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72Y1 - 간편식사용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간편식사용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72Y1
KR200300872Y1 KR20-2002-0020158U KR20020020158U KR200300872Y1 KR 200300872 Y1 KR200300872 Y1 KR 200300872Y1 KR 20020020158 U KR20020020158 U KR 20020020158U KR 200300872 Y1 KR200300872 Y1 KR 2003008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packaging
e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택
Original Assignee
한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택 filed Critical 한상택
Priority to KR20-2002-0020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8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2Y1/ko
Priority to PCT/KR2003/001315 priority patent/WO2004004510A1/en
Priority to AU2003245095A priority patent/AU2003245095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01Holders or wrappers as eating aids for fast food, e.g. hambur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8Drawer-and-shell 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 B65D2581/3401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 B65D2581/3402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to be heated or cooked
    • B65D2581/3422Cooking rice di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을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취식할 수 있개 하는 간편식사의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주먹밥이나 패스트푸드 같은 간편식을 담는 그릇에 있어서, 용기의 기능뿐 아니라 포장과 식사도구의 기능까지 더하여 3가지 기능을 겸유하는 간편하고 경제적인 포장용기가 제공된다. 포장용기는 6면체 상자형의 2중 구조이고, 외용기와 내용기에 개방된 외취식구와 내취식구의 조합으로 식사도구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든 종류의 간편식사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점착성이 큰 밥을 주재로 하는 간편식사의 포장용기로서 아주 적합하다.

Description

간편식사용 포장용기{omitted}
본 고안은 음식물의 용기와 포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식이나 대용식을 담아서 즉석에서 취식하거나, 도시락처럼 휴대 보관하였다가 취식할 수 있도록 포장하는 간편식사의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자연 상태가 아닌 조리한 음식물은, 어떤 형태로든 그것을 담는 그릇 즉 용기를 필요로 한다. 그러한 식기는 모양이 어떻든 간에 일반적으로 안전성을 크게 하기 위하여 바닥을 넓게 만들고, 음식을 담거나 취식할 때 편리하고 쉽게 윗면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도구를 사용하는 인간의 지혜가 발달하면서 식기에 담긴 음식물을 입까지 나르는 데에 편리하고 위생적 수단으로 전용의 식사도구를 개발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산업화와 핵가족화가 진행되고 있는 현대에 이르러서는 식사를 가정 밖에서 해야 하는 기회가 많아지고,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식사를 해결할 수 있는 간편식이 외식사업의 중요한 분야로 자리잡게 되었다. 현재 외식산업에서 대표적인 간편식은 즉석제조판매식품인 햄버거, 샌드위치와 같은 패스트푸드이다. 주먹밥에 속하는 김밥은 한국의 전통적인 간편식으로 대표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간편식은 여러 가지 식자재를 적절하게 밀착 배치하고 가압 성형하여 간소화함으로서 취식을 간편하게 한다. 따라서 음식물을 담는 용기도 생략하거나 최소화하고, 일반적으로 식사도구 없이 손으로 취식하는 방식을 택한다.
그러나 이러한 패스트푸드가 편리성과 경제성은 우수하지만, 위생성과 보존성 그리고 식사의 질과 만족감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오래 전부터 지적되어왔다.
패스트푸드의 제조와 취식 과정에서 사용하는 손과 음식물의 접촉하는 기회가 많아지고, 빈번한 접촉은 세균의 오염 가능성을 높여 위생적으로 안전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취식 중에 배합된 재료들이 빠져나와 의복이나 자리를 더럽히는 곤란한 문제도 종종 발생한다.
그리고 구입한 자리에서 바로 먹는 경우에는 별로 문제가 되지 않지만, 휴대하여 이동하거나 장시간 보관할 경우에는 1회용의 부실한 포장 때문에 보온 보존성이 떨어질 수 밖는 취약성도 갖고 있다.
뿐만 아니라, 밀착 배합이나 가압 성형에 따르는 제법상의 조건 때문에 식자재의 선택이나 조리 방법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어서 식사의 질과 만족감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와 같은 패스트푸드의 문제점들은, 제조 과정과 취식 방법에 관련되지만, 음식물을 담는 식기와 포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기본적으로 음식물과 그것을 담는 포장용기는 분리불가능한 전제 조건이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그동안 간편식사의 용기와 포장에 관련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인 시도와 독창적인 고안과 발명들이 있었다. 그 중에서 몇가지를 살펴보면;
발명특허 1002912410000 「도시락」은 김밥의 포장과 관련된 기술이다. 이 기술은 ①용도가 김밥에 한정됨으로 범용성이 결여되고 ②포장 완성후 용기의 내부에 생기는 여분의 공간이 음식물의 배합결속을 약화시키고 외부충격에 취약하여 ③식사도구를 사용하지 않으면, 손으로 음식을 만지게 되어 음식물에 세균이 오염될 소지가 커지고 ④포장용기가 고깔형이어서 물류에 불편하고 장소를 차지하는 비경제적 구조이며 ⑤생산을 위해서는 특수 기술과 고가의 설비가 필요한 점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용신안 2000787210000 「도시락」은 자판기 판매를 위해서 고안된 기술이다. 이 기술은 ①포장된 음식물이 자판기를 떠나면 포장용기의 통기공이 오히려 음식물을 냉각시키는 역기능으로 작용될 수 있고 ②포장 대상물이 밥에 한정되어 선택이 제한적이고, ③취식시에는 포장용기를 분리 제거하고, 찬의 준비를 별도로 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며, ④비환경친화적인 포장재의 사용으로 공해 폐기물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⑤별도로 식사도구를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 등의 문제점이 있다.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원텃치 삼각김밥의 경우는 박막의 합성 수지 필름과 김으로 주먹을 포장하여 포장용기를 생략함으로서 간편하고 경제적이지만 ①외부충격에 대한 음식물 보호와 보온 기능이 취약하고 ②가정이나 즉석제조판매업소에서 제조가 불가능하며 ③가압 성형으로 식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음식물을 담는 식기와 보관을 위한 포장, 그리고 식사도구의 기능을 결합하여 간편하고 경제적인 간편식사의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간편식사의 간편성과 경제성, 가정이나 자판기 또는 즉석식품페조업소에서 사용될 수 있는 범용성, 여러 가지의 재료와 조리 방식의 음식물을 포장할 수 있는 적응성, 휴대와 보관을 위한 보온 보존성, 위생 안전성 등의 기능이 향상된 포장용기가 제공된다.
도1은 실시예 1에 사용된 조립식 포장용기를 분해한 사시도
도2는 실시예 1에 사용된 조립식 포장용기를 분해한 전개도
도3은 실시예 3에 사용된 포장용기를 분해한 사시도
도4는 실시예 4에 사용된 포장용기를 분해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외용기 b : 내용기
1, 2, 3, 4 : 외측판 5 : 외상판
6 : 외하판 7 : 조립절곡선
8 : 취식절개선 9 : 취식절곡선
10 : 끼움홈 11, 21 : 외측판단추
13, 23, 33, 43 : 내측판 16 : 상부캡
26 : 하부캡 31, 32, 41, 42 : 외측판날개
44 : 외측복판 56 : 몸통
53 : 내상판 63 : 내하판
111, 222 : 외취식구 133, 233 : 내측복판
331, 332, 431. 432 : 내측판날개 555 : 내취식구
본 고안의 포장용기는 6면체의 상자형이고, 외용기와 내용기로 구성되는 2중 포장의 구조이다.
외용기는 수용된 음식물과 내용기를 보호하는 포장 기능을 기본으로 한다. 음식물을 담고 꺼내기 위한 개구부가 윗면에 위치하는 통상적인 포장상자와는 달리, 음식물이 수평방향으로 드나들 수 있게 측면이 개방되어 외취식구를 구성한다.
내용기는 음식물을 담는 용기로서의 기능을 기본으로 하며, 통상적인 식품용기와 같이 음식물을 상하 수직 방향으로 담고 꺼낼 수 있게 개방된 윗면이 내취식구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바닥면은 절곡 가능한 구조와 재료로 제작되어 있으며, 외취식구에 대응하지 아니하는 1쌍의 측판은 내용기의 절곡이 가능하도록 절개되거나 축소, 또는 생략된다.
내용기와 외용기는 외취식구를 통하여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미닫이 설합식 구조이고, 결합 상태에서 내용기를 적정 위치까지 끌어내면 수직 개방된 외취식구와 수평 개방된 내취식구는 직각으로 만나게 된다. 인출된 내용기를 아래로 절곡시키면 외취식구 밖으로 나와 있는 부분의 내용기가 음식물에서 분리되는데, 이때 내용기로부터 분리된 음식물은 외취식구쪽을 제외한 5개면이 노출된다. 포장채로 음식물이 노출된 부분을 입으로 가져가면 별도의 식사도구를 사용하거나 손으로 음식물을 직접 만지지 않고도 취식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3, 4는 분해한 포장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한 조립용 포장용기의 전개도이다.
포장용기의 재질은 식품용으로 적합한 종이나 합성수지 또는 금속판이며, 외용기(a)와 내용기(b)는 사용 목적에 따라 각기 다른 재질로 제조하여 혼성 사용할 수 있다.
포장용기는 6면체 상자형의 2중 밀착 포장 구조이다. 외용기(a)는 측면이 개방되는 외취식구(111, 222)를 갖고, 내용기(b)는 윗면이 개방되는 내취식구(555)를 갖는다 내용기(b)는 외취식구 (111) 이나 (222)를 통하여 미닫이 설합 방식으로 외용기(a)안에 수납되거나 인출된다.
외용기(a)의 6개면은 외상판(5) 1개, 외하판(6) 1개 그리고 4개의 외측판(1, 2, 3, 4)으로 구성된다.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외측판(3, 4)은 고정되지만, 다른 한 쌍의 외측판(1, 2)은 개방되는 구조이다. 외측판 (1)에는 외취식구 (111)가, 다른 외측판 (2)에는 외취식구 (222)가 형성된다.
외용기(a)의 제작에 있어, 종이 재질을 사용할 경우에는 도 1과 2에서 보인바와 같이 조립식으로 한다. 외측판 (1)에 외측판단추(11)을, (2)에 외측판단추(21)을, (3)에 외측판날개(31, 32)을, (4)에 외측판날개(41, 42)를 각각 부설하여, 수납된 내용기(b)를 고정하고 밀폐되게 한다. 합성수지나 금속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외취식구(111, 222)가 상시 개방되는 1피스 구조로 하거나,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부캡(16)과 하부캡(26)을 씌워 개폐하는 3피스 구조로 한다. 종이 재질은 1회용 포장용기로만 사용한다.
내용기(b)의 6개면은, 내상판(53) 1개와 내하판(63) 1개 그리고 4개의 내측판 (13, 23, 33, 43)으로 구성된다.
내상판(53)은 1변이 내측판 (13)이나 (23) 중의 하나에 연결되어 개방이 가능한 구조이고, 개방되면 내취식구(555)를 형성한다. 내상판(53)을 생략하여 내취식구(555)를 상시 개방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기본적인 형태이지만, 도 4에서 처럼 내측판(33, 43)을 생략하고 내측판(13, 23)만 남기는 경우에는 내상판(53)은 생략되지 아니하고 그대로 남는다.
4개의 내측판(13, 23, 33, 43) 중에서 외취식구(111, 222)에 대응하는 내측판(13, 23)은 고정되고, 나머지 두 내측판(33, 43)은 내용기(b)의 절곡이 가능하도록 도 1과 2에서 보인 것처럼 대칭 위치에 다수의 취식절개선(8)을 개설하거나, 도 3에서 처럼 일부만 남기고 제거 축소하거나, 전부를 제거하는 구조로 한다.
바닥면의 내하판(63)에는 내용기(b)의 수납·인출 방향과 직각으로 다수 개의 평행한 취식절곡선(9)을 타설하거나 요설하여, 내용기(b)가 아래로 꺾일 때 절곡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내용기(b)가 절곡이 용이한 규격의 종이 재질일 경우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취식절곡선(9)을 생략할 수 있다.
취식절개선(8)과 취식절곡선(9)은 직선 연장선상에 있다.
외용기(a)와 내용기(b)가 포장 상태로 결합되면 외취식구(111)는 내측판(13)으로, 외취식구(222)는 내측판(23)으로, 내취식구(555)는 외상판(5)에 의하여 차폐되고, 2중 밀착됨으로서 포장 강도가 커지고 단열 효과가 증대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포장용기를 사용한 간편식사의 제조와 취식 과정을 실시 예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 예1]
평방 미터당 300g의 종이 판지를 폴리에스텔로 방수처리하여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조립용 포장용기의 원판을 제작하였다. 내용기(b)의 조립용 원판의 두 내측판 (33)과 (43)에는 15mm 간격으로 외취식구(111)에 평행한 취식절개선(8) 9개씩을 각각 개설하고, 내하판(63)에도 외취식구(111)에 평행한 취식절곡선(9) 9개를 요설하되 대향하는 양쪽 취식절개선(8)의 연장선상에 있게 하였다.
조립은 다음과 같은 순서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외용기(a)의 원판을 조립절곡선(7)에 따라 접고, 겹치는 외측판(4)과 외측복판(44)을 접착 고정하였다. 외측판(4)와 외측복판(44)의 접착 고정으로 외상판(5), 외측판(3), 외하판(6), 외측판(4)이 연결되고, 대향하는 외측판(1)과 외측판(2)은 개방된 채로 남아서 두 개의 외취식구 (111)과 (222)가 형성되었다. 외측판날개(32, 42)를 접어 넣고 외측판단추(21)를 끼워서 외취식구(222)를 폐쇄하고, 1개의 외취식구(111)만 개방된 채로 남겨두었다.
내용기(b)의 원판 또한 조립절곡선(7)을 따라 접었다. 서로 대응하는 두 내측판날개 (331)과 (431)을 끼움홈(10)에 엇물려 끼워서 세우고, 엇물려 끼워 세운 내측판날개(331, 431)가 가운데 끼이도록 내측판(13)이 바깥쪽에, 내측복판(133)이 안쪽에 가도록 접어 넣어서 내측판(13)을 수직으로 고정하였다. 대향하는 내측판(23)도 내측판(13)과 같은 순서와 방법으로 고정하였다. 두 내측판(13, 23)의 고정으로 내취식구(555)가 상시 개방된 내용기(b)가 조립되었다.
조립이 완성된 외용기(a)의 칫수는 가로 x 세로 x높이가 153mm, 44mm, 33mm이고, 내용기(b)의 칫수는 원판의 두께 만큼 칫수를 조절하여, 포장시에 내용기(b)가 외용기(a) 안에서 유동 공간 없이 밀착 수납되게 하였다.
포장은 다음과 같은 방법과 순서로 실시하였다. 통상의 방법으로 지은 약밥 200g을 내취식구(555)를 통하여 내측판(13, 23, 33, 43)의 높이를 초과하지 않게 내용기(b)에 고루 담았다. 음식물이 담긴 내용기(b)를 외취식구(111)를 통하여 외용기(a)안에 완전히 수납되게 밀어 넣었다. 외측판날개(31, 41)를 접고 외측판단추(11)를 끼워서 외취식구(111)를 폐쇄함으로 간편식사의 포장을 완성하였다.
외용기(a)에 수납된 내용기(b)가 유동되지 않게 정밀하게 제작된 2중 포장의 구조로 내충격과 단열 보온의 성능이 향상되었다. 용기에 담고 포장하는 과정에서 위생적으로 안전한 취사기구만을 사용하여 세균 오염의 소지를 제공하는 피부 접촉을 원천 차단하고, 조리한 즉시 뜨거운 상태의 음식물을 포장하여 공기 노출에 따르는 세균 오염의 가능성도 배제하여 위생적으로 안전한 간편식을 만들 수 있었다.
취식은 포장의 역순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외포장(a)의 외측판단추(11)를 풀어내고, 외측판날개(31, 41)를 젖혀 외취식구(111)를 개방하였다. 외취식구(111)에 노출된 내측판(13)의 윗턱을 잡고 첫번째 취식절개선(8)이 외취식구(111)의 경계선에 오기까지 내용기(b)를 끌어내었다. 내용기(b)가 유동하지 않게 외상판(5)과 외하판(6)을 눌러쥐고 내측판(13)의 윗턱을 잡고 아래로 꺾어 젖히면, 내측판(33, 43)에 개설된 첫번째 취식절개선(8)이 벌어지면서 취식절곡선(9)을 따라 내하판(63)이 절곡된다.
내하판(63)이 꺽여 절곡되면, 외취식구(111) 밖에 노출된 음식물은 내측판(33, 43)과 내하판(63)에서 각각 분리된다. 내용기(b)에서 분리된 음식물은 외취식구(111)에 연접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한 5개면이 노출되었고, 가로 x 세로x 높이 44mm x 33mmx 15mm 약 20g 분량으로 한 입 베어물기에 적당한 크기이다. 내하판(63)의 절곡 각도는 취식에 알맞게 조절할 수 있다. 첫번째 취식절개선(8)까지의 음식물을 취하고 난 다음, 두 번째 취식절개선(8)이 외취식구(111)에 오도록 내용기(b)를 끝어내어 전과 같은 방법으로 취식하였다. 이와 같은 순서와 방법의 반복으로 포장된 음식물의 취식을 간편하게 끝낼 수 있었다.
위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간편식사는 별도의 식사도구가 없이도 취식이 가능하여 간편하고 경제적이며, 식사중에 음식물을 손으로 직접 만지지 않으므로 피부접촉에 따른 오염의 소지가 적어 위생적으로 안전하다. 또한 음식물은 한 입 크기만큼만 노출되며, 외측판날개(31, 41)가 좌우에서, 외측판(1)과 외측판단추(11)가 각각 아래와 앞에서 음식물이 추락되지 않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므로서 음식물을 떨어뜨리거나 내용물이 삐져나와 손이나 옷을 더럽히는 등 취식을 곤란하게 만드는 일이 발생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취식중 노출되지 않은 부분의 음식물은 포장의 보온 기능이 유지됨으로 식사의 만족감이 향상되었다.
또한 6면체 상자형의 구조는 취급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물류에 있어 적재 보관 공간의 절약을 극대화함으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무엇보다도 특수한 기술이나 고가의 설비 없이도 사용이 간편하여, 가정이나 외식업소에서 두루 이용할 수 있는 뛰어난 범용성을 갖고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동일한 재질과 규격의 포장용기를 사용하였다. 단, 외용기(a)의 안쪽면을 폴리에스텔 수지로 방수 코팅하는 대신에 알미늄박지로 중착하여 방수 기능과 함께 기밀성도 강화하였다.
포장용기 1개에는 백반 200g을 담고, 다른 1개에는 김치·소고기 볶음·시금치나물·양파 등을 혼합해서 만든 달걀찜 200g을 내용기(b)의 규격에 맞게 잘라 담아서 2개의 포장을 1세트로 하는 간편식사를 완성하였다. 포장은 기밀 상태가 유지되도록 외측판 (1)과 (2)를 접착 봉합하였다.
위와 같이 별도로 포장된 밥과 반찬을 셋트로 할 경우, 제조와 취식이 간편할 뿐 아니라 밥에 반찬을 끼워 적층하거나 밀착 성형하는 방식보다 식감이 우수하여 만족감이 높았다. 재료의 배합이나 조리 방식에 제약 조건이 많이 따르는 기존의 패스트푸드에 비하여 여러 가지 재료의 사용과 다양한 조리 방법을 이용한 간편식을 만들 수 있게 됨으로 취식자의 선택권이 확대되고 식사의 질을 높인 간편식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포장용기에 통상적인 방법의 간단한 기밀 열처리를 함으로서 기존의 패스트푸드보다 우수한 보존성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외용기(a)는 두께 0.5mm의 투명 P.P 합성수지제로서 외취식구(111, 222)가 개방되어 있는 구조이다. 칫수는 가로 x 세로 x 높이 153mm x 44mm x 33mm가 되게 제작하였다.,
내용기(b)는 도 1에서 사용한 동일한 종이 재질과 규격이지만, 내측판(33, 43)은 양끝단의 일부만 남기고 제거하여 축소한 구조이다.
통상의 방식으로 김밥을 만들되 가로 x 세로가 40mm x 30mm인 4각형 기둥형태로 말아서 두께 15mm의 한 입크기로 썰고, 김밥 10개를 내용기(b)에 담아서 외취식구 (111)이나 (222)를 통하여 외용기(a)에 밀어 넣어 포장을 완성하였다. 외취식구(111)는 내측판(13)으로, 외취식구(222)는 내측판(23)으로 각각 차폐되었다.
음식물을 담은 내용기(b)를 두 개의 개방되어 있는 외취식구(111, 222)를 통해서 간편 신속하게 수납하고 인출할 수 있었다. 포장재료가 절약되며, 내용물의 확인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취식은, 외취식구(111, 222)를 차폐하고 있는 내측판 (13)이나 (23)의 윗턱을 잡고 적당한 위치까지 내용기(b)를 인출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이때 한 입 크기로 썬 김밥이 내용기(b)의 인출 정도를 가늠하는 눈금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이 김밥이 1개씩 노출되게 하면 음식물이 쏟아지거나 김밥의 결속이 풀어져서 속재료가 삐져나와 손이나 좌석을 더럽히는 등 식사중에 곤난을 겪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 4]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외용기(a)는 몸통(56)과 상부캡(16)과 하부캡(26)의 3피스로 구성, 두께 2mm의 오렌지색 P.P 합성수지로 사출 제작하였다. 상부캡(16)과 하부캡(26)은 각각 밖에서 몸통(56)에 억지끼움하는 구조이며, 캡을 끼우는 몸통(56)의 대향하는 두 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상부캡(16)과 하부캡(26) 그리고 몸통(56)이 결합된 상태의 외용기(a)의 칫수는 가로 x 세로 x 높이 각각 153mm x 44mm x 33mm이고, 하부캡(26)과 몸통(56)이 끼워지는 중첩부는 10mm, 상부캡(16)과 몸통(56)의 중첩부는 40mm가 되게 제작하였다.
내용기(b)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이 P.E로 방수 처리한 평방미터당 300g의 종이 재질로 만들었다. 내측판(33, 43)을 완전히 제거한 대신에 내상판(53)을 내측판(23)에 연결하고, 내상판(53)에는 내측복판(133)을 연결 부착하였다, 내하판(63)에는 취식절곡선(9)을 압설치 아니하였다.
내용기(b)에 가로 x 세로 x 두께 40mm x 30mm x 20mm로 만든 생선초밥 6개와 2g의 간장이 든 소스병을 담아서, 하부캡(26)을 끼운 외용기(a)에 밀어 넣고, 상부캡(16)을 씌워 포장을 완성하였다.
취식시에는, 상부캡(16) 만을 제거하고 외취식구(111)를 개방하였다. 노출된 내측판(13)과 내측복판(133)을 잡고 첫 번째 초밥이 외취식구(111)를 빠져 나올 때까지 내용기(b)를 끌어낸다. 한 입 크기로 만든 초밥이 내용기(b)를 인출하는 가늠자가 된다. 내상판(53)을 위로 꺽어 젖히고, 노출된 초밥 위에 적당량의 간장 소스를 뿌리고 취식한다. 식사도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초밥이 노출된 부분의 포장용기를 입으로 가져가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취식할 수가 있다. 첫 번째 초밥을 취식한후에는 내하판(63)을 아래로 꺾고, 다시 두 번째 초밥이 노출될 때가지 내용기(b)를 끌어내어서 먼저와 같은 방법으로 취식한다. 음식물에 직접 손을 대지 않고 내용기를 적당하게 끌어내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취식을 끝낼 수 있다.
내용기(b)의 재료로 굴신이 자유로운 재질을 사용하면 내하판(63)에 취식절곡선(9)을 압설치 아니하여도 내용기(b)의 절곡에는 문제가 전혀 없으므로 경제적으로 용기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포장용기는 상부캡(16)을 취식중 물컵이나 술컵으로 활용이 가능하고, 내용기(b)란 새 것으로 바꾸면 가정용 도시락 용기처럼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고 자원 절약의 효과도 크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간편식사의 편리성과 경제성, 위생 안전성, 보관성, 나아가 식사의 질과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포장용기로서 범용성과 재활용성도 우수하다.
용기와 포장 그리고 식사도구의 기능이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어서, 간편식사의 취식자 입장에서는 기본적인 편리성과 경제성이 우수하고, 제조 생산하는 사업자의 입장에서도 숙련된 기술이나 특수한 고가의 장비를 요하지 아니함으로 간편성과 경제성이 뛰어나다.
조리 기구를 사용하여 음식을 뜨거운 상태로 포장할 수 있고, 포장 상태를 유지한 채 취식하게 됨으로, 종래 주먹밥이나 햄버거 같은 패스트푸드를 제조할 때나, 이들 간편식을 취식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한 손의 접촉에 의한 세균의 오염을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서 위생적이고 안전성이 탁월한 간편식이 된다.
포장용기의 형태와 구조가 유휴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6면체이고, 내충격성과 보온성이 강화된 2중 포장이어서 보관과 물류에 적합하고 경제적이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은 통상의 방법을 이용한 간단한 기밀 열처리로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한 화학적 효과는 구조와 형태에 의한 물리적인 효과와 함께 자동판매기의 이용을 가능케 하는 것으로 외식사업의 다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2중 포장에 의한 단열 효과는 보온 기능을 향상시키고, 보온이 유지된 음식물은 식사의 만족감이 우수하다. 조리 즉시 음식물을 담아서 뜨거운 상태로 취식이 가능하고, 취식시에도 음식물은 한 입 분량만큼만 노출됨으로 음식물의 냉각이 지연되고 보온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종래 간편식사의 만족감이 떨어지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밥, 김밥, 초밥, 덮밥, 떡, 빵, 전과 부침개, 에그롤, 미트롤, 샌드위치, 햄버거등간편식사나 대용식의 포장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여러가지 재료와 다양한 조리 방식으로 만든 음식물을 담아 포장할 수 있어서 식사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종래 점성이 많아 김밥 위주인 한국형 패스트푸드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간편식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 된다.
종이재의 포장용기를 사용할 경우, 폐기물 처리가 간편하고 환경친화적이다. 합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재사용이나 영구 사용으로 자원절약과 폐기물공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6)

  1. 주먹밥이나 햄버거와 같이 즉석제조되어 손으로 쥐고 먹는 간편식사의 포장용기에 있어서, 개방된 취식구가 옆면에 있는 외용기와 윗면에 있는 내용기로 구성되는 6면체형의 2중 밀착 결합 구조이고, 미닫이 설합처럼 내용기가 외용기 안에서 미끄럼 이동하면서 수납 또는 인출될 때 상대 용기의 취식구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식사용 포장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내용기의 수납을 확실하게 하고 기밀 보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외용기의 취식구를 개폐하는 장치로서 외측판이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기를 구비한 간편식사용 포장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외용기에 수납된 내용기를 적정한 위치까지 끌어낸후에 부분적인 절곡으로 음식물의 5개면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외용기의 취식구에 대응하지 아니하는 두 내측판에 다수의 취식절개선이 대칭적으로 개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기를 구비한 간편식사용 포장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내용기의 부분 절곡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내하판에 내용기의 수납·인출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다수의 평행한 취식절곡선을 압설 또는 요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기를 구비한 간편식사용 포장용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조립을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하기 위하여 취식절개선 대신에 두 내측판의 끝단만 남겨두고 일부를 제거하여 축소하거나, 전부를 제거하여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기를 구비한 간편식사용 포장용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취식구를 개폐하는 장치가 외용기 몸통에 억지끼움하는 분리형 캡의 구조와 형태로 만들어지고, 캡이 컵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기를 구비한 간편식사용 포장용기
KR20-2002-0020158U 2002-07-04 2002-07-04 간편식사용 포장용기 KR2003008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158U KR200300872Y1 (ko) 2002-07-04 2002-07-04 간편식사용 포장용기
PCT/KR2003/001315 WO2004004510A1 (en) 2002-07-04 2003-07-04 Hand food package for fast food
AU2003245095A AU2003245095A1 (en) 2002-07-04 2003-07-04 Hand food package for fast f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158U KR200300872Y1 (ko) 2002-07-04 2002-07-04 간편식사용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2Y1 true KR200300872Y1 (ko) 2003-01-24

Family

ID=32464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158U KR200300872Y1 (ko) 2002-07-04 2002-07-04 간편식사용 포장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300872Y1 (ko)
AU (1) AU2003245095A1 (ko)
WO (1) WO2004004510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5255U (ko) * 1977-11-08 1979-05-29
AU534724B3 (en) * 1983-11-04 1984-03-08 Gaichime Pty Limited Insert for a food container
KR200197906Y1 (ko) * 2000-02-28 2000-10-02 조은혜 낱개로 제조된 다수개의 과자의 배열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45095A1 (en) 2004-01-23
WO2004004510A1 (en) 200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9140B1 (en) Food bag
US3663239A (en) Toaster packages having four spouts
EP0329764B1 (en) Simulated food product carrier
US20090004336A1 (en) Instant Food Package
KR200300872Y1 (ko) 간편식사용 포장용기
CN209528218U (zh) 一种微波加热食用的芝士奶酪快餐盒饭
CN108552704B (zh) 一种汤面分离的一体式饭盒
CN218457559U (zh) 一种具有食物分离功能的餐盒
KR100477762B1 (ko) 누룽지 스낵
JPS5852226Y2 (ja) 即席鍋焼麺容器
CN210619002U (zh) 方便营养快餐套装
CN220654977U (zh) 一种塑料餐盒
CN215044564U (zh) 一种可分节式餐饮杯
CN217959086U (zh) 一种密封性强的可重复使用餐具
CN203252350U (zh) 一种多用途冲调杯
CN205493418U (zh) 一种多功能餐具
KR20180131875A (ko) 다용도 트랜스 뚜껑 종이컵
CN218791643U (zh) 一种多功能餐具
RU1792U1 (ru) Контейнер-термос для доставки готовой пищи
CN207767700U (zh) 一种可计量营养评估装置
KR20080005789U (ko) 포장용기
CN100477926C (zh) 一类卫生快餐饭堡包的制作方法及制作装置
JP3064143U (ja) 持ち帰り用丼もの
CN207721368U (zh) 一种用于餐具盒的盛水结构
JP3094143U (ja) 食品組み合わせ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