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4381A -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4381A
KR20030084381A KR1020020023063A KR20020023063A KR20030084381A KR 20030084381 A KR20030084381 A KR 20030084381A KR 1020020023063 A KR1020020023063 A KR 1020020023063A KR 20020023063 A KR20020023063 A KR 20020023063A KR 20030084381 A KR20030084381 A KR 20030084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e
fastening nut
concrete
formwork
sp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6870B1 (ko
Inventor
도명현
Original Assignee
도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명현 filed Critical 도명현
Priority to KR10-2002-0023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870B1/ko
Publication of KR20030084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거푸집(2)의 패널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기 위한 세파타이(10)를 고정하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세파타이(10)의 일측에 형성된 수나사(11)에 체결되고 타측에 일정 길이 나사봉(20)을 체결하되 외주연에 환형의 걸림턱(33)을 형성하고 걸림턱(33)의 일측방 외주연을 테이퍼(34) 형상으로 형성하며 걸림턱(33)과 테이퍼(34) 사이에 원통상태의 간격(t)을 형성시킨 체결너트(30)와, 상기 체결너트(30)의 테이퍼(34)측으로 결합하되 간격(t)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형성된 센터공(41)을 중앙에 형성하고 내주연에 다수개의 리브(42)를 형성한 원추형상의 콘(40)으로 노출 콘크리트의 거푸집 탈영 후 간편하게 콘을 제거하여 마감처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SPACING FIXTURE OF CONCRETE FORM}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거푸집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세파타이를 고정하고 간편하게 콘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출 콘크리트의 시공은 골조 공사이면서 마감공사를 병행하는 공사이므로 통상의 콘크리트시공과는 그 시공방법에 있어서 현저하게 상이하며 거푸집의 조립, 패널의 간격유지, 콘크리트 타설, 거푸집 탈영 후 양생 등의 작업을 신중하게 처리하여야 하는 높은 정밀도와 정확도가 유지되어야 완벽한 노출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노출 콘크리트 시공은 패널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기 위한 세파타이를 고정하는 고정구에 있어서, 원추형상으로 된 몸체의 내측에 체결너트를 일체형으로 콘너트를 형성하고 상기 콘너트의 일측을 세파타이에 결합하고 타측을 일정 길이를 갖는 나사봉으로 결합하며 거푸집의 패널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 후 패널을 외향에서 나사봉을 결합하여 완전히 세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노출 콘크리트 시공은 거푸집 탈영 후 콘너트를 제거하려면 일체 빼어야하므로 매우 불편하고 이로 인하여 작업 효율이 현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노출 콘크리트의 거푸집 탈영 후 간편하게 콘을 제거하여 마감처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출 콘크리트의 거푸집 탈영 후 콘을 제거 없이도 간편하게 마감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를 나타낸 결합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를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를 나타낸 결합상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를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 : 콘크리트 벽체 2 : 거푸집
10 : 세파타이 11 : 수나사
12 : 절단홈 13 : 체결공
20 : 나사봉 30 : 체결너트
31 : 체결공 32 : 암나사
33 : 걸림턱 34 : 테이퍼
40,40 : 콘 41,41 : 센터공
42 : 리브 50 : 지지대
60 : 너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거푸집의 패널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기 위한 세파타이를 고정하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세파타이의 일측에 형성된 수나사에 체결되고 타측에 일정 길이 나사봉을 체결하는 체결너트와, 상기 체결너트의 나사봉 측에 결합하는 콘으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를 나타낸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를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를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를 나타낸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를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거푸집(2)의 패널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기 위한 세파타이(10)를 고정하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세파타이(10)의 일측에 형성된 수나사(11)에 체결되고 타측에 일정 길이 나사봉(20)을 체결하는 체결너트(30)와, 상기 체결너트(30)의 나사봉(20)측에 결합하는 콘(40)으로 구성한다.
상기 체결너트(30)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공(31)을 형성하되 체결공(31)의 내주연에 암나사(32)를 형성한다.
나아가, 체결너트(30)의 외주연에는 환형의 걸림턱(33)을 형성하고 걸림턱(33)의 일측방 외주연을 테이퍼(34) 형상으로 형성하되 일정간격(t)은 원통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더불어, 체결너트(30)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턱(33)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가변시켜 형성할 수 도 있다.
상기 콘(40)은 원추형으로 형성하되 중앙에 센터공(41)을 형성하고 내주연에 다수개의 리브(42)를 형성하여 거푸집의 탈영 후 리브(42)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콘(40)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콘(40)의 센터공(41) 두께는 체결너트(30)의 테이퍼(34) 측에 형성된 간격(t)과 동일하게 하여 콘(40)을 체결너트(30)에 끼우면 센터공(41)에 정확하게끼워지도록 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40)을 시멘트 몰탈로 양생하되 센터공(41)을 직선 상으로 형성하여 거푸집(2)의 탈영 후에 콘(40)의 제거작업을 생략하고 표면을 작업을 진행할 수 도 있다.
이 경우에는 체결너트(30)에 테이퍼(34)를 형성시키지 아니하여 콘(40)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체결너트(30)의 테이퍼(34)측에서 센터공(41)을 통하여 콘(40)을 끼우면 센터공(41)이 체결너트(30)의 테이퍼(34)를 통과하여 간격(t)에 끼워 고정구를 조립한다.
이렇게 조립된 고정구는 체결너트(30)의 타측에서 세파타이(10)의 수나사(11)부분을 결합한 다음 거푸집(2)과 거푸집(2) 사이에 통상의 방법으로 설치한 다음 나사봉(20)과 지지대(50) 및 너트(60) 등으로 대향되는 패널의 간격이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조립한다.
콘크리트의 타설이 완료되고 거푸집(2)을 탈영한 다음 공구를 이용하여 콘(40)의 리브(42)를 살짝 돌리거나 당기면 체결너트(30)에 끼워진 콘(40)의 센터공(41)이 간격(t)을 벗어나 테이퍼(34)에 위치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콘(40)이 손쉽게 빠져나와 분리되므로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편리하다.
이후 콘크리트 벽체(1)가 완전히 양생되면 표면 처리하게 된다.
한편 시멘트 몰탈로 양생시킨 콘(4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콘(40)을 제거하지 아니하므로 공정 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거푸집(2)의 패널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기 위한 세파타이(10)를 고정하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세파타이(10)의 일측에 형성된 수나사(11)에 체결되고 타측에 일정 길이 나사봉(20)을 체결하되 외주연에 환형의 걸림턱(33)을 형성하고 걸림턱(33)의 일측방 외주연을 테이퍼(34) 형상으로 형성하며 걸림턱(33)과 테이퍼(34) 사이에 원통상태의 간격(t)을 형성시킨 체결너트(30)와, 상기 체결너트(30)의 테이퍼(34)측으로 결합하되 간격(t)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형성된 센터공(41)을 중앙에 형성하고 내주연에 다수개의 리브(42)를 형성한 원추형상의 콘(40)으로 노출 콘크리트의 거푸집 탈영 후 간편하게 콘을 제거하여 마감처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거푸집(2)의 패널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기 위한 세파타이(10)를 고정하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세파타이(10)의 일측에 형성된 수나사(11)에 체결되고 타측에 일정 길이 나사봉(20)을 체결하되 외주연에 환형의 걸림턱(33)을 형성하고 걸림턱(33)의 일측방 외주연을 테이퍼(34) 형상으로 형성하며 걸림턱(33)과 테이퍼(34) 사이에 원통상태의 간격(t)을 형성시킨 체결너트(30)와,
    상기 체결너트(30)의 테이퍼(34)측으로 결합하되 간격(t)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형성된 센터공(41)을 중앙에 형성하고 내주연에 다수개의 리브(42)를 형성한 원추형상의 콘(4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40)을 시멘트 몰탈로 양생하되 센터공(41)을 직선 상으로 형성하여 거푸집(2)의 탈영 후에 콘(40)의 제거작업을 생략하고 표면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
KR10-2002-0023063A 2002-04-26 2002-04-26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 KR100466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063A KR100466870B1 (ko) 2002-04-26 2002-04-26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063A KR100466870B1 (ko) 2002-04-26 2002-04-26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814U Division KR200281485Y1 (ko) 2002-04-26 2002-04-26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381A true KR20030084381A (ko) 2003-11-01
KR100466870B1 KR100466870B1 (ko) 2005-01-24

Family

ID=32380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063A KR100466870B1 (ko) 2002-04-26 2002-04-26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8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07004A (zh) * 2017-04-28 2017-06-30 成都建筑工程集团总公司 可脱落对拉螺栓
CN109577641A (zh) * 2017-09-29 2019-04-05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装配式预制剪力墙与后浇约束边缘模板及其安装方法
CN112681729A (zh) * 2020-12-22 2021-04-20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变形缝位置的双柱支模结构及其施工方法
CN115434451A (zh) * 2022-10-19 2022-12-06 华北理工大学 一种装配式混凝土连接结构及施工方法
KR102557858B1 (ko) * 2022-07-06 2023-07-24 주식회사 일호건업 거푸집용 간격 유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619A (ko) 2021-04-15 2022-10-24 김진은 거푸집 간격유지용 고정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07004A (zh) * 2017-04-28 2017-06-30 成都建筑工程集团总公司 可脱落对拉螺栓
CN106907004B (zh) * 2017-04-28 2019-01-15 成都建筑工程集团总公司 可脱落对拉螺栓
CN109577641A (zh) * 2017-09-29 2019-04-05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装配式预制剪力墙与后浇约束边缘模板及其安装方法
CN112681729A (zh) * 2020-12-22 2021-04-20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变形缝位置的双柱支模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681729B (zh) * 2020-12-22 2022-09-23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变形缝位置的双柱支模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557858B1 (ko) * 2022-07-06 2023-07-24 주식회사 일호건업 거푸집용 간격 유지 장치
CN115434451A (zh) * 2022-10-19 2022-12-06 华北理工大学 一种装配式混凝土连接结构及施工方法
CN115434451B (zh) * 2022-10-19 2023-08-18 华北理工大学 一种装配式混凝土连接结构及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6870B1 (ko) 2005-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46334B (zh) 建筑板用嵌件
KR100466870B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
KR100839228B1 (ko) 앵커 볼트
KR200281485Y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
KR200437763Y1 (ko) 거푸집의 배관 슬리브 고정구
JP6347520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保持具及び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壁体の構築方法
JP2008075396A (ja) インサート
CN203755663U (zh) 一种墙柱模板对拉固定装置
KR100519804B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
JP4875358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金属製台座
KR200401075Y1 (ko) 거푸집 고정장치
EP3502363B1 (en) Assembly for fastening a wall mounted flange for a water tap on a wall
JP2007063805A (ja) 柱鉄筋のための位置決め治具および位置決め装置
KR200187747Y1 (ko) 노출 콘크리트용 콘
JPH086955Y2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締結装置
KR200352435Y1 (ko) 거푸집 매립형 세파타이
JPH0126827Y2 (ko)
JPH0280798A (ja) 防水シートと吊鉄筋との固定構造
KR200238548Y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
JPS629054Y2 (ko)
KR20150004064U (ko) 건축용 슬리브 고정장치
KR200347368Y1 (ko) 외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장치
KR200291482Y1 (ko)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구
KR19990022237U (ko) 노출콘크리트용콘
JPH013048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