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172B1 - 티브이 폰 - Google Patents

티브이 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172B1
KR100778172B1 KR1020060073623A KR20060073623A KR100778172B1 KR 100778172 B1 KR100778172 B1 KR 100778172B1 KR 1020060073623 A KR1020060073623 A KR 1020060073623A KR 20060073623 A KR20060073623 A KR 20060073623A KR 100778172 B1 KR100778172 B1 KR 100778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phone
unit
user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73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 폰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댁내기기와 연결된 홈게이트웨이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모듈과 내장된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제어 명령어로 변환하는 음성모듈 및 상기 제어 명령어 중 상기 댁내기기를 제어하는 명령어로 인식되는 정보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홈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티브이 폰의 자체 기능을 제어하는 명령어로 인식되는 정보는 해당 처리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티브이 폰은 음성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티브이 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티브이 폰의 상태와 정보를 합성음성으로 알려줄 수 있으므로, 주방에서 물을 많이 사용하는 사용자는 직접 티브이 폰을 만지지 않고도 용이하게 티브이 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티브이 폰을 홈게이트웨이와 연결함으로써 사용자는 주방에서 음성으로 댁내기기를 제어하고 그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티브이 폰{TV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브이 폰 및 이와 연결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브이 폰의 채널변경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브이 폰의 모드변경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브이 폰을 이용한 댁내기기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브이 폰을 이용한 외부 정보 다운로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티브이 폰
300 : 홈게이트웨이
400 : 댁내기기
500 : 외부 인터넷
본 발명은 티브이 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티브이 폰의 자체 기능을 제어할 수 있고, 홈게이트웨이와 연동하여 댁내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티브이 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함께 가정 내의 기기들을 하나로 묶어 제어할 수 있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어 가정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주부들의 삶도 질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정 내의 TV(티브이), 오디오, 냉장고, 세탁기 등의 가전기기 및 전등, 도어락(door lock) 등의 홈오토메이션 제품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주방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주부들을 위한 주방용 티브이 폰이 출시되어 있다. 주방용 티브이 폰은 TV와 라디오를 수신할 수 있고, 핸즈프리(Hands-Fee) 전화통화 기능, 메시지 녹음/재생 기능, 경비실 및 현관인터폰과의 통화기능 등이 있다.
주방용 티브이 폰은 주부들의 눈높이에 거치형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어, 주부들은 요리나 설거지를 하면서도 TV를 보고, 전화통화를 할 수 있으 며, 현관의 방문객을 주방에서 확인할 수도 있다.
그러나, 주부들은 요리나 설거지를 하면서 항상 물을 손에 뭍이고 있기 때문에 주방용 티브이 폰의 TV와 라디오의 채널을 바꾸거나, TV를 보는 도중에 전화를 받는 등 티브이 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손에 뭍은 물기를 닦고 버튼을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주방에서 가정의 댁내기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제어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티브이 폰의 자체 기능을 제어할 수 있고, 홈게이트웨이와 연동하여 댁내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티브이 폰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 폰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댁내기기와 연결된 홈게이트웨이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모듈과, 내장된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제어 명령어로 변환하는 음성모듈 및 상기 제어 명령어 중 상기 댁내기기를 제어하는 명령어로 인식되는 정보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홈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티브이 폰의 자체 기능을 제어하는 명령어로 인식되는 정보는 해당 처리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모듈은 상기 티브이 폰의 상태와 상기 홈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합성음성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채널변경 명령에 따라 해당하는 채널의 방송신호에 동조하여 해당하는 채널의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TV 유닛과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의 전화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화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전화 유닛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처리부는 수신되는 라디오 방송신호에 동조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라디오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TV 유닛, 상기 전화 유닛 및 상기 라디오 유닛 중 하나를 활성화시키고 나머지를 대기상태로 비활성화시켜 상기 티브이 폰의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브이 폰 및 이와 연결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티브이 폰(100)은 방송신호(115)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TV 기능과 라디오 기능을 가지고, 외부의 전화교환기(145)와 연결되어 전화 기능을 가진다. 또한, 티브이 폰(100)은 홈게이트웨이(30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서로 정 보를 교환할 수 있다. 홈게이트웨이(300)는 댁내기기(40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댁내기기(400)를 제어할 수 있고, 외부인터넷(500)과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티브이 폰(100)은 TV와 라디오의 방송신호(115)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110),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방송신호(115)를 취득하여 TV 방송을 재생하는 TV 유닛(120),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방송신호(115)를 취득하여 라디오 방송을 재생하는 라디오 유닛(130), 외부의 전화교환기(145)와 연결되는 전화 유닛(140), 홈게이트웨이(300)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모듈(150), 티브이 폰(100)에 직접 정보를 입력시킬 수 있는 키입력부(160),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합성음성을 생성할 수 있는 음성모듈(170), 사용자에게 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180),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190) 및 티브이 폰(100)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방송신호(115)를 수신하는 안테나(미도시)와 수신된 방송신호(115)를 TV 주파수와 라디오 주파수로 분류하는 수신필터(미도시)로 이루어진다. 또한, 수신부(110)는 유선방송 커넥터(미도시)로부터 유선방송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방송신호(115)는 아날로그 공중파, 지상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파, 위성DMB 파일 수 있다.
TV 유닛(120)과 라디오 유닛(130)은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방송신호(115)를 선별 취득하여 TV방송 또는 라디오 방송을 디스플레이 장치(180) 또는 스피커(도3의 173)로 재생한다. TV 유닛(120)과 라디오 유닛(130)에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튜너(미도시)와 수신된 신호를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영상디코터(미도시) 및 검파회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전화 유닛(140)은 음성의 음압변화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의 전화교환기(145)로 전송하는 송화기(미도시)와 외부의 전화교환기(145)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영구자석과 조합된 전자석에 의해 구동되는 진동판을 이용하여 음성으로 변환하는 수화기(미도시)로 이루어진다.
통신모듈(150)은 홈게이트웨이(300)의 내부인터페이스 모듈(310)과 연동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티브이 폰(100)과 홈게이트웨이(300)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및 유선과 무선이 혼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의 예로는 전력선을 이용하는 전력선 통신(PLC : 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을 이용하는 홈피엔에이(HomePNA : Home Phone Networking Alliance) 등이 있으며, 무선 통신의 예로는 IEEE 802.11 계열로서 2.4GHz 또는 5GHz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랜(Wireless LAN), 근거리 디바이스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블루투스(Bluetooth), 저속 전송 속도를 갖는 지그비(ZigBee) 등이 있다.
키입력부(160)는 티브이 폰(100)에 각종 정보를 입력시킬 수 있는 키패드(keypad)로써, 숫자와 문자를 입력시킬 수 있는 입력키와 티브이 폰(100)의 각종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채널키, 모드키, 댁내기기 제어키 등의 단축키로 구비될 수 있다.
음성모듈(170)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여 티브이 폰(100)으로 전송하고, 합성음성으로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알려주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에서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8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PDP(plasma display panel)의 표시장치로써, 티브이 폰(100)의 본체에 대하여 수평 및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메모리(190)는 티브이 폰(100)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어와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TV 및 라디오의 채널변경, 모드변경, 통신기능, 음성인식 등의 티브이 폰(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티브이 폰(100)에서 TV 유닛(120), 라디오 유닛(130) 및 전화 유닛(140)이 음성모듈(170)과 디스플레이 장치(180)와 함께 사용자에게 TV를 보여주고, 라디오를 들려주며, 전화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티브이 폰(100)의 자체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처리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홈게이트웨이(300)는 티브이 폰(100) 및 댁내기기(400)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내부인터페이스 모듈(310), 외부의 인터넷(500)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외부인터페이스 모듈(330),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320) 및 제어부(340)를 구비한다.
댁내기기(400)는 홈게이트웨이(300)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기능을 가진 냉장고, 오디오 등의 가전기기와 전등, 도어락 등의 홈 오토메이션기기 등으로 홈게이트웨이(300)에 의해 제어된다.
도 2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음성모듈(170)은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71)와 전기적 음성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압축하기 위해 인코딩하는 음성 인코더(172), 음성정보를 전기적 음성신호로 디코딩하는 음성 디코더(174)와 전기적 음성신호를 합성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송출하는 스피커(173)를 구비한다. 음성 인코더(172)와 상기 음성 디코더(174)는 하나의 칩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집적 회로(IC)를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음성 인코더(172)에서 인코딩된 음성정보를 텍스트 코드로 변환하여 메모리(190)에 저장하고, 텍스트 코드를 디코딩에 알맞은 음성정보로 변환하여 음성 디코더(174)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음성모듈(170)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메모리(19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티브이 폰(100)의 제어 명령어 목록을 검색하여 해당 제어 명령어를 실행한다.
메모리(190)에 저장된 제어 명령어 목록은 사용자의 특정 음성에 대응되는 명령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TV와 라디오의 채널을 변경하는 명령어, TV 유닛(120)과 라디오 유닛(130) 및 전화 유닛(140) 등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켜서 작동모드를 변환하는 명령어, 홈게이트웨이(300)와 정보를 송수신하여 댁내기기(400)를 제어하고 인터넷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명령어 등의 제어 명령어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브이 폰(100)의 채널변경, 모 드변경, 댁내기기제어, 외부 정보 다운로드 등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브이 폰의 채널변경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티브이 폰(100)으로 TV를 보거나 라디오를 듣고 있는 도중에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 "주방 티브이 채널 바꿈 11번"또는 "주방 라디오 채널 바꿈 FM 99.9"와 같이 미리 설정된 특정 명령어를 말한다. 티브이 폰(100)의 음성모듈(170)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제어부(200)로 전달한다(S11). 이때, 음성모듈(170)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활성화되어 있어야 한다. 물론, 티브이 폰(100)의 키입력부(160)에서 채널키로 TV 또는 라디오의 채널을 변경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음성이 음성모듈(170)을 통하여 처리 가능한 음성정보로 변환되어 제어부(200)로 전달되면, 제어부(200)는 음성정보에서 제어대상이 TV 유닛(120)인지 라디오 유닛(130)인지 확인하고, 수행할 작업이 채널변경임을 확인하며, 변경할 채널의 번호를 확인한다. 한편, 음성정보는 "주방 티브이 좋은 채널"과 같이 사용자의 선호채널을 지정하는 음성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200)는 음성정보에 해당하는 제어 명령어를 메모리(190)의 제어 명령어 목록에서 검색한다(S12).
제어부(200)가 검색한 제어 명령어를 TV 유닛(120) 또는 라디오 유닛(130)으로 전달하면, TV 유닛(120) 또는 라디오 유닛(130)의 튜너는 수신되는 방송신호(115)에서 변경할 채널의 주파수와 동조하여 해당하는 채널의 TV의 영상신호와 음성신호 또는 라디오의 음성신호를 출력한다(S13).
채널이 변경되면 제어부(200)는 채널의 변경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메모리(190)에 저장되어 있는 채널정보의 데이터를 음성모듈(170)로 전달한다. 음성모듈(170)의 디코더(174)에서 채널정보를 전기적 음성신호를 변환하여 스피커(173)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채널의 변경 상태를 합성음성으로 알려준다(S1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브이 폰의 모드변경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티브이 폰(100)의 마이크(171)에 "주방 모드변경 TV"또는 "주방 모드변경 전화"와 같이 미리 설정된 특정 명령어를 말한다. 티브이 폰(100)의 음성모듈(170)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제어부(200)로 전달한다(S21). 이때, 음성모듈(170)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활성화되어 있어야 한다. 물론, 티브이 폰(100)에 마련된 키입력부(160)의 모드키로 TV 모드, 라디오 모드, 전화 모드로 변경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음성이 음성모듈(170)을 통하여 처리 가능한 음성정보로 변환되어 제어부(200)로 전달되면, 제어부(200)는 음성정보에서 수행할 작업이 모드변경임을 확인하고, 변경할 모드의 종류를 확인한다. 제어부(200)는 음성정보에 해당하는 제어 명령어를 메모리(190)의 제어 명령어 목록에서 검색한다(S22).
제어부(200)는 TV 유닛(120), 라디오 유닛(130), 전화 유닛(140) 중 변경할 모드에 해당하는 유닛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대기상태로 유지되던 TV 유닛(120), 라디오 유닛(130), 전화 유닛(140)은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활성화되어 작동하게 된다(S23).
한편, 제어부(200)는 TV 유닛(120), 라디오 유닛(130), 전화 유닛(140) 중 작동하고 있는 유닛에 전원을 차단하여 대기상태로 만든다(S24).
모드가 변경되면 제어부(200)는 모드의 변경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메모리(190)에 저장되어 있는 모드정보의 데이터를 음성모듈(170)로 전달한다. 음성모듈(170)의 디코더(174)에서 모드정보를 전기적 음성신호를 변환하여 스피커(173)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모드의 변경 상태를 합성음성으로 알려준다(S2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브이 폰을 이용한 댁내기기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티브이 폰(100)의 마이크(171)에 "주방 기기제어 세탁기 가동"또는 "주방 기기제어 도어락 열림"과 같이 미리 설정된 특정 명령어를 말한다. 티브이 폰(100)의 음성모듈(170)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제어부(200)로 전달한다(S31). 이때, 음성모듈(170)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활성화되어 있어야 한다. 물론, 티브이 폰(100)에 마련된 키입력부(160)의 입력키 또는 댁내기기 제어키로 댁내기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음성이 음성모듈(170)을 통하여 처리 가능한 음성정보로 변환되어 제어부(200)로 전달되면, 제어부(200)는 음성정보에서 수행할 작업이 댁내기기의 제어임을 확인하고, 제어할 댁내기기의 종류와 상태를 확인한다. 제어부(200)는 음성정보에 해당하는 댁내기기 제어 명령어를 메모리(190)의 제어 명령어 목록에서 검색한다(S32).
제어부(200)는 제어 명령어 목록에서 검색된 해당 댁내기기 제어 명령어를 통신모듈(150)을 통하여 홈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한다(S33).
홈게이트웨이(300)는 수신한 댁내기기 제어 명령어의 대상이 되는 댁내기기(400)를 찾기 위해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댁내기기(400)의 정보를 검색한다. 홈게이트웨이(300)가 제어 명령어의 대상이 되는 댁내기기(400)로 제어신호를 보내면, 댁내기기(400)는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게 된다(S34).
댁내기기(400)는 홈게이트웨이(30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고 기기의 작동상태 또는 작동결과를 홈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하고, 홈게이트웨이(300)는 댁내기기(400)의 작동상태 또는 작동결과를 티브이 폰(100)으로 전송한다(S35).
티브이 폰(100)은 홈게이트웨이(300)로부터 수신되는 댁내기기(400)의 작동상태 또는 작동결과를 음성모듈(170)의 디코더(174)로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73)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합성음성으로 알려준다(S36).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음성으로 티브이 폰(100)을 이용하여 냉장고, 세탁기, 전등, 도어락 등의 댁내기기(400)를 제어하고, 합성음성으로 그 결과를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티브이 폰(100)을 이용하여 전체 댁내기기(400)의 상태를 체크하도록 음성으로 지시할 수 있고, 그 결과를 합성음성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80)를 통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브이 폰을 이용한 외부 정보 다운로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티브이 폰(100)의 마이크(171)에 "주방 공지정보 확인"또는 "주방 영화보기"와 같이 미리 설정된 특정 명령어를 말한다. 티브이 폰(100)의 음성모듈(170)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제어부(200)로 전달한다(S41). 이때, 음성모듈(170)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활성화되어 있어야 한다. 물론, 티브이 폰(100)에 마련된 키입력부(160)의 입력키로 홈게이트웨이(300)에서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이 음성모듈(170)을 통하여 처리 가능한 음성정보로 변환되어 제어부(200)로 전달되면, 제어부(200)는 음성정보에서 수행할 작업이 홈게이트웨이(300)의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공지사항, 뉴스, 미디어 정보 등을 다운로드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것임을 확인한다. 제어부(200)는 음성정보에 해당하는 제어 명령어를 메모리(190)의 제어 명령어 목록에서 검색한다(S42).
제어부(200)는 제어 명령어 목록에서 검색된 해당 제어 명령어를 통신모듈(150)을 통하여 홈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한다(S43).
홈게이트웨이(300)는 티브이 폰(100)의 제어 명령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20)에서 해당 정보를 검색한다. 홈게이트웨이(300)는 외부 인터넷(500)에서 수신하여 미리 저장해 놓은 아파트 주민들에 대한 공지사항이나 뉴스, 영화, 음악 등의 미디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20)에서 확인하여 티브이 폰(100)으로 전송한다(S44).
티브이 폰(100)은 홈게이트웨이(300)로부터 다운로드한 정보를 메모리(190)에 저장하고 음성모듈(17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8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S45).
한편, 티브이 폰(100)은 홈게이트웨이(300)로부터의 정보 다운로드를 완료하였음을 음성모듈(170)을 통하여 합성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정보 다운로드를 실패하였음을 합성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준다(S4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티브이 폰은 음성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티브이 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티브이 폰의 상태와 정보를 합성음성으로 알려줄 수 있으므로, 주방에서 물을 많이 사용하는 사용자는 직접 티브이 폰을 만지지 않고도 용이하게 티브이 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티브이 폰을 홈게이트웨이와 연결함으로써 사용자는 주방에서 음성으로 댁내기기를 제어하고 그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Claims (7)

  1. 방송수신기능 및 전화기능을 가지는 티브이 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댁내기기와 연결된 홈게이트웨이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내장된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제어 명령어로 변환하는 음성모듈;
    상기 사용자의 채널변경 명령에 따라 해당하는 채널의 방송신호에 동조하여 해당 채널의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TV 유닛과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의 전화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화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전화 유닛을 포함하는 처리부; 및
    상기 제어 명령어 중 상기 댁내기기를 제어하는 명령어로 인식되는 정보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홈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티브이 폰의 자체 기능을 제어하는 명령어로 인식되는 정보는 상기 처리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모듈은 상기 티브이 폰의 상태와 상기 홈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합성음성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수신되는 라디오 방송신호에 동조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라디오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TV 유닛, 상기 전화 유닛 및 상기 라디오 유닛 중 하나를 활성화시키고 나머지를 대기상태로 비활성화시켜 상기 티브이 폰의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기기를 제어하는 명령어와 상기 티브이 폰의 자체 기능을 제어하는 명령어로 이루어지는 제어 명령어 목록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의 상기 제어 명령어 목록을 검색하여 상기 댁내기기를 제어하는 명령어를 상기 홈게이트웨이로 전송하여, 상기 홈게이트웨이가 상기 댁내기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폰.
  7. 삭제
KR1020060073623A 2006-08-04 2006-08-04 티브이 폰 KR100778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623A KR100778172B1 (ko) 2006-08-04 2006-08-04 티브이 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623A KR100778172B1 (ko) 2006-08-04 2006-08-04 티브이 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8172B1 true KR100778172B1 (ko) 2007-11-22

Family

ID=3908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623A KR100778172B1 (ko) 2006-08-04 2006-08-04 티브이 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1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368A (ko) * 2002-04-22 2003-10-30 주식회사 큐라이프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KR20040008545A (ko) * 2002-07-18 200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연언어를 이용한 정보 가전기기 제어 방법
KR20040025827A (ko) * 2002-09-20 2004-03-2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제어장치, 제어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20050068683A (ko) * 2003-12-30 2005-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텔레비젼 신호의 재생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98560A (ko) * 2004-04-07 2005-10-12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368A (ko) * 2002-04-22 2003-10-30 주식회사 큐라이프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KR20040008545A (ko) * 2002-07-18 200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연언어를 이용한 정보 가전기기 제어 방법
KR20040025827A (ko) * 2002-09-20 2004-03-2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제어장치, 제어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20050068683A (ko) * 2003-12-30 2005-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텔레비젼 신호의 재생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98560A (ko) * 2004-04-07 2005-10-12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7749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2007134896A (ja) 携帯端末装置及び情報送信方法
JP2010287951A (ja) コンテンツ視聴システム、コンテンツ視聴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視聴プログラム
KR20070024327A (ko)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및 인터넷을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방법
CN103379367A (zh) 一种基于智能手机自动切换电视广告的系统
KR100778172B1 (ko) 티브이 폰
CN2865158Y (zh) 机顶盒
JP3781744B2 (ja) 無線通信端末装置の音声出力方法、無線通信端末装置
KR20090015260A (ko) 다중 영상 표시 장치의 음향 출력 방법과 시스템 및 이에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CN100527801C (zh) 图像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和家用网络系统
KR100304879B1 (ko) 자동다이얼링을위한송수신장치
KR100610486B1 (ko) 원격 조정을 이용한 알람 제공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4088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단자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장치
JPS61296859A (ja) テレビ機能付電話装置
KR100368953B1 (ko) 착탈이동 가능한 가정용 무선 제어 시스템
KR101044064B1 (ko) 리모컨 겸용 인터넷 전화기를 일체로 구비한 셋탑박스장치 및 서비스 방법
KR100518364B1 (ko) 주방용 멀티미디어 통합처리 시스템
KR100383821B1 (ko) 가정용 광고 제어 시스템
KR20080065505A (ko) 쌍방향 통신 모듈을 이용한 휴대폰 착신 확인 방법
KR20040107813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0124810B1 (ko) 텔레비젼 수상기를 이용한 전화 착신 알림회로
KR20050027483A (ko) 다기능 정보 장치
KR100351722B1 (ko) 가정용 광고 방송 송수신 시스템
CN103873901A (zh) 信号处理方法、电子设备和移动电子设备
KR20050120509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리모콘 기능 학습 및 실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