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5841A - 에스트로겐 결핍 증후군 치료제 - Google Patents

에스트로겐 결핍 증후군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5841A
KR20030085841A KR1020020024124A KR20020024124A KR20030085841A KR 20030085841 A KR20030085841 A KR 20030085841A KR 1020020024124 A KR1020020024124 A KR 1020020024124A KR 20020024124 A KR20020024124 A KR 20020024124A KR 20030085841 A KR20030085841 A KR 20030085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oside
estrogen
estrogen deficiency
therapeutic agent
deficiency syndr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7872B1 (ko
Inventor
이영주
최송호
임원청
지상미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대양학원
이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대양학원, 이영주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대양학원
Priority to KR1020020024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872B1/ko
Publication of KR20030085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b1의 새로운 의약적 용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세노사이드 Rb1 (ginsenoside Rb1)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스트로겐 결핍 증후군 (estrogen deficiency syndrome)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스트로겐 결핍 증후군 치료제{A therapeutic agent for treating estrogen deficiency syndrome}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b1(ginsenoside Rb1)의 새로운 의약적 용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세노사이드 Rb1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스트로겐 결핍 증후군 (Estrogen deficiency syndrome)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여성 호르몬으로 알려진 에스트로겐은 스테로이드계 호르몬중 하나로, 자궁 및 유방 등의 생식계, 중추신경계, 심혈관계, 면역계, 소화기계, 신장, 폐 등의 다양한 조직에 분포한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매개로 생식기능 및 생리적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스트로겐은 난소에서 생성되어 혈관을 통해 표적 세포에 도달하여 단순확산에 의해 표적세포내로 들어가, 핵내에 존재하는 전사인자인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통하여 표적 유전자의 전사 활성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그 기능을 나타낸다.
에스트로겐 수용체(estrogen receptor, ER)는 글루코코티코이드 수용체 (GR),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PR), 안드로겐 수용체 (AR), 미네랄로코티코이드 수용체 (MR) 등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 중 하나이며, 에스트라다이올, 코티졸, 프로제스테론, 테스토스테론, 알도스테론 등이 이들 수용체의 상대 리간드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arrett T.J. et al., 1999: Vitam Horm. 55, 127-163).
에스트로겐의 주요한 생리작용은 자궁내막의 증식, 자궁근의 발육, 제2차 성징(性徵)의 발현, 월경주기 성립의 매개, 임신시의 모체변화 야기, 유선관(乳腺管)의 증식분비 촉진 등이며, 임상적으로는 무월경이나 월경이상의 치료, 월경의 인위적 이동, 골다공증, 고지혈증, 비만 및 고혈압을 포함한 폐경기 증후군, 전립선암이나 유방암에 대한 호르몬 요법에 대해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폐경기를 전후해서 나타나는 골다공증을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menopause syndrome)은 에스트로겐 분비의 감소로 인한 것으로서, 폐경에 이르면 양쪽 난소의 난자 수가 감소하고 난소기능이 저하되어 에스트로겐 분비가크게 감소하게 되는 것에 기인한다. 에스트로겐은 혈관확장 물질인 프로스타그란딘과 산화질소(NO)의 분비에 관여하기 때문에, 에스트로겐 분비가 감소하면 모세혈관에 영향을 미쳐 불규칙한 혈관 확장을 유발하며, 얼굴이 화끈거리는 등의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에스트로겐에는 심장을 보호하고 적절한 혈압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서, 심장관상동맥의 동맥경화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하는 갱년기에는 고혈압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에스트로겐 분비 부족으로 인하여 폐경 후 골다공증이 나타나기도 하고, 또한 에스트로겐 분비가 감소하면 몸에 이로운 고밀도지단백(HDL)과 결합한 콜레스테롤은 8% 감소하는반면 몸에 해로운 저밀도지단백(LDL)과 결합한 콜레스테롤은 10%증가한다. 몸에 이로운 콜레스테롤은 혈관내벽을 청소하는 효과가 있는 반면 해로운 콜레스테롤은 찌꺼기가 쌓이게 한다. 따라서 갱년기에는 지방의 저장형태인 중성지방의 수치도 증가하고, 고지혈증 인슐린저항성 비만 등의 발병위험도 동반 상승한다.
상기와 같은 에스트로겐 분비의 불균형 즉 에스트로겐 결핍 증후군 (estrogen deficiency syndrome) 치료를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직접 호르몬을 체내에 투여하는 호르몬 요법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호르몬 요법은 자궁내막암과 유방암의 빈도 증가, 담낭염과 담석의 증가, 자궁통, 편두통, 부기, 우울증, 구토, 메스꺼움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자연식품 및 미용식품을 통해 에스트로겐 유사 물질, 즉, 유사 에스트로겐(피토에스트로겐)을 사용함으로써 에스트로겐 투여로 인한 부작용을 줄이면서도 에스트로겐 투여와 동일한 효과를 얻고자 하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피토에스트로겐은 식물에 존재하는 에스트로겐 유사 물질을 지칭하는 말로서, 이러한 피토에스트로겐은 체내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결합한 후 조직에 따라 에스트로겐 작용을 하거나 항에스트로겐 작용을 할 수 있는 물질을 말한다. 예를들어, 제니스테인, 다이자딘 등의 식물유래 화합물 (Setchell K.D. et al., 1987: J. Chromatogr. 386, 315-323)이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ham D.M. et al., 1998; J. Clin. Endocrinol. Metab. 83, 2223-2353). 또한 콩에도 피토에스트로겐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에스트로겐 분비의 불균형 즉 에스트로겐 결핍 증후군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인삼 사포닌 중 하나인 진세노사이드 Rb1이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에스트로젠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b1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을 포함한, 에스트로겐 결핍 증후군 (estrogen deficiency syndrome)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에스트로겐에 의해 유도되는 루시퍼라아제의 활성에 진센노사이드 Rb1이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는 레티노익산에 의해 유도되는 루시퍼라아제의 활성에 진센노사이드 Rb1이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은 안드로젠에 의해 유도되는 루시퍼라아제의 활성에 진센노사이드 Rb1이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는 글루코코티코이드에 의해 유도되는 루시퍼라아제의 활성에 진센노사이드 Rb1가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b1 (ginsenoside Rb1)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스트로겐 결핍 증후군 (estrogen deficiency syndrome)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은 진세노사이드 Rb1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 치료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제에서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인삼 사포닌 중 하나인 진세노사이드 Rb1은 하기 화학식1의 구조를 갖는 물질로서, 4개의 트랜스 고리(trans-ring)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glc는 글루코오즈(glucose)이며, 진세노사이드 Rb1은 상업적으로 구입(Wako Co. 사, 일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b1은 그대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염으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무독성 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불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포름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젖산, 시트르산, 푸마르산,말레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등의 염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에스트로겐 결핍 증후군 (Estrogen deficiency syndrome)"이란 용어는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모든 증상을 총칭하는 것으로, 폐경기 증후군 (menopause syndrome), 무월경이나 월경이상등의 질환 또는 증상을 총칭한다.
특히,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진세노사이드 Rb1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결합하여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을 나타내는 반면, 다른 스테로이드 수용체 즉, 남성호르몬 수용체인 안드로겐 수용체,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레티노익산 수용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에스트로겐 결핍 증후군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료제는 선택적 에스트로겐 결핍 증후군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스테로이드 수용체와의 작용에 따른 부작용, 즉 유방암, 자궁암등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제는 진세노사이드 Rb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양한 약제학적 제형, 예를들어 과립제, 정제, 캅셀제, 주사제 등의 경구 또는 비경구 제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제를 제제화할 경우, 유효성분의 효과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 의약에 사용되는 각종 담체, 예컨대 부형제나 기타 첨가제, 예컨대 안정제, 완화제, 유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약제학적 제형에 있어서, 진세노사이드 Rb1의 단위 함유량은 제형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스트로젠 결핍 증후군 치료제는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투여될 수 있으며, 예들들어 진세노사이드 Rb1의 투여량은 성인인 경우 1일당 100 - 300 mg/kg 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에서는, 에스트로겐 호르몬이 존재할 경우 에스트로겐 수용체가 표적 유전자에서 에스트로겐 반응 부위(estrogen response element, ERE)와의 결합에 의해 전사 활성화(transcriptional activation)를 시작한다는 것(Klein-Hitpass L. et al., 1986: Cell 46, 1053-1061)에 근거하여, 진세노사이드 Rb1이 ERE를 가진 리포터 플라스미드(reporter plamid)의 전사 활성화을 이끌 수 있는지를 시험하였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함유세포로는 표적 세포로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 뿐 아니라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를 발현할 수 있는 인간 유방암 세포인 MCF-7 세포(한국세포주 은행 KCLB: 30022)를 사용했다.
또한, CV1 세포(한국세포주 은행 KCLB: 10070)에 레티노익산 수용체와 레티노익산에 의해 유도되는 루시퍼라아제 플라스미드(실시예2), 안드로겐 수용체와 안드로겐에 의해 유도되는 루시퍼라아제 플라스미드(실시예3), 및 글루코코티코이드 수용체와 글루코코티코이드에 의해 유도되는 루시퍼라아제 플라스미드(실시예4)를 각각 도입하여, 진세노사이드 Rb1이 레티노익 산, 안드로겐, 및 글루코코티코이드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시험하였다.
글루코코티코이드 수용체, 안드로겐 수용체, 에스트로겐 수용체, 레티노익산 수용체 각각의 리간드인 글루코코티코이드, 안드로겐, 에스트로겐, 레티노이드 활성 여부를 진세노사이드 Rb1 가 갖는지 여부를 시험할 때, 양성대조군으로서 각각 덱사메타손, 테스토스테론, 17β-에스트라디올, 트랜스-레티노익산(all-trans retinoic acid)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진세노사이드 Rb1의 MCF-7 세포에서의 에스트로겐 유사 물질 활성도
MCF-7 세포에 해당 스테로이드 수용체와 호르몬 반응 요소(hormone response element)를 가진 루시퍼라아제 플라스미드[리포터 플라스미드(reporter plasmid)]인 ERE-tk81-luc(Gehm et al., 1997: Proc. Natl. Acad. Sci. 94, 14138-14143)를 일시적 형질전환 시킨 후 (transient transfection), 진세노사이드 Rb1 3 mg을 80% 에탄올에 녹여 처리한 다음, 48시간 동안 방치한 후, 수용체 유전자 분석(receptor gene assay)을 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 에스트라디올을 사용했으며, 에스트라디올과의 경쟁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항에스트로겐 물질(ICI 182,780, ICI사)도 함께 처리하여 수용체 유전자 분석을 하였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진센노사이드 Rb1은 에스트로겐 반응성 루시퍼라아제 유전자의 전사를 효과적으로 활성화시켰음을 알 수 있다. (도1에서, E2는 에스트라디올, E2+ICI는 에스트라디올 및 ICI 182,780, Rb1은 진세노사이드 Rb1, Rb1+ICI는 진세노사이드 Rb1 및 ICI 182,780 을 각각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2. 진세노사이드 Rb1의 레티노익산 유사 물질 활성도
양성 대조군으로서 1uM 트랜스-레티노익산(all-trans retinoic acid)을 사용하고 MCF-7 세포 대신 CV1 세포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세노사이드 Rb1이 레티노이드(retinoid) 활성이 있는지는 시험하였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진센노사이드 Rb1은 레티노익산 수용체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므로 레티노익산 활성을 가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도2에서, ATR은 트랜스-레티노익산, Rb1은 진세노사이드 Rb1을 각각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3. 진세노사이드 Rb1의 안드로겐 유사 물질 활성도
양성 대조군으로서 100nM 테스토스테론을 사용하고 MCF-7 세포 대신 CV1 세포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세노사이드 Rb1이 안드로겐 활성이 있는지는 시험하였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진센노사이드 Rb1은 안드로겐 수용체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므로 안드로겐 활성을 가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3에서, Tes는 테스토스테론, Rb1은 진세노사이드 Rb1을 각각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4. 진세노사이드 Rb1의 부신피질 호르몬 유사 물질 활성도
양성 대조군으로서 10nM 덱사메타손을 사용하고 MCF-7 세포 대신 CV1 세포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세노사이드 Rb1이 안드로겐 활성이 있는지는 시험하였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진센노사이드 Rb1은 글루코코티코이드 수용체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므로 글루코코티코이드 활성을 가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4에서, Dex는 테스토스테론, Rb1은 진세노사이드 Rb1을 각각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진세노사이드 Rb1은 체내에서 남성 호르몬으로서의 활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선택적으로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Rb1을 포함하는 치료제는 갱년기 증후군을 포함하는 에스트로겐 결핍 증후군으로 인한 증상의 완화에 사용할 경우, 기존의 호르몬 요법이 가지는 부작용을 피할 수 있으며, 특히, 선택적으로 에스트로겐 결핍 증후군을 치료할 수 있다.

Claims (2)

  1. 진세노사이드 Rb1 (ginsenoside Rb1)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스트로겐 결핍 증후군 (Estrogen deficiency syndrome) 치료제.
  2. 제1항에 있어서, 폐경기 증후군 (menopause syndrome) 치료제.
KR1020020024124A 2002-05-02 2002-05-02 에스트로겐 결핍 증후군 치료제 KR100717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124A KR100717872B1 (ko) 2002-05-02 2002-05-02 에스트로겐 결핍 증후군 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124A KR100717872B1 (ko) 2002-05-02 2002-05-02 에스트로겐 결핍 증후군 치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841A true KR20030085841A (ko) 2003-11-07
KR100717872B1 KR100717872B1 (ko) 2007-05-14

Family

ID=3238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124A KR100717872B1 (ko) 2002-05-02 2002-05-02 에스트로겐 결핍 증후군 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8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256A (ko) 2019-09-27 2021-04-06 (주)아모레퍼시픽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7872B1 (ko) 2007-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0970B2 (en) Low dose estrogen interrupte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US5422119A (en) Transdermal hormone replacement therapy
Santen et al. Kinetic, hormonal and clinical studies with aminoglutethimide in breast cancer
JP3314207B2 (ja) ホルモン製剤及び方法
DE60307602T2 (de) Kontinuierliche sulfatase-hemmende progestogen enthaltende hormonsubstitutions-therapie
JPH08510993A (ja) ホルモン補充方法
SK287719B6 (en) Drospirenone for hormone replacement therapy
MXPA04007807A (es) Uso de extractos que contienen fitoestrogeno que modulan selectivamente el receptor de estrogeno beta.
JP2012516859A (ja) 17α−エストラジオールを含む、口腔内適用系
JP2001513082A (ja) ヒト成長ホルモンとコルチゾール合成阻害剤とを組み合わせて含む代謝症候群の処置用製剤
Ettinger Optimal use of postmenopausal hormone replacement
Korenman Menopausal endocrinology and management
US20050171071A1 (en) Menstrual cycle control and improvement of conception rates in females
Samsioe The role of ERT/HRT
KR100717872B1 (ko) 에스트로겐 결핍 증후군 치료제
KR100729311B1 (ko) 호르몬 대체 요법(hrt)용 조성물의 성분으로서의메조프로게스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조절물질)
Hudson Natural progesterone: Clinical indications in women's health
AU2005201151B2 (en) Low dose estrogen interrupte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DK174181B1 (da) Farmaceutisk præparat til hormonbehandling
Spona et al. Mode of action of triphasic oral contraception
Schoultz Vasomotor symptoms and estrogen-progestogen therapy
Wren Transdermal progesterone or synthetic progestogens
EP0675720A1 (en) Transdermal, multiphasic hormone replacement therapy
JPH05500947A (ja) 薬剤製造のための抗ゲスターゲンの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