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3368A -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 Google Patents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3368A
KR20030083368A KR1020020021878A KR20020021878A KR20030083368A KR 20030083368 A KR20030083368 A KR 20030083368A KR 1020020021878 A KR1020020021878 A KR 1020020021878A KR 20020021878 A KR20020021878 A KR 20020021878A KR 20030083368 A KR20030083368 A KR 20030083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telephone
control
control command
home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6361B1 (ko
Inventor
이의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라이프
Priority to KR10-2002-0021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361B1/ko
Publication of KR20030083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3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3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04M7/0066Details of access arrangements to the networks
    • H04M7/0069Details of access arrangements to the networks comprising a residential gateway, e.g. those which provide an adapter for POTS or ISDN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04M7/0057Services where the data services network provides a telephone service in addition or as an alternative, e.g. for backup purposes, to the telephone service provided by the telephone services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전화기에 홈 게이트웨이 기능 및 중계 서버 기능을 내장하여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전반적인 설비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각 가정 내에서의 독립적인 제어는 물론, 일반공중전화망을 통해서도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정내의 각종 전자기기와 연결되며,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각 전자기기로 송신하고 각 전자기기로부터 제공되는 동작상태 및 제어명령 수행결과를 수신하는 통신장치와;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넷 접속장치와; 일반공중전화망(PSTN)과 연결되어 전화신호를 송수신하여 처리하는 전화모듈; 및, 전화모듈을 통해 키신호 형태의 제어명령이 수신되거나 인터넷 접속장치를 통해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수신된 제어명령을 통신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전자기기의 제어를 수행하며, 통신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전자기기의 동작상태 및 제어명령 수행결과를 전화모듈 또는 인터넷 접속장치를 통해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TELEPHONE HAVING A FUNCTION OF A HOME-GATEWAY}
본 발명은 홈 게이트웨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구비되는 홈 게이트웨이 장치를 일반 전화기에 내장하여 인터넷망과 유선 전화망은 물론 이동단말기를 통해 홈 네트워크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가전기기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이러한 디지털 기술에 초고속 정보통신 기술이 접목되어 가전기기 상호간의 연결 및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통해 각종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즉, 이러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는 가정 내의 각종 전자기기와 PC 등을 네트워크 형태로 연결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그로 인해 원격지에서 가정 내의 각종 전자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 파악은 물론 직접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홈 네트워킹 시스템이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위해서는 홈 게이트웨이 장치가 반드시 필요한데, 통상적으로 게이트웨이 장치는 서로 다른 데이터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두개의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하여 각 네트워크 사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각각의 네트워크에 맞는 데이터로 변환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가전기기(10), 방범/방재기기(20), 원격 검침기기(30), 게이트웨이 장치(40), 제어 단말기(50), 허브(Hub)(60), PC(70) 및 중계 서버(8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가전기기(10)와 방범/방재기기(20) 및 원격 검침기기(30)는 홈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한 가정 내의 전자기기로서, 통상적으로 전력선 통신(Power-line Communications)을 위한 전력선 통신모듈을 내장하여 구성되며 네트워크 형태로 게이트웨이 장치(40)에 접속된다. 여기서, 동도면에 도시된 가전기기(10)로서는 냉장고, 에어컨, 전자렌지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방범/방재기기(20)로는 감시용 카메라, 감시용 모니터 및 각종 경보장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원격 검침기기(30)로는 상하수도 계량기, 가스 계량기 및 전기 계량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4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각종 기기(10, 20, 30)들을 인터넷망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상호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후술하는 허브(60) 및 중계 서버(80)를 통해 인터넷망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동도면에 도시된 제어 단말기(50)는 통상적으로 웹 패드(Web-Pad)와 같은 정보 단말기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전반적인 환경 설정 및 제어를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AP(Access Point)와 허브(60)를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이 가능하다.
허브(60)는 게이트웨이 장치(40)와 제어 단말기(50) 및 PC(70)가 인터넷 라인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며, 중계 서버(8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구성수단(도면부호 10 내지 70)으로 구성된 홈 네트워크와 인터넷망간의 상호 접속 및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서버로서, 통상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대단위 주거지역에서 각 가정으로부터의 홈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 중계 서버(80)는 각 가정 내에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 주거단위당 하나씩 설치된다. 이와는 달리, 대단위 주거지역에 속하지 않은 일반 가정에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에는 이 중계 서버(80)의 기능을 PC(70)가 대신하도록 구성하거나 홈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웹 서버가 이 중계 서버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종래에는 이러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이용하여 외부 네트워크를 통한 가정 내의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사용자 관점에서는 고가의 웹 패드(제어 단말기(50)) 및 게이트웨이 장치(40)를 반드시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초기 설비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에서 각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는 물론, 외부가 아닌 가정 내에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반드시 중계 서버(80)를 통한 인터넷상에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인터넷망은 독립적인 통신망이 아닌 일반 공중망으로서 상대적으로 해킹이 용이하며, 그로 인해홈 네트워킹에 따른 개인정보의 유출 가능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으며, 중계 서버(80) 자체의 이상 발생 시에는 이 중계 서버(80)와 연결된 모든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일반 전화기에 홈 게이트웨이 기능 및 중계 서버 기능을 내장하여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전반적인 설비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각 가정 내에서의 독립적인 제어는 물론, 일반공중전화망을 통해서도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가정 내의 네트워크를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홈 게이트웨이 기능을 내장한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에 있어서, 가정내의 각종 전자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각 전자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각 전자기기로부터 제공되는 동작상태 및 제어명령 수행결과를 수신하는 통신장치; 상기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넷 접속장치; 일반공중전화망(PSTN)과 연결되어 전화신호를 송수신하여 처리하는 전화모듈; 및, 상기 전화모듈을 통해 키신호 형태의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되거나 상기 인터넷 접속장치를 통해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수신된 제어명령을 상기 통신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상태 및 제어명령 수행결과를 상기 전화모듈 또는 상기 인터넷 접속장치를 통해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를 통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화면 및 제어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5 : 전력선 통신장치210 : 메인 제어부
215 : 메모리부220 : 터치패널 및 디스플레이부
225 : 인터넷 접속장치230 : 음성인식 모듈
235 : 전화모듈240 : 무선 송수신부
245 : 음성 인터페이스부250 : 키 패드
260 : 무선휴대장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가전기기(110), 방범/방재기기(120), 원격 검침기기(130),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 허브(300) 및 PC(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전기기(110), 방범/방재기기(120), 원격 검침기기(130), 허브(300), PC (400)의 기능은 전술한 도 1에서 설명한 각 구성수단(10, 20, 30, 60, 70)의 기능과 동일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킹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홈 네트워킹 시스템과 비교하여 제어 단말기(40), 게이트웨이 장치(50) 및 중계 서버(80)가 생략되는 대신에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가 추가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는 본 발명에 따라 종래의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제어 단말기(40), 게이트웨이 장치(50) 및 중계서버(80)의 기능을 내장한 전화기로서, 허브(300)를 통해 제공되는 인터넷 라인과 연결되어 인터넷망을 통한 접속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는 일반공중전화망(PSTN)과도 접속되어 일반공중전화망을 통해 제공되는 제어 명령에 의해 각 전자기기(110, 120, 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이러한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전력선 통신장치(205), 메인 제어부(210), 메모리부(215), 터치패널 및 디스플레이부(220), 인터넷 접속장치(225), 음성인식 처리부(230), 전화모듈(235), 무선 송수신부(240), 음성 인터페이스부(245), 키 패드(250) 및 무선휴대장치(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력선 통신장치(205)는 전력선을 통해 도 2에 도시한 각각의 전자기기(110, 120, 130)와 연결되어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각 전자기기 (110, 120, 130)로부터 제공되는 상태 정보를 후술하는 메인 제어부(210)로 전송하거나 메인 제어부(210)로부터 제공된 제어명령을 각각의 전자기기(110, 120, 1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각각의 전자기기(110, 120, 130) 또한 전력선 통신을 위한 모듈을 내장하여 구성된다.
동도면에 도시된 메인 제어부(210)는 본 발명에 따라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프로세서로서 디지털신호처리(DSP) 기능을 내장한 프로세서로 구성이 가능하며,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 내에 포함된 각 구성수단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호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즉, 이 메인 제어부 (210)는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의 동작 모드를 홈 네트워킹 제어모드 또는 일반 전화기 모드 등으로 전환하여 그에 따른 제어과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일반 전화기 모드에 있어서 전화모듈(235) 및 음성 인터페이스부 (245) 사이의 음성신호를 소정의 신호 처리과정을 거쳐 송수신하고, 키 패드(250)를 통해 입력되는 키신호에 의거하여 다이얼링 및 전화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며, 무선 송수신부(240)를 통해 무선휴대장치(260)를 이용한 무선 통신도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홈 네트워킹 제어모드에 있어서는, 음성인식 처리부(230)를 통해 전화모듈(235)과 무선휴대장치(26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명령 또는 DTMF 형태의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그에 대응하게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제어한다. 또한, 일반공중전화망(PSTN)을 통해 일반전화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접속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그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메인 제어부(210)의 상세한 제어과정은 아래에서 첨부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동도면에 도시된 메모리부(215)는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의 동작 모드를 제어 및 실행하기 위한 각종 제어 알고리즘 및 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프로그램 형태로 저장하며, 이 제어 프로그램은 메인 제어부(210)에 의해 로딩 (loading) 및 실행된다. 또한, 메모리부(215)는 후술하는 키 패드(250) 또는 터치패널 및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 또는 입력한 정보도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메모리부(215)는 통상적으로 다수 개의 각기 다른 메모리 수단(예를 들어, 플래시메모리, ROM, SDRAM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메모리 수단으로 통합하여 도시하였다.
터치패널 및 디스플레이부(220)는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의 전면부에 구비되며,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동작 상태 및 각종 기능설정 메뉴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과 이 디스플레이 수단의 표면을 통해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패널 및 디스플레이부 (220)는 통상적인 LCD와 LCD 표면에 장착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 터치패널 및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인터넷 접속장치(225)는 도 2에 도시된 허브(300)와 연결되어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가 인터넷망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통상적인 랜(LAN) 카드 및 데이터통신 모뎀 등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음성인식 처리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형태의 제어명령을 인식하여 그에 상응하는 명령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반공중전화망이나 무선휴대장치(26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전화모듈(235)이나 무선송수신부 (240)를 통해 수신하여 제어명령을 인식한 다음, 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메인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서, 음성인식 처리부(230)는 복수개의 기준 음성신호와 각 기준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기저장한다.
그리고, 전화 모듈(235)은 일반공중전화망(PSTN)과 연결되어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의 일반전화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통상의 일반 전화기에서와 같이 음성신호 처리수단, 링(ring) 신호 검출 및 발생수단, 다이얼링 수단 및 스위칭 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240)는 일반 유무선 겸용 전화기에서와 같이 무선휴대장치 (260)와의 무선 송수신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메인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본체에서 발생된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며, 무선휴대장치(260)로부터 무선으로 제공되는 음성 신호 및 키 신호를 수신하여 메인 제어부(210)로 제공한다. 따라서, 무선휴대장치(260)는 통상의 유무선 겸용 전화기에서 사용되는 무선 단말기로서,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본체와 인터폰 기능을 통해 음성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 무선휴대장치(260)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메뉴를 통해 용이하게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음성 인터페이스부(245)는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에 구비되는 통상의 송수화기(도시 생략됨) 또는 스피커 및 마이크와 연결되어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인터페이스하는 수단을 의미하며, 키 패드(250) 또한 통상의 전화기에 구비되는 다수의 숫자 키 및 기능 키 등으로 구성되어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의 전반적인 동작모드 전환 및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기능 키 등을 추가 구성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에서는 유무선 겸용 일반 전화기에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제어가 가능한 게이트웨이 기능 및 간단한 중계 서버 기능과 음성인식 기능을 내장하는 동시에 터치패널 및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종래의 웹 패드 기능까지 모두 수용함으로써, 인터넷망 또는 일반공중전화망을 통해 외부에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정 내에서도 무선휴대장치(260)를 통해 음성명령 또는 키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제어가 가능하다. 특히, 종래의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는 외부가 아닌 가정 내에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외부에 구비된 중계 서버(도 1의 도면부호 80)에 접속한 다음, 인터넷망을 통해서만 제어가 가능한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를 사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는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를 이용하여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그리고, 이 경우에 무선휴대장치(26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정 내에서 고정된 특정 위치가 아닌 이동하면서 음성인식기능 등을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도 4a는 이러한 게이트웨이 전화기(200)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제어하는 각각의 방법 중에서, 먼저 사용자가 외부에서 일반공중전화망을 통해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 접속하고 각각의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로서, 동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일반 전화기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집에 전화 접속을 시도하게 되고(단계 S401), 그에 따라 일반공중전화망과 연결된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 내의 전화 모듈(235)은 링 신호를 검출하여 소정의 링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단계 S403). 따라서, 사용자가 현재 다이얼링을 수행한 전화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링 신호음이 출력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기설정된 소정의 코드번호(키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단계S405). 여기서, 기설정된 소정의 코드번호라 함은,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제어를 위해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에 기설정된 비밀번호 형태의 코드번호로서,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및 변경할 수 있으며 이때 설정된 코드번호는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 내의 메모리부(215)에 저장된다. 그리고,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 내의 메인 제어부(210)는 전화 접속에 의한 링 신호가 수신되는 도중에 저장된 코드번호와 일치하는 톤 신호가 수신되면 홈 네트워킹 제어를 위한 코드번호임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사용자가 입력한 코드번호가 공중전화망을 통해 전송되어 전화 모듈(235)을 거쳐 메인 제어부(210)에 제공되면, 메인 제어부(210)는 메모리부(215)에 기설정된 코드번호와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407). 여기서, 전화모듈(235)을 통해 제공되는 코드번호는 톤 (tone) 신호 형태로 제공되는데, 메인 제어부(210)는 통상의 전화기에서 널리 사용되는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처리 기능을 이용하여 톤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상술한 단계(S407)에서의 판단결과, 만일 입력된 코드번호가 기설정된 코드번호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소정의 에러 메시지를 음성신호 형태로 출력하여 전화모듈(235)을 통해 사용자의 전화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 S409).
이와는 달리, 입력된 코드번호와 기설정된 코드번호가 서로 일치하면 메인 제어부(210)는 ARS 기능을 실행하여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안내 메시지를 음성인식처리부(230) 및 전화모듈(235)을 통해 사용자의 전화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 S411). 따라서, 사용자는 이 안내 메시지에 따라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기기를 선택한 다음, 선택된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함으로써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제어하게 된다(단계 S413). 여기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전자기기 선택신호 및 제어명령 등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메인 제어부(210)의 ARS 기능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소정의 코드번호를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각각의 과정을 거쳐 사용자는 일반공중전화망을 통해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 접속하고,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 연결된 각종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일반공중전화망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보안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홈 네트워킹 제어과정에서는 사용자가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ARS 안내 메시지에 의거하여 그에 상응하는 코드번호를 입력함으로써 각각의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음성명령을 입력하여 제어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제어가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음성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전화모듈(235)은 일반공중전화망을 통해 이를 수신하여 메인 제어부(210)로 전송하게 되고, 메인 제어부(210)에서는 이 음성명령을 음성인식 처리부(230)로 전송한다. 따라서, 음성인식 처리부(230)는 음성명령을 분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제어명령을 메인 제어부(210)로 전송하게 되고, 메인 제어부(210)는 이에 의거하여 각각의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공중전화망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것은 물론, 종래와 같이 인터넷망을 통한 접속방법도 수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인터넷망이라 함은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 단말기(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무선 PDA 등)를 이용하는 무선 인터넷망과 일반 PC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유선 인터넷망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에서 무선 단말기 또는 PC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 접속이 가능하고, 그로 인해 각각의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b는 이러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동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무선 단말기 또는 일반 PC를 이용하여 인터넷망에 접속한 다음, 도시 생략된 인터넷 중계 시스템에 접속하게 된다(단계 S451). 여기서, 인터넷 중계 시스템이라 함은 종래의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중계 서버의 의미가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가정 내의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소정의 가입 절차를 통해 가입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웹 페이지를 통해 인터넷 중계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정보 입력 과정 등을 거쳐 로그인 과정을 수행한 다음,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단계 S453).
그리고,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하게 되면(단계 S455), 인터넷 중계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을 인터넷망을 통해 허브(300)로 전송하게 되고, 허브(300)는 이를 수신하여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 내의 인터넷 접속장치(225)는 이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메인 제어부(210)로 전송하게 된다(단계 S547). 따라서, 메인 제어부(210)는 인터넷망을 통해 제공되는 제어명령을 분석하여 그에 대응하는 전자기기의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단계 S549).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구축한 경우에는 가정 내에서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한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외부가 아닌 가정 내에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중계 서버에 접속하여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독립적인 제어가 불가능한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는 종래의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구비되는 중계 서버(80)에 접속하지 않고서도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사용자가 가정 내에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에 구비된 키 패드(250) 또는 터치패널 및 디스플레이부(220)의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메인 제어부(210)는 키 패드(25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 또는 터치패널 및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제공되는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메모리부(215)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한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메뉴 화면 등이 터치패널 및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이 메뉴 화면의 안내에 따라제어명령을 입력함으로써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 구성된 각종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유무선 겸용 전화기에서와 같은 무선 송수신부(240)와 무선휴대장치(2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가정 내의 어느 위치에서나 무선휴대장치(260)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이때 무선휴대장치(26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명령은 무선 송수신부(240)에 수신되어 메인 제어부(230)에 제공됨으로써 각 전자기기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이러한 홈 네트워킹 과정에서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의 터치패널 및 디스플레이부(220) 또는 무선휴대장치(260)의 디스플레이부(도시 생략됨)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화면 및 제어상태 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에서는 명령 수행 결과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메모리부(215)에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각 제어모드에 대응하는 안내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를 기저장하며, 메인 제어부(215)는 사용자가 실행한 제어명령에 대한 처리 결과를 터치패널 및 디스플레이부(200)의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과정을 거쳐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에 연결된 세탁기를 구동하였을 경우에 세탁기는 제어명령에 의거하여 세탁 과정을 수행한 다음, 세탁이 완료되었음을 전력선을 통해 통보하게 된다. 따라서,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에서는 전력선 통신장치(205)를 통해 이를 수신하게 되고, 메인 제어부(215)는 세탁 과정이 완료되었을 알리는 메시지를 메모리부 (215)로부터 독출하여 문자 또는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통보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200)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구현하는 경우에 인터넷망은 물론 일반공중전화망을 통해 외부에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제어가 가능하며, 각 가정 내에서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와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발명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망은 물론 일반공중전화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제어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인터넷 해킹에 의한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가정 내에서도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전화기에 홈 게이트웨이 기능 및 웹 패드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 대한 초기 설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가정 내의 네트워크를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홈 게이트웨이 기능을 내장한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에 있어서,
    가정내의 각종 전자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각 전자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각 전자기기로부터 제공되는 동작상태 및 제어명령 수행결과를 수신하는 통신장치;
    상기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넷 접속장치;
    일반공중전화망(PSTN)과 연결되어 전화신호를 송수신하여 처리하는 전화모듈;
    상기 전화모듈을 통해 키신호 형태의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되거나 상기 인터넷 접속장치를 통해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수신된 제어명령을 상기 통신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상태 및 제어명령 수행결과를 상기 전화모듈 또는 상기 인터넷 접속장치를 통해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각종 메뉴와 상기 각 전자기기의 동작상태 및 제어명령 수행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면 접촉에 의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인식하여 상기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는 터치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숫자 키 및 기능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는 키 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와 이격되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 신호 형태의 제어명령을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무선휴대장치 및;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상기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상기 무선휴대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어명령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각 전자기기의 제어명령 수행결과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음성 메시지를 기저장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각 전자기기로부터의 제어명령 수행결과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어명령 수행결과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상기 제어명령이 입력된 경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기준 음성명령 및 상기 각 기준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내부에 기저장하며, 상기 전화모듈을 통해 음성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음성명령을 인식하여 그에 상응하는 상기 기준 음성명령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기준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는 음성인식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자기기는 전력선 통신모듈을 내장하며,
    상기 통신장치는 전력선을 이용하여 상기 각 전자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력선 통신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KR10-2002-0021878A 2002-04-22 2002-04-22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KR100466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878A KR100466361B1 (ko) 2002-04-22 2002-04-22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878A KR100466361B1 (ko) 2002-04-22 2002-04-22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368A true KR20030083368A (ko) 2003-10-30
KR100466361B1 KR100466361B1 (ko) 2005-01-13

Family

ID=32379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878A KR100466361B1 (ko) 2002-04-22 2002-04-22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36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657B1 (ko) * 2004-12-16 2007-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778172B1 (ko) * 2006-08-04 2007-11-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티브이 폰
KR100968773B1 (ko) * 2007-09-12 2010-07-08 김종원 합성수지 성형체로 형성된 영정액자 부착용 조화받침대
KR200452101Y1 (ko) * 2009-05-25 2011-01-31 문윤식 와이어 사진걸이
KR101136875B1 (ko) * 2005-03-31 2012-04-20 주식회사 팬택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일괄 알람 설정 기능을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일괄 알람 설정을 하는 방법
KR101256947B1 (ko) * 2011-02-25 2013-04-25 주식회사 맥스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760A (ko) * 1991-11-13 1993-06-24 백중영 원격제어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950016175A (ko) * 1993-11-10 1995-06-17 박병엽 전화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JP2000184080A (ja) * 1998-12-18 2000-06-30 Sharp Corp テレコントロール装置
CN1416632A (zh) * 2000-01-31 2003-05-07 爱普泰克微系统公司 宽带通讯访问装置
DE60024433T2 (de) * 2000-07-19 2006-07-13 Sony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m Fernzugriff auf ein Heimnetz
KR100387184B1 (ko) * 2000-08-01 2003-06-12 하스넷주식회사 무선 양방향 가정 자동화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657B1 (ko) * 2004-12-16 2007-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1136875B1 (ko) * 2005-03-31 2012-04-20 주식회사 팬택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일괄 알람 설정 기능을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일괄 알람 설정을 하는 방법
KR100778172B1 (ko) * 2006-08-04 2007-11-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티브이 폰
KR100968773B1 (ko) * 2007-09-12 2010-07-08 김종원 합성수지 성형체로 형성된 영정액자 부착용 조화받침대
KR200452101Y1 (ko) * 2009-05-25 2011-01-31 문윤식 와이어 사진걸이
KR101256947B1 (ko) * 2011-02-25 2013-04-25 주식회사 맥스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6361B1 (ko) 200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0752B2 (en) Universal gateway module for interfacing a security system control to external peripheral devices
US7403598B2 (en) Remote control of a speaker phone device as a standalone device or as part of a security system
KR100466361B1 (ko)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KR20050098180A (ko) 고주파 무선제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0722472B1 (ko) 엑세스 포인트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818511B1 (ko) 휴대 장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호출 방법
JP2006512031A (ja) 電話制御装置を有する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700094B1 (ko) 원폰의 블루투스기능 테스트방법
KR101136875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일괄 알람 설정 기능을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일괄 알람 설정을 하는 방법
KR20020007667A (ko) 전화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장치
WO2004062237A2 (en) Universal gateway module for interfacing a security system control to external peripheral devices
KR20070118844A (ko) 도어 제어 장치
KR100711726B1 (ko) 인스턴스 메시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460487B1 (ko) 방범기능이 구비된 무선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19686B1 (ko) H.323 호환 전화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제어 장치 및방법
KR20060084546A (ko) 원격 음성인식 제어 시스템
KR100248889B1 (ko) 가정 자동화용 다기능 전화교환기
KR20090050512A (ko) 통화단말을 통한 원격제어 방법 및 통화단말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100346414B1 (ko) 홈 오토메이션 기기에서 일반 전화기를 사용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KR20060076613A (ko) 알에스지엠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원격 도어 개폐 장치및 그 방법
JP4179068B2 (ja)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387191B1 (ko) 근거리 통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701347B1 (ko) 유선전화망에 자동으로 접속시키는 통신모듈이 내장된휴대전화
KR20060053589A (ko) 인터넷과 공중전화 통신망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그 방법
JP2005141359A (ja) 発呼サーバー、通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