KR102509903B1 (ko) * 2022-06-09 2023-03-14 주식회사 남일이엔씨 탱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452B1 (ko) * 2003-10-01 2005-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용 배플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7216U (ko) * 1977-01-11 1978-08-07
JPH0234443U (ko) * 1988-08-29 1990-03-05
KR940007477Y1 (ko) * 1992-01-31 1994-10-22 김윤동 조립식 건축물용 블록
KR19980047138A (ko) * 1996-12-13 1998-09-15 박병재 크랙 방지형 연료 탱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820B1 (ko) * 2007-12-14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배플 플레이트
WO2018101871A1 (en) * 2016-12-01 2018-06-07 Scania Cv Ab Baffle plate, fuel tank and vehicle
CN113002295A (zh) * 2021-04-30 2021-06-22 合肥丰科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具有减少液体晃荡功能的铝合金油箱
KR102509903B1 (ko) * 2022-06-09 2023-03-14 주식회사 남일이엔씨 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8742B1 (ko)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349B2 (en) Suspension member
JPH10316010A (ja) フレーム構造体
KR100248238B1 (ko) 체결용 링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4891B1 (ko) 프리 피어싱 저항용접용 리벳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이종판재의 접합 방법
KR100448742B1 (ko) 연료탱크의 배플결합구조
JP2006500220A (ja) 金属シート、管及び類似の形状部材の変形抵抗溶接方法
JP2013013910A (ja) 車体部材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US7374823B2 (en) Welded portion constitution and welding method
KR101326760B1 (ko) 이중관식 열교환기의 조립방법 및 이에 의해 조립된 이중관식 열교환기
KR20100116057A (ko) 덕트 배관용 t-자형 관
KR101254050B1 (ko) 현가부재 및 그 제조방법
EP2455176B1 (en) Welding method for abutted sectional material
JP2005515361A (ja) 噴射弁のためのノズル緊締ナットならびに該ノズル緊締ナットを製作する方法
JP4252776B2 (ja) 鋼管膨張型ロックボルトの管端部封止方法
JP4791256B2 (ja) 二重容器
JPS5820389A (ja) パイプの摩擦溶接継手構造
JP2001116003A (ja) アキュムレータの製造方法
JP2002160076A (ja) 構造体の製作方法
JPH02301681A (ja) 圧縮機の製造方法
CN113187839A (zh) 弹簧结构及装配方法
KR20130137275A (ko) 누유방지를 위한 스웨이징 결합부 구조 및 결합방법
KR100501452B1 (ko) 연료탱크용 배플구조
JP5751081B2 (ja) 車体部材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KR101020556B1 (ko)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
JPH053773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