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3666A -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내장시켜 과일, 채소 및 화훼 등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내장시켜 과일, 채소 및 화훼 등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3666A
KR20030083666A KR1020030070101A KR20030070101A KR20030083666A KR 20030083666 A KR20030083666 A KR 20030083666A KR 1020030070101 A KR1020030070101 A KR 1020030070101A KR 20030070101 A KR20030070101 A KR 20030070101A KR 20030083666 A KR20030083666 A KR 20030083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vegetables
fruits
flowers
rem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환
김도완
맹주석
이동규
박진성
박진석
이진영
Original Assignee
코아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아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아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0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3666A/ko
Publication of KR20030083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366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내장한 일회용 에틸렌제거제를 사용하여 과일, 야채 및 화훼 등을 신선하게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과일, 야채 및 화훼다발 등에서 발생하는 에틸렌 가스에 의하여 과일, 야채 및 화훼다발이 쉽게 상하거나 시들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망간산칼륨을 알루미나 등의 다공성 담체에 함침하여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합성한 다음, 상기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부직포 재질의 봉투에 밀봉 포장하여 일회용 에틸렌제거제를 제조한 후, 과일, 야채 및 화훼다발 포장용기 안에 상기 일회용 에틸렌제거제를 적당한 장소에 내장시켜 과일, 야채 및 화훼다발을 신선하게 장기간 보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내장시켜 과일, 채소 및 화훼 등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포장방법{Packing method of fruit, vegetables and flowering grass for their long-term storage including ethylene removal agents}
본 발명은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내장한 일회용 에틸렌제거제를 사용하여 과일, 야채 및 화훼 등을 신선하게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과일, 야채 및 화훼 등에서 발생하는 에틸렌 가스에 의하여 과일, 야채 및 화훼다발이 쉽게 상하거나 시들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망간산칼륨을 알루미나 등의 다공성 담체에 함침하여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합성한 다음, 상기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부직포 재질의 봉투에 밀봉 포장하여 일회용 에틸렌제거제를 제조한 후. 과일, 야채 및 화훼다발 포장용기 안에 상기 일회용 에틸렌제거제를 적당한 장소에 내장시켜 과일, 야채 및 화훼다발을 신선하게 장기간 보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과일이나 농산물을 저장고 또는 포장용기에 보관하여 배송하는 경우에는 과일에서 자연적으로 에틸렌 가스가 발생하여, 과일을 숙성하며, 농도가 조금만 높은 경우에는 과일, 야채나 꽃 등을 빨리 시들게 하여 상품 가치를 떨어뜨리게 된다. 실제적으로 0.01 ppm 이상의 에틸렌 가스는 과일이나 야채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바나나의 경우에는 0.2 ppm 이상의 에틸렌 농도에서 숙성되어 바나나 표면 색상이 노랗게 변색된다. 수확 후에도 과일, 야채, 화훼는 호흡하여 에틸렌 가스를 생성하고, 에틸렌의 농도가 일정 수준이상으로 높게 되면 급격한 성숙이 이루어져 빠른 시간 내에 부패되어 보관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때 과일, 야채, 화훼의 보관시 발생하는 에틸렌을 지속적으로 제거하게 되면 보관상태의 과일이나 야채의 성숙도가 낮아져 장시간 시들지 않고 부패를 방지하여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게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공개번호 특2001-0049229,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47890 및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49955 등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꽃을 고정시키고 밀폐봉지를 씌워 꽃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보호가스인 아르곤 또는 질소가스 등의 비활성가스를 사용하여 충진하는 수단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는 밀폐봉지로 보호가스를 밀폐시키는 데에도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입자가 작은 가스의 속성상 장시간 밀폐하는 것이 어려워 장기간 신선도를 유지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비활성가스의 주입함에 따라 구매자들이 거부반응을 가진다는 문제점 등이 있다.
또 다른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등록번호 제0241804호(등록일 1999년11월05일)에서는 청과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탄산가스 뿐만 아니라 산소의 양도 적정한 값으로 제어하는데 초점을 두고 상기 보존분위기를 형성하는 포장재로서 27 ℃에서의 탄산가스투과계수, 산소투과계수 및 수증기 투과계수 등을 고려하여 포장 용기 내부에 존재하는 이들 가스의 양을 제어할 수 있는 합성수지필름을 제안한 것으로 이러한 방법은 포장된 내용물에서 발생하는 탄산 또는 에틸렌 가스를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신선도를 효과적으로 장기간 유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국내 혹은 외국산 과일, 야채 또는 화훼 등 각종 농산물은 주로 재배농가에서 재배된 후 다양한 유통 단계를 거쳐서 소비자들에게 전달되고, 재배장소나 재배시기, 온도 및 습도가 다를 뿐 아니라 여러 유통 단계를 거치게 되기때문에 장기간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이미 유통과정에서 많은 양이 부패되거나 훼손되어 결국 폐기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불필요하게 자원의 낭비를 가져와 유통업자들은 물론 국가 전체적으로도 막대한 외화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고, 막상 소비자에게 전해질 때면 신선도가 떨어져 최상의 품질을 가진 농산물을 섭취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과일, 야채 또는 화훼 등에서 발생하여 이들의 부패나 노화를 촉진시키는 에틸렌 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과망간산칼륨 수용액을 준비하는 과정; 상기 수용액에 활성알루미나 등의 다공성 물질에 함침시키는 과정; 상기 함침된 담체를 수용액으로부터 분리하여 건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합성하는 단계와 상기 합성된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부직포 재질의 봉투에 담아 밀봉 포장하는 일회용 에틸렌제거제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일회용 에틸렌제거제를 과일, 야채 및 화훼다발 포장용기 내의 적당한 장소에 위치하도록 부착하거나 삽입함으로써, 과일, 야채 및 화훼다발 등을 신선하게 장기간 운반 또는 보관할 수 있는 일회용 에틸렌제거제를 사용한 포장방법을 구현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국내 혹은 외국산 과일, 야채 또는 화훼 등 각종 농산물들을 포장 단계에서 생산자가 직접 부드러운 부직포에 소단위로 포장된 상기 에틸렌제거제를 포장박스의 내용물을 상하지 않는 위치 곳곳에 내장함으로써 상기 종래에 사용한 보호 가스 주입과 같은 방법보다 훨씬 손쉽고 간편하며 효과면에서도 훨씬우수하고, 보호가스 주입으로 인한 야채나 과일을 구매하는 구매자들의 거부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특징(해결과제)은 보관 용기에 내장된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이 비교적 오래되어 그 수명이 다하였을 경우에 교환하거나 또는 빈 공간에 소단위로 포장된 에틸렌제거제를 더 삽입함으로써 보관용기의 성능을 계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타 포장용기나 포장방법보다 장기간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에틸렌제거제의 다양한 포장방법.
도 2는 본 발명품의 에틸렌제거제를 사용한 과일 보관 테스트 결과.
도 3은 본 발명품의 에틸렌제거제를 사용한 화훼 보관 테스트 결과.
도 4는 본 발명품의 에틸렌제거제의 에틸렌 제거 효율 테스트 결과.
<도면번호의 간단한 설명>
1, 2: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부직포로 포장한 다양한 포장 구조도.
3: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부직포로 포장하고 중간 부분을 자른 단면도.
4: 상기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부직포로 포장한 일회용 소형 포장용기.
5: 소형으로 포장된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다수 개 넣을 수 있는 소형 플라스틱 상자.
6: 에틸렌제거화학물질.
본 발명은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내장한 일회용 에틸렌제거제를 사용하여 과일, 야채 및 화훼 등을 신선하게 장기간 보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에틸렌 가스는 무색으로서 과일의 숙성과 식물조직의 노화를 촉진시키는 식물호르몬중의 하나이며, 과일을 숙성시키기도 하지만 조금만 지나쳐도 과일을 빠르게 부패시키거나 상하게 하고 야채나 화훼를 빠르게 시들게 하여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은 과일, 야채 및 화훼 다발에서 발생된 에틸렌 가스를 화학적으로 분해하여 제거하고 박테리아와 곰팡이를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품은 다음의 반응을 통해 에틸렌을 제거하게 된다.
3CH2CH2+ 2KMnO4+ H2O -> 2MnO2+ 3CH3CHO + 2KOH (1)
3CH2CH2+ 2KMnO4+ H2O -> 3CH3COOH + 2MnO2+ 2KOH (2)
3CH3COOH + 8KMnO4-> 6CO2+ 8MnO2+ 8KOH + 2H2O (3)
위에 상기한 반응식 (1)-(3을 하나의 반응식으로 정리하면
3CH2CH2+ 12KMnO4-> 12MnO2+ 12KOH + 6CO2------ (4)
과망간산칼륨은 상기에 표시한 방법으로 에틸렌을 산화시킨다.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틸렌은 반응 초기에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되며,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아세트알데히드는 아세트산으로 전환된다(반응식 (2)). 아세트산은 과망간산칼륨과 반응하여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된다. 전체적으로 에틸렌은 과망간산칼륨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와 수산화칼륨의 형태로 화학반응을 통해 제거된다.
또한 반응 도중의 중간생성물인 아세트산은 수산화칼륨과 반응하여 칼륨아세트염(KCOOCH3)로 중화된다.
CH3COOH + KOH -> KCOOCH2+ H2O ------ (5)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의 합성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과망간산칼륨의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수용액에 다공성 담체를 함침시키는 단계와 상기 함침된 담체를 수용액으로부터 분리하여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망간산칼륨의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에 구리질산염, 세륨질산염, 아연질산염, 란타늄질산염 중에서 하나 이상을 추가하여 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우선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과망간산칼륨을 증류수에 용해하고, 금속질산염을 준비하여 과망간산칼륨의 수용액에 용해하며, 동시에 용해하여도 무방하다.
이 때 금속질산염은 조촉매를 첨가하는 것이므로 선택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 상기 금속질산염으로서 구리질산염, 세륨질산염, 아연질산염, 란타늄질산염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과망간산칼륨 또는 금속질산염의 농도는 최종 생산물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서, 20 gr/liter ~ 200 gr/liter 정도이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200 gr/liter 이상에서는 결정이 석출되고, 20 gr/liter 이하에서는 금속 담지량이 너무 작기 때문에 부적합하기 때문이다.
과망간산칼륨과 금속질산염이 완전히 용해되면, 용해액에 담체를 함침한다. 담체로는 활성탄, 활성알루미나, 활성실리카, 제올라이트, 규조토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일정시간 함침이 끝나면, 여과를 거쳐 용해액을 제거하고 담체를 건조하는 단계를 거쳐서 최종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이 얻어진다. 이 때 건조온도 및 시간은 담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통상적으로 50 ~ 150 에서 5 - 10시간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50 이하에서는 건조시간이 너무 길어 부적절하고, 150 이상에서는 과망간산칼륨이 분해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상기 일련의 방법으로 제조한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은 부직포 봉투에 정량 투입한 다음, 밀봉 포장하여 일회용 에틸렌제거제를 제조한다.
일회용 에틸렌제거제의 제조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부직포를 일회용 에틸렌제거제의 포장지로 사용한다. 여기서 부직포라고 함은 천연, 화학, 유리, 금속 등의 각종 섬유를 상호간의 특성에 따라 엉기게 하여 시트 모양의 웨브(web)를 형성, 이를 기계적 또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결합시켜 만든 평면구조를 뜻한다. 부직포를 일정크기로 절단한 다음, 한 면이 개방된 상태의 봉투로 삼면을 접합한 다음,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봉투 내에 투입한 후, 부직포 재질이 접합될 수 있는 정도의 열을 가하여 주어 에틸렌 제거물질이 포함된 부직포 봉투를 접합하여 최종 일회용 에틸렌제거제를 제조한다. 이때 부직포 양면의 접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부직포 봉투의 접착하고자 하는 면에 비닐-아크릴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성 에멜젼형의 접착제를 분사하여 코팅하여 열융착시 코팅면만 열융착되어 서로 접착되고, 바깥면은 형태를 유지하여 연속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부직포의 물성이 중요하게 되는데, 특히 방수처리가 되어 내용물이 어떠한 경우에도 부직포 표면을 통해 누출이 되지 않으면서 공기만 선택적으로 투과해야 하며, 일회용 에틸렌제거제 내부의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이 에틸렌 가스와 접촉이 용이하도록 부직포의 통기도가 우수하여야 한다. 이때 공기투과율을 30 cc/cm2/sec 이상 유지하여야 에틸렌의 제거가 용이하다. 작업이 용이하도록 측면 가공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또한 일회용 에틸렌제거제를 공기의 흐름이 자유로운 플라스틱케이스 내에 넣어 보관할 수 있다.
과일, 야채 및 화훼 등의 보관에 이용되는 밀폐된 포장용기 또는 보관창고에 상기 일회용 에틸렌제거제를 놓아두기만 하더라도 에틸렌 제거 효과를 볼 수 있다.그리고 밀폐된 공간의 내부 공기의 순환을 원활히 하기 위해 별도의 팬을 설치하게 되면 에틸렌을 함유한 공기와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의 접촉이 원활해져 에틸렌의 제거 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부직포 봉투 또는 플라스틱 케이스의 한 측면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미 사용시에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양면테이프의 한면을 제거하고 포장용기의 벽면 또는 뚜껑 부분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내용물과의 접촉 없이 안전하게 에틸렌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포장된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이용하여 과일, 야채 및 화훼 등을 포장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장시간 보관이 필요한 수출용 및 내수용 과일, 야채 및 화훼 등의 경우에는 a) 과일, 야채 및 화훼 등을 담을 수 있게 하단은 밀폐시키고 상단을 오픈할 수 있는 부직포, 플라스틱, 종이 및 나무로 제작된 정육면체, 직육면체 또는 다각형의 상자를 준비하는 과정과, b) 상기 준비된 상자의 내부에 내용물이 닿지 않을 위치나 다소 부딪히더라도 상하지 않을 장소에 상기 소단위로 포장한 일회용 에틸렌제거제 중에 한쪽 면에 접착제가 붙은 것을 골고루 고정하는 과정과, c) 내용물을 상기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부착한 상자에 넣는 과정과, d) 상기 내용물을 상자 속에 넣는 과정에서 내용물들이 서로 부딪혀서 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치로폴 구조물 또는 공기를 주입한 비닐을 삽입하는 과정과, e) 상기 내용물을 상자 속에 넣으면서 삽입한 스치로폴 또는 공기를 주입한 비닐 중간 중간에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부착하여 골고루 넣는 과정과, f) 상기 내용물을 상자 속에 모두 위치시키고 상단의 뚜껑을 닫고 테이프 또는 기타 수단으로 봉하는 과정을 구비한 구성수단으로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내장하여 내용물을 신선하게 장기간 동안보관할 수 있는 과일, 야채 및 화훼 등의 포장방법이다. 상기 내용물의 포장방법 d)와 e)과정에서 스치로폴을 내장하지 않고 내용물을 상자 속에 담는 경우에는 접착제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소단위의 부드러운 부직포로 포장된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내용물사이에 골고루 넣어서 포장하는 과정이 들어가게 된다. 비교적 보관기간이 짧은 포장의 경우에는 상기 과일, 야채 및 화훼 포장 과정 중에서 에틸렌제거제를 중간에 삽입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실시예 1>
과망간산칼륨 10kg을 50L의 증류수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직경 3mm 크기의 비표면적이 100m3/g 이상인 활성알루미나 펠렛을 7.5kg 첨가하여 30분간 방치하였다. 진공여과기로 여과한 후 함침된 활성알루미나를 120 에서 5시간 건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1회 방수처리한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부직포에 5 그램 충진한 다음, 밀봉하였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부직포는 단위 m2당 100 그램의 밀도를 가지며, 부직포의 두께는 0.4 내지 0.5 mm였다. 공기 투과율은 70 cc/cm2/sec를 보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에틸렌제거제를 복숭아를 대상으로 하여 보관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두개의 용기에 복숭아 각 1개를 담은 다음, 하나는 에틸렌제거제를 넣지 않고, 나머지 하나에 대해서 에틸렌제거제를 넣은 후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밀봉하였다. 각 테스트 샘플을 건조한 그늘에 위치하게 한 다음, 10일간 복숭아의 상태를 조사하였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에틸렌제거제가 설치된 (B) 샘플에서는 (A) 샘플보다 복숭아의 상태가 부패의 정도가 적고 신선도 면에서 매우 우수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에틸렌제거제를 카네이션을 대상으로 하여 보관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두개의 용기에 카네이션 4 송이를 각각 담은 다음, 하나는 에틸렌제거제를 넣지 않고, 나머지 하나에 대해서 에틸렌제거제를 넣은 후 밀봉하였다. 각 테스트 샘플을 건조한 그늘에 위치하게 한 다음, 7일간 보관 용기 내의 카네이션의 상태를 조사하였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에틸렌제거제가 설치된 (B) 샘플에서는 설치되지 않은 (A) 샘플보다 카네이션이 시들지 않고 신선한 상태가 오래동안 유지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1m × 1m × 1m 크기의 유리로 밀폐된 공간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공기청정기에 장착한 다음, 에틸렌을 인위적으로 투입하였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투입시간이 15분 경과하였을 때 내부의 에틸렌 농도는 2 ppm까지 상승시킨 다음, 공기청정기를 가동하여 에틸렌 제거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공기청정기를 가동한 후 5분내에 에틸렌의 농도가 검출한계 이하로 떨어짐에 따라 에틸렌 제거 효율이 99% 이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과일, 야채 또는 화훼 등에서 발생하여 이들의 부패나 노화를 촉진시키는 에틸렌 가스를 원천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포장용기 내부에 과망간산칼륨을 알루미나 등의 다공성 담체에 함침하여 제조한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부직포 형태의 봉투에 담아 밀본 포장하여 제조한 일회용 에틸렌제거제를 포장용기 내부의 적당한 곳에 내장시켜 직접 발생된 에틸렌을 제거함으로써 과일, 야채 및 화훼다발을 신선하게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국내 혹은 외국산 과일, 야채 또는 화훼 등 각종 농산물들을 포장 단계에서 생산자가 직접 부드러운 부직포로 소단위로 포장된 상기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포장용기 곳곳에 내장함으로써 종래의 보호가스 주입과 같은 방법보다 손쉽게 이용할 수 있고 과일, 야채 및 화훼를 구매하는 구매자들의 거부감을 방지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관 용기에 내장된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이 비교적 오래되어 그 수명이 다하였을 경우에 교환하거나 또는 빈 공간에 소단위로 포장된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더 삽입함으로써 보관용기의 성능을 계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타 포장용기나 포장방법보다 장기간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9)

  1.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내장시켜 과일, 야채 및 화훼다발(내용물)을 포장 상자 또는 기타 비닐 또는 종이를 사용하여 밀봉시켜 포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과망간산칼륨을 다공성 담체에 함침하여 제조한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부직포에 투입하여 필요한 용량단위로 밀봉 포장하여 에틸렌제거제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밀봉 포장시킨 에틸렌제거제를 과일, 야채 및 화훼 등의 포장용기에 투입시키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야채 및 화훼 등에서 발생된 에틸렌을 제거하여 장시간 보관할 수 있는 포장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에틸렌제거제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과망간산칼륨의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에 구리질산염, 세륨질산염, 아연질산염, 란타늄질산염 중에서 하나 이상을 추가하여 제조한 에틸렌제거화학물질로 준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야채 및 화훼 등에서 발생된 에틸렌을 제거하여 장시간 보관할 수 있는 포장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에틸렌제거제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담체로는 0.5 내지 5 mm의 크기의 활성탄, 활성알루미나, 제올라이트, 규조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담체를 사용하여 구성시킨 에틸렌제거제를 준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야채 및 화훼 등에서 발생된 에틸렌을 제거하여 장시간 보관할 수 있는 포장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담체에 대한 과망간산칼륨의 중량비가 4% 이상으로 구성시킨 에틸렌제거제를 준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야채 및 화훼 등에서 발생된 에틸렌을 제거하여 장시간 보관할 수 있는 포장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부직포에 투입하여 필요한 용량 단위로 밀봉 포장하여 에틸렌제거제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고분자 소재의 부직포 봉투에 투입한 다음, 봉투 투입구를 밀봉하여 제조하여 준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야채 및 화훼 등에서 발생된 에틸렌을 제거하여 장시간 보관할 수 있는 포장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소재의 부직포는 통기도가 우수하며 방수 처리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펠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분자 소재를 사용하여 준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야채 및 화훼 등에서 발생된 에틸렌을 제거하여 장시간 보관할 수 있는 포장방법.
  7. 에틸렌제거제를 내장시켜 과일, 야채 및 화훼다발 등을 포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과일, 야채 및 화훼 등을 담을 수 있게 하단을 테이프 또는 기타 방법으로 밀폐시키고 상단을 오픈할 수 있는 플라스틱, 종이 또는 나무로 제작된 정육면체, 직육면체 또는 다각형의 상자를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준비된 상자의 내부에 소단위로 포장한 일회용 에틸렌제거제 중에 한쪽 면에 접착제가 부착된 것을 사용하여 골고루 고정하는 단계와,
    c) 상기 내용물을 상기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부착시킨 상자에 담는 단계와,
    d) 상기 내용물을 상자 속에 모두 넣고 상자의 상단 뚜껑을 닫고 테이프 또는 기타 수단으로 봉하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내장하여 과일, 야채 또는 화훼 등을 신선하게 장기간 운반 또는 보관할 수 있는 포장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b) 과정에서 에틸렌제거제의 포장은 부직포, 작은 구멍을 가진 망사 섬유 및 작은 구멍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구조물 등으로 포장되어 공기의 유통이 자유로우면서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구성하되 필요시 일측에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붙여서 박스 내부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내장하여 과일, 야채 또는 화훼 등을 신선하게 장기간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는 포장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c) 과정에서 상자에 내용물을 넣는 과정에 내용물 틈 사이에 부드러운 부직포로 소단위로 포장한 에틸렌제거화학물질들을 골고루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내장시켜 과일, 야채 또는 화훼 등을 신선하게 장기간 운반 또는 보관할 수 있는 포장방법.
KR1020030070101A 2003-10-09 2003-10-09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내장시켜 과일, 채소 및 화훼 등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포장방법 KR20030083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101A KR20030083666A (ko) 2003-10-09 2003-10-09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내장시켜 과일, 채소 및 화훼 등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101A KR20030083666A (ko) 2003-10-09 2003-10-09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내장시켜 과일, 채소 및 화훼 등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포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666A true KR20030083666A (ko) 2003-10-30

Family

ID=3238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101A KR20030083666A (ko) 2003-10-09 2003-10-09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내장시켜 과일, 채소 및 화훼 등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366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311B1 (ko) * 2005-06-02 2007-01-10 주식회사 동양탄소 KMnO4 첨착에 의한 강력 선도유지용 활성탄 제조
KR100750885B1 (ko) * 2004-10-27 2007-08-2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신선채소의 Active MA 포장을 위한 가스혼합 방법
KR101136060B1 (ko) * 2009-11-20 2012-04-18 (주)농협아그로 과일용 포장보조제
WO2014017806A1 (ko) * 2012-07-26 2014-01-30 Baek Jinheum 과일의 숙성 및 착색방법
KR20190030118A (ko) * 2017-09-13 2019-03-21 주식회사 대도 과일과 채소의 저온 저장고 및 저장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885B1 (ko) * 2004-10-27 2007-08-2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신선채소의 Active MA 포장을 위한 가스혼합 방법
KR100666311B1 (ko) * 2005-06-02 2007-01-10 주식회사 동양탄소 KMnO4 첨착에 의한 강력 선도유지용 활성탄 제조
KR101136060B1 (ko) * 2009-11-20 2012-04-18 (주)농협아그로 과일용 포장보조제
WO2014017806A1 (ko) * 2012-07-26 2014-01-30 Baek Jinheum 과일의 숙성 및 착색방법
KR20190030118A (ko) * 2017-09-13 2019-03-21 주식회사 대도 과일과 채소의 저온 저장고 및 저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8899A (en) Method of packaging perishable food or horticultural products
US5908649A (en) Package for perishable food and horticultural products
US5747082A (en) Package for perishable food and horticultural products
US5505950A (en) Method of packaging perishable food or horticultural products
US4001443A (en) Package and method for packaging and storing cut leafy vegetables
US5565230A (en) Cherry preservation packaging method
US6357207B1 (en)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for a floral grouping
CA2689580C (en) Container for respiring produce
CA243516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longing the storage life of produce
JP2008521433A5 (ko)
KR20030083666A (ko) 에틸렌제거화학물질을 내장시켜 과일, 채소 및 화훼 등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포장방법
JP2003534991A (ja) バナナの包装
JPH03977B2 (ko)
JP3090361B2 (ja) きのこ入り包装体
JPH05168400A (ja) 青果物入り包装体
JPH03167261A (ja) 青果物鮮度保持用合成樹脂フィルム及び鮮度保持方法
SU740190A1 (ru) Тара дл свежих сельскохоз йственных продуктов
CA2072996C (en) Package for perishable food and horticultural products
BEN-ARIE Plastic packaging of fresh horticultural products for export: status and prospects
JP4052747B2 (ja) 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2002186420A (ja) 青果物又は花卉の鮮度維持方法
JPH11508776A (ja) 野菜類の洗浄、包装および輸送方法
JP3117546B2 (ja) マッシュルーム入り包装体
KR930009075B1 (ko) 보존제 및 버섯의 보존 방법
JPS62232332A (ja) So2処理による果実・野菜の長期保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320

Effective date: 2006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