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6830A - 2차전지팩 제조용 자동솔더링장치 - Google Patents

2차전지팩 제조용 자동솔더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6830A
KR20030086830A KR1020020025020A KR20020025020A KR20030086830A KR 20030086830 A KR20030086830 A KR 20030086830A KR 1020020025020 A KR1020020025020 A KR 1020020025020A KR 20020025020 A KR20020025020 A KR 20020025020A KR 20030086830 A KR20030086830 A KR 20030086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dering
axis
support
ji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시
Priority to KR1020020025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6830A/ko
Publication of KR20030086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83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2Soldering irons; B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X축과 Z축상으로 작동되는 솔더링장치에 의해 지그에 장전되어 있는 전지본체의 음극단자판과 양극단자판의 솔더링부와 이들 솔더링부에 장착되어 있는 전지보호회로기판의 솔더링포인트를 자동으로 솔더링시켜 주도록 된 것으로써, X축작동장치에 의해 솔더링장치를 좌측지그 또는 우측지그측에 반복적으로 좌우이동시키면서 Z축작동장치와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좌측지그 또는 우측지그에 장전되어 있는 전지본체의 솔더링부를 각각 솔더링시켜주는 것을 반복적이면서도 자동으로 실시하게 되므로, 솔더링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능률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형상/모양으로 솔더링시켜 주므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으며, 2차전지팩의 제조공정을 완전히 자동화시켜 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2차전지팩 제조용 자동솔더링장치{A Automatic Soldering Unit}
본 발명은 양극시트와 음극시트로 구성된 전극적층유니트가 내장되어 있는 전지본체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음극단자판의 솔더링와 양극단자판의 솔더링부및 이들 솔더링부에 삽입 장착되는 전지보호회로기판의 솔더링포인트를 자동으로 솔더링시켜 주도록 하는 2차전지팩 제조용 자동솔더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스폿트용접공정을 거치면서 전지본체의 음극단자 및 양극단자에 스폿트용접된 음극단자판과 음극단자판에서 전지본체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음극단자판의 솔더링와 양극단자판의 솔더링부 및 이들 솔더링부에 삽입 장착되는 전지보호회로기판의 솔더링포인트를 자동으로 솔더링시켜 주되, 전지본체를 지그에 장전시키고 통상의 솔더링장치를 X축과 Z축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X축과 Z축상으로 작동되는 솔더링장치에 의해 지그에 장전되어 있는 전지본체의 음극단자판과 양극단자판의 솔더링부와 이들 솔더링부에 장착되어 있는 전지보호회로기판의 솔더링포인트를 자동으로 솔더링시켜 주도록 된 것이다.
근자에 들어 통신 및 전자기술이 급속하게 발달하면서 일명 휴대전화기 또는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기기를 비롯하여 각종 휴대전자기기 등이 개발되어 보급되면서 이들 휴대용 이동통신기기 및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2차전지팩(베터리)의 수요도 급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휴대용 이동통신기기 및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2차전지팩은 두께가 얇아지고 소형화 경량화되면서 오히려 높은 기전력과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도 1은 휴대전화기(일명 "휴대폰")에 장착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2차전지팩(1)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전지본체(5)의 내부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양극시트와 음극시트로 구성된 전극적층유니트가 내장되어 있고, 전지본체(5)의 상면과 저면에는 상측절연판(8)과 하측절연판(9)이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절연판(8)과 하측절연판(9)의 외측으로는 양극시트 및 음극시트와 연결되는 음극단자(6) 및 양극단자(7)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지본체(5)의 음극(6)에는 음극단자판(11)이 통상의 스폿트용접에 의해 장착시키게 되는데, 음극단자판(11)은 절곡되어 있는 솔더링부(12)가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도록 유지시킨 상태에서 순간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상측절연판(8)의 순간접착부(8-1)에 접착시켜주게 되고, 이 상태에서 타단의 스폿트부를 음극단자(6)에 스폿트용접하여 고정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음극(6)에 음극단자(11)가 장착된 전지본체(5)의 일 측면에는 양극단자판(16)을 부착 고정시켜주게 되는데, 양극단자(7)가 위치하는 측면에는 양면테이프(4)를 이용하여 양극단자판(16)을 접착시켜 주되, 상단의 솔더링부(17)가 상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음극단자판(11)의 솔더링부(12)와 대향되도록 하고 하단의 스폿부가 하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양극(7)과 중첩되어지도록 하며, 서로 중첩되는 양극단자(7)와 스폿부를 통상의 스폿용접장치를 이용하여 용접 고정시켜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지본체(5)에 스폿트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음극단자판(11)과 양극단자판(16)에서 대향되는 솔더링부(12)·(17)의 사이에는 단자절연체(23)의 충전단자(25)가 솔더링되어 있는 전지보호회로기판(20)의 양측을 삽입시키되, 전지보호회로기판(20)의 양측에 형성된 솔더링포인트(21)·(22)가 솔더링부(12)·(17)와 중첩되어 통전될 수 있도록 하며, 중첩되는 솔더링포인트(21)·(22)와 솔더링부(12)·(17)는 통상의 솔더링(납땝)용접을 실시하여 일체형으로 부착 고정시켜주게 된다.
이와 같이 음극단자판(11)과 양극단자판(16) 및 전지보호회로기판(20)이 장착 고정된 전지본체(5)의 전면과 후면에는 외장케이스(2)·(3)를 씌워 밀폐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켜 주게 되는데, 전지본체(5)의 전면과 배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을 부착 또는 도포시킨 상태에서 단자절연체(23)의 양면에 구비된 휴대폰접속단자(23)와 충전단자(25)가 구멍(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외장케이스(2)·(3)를 씌워를 씌워접착 고정시켜 주며, 전지본체(5)의 외측에 씌워지는 외장케이스(2)·(3)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통상의 초음파융착장치 등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2차전지팩(1)를 조립 생산할 때에 종래에는 모든 공정을 작업자가 직접 실시하였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낮아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 될 뿐만 아니라 작업공정과 작업상태가 균일하지 못하여 제품의 품질(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에는 음극단자판(11)과 양극단자판(16)을 스폿트용접시킬 때와, 음극단자판(11)과 양극단자판(16)의 솔더링부에 전지보호회로기판(20)을 솔더링용접을 실시할 때에 작업자가 스폿트용접도구 및 솔더링용접도구를 직접 휴대한 상태에서 실시하여야 했으므로 작업성(능률)이 현저하게 낮아 생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고, 그로 인하여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용접상태가 균일하지 못하고 위치가 서로 달라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된 2차전지팩 제조용 자동솔더링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린더에 의해 전후로 작동되는 복수개의 지그를 받침판의 위에 평행하게 구비하고, 지그의 상측에는 솔더링장치를 Z축작동장치에 의해 상하 수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Z축작동장치를 X축작동장치에 의해 좌우로 수평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된 2차전지팩 제조용 자동솔더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솔더링장치를 Z축작동장치에 의해 하향시켜 일측의 지그에 장전된 전지본체의 음극단자판과 양극단자판의 솔더링부와 전지보호회로기판의 솔더링포인트를 솔더링시켜 주고, X축작동장치에 의해 솔더링장치를 전지본체가 장전된 다음 지그로 이동시켜 준 후에 솔더링을 실시하도록 하되, 이와 같은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접위치와 상태를 동일하고 일정하게 하여 품질이 향상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된 2차전지팩 제조용 자동솔더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전지본체(5)에 결합된 음극단자판(11)과 양극단자판(16)의 솔더링부(12)·(17)와 전지보호회로기판(20)의 솔더링포인트(21)·(22)를 각각 솔더링시키는 것에 있어서,
각 실린더(43)에 의해 전후로 작동되는 복수개의 지그(40)를 장치판(33)의 위에 병렬로 나란하게 설치한 것과,
지그(40)의 상측에는 실납공급관(54)을 통하여 납땝인두(51)에 실납(55)이 공급되는 솔더링장치(50)를 Z축작동장치(70)에 의해 상하 수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Z축작동장치(70)는 지주(34)에 설치되는 X축작동장치(60)에 의해 좌우로 단속적으로 수평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된 2차전지팩 제조용 자동솔더링장치(30)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2차전지팩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솔더링장치를 보인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솔더링장치의 요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차전지팩 2.3. 외장케이스 5. 전지본체
6. 음극 7. 양극 10. 음극단자판
11. 음극단자 13. 음극단자용지그 15. 양극단자판
16. 양극단자 18. 양극단자용지그 20. 전지보호회로기판
30. 자동솔더링장치 33. 장치판 40. 지그
34. 실린더 46. 완충장치 50. 솔더링장치
51. 납땝인두 52. 솔레노이드 54. 실납공급관
60. X축작동장치 61. X축장치틀 62. X축스크류봉
63. X축모터 65. X축이송너트편 70. Z축작동장치
71. Z축지지대 72. 가이드레일 73. 가이드블럭
74. 상하작동판 75. 승하강편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2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솔더링장치(30)의 구체적인 실현예를 보인 것으로써, 도 2a 내지 도 2c는 자동솔더링장치를 보인 평면도 · 정면도 · 측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자동솔더링장치의 요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평면도 · 정면도 ·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솔더링장치(30)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바와 같이, 저면에 통상의 캐스터(32)가 장착된 장치틀(31)에서 장치판(33)의 위에 설치하여 이동형으로 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된 장치판(33)의 위에 설치하여 고정형으로 할 수 있다.
장치판(33)의 위에 복수개의 실린더(43)를 병렬로 나란하게 설치하였고, 각 실린더(42)의 로드(44)에는 작동판(42)을 고정시키되 작동판(42)에는 지그(40)가 장착된 지그지지대(41)를 설치하여, 실린더(43)의 작동에 의해 지그(40)를 전후진시켜줄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각 실린더(43)의 외측에 실린더커버(45)를 씌워 실린더(43)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실린더커버(45)와 작동판(42)과의 사이에는 완충지지장치(46)를 설치하였는데, 실린더커버(45)와 작동판(42)의 대향면에 지지봉(47)·(47-1)을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설치하고 이들 지지봉(47)·(47-1)에는 코일스프링(48)을 결합시켜 주었다.
상기 실린더커버(45)의 양측에 한 쌍의 지주(34)를 나란하게 설치하고, 이들 지주(34)의 사이에서 상측부분에는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Z축작동장치(70)를 X축상(좌우)으로 작동시켜주기는 X축작동장치(60)를 설치하였다.
상기 X축작동장치(60)는 나란하게 이격 설치된 지주(34)의 상측부에 X축장치틀(61)을 평행하게 설치하고 이 X축장치틀(61)의 내부에는 X축스크류봉(62)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되 X축장치틀(61)의 일측면에는 X축모터(63)를 설치하여 X축스크류봉(62)의 단부와 X축모터(63)를 컨넥터(64)로 연결하였으며, 상기 X축스크류봉(62)에는 Z축작동장치(70)의 Z축지지대(71)가 장착되는 X축이송너트편(65)을 나사 결합하였다.
상기 X축이송너트편(65)에는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솔더링장치(50)를 상하로 작동시켜 주는 Z축작동장치(70)를 장착하였다.
상기 Z축작동장치(70)는 Z축지지대(71)의 전면에 가이드레일(72)과 Z축실린더(77)를 나란하게 수직으로 설치하여 가이드레일(72)에는 지지봉(76)이 구비된 승하강편(75)의 가이드블럭(73)을 결합시켰고 Z축실린더(77)의 로드(78)에는 상하작동판(74)을 장착하였으며, 승하강편(75)과 상하작동판(74)을 일체형으로 고정시켰다.
상기 승하강편(75)에 설치된 지지봉(76)의 하단에는 지지대(56)를 중심축(57)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였는데, 중심축(57)의 외주 지지대(56)에는 호형가이드공(56-1)을 뚫어주고 호형가이드공(56-1)을 통해 지지축(57-1)을 지지봉(76)에 고정시켜 지지대(56)가 회전될 때에 지지하면서 회전되는 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지지대(56)에는 솔더링장치(50)를 장착하였다.
상기 솔더링장치(50)는 지지대(56)의 하단에 지지틀(53)을 중심축(58)으로 설치하였고, 중심축(58)의 주변 지지대(56)에 호형가이드공(56-2)을 뚫어 주고 지지축(58-1)을 삽입하여 지지틀(53)에 고정시켜 납땜이두(51)가 장착되는 지지틀(53)을 지지하면서 그의 회전각도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지지틀(53)에는 솔레노이드(52)를 장착하고 그의 로드(52-1)에 납땜인두(51)의 몸통을 일체형으로 고정시켜 상하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되, 납땜인두(51)의 몸통에는 통상의 실납(55)을 납땜인두(51)의 선단에 공급시킬 수 있도록 된 실납공급관(54)을 일체형으로 장착하였다.
이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솔더링장치(30)는 지그(40)가 좌측지그(40-1)와 우측지그(40-2)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솔더링장치(50)가 X축작동장치(60)에 의해 양측의 좌측지그(40-1)와 우측지그(40-2)에 반복적으로 이동하면서 솔더링을 실시하게 된다.
좌측지그(40-1)와 우측지그(40-2)에 솔더링을 실시할 전지본체(5)를 각각 장전시키고, 솔더링장치(50)를 좌측지그(40-1)와 우측지그(40-2)중에서 어느 일측으로 이동시켜 준 상태에서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조작하여 자동솔더링장치(30)에 전원을 공급시켜 줌으로써 작동이 개시된다.
예컨대, 솔더링장치(50)를 좌측지그(40-1)측으로 이동시켜주거나 이동된 상태에서 스위치를 조작하여 자동솔더링장치(30)를 작동시켜 주면, Z축실린더(77)가 작동하면서 로드(78)를 인출시켜 주게 되고, 로드(78)가 인출되면 상향되어 있던 상하작동판(74)과 함께 승하강편(75)이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에 승하강편(75)은 그의 가이드블럭(73)이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7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되므로 승하강편(75)과 함께 지지봉(76)은 수직으로 하강하게 된다.
승하강편(75)과 함께 지지봉(76)이 하강하게 되면 지지대(56)와 함께 그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는 솔더링장치(50)도 하강하게 되는데, 솔더링장치(5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땜인두(51)의 선단이 좌측지그(40-1)에 장전된 전지본체(5)에서 양극단자판(16)와 음극단자판(11)의 솔더링부(17)·(12)(전지본체의 장전상태에 따라 달라지게 됨)중에서 어느 일측 솔더링부의 바로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납땜인두(51)의 선단이 일측의 솔더링부(17)의 바로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52)가 작동하게 된다.
솔레노이드(52)가 작동하게 되면 로드(52-1)가 인출되면서 납땜인두(51)의 선단이 솔더링부(17)에 연접되어지고, 이와 동시에 실납공급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작동에 의해 실납(55)이 실납공급관(54)을 통하여 일정한 길이 만큼만 공급되어지며, 실납공급관(54)의 선단을 통하여 공급 배출되는 실납(55)은 고온상태로 유지되는 납땝인두(51)의 열을 받아 용융되면서 솔더링부(17)와 전지보호회로기판(20)의 솔더링포인트(22)를 솔더링시켜 주게 된다.
솔더링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52)가 역으로 작동하여 하향되어 있는 솔더링장치(50)를 상향시킴과 동시에 납땜인두(5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주고, 솔더링장치(50)가 완전히 상향되어지면 실린더(43)가 작동하여 로드(44)가 인출되면서 좌측지그(40-1)를 전진시켜 주게 되며, 좌측지그(40-1)의 전진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52)가 재차 작동하여 솔더링장치(50)를 전술한바와 같이 하향시켜 줌과 동시에 실납(55)이 실납공급관(54)을 통해 공급되면서 음극단자판(11)의솔더링부(12)를 회로기판(20)의 솔더링포인트(21)에 솔더링시켜 주게 된다.
솔더링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52)가 역으로 작동하여 솔더링장치(50)를 상향시켜 줌과 동시에 Z축작동장치(70)의 Z축실린더(77)가 역으로 작동하여 상향작동판(74)과 함께 승하강편(75) 및 솔더링장치(50)를 상향시켜 주게 된다.
Z축실린더(77)의 역 작동에 의해 솔더링장치(50)가 완전히 상향되어지면 X축작동장치(60)가 작동하여 Z축작동장치(70)와 함께 솔더링장치(50)를 우측지그(40-2)측으로 이동시켜 주게 된다.
X축작동장치(60)의 X축모터(63)가 작동하게 되면 X축스크류봉(62)이 회전하게 되고, X축스크류봉(62)이 회전하게 되면 X축이송너트편(65)과 함께 Z축작동장치(70)의 Z축지지대(71)도 우측지그(40-2)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동이 완료되면 기히 설정(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X축모터(63)의 작동은 정지된다.
이와 같이 X축작동장치(60)의 작동에 의해 Z축작동장치(70) 및 솔더링장치(50)가 우측지그(40-2)측으로 이동이 완료되어지면 우측지그(40-2)에 정전된 전지본체(5)에 대한 솔더링작업이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실시된다.
즉, Z축작동장치(70)의 Z축실린더(77)가 작동하여 솔더링장치(50)를 하향시키고, 솔레노이드(52)가 작동하여 납땜인두(51)를 솔더링부(17)에 하향 연접시켜 솔더링부(17)와 전지보호회로기판(20)의 솔더링포인트(22)를 솔더링시켜 주게되며, 솔더링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52)가 역으로 작동하여 하향되어 있는 솔더링장치(50)를 상향시킴과 동시에 납땜인두(5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게된다.
솔더링장치(50)가 완전히 상향되어지면 실린더(43)가 작동하여 로드(44)가 인출되면서 우측지그(40-2)를 전진시켜 주게 되고, 우측지그(40-2)의 전진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52)가 재차 작동하여 솔더링장치(50)를 전술한바와 같이 하향시켜 줌과 동시에 실납(55)이 실납공급관(54)을 통해 공급되면서 양극단자판(11)의 솔더링부(12)를 회로기판(20)의 솔더링포인트(21)에 솔더링시켜 주게 된다.
솔더링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52)가 역으로 작동하여 솔더링장치(50)를 상향시켜 줌과 동시에 Z축작동장치(70)의 Z축실린더(77)가 역으로 작동하여 상향작동판(74)과 함께 승하강편(75) 및 솔더링장치(50)를 상향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우측지그(40-2)에서 솔더링이 실시되고 있는 도중에 솔더링이 완료된 좌측지그(40-1)에서 전지본체(5)를 인추하여 차기 공정으로 이송시켜 주고, 동시에 솔더링을 실시하여야 할 새로운 전지본체(5)를 장전시켜 주게 된다.
Z축실린더(77)의 역 작동에 의해 솔더링장치(50)가 완전히 상향되어지면 X축작동장치(60)가 역으로 작동하여 Z축작동장치(70)와 함께 솔더링장치(50)를 좌측지그(40-1)측으로 다시 이동시켜 주게 된다.
좌측지그(40-1)측으로 이동한 솔더링장치(50)는 좌측지그(40-1)에 장전되어 있는 전지본체(5)에 솔더링을 실시하게 되는데, 다만 좌측지그(40-1)가 외측으로 이동(인출)되어 있는 그 상태에서 먼저 솔더링을 실시하고, 실린더(43)를 역으로 작동시켜 좌측지그(40-1)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재차 솔더링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솔더링장치(30)는 X축작동장치(60)에 의해 솔더링장치(50)를 좌측지그(40-1) 또는 우측지그(40-2)에 반복적으로 좌우이동시키면서 Z축작동장치(70)와 솔레노이드(52)의 작동에 의해 좌측지그(40-1) 또는 우측지그(40-2)에 장전되어 있는 전지본체(5)의 솔더링부(22)·(21)를 각각 솔더링시켜주는 것을 반복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특히, 지그(40)가 장착된 작동판(42)이 실린더(43)의 작동에 의해 후진될 때에 완충지지장치(46)의 코일스프링(48)이 충격을 완화시켜 주게 되고, 따라서 작동판(42)은 보다 부드럽게 후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솔더링장치는, X축작동장치에 의해 솔더링장치를 좌측지그 또는 우측지그측에 반복적으로 좌우이동시키면서 Z축작동장치와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좌측지그 또는 우측지그에 장전되어 있는 전지본체의 솔더링부를 각각 솔더링시켜주는 것을 반복적이면서도 자동으로 실시하게 되므로, 솔더링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능률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형상/모양으로 솔더링시켜 주므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으며, 2차전지팩의 제조공정을 완전히 자동화시켜 줄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전지본체(5)에 결합된 음극단자판(11)과 양극단자판(16)의 솔더링부(12)·(17)와 전지보호회로기판(20)의 솔더링포인트(21)·(22)를 각각 솔더링시키는 것에 있어서,
    실린더(43)의 로드(44)에 작동판(42)을 장착하고 그 작동판(42)에는 지그(40)가 구비된 지그지지대(41)를 장착하여 지그(40)를 전후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되, 각 실린더(43)에 의해 작동되는 복수개의 지그(40)를 받침판(33)의 위에 병렬로 나란하게 설치한 것과,
    지그(40)의 상측에는 실납공급관(54)을 통하여 납땝인두(51)에 실납(55)이 공급되는 솔더링장치(50)를 중심축(57)·(58)에 의해 지지대(56)로 연결되는 Z축작동장치(70)에 의해 상하 수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Z축작동장치(70)는 지주(34)에 설치되는 X축작동장치(60)에 의해 좌우로 단속적으로 수평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팩 제조용 자동솔더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솔더링장치(50)의 납땝인두(51)와 실납공급관(54)은 솔레노이드(52)에 의해 상하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팩 제조용 자동솔더링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솔더링장치(50)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Z축작동장치(70)는,
    Z축지지대(71)의 전면에 가이드레일(72)과 Z축실린더(77)를 나란하게 수직으로 설치하여 가이드레일(72)에는 지지봉(76)이 구비된 승하강편(75)의 가이드블럭(73)을 결합시켰고 Z축실린더(77)의 로드(78)에는 상하작동판(74)을 장착하여 승하강편(75)과 상하작동판(74)을 일체형으로 고정시킨 것과,
    상기 승하강편(75)에 설치된 지지봉(76)의 하단에는 지지대(56)를 중심축(57)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팩 제조용 자동솔더링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솔더링장치(50)를 좌우로 작동시키는 X축작동장치(60)는,
    장치판(33)의 위에 나란하게 이격 설치된 지주(34)의 상측부에 X축장치틀(61)을 평행하게 설치하고 이 X축장치틀(61)의 내부에는 X축스크류봉(62)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되 X축장치틀(61)의 일측면에는 X축모터(63)를 설치하여 X축스크류봉(62)의 단부와 X축모터(63)를 컨넥터(64)로 연결한 것과,
    상기 X축스크류봉(62)에는 Z축작동장치(70)의 Z축지지대(71)가 장착되는 X축이송너트편(65)을 나사 결합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팩 제조용 자동솔더링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솔더링장치(50)와 Z축작동장치(70)를 지지대(56)로 연결시키되, 승하강편(75)에 설치된 지지봉(76)의 하단에 지지대(56)를 중심축(57)으로 설치하고 중심축(57)의 외주 지지대(56)에는 호형가이드공(56-1)을 뚫어 지지축(57-1)을 삽입하고 지지봉(76)에 고정시켜 지지대(56)를 지지하면서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과,
    지지대(56)의 하단에 솔더링장치(50)의 지지틀(53)을 중심축(58)으로 설치하고, 중심축(58)의 주변 지지대(56)에 호형가이드공(56-2)을 뚫어 지지축(58-1)을 삽입하고 지지틀(53)에 고정시켜 지지틀(53)을 지지하면서 그의 회전각도를 단속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팩 제조용 자동솔더링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실린더(43)의 외측에 실린더커버(45)를 씌우고, 실린더커버(45)와 작동판(42)과의 사이에는 완충지지장치(46)를 설치하되, 상기 완충지지장치(46)는 실린더커버(45)와 작동판(42)의 대향면에 지지봉(47)·(47-1)을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설치하고 이들 지지봉(47)·(47-1)에 코일스프링(48)을 결합시켜 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팩 제조용 자동솔더링장치.
KR1020020025020A 2002-05-07 2002-05-07 2차전지팩 제조용 자동솔더링장치 KR20030086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020A KR20030086830A (ko) 2002-05-07 2002-05-07 2차전지팩 제조용 자동솔더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020A KR20030086830A (ko) 2002-05-07 2002-05-07 2차전지팩 제조용 자동솔더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830A true KR20030086830A (ko) 2003-11-12

Family

ID=3238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020A KR20030086830A (ko) 2002-05-07 2002-05-07 2차전지팩 제조용 자동솔더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683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913B1 (ko) * 2006-08-08 2008-04-18 주식회사 디에스엘시디 형광램프용 커넥터 자동 솔더링장치
KR100870552B1 (ko) * 2008-05-14 2008-11-26 유원산업(주) 노치와이어를 이용한 오일필터용 필터부 자동솔더링장치
CN103752979A (zh) * 2014-01-27 2014-04-30 惠涌 精密点焊机
US9142822B2 (en) 2010-02-10 2015-09-22 Samsung Sdi Co., Ltd. Core pack manufacturing apparatus
KR20160015638A (ko) * 2014-07-31 2016-02-15 (주)조은테크 카메라 모듈 솔더링 장치와 이를 이용한 솔더링 방법
KR20180055590A (ko) * 2016-11-17 2018-05-2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4축 제어기반의 자동 솔더링장치에 구비되는 솔더링 아이언 유니트
KR20180055589A (ko) * 2016-11-17 2018-05-2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4축 제어기반의 자동 솔더링장치
CN108630978A (zh) * 2018-06-19 2018-10-09 南通理工学院 一种电瓶车应急宝电池组装的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9715A (ja) * 1992-05-22 1994-03-29 Alexander Mfg Co 可撓性溶接板をバッテリ電池にスポット溶接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H09320567A (ja) * 1996-05-28 1997-12-12 Furukawa Battery Co Ltd:The 電池用極板へのタブ溶接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用極板の製造方法
KR0168582B1 (ko) * 1995-08-28 1999-01-15 배순훈 리튬전지의 자동용접장치
KR100309314B1 (ko) * 1999-07-01 2001-11-01 이계안 Ni-MH 전지의 양극판 조립장치 및 그 공정
KR100305350B1 (ko) * 1999-07-01 2001-11-01 이계안 Ni-MH 전지의 음극판 조립장치 및 그 공정
KR20030085707A (ko) * 2002-05-01 2003-11-07 주식회사 에스엠시 2차전지팩 자동제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9715A (ja) * 1992-05-22 1994-03-29 Alexander Mfg Co 可撓性溶接板をバッテリ電池にスポット溶接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0168582B1 (ko) * 1995-08-28 1999-01-15 배순훈 리튬전지의 자동용접장치
JPH09320567A (ja) * 1996-05-28 1997-12-12 Furukawa Battery Co Ltd:The 電池用極板へのタブ溶接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用極板の製造方法
KR100309314B1 (ko) * 1999-07-01 2001-11-01 이계안 Ni-MH 전지의 양극판 조립장치 및 그 공정
KR100305350B1 (ko) * 1999-07-01 2001-11-01 이계안 Ni-MH 전지의 음극판 조립장치 및 그 공정
KR20030085707A (ko) * 2002-05-01 2003-11-07 주식회사 에스엠시 2차전지팩 자동제조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913B1 (ko) * 2006-08-08 2008-04-18 주식회사 디에스엘시디 형광램프용 커넥터 자동 솔더링장치
KR100870552B1 (ko) * 2008-05-14 2008-11-26 유원산업(주) 노치와이어를 이용한 오일필터용 필터부 자동솔더링장치
US9142822B2 (en) 2010-02-10 2015-09-22 Samsung Sdi Co., Ltd. Core pack manufacturing apparatus
CN103752979A (zh) * 2014-01-27 2014-04-30 惠涌 精密点焊机
KR20160015638A (ko) * 2014-07-31 2016-02-15 (주)조은테크 카메라 모듈 솔더링 장치와 이를 이용한 솔더링 방법
KR20180055590A (ko) * 2016-11-17 2018-05-2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4축 제어기반의 자동 솔더링장치에 구비되는 솔더링 아이언 유니트
KR20180055589A (ko) * 2016-11-17 2018-05-2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4축 제어기반의 자동 솔더링장치
CN108630978A (zh) * 2018-06-19 2018-10-09 南通理工学院 一种电瓶车应急宝电池组装的装置
CN108630978B (zh) * 2018-06-19 2024-03-12 南通理工学院 一种电瓶车应急宝电池组装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64590A1 (en) Rotary jig of battery cell and process of welding for battery cell using the same
CN102189328B (zh) 全自动锂离子电芯多层极耳超声波焊接机
KR100846840B1 (ko) 복수 쌍의 배터리의 양면을 동시에 용접하기 위한 용접장치
CN205032844U (zh) 极耳预焊装置及其抚平机构
KR20030086830A (ko) 2차전지팩 제조용 자동솔더링장치
KR20210048096A (ko) 이차전지 탭 레이저 용접을 위한 밀착 지그 및 용접 방법
CN206278682U (zh) 一种自动上保护板设备
KR102655101B1 (ko) 배터리 셀의 전극리드 절단장치
WO2005029611A1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N211028535U (zh) 电池焊接设备
KR100446124B1 (ko) 2차전지팩 제조용 라벨자동부착장치
CN116140742A (zh) 电池保护板生产用焊接设备
KR20030086831A (ko) 2차전지팩용 단자자동스폿트용접장치
KR101763723B1 (ko) 초음파 용접장치
CN215787420U (zh) 极耳焊接设备
KR20030085988A (ko) 2차전지팩용 단자 자동커팅장치
CN210388013U (zh) 一种锂电池自动焊接机
CN219746767U (zh) 一种电池板焊接用固定治具
KR100446123B1 (ko) 2차전지팩 제조용 양면테이프 자동접착장치
KR100445091B1 (ko) 바빈형 리튬 전지의 캐소드 삽입 기구 및 삽입 방법
CN205355136U (zh) 一种用于点焊镍带的定位装置
CN114464868B (zh) 一种新能源锂电池电芯自动化装配站
CN211966406U (zh) 一种拉带进料扫码装置
CN214558050U (zh) 一种自动焊锡机
CN213958799U (zh) 一种便于更换内芯的电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