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7813A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813A
KR20040107813A KR1020030038418A KR20030038418A KR20040107813A KR 20040107813 A KR20040107813 A KR 20040107813A KR 1020030038418 A KR1020030038418 A KR 1020030038418A KR 20030038418 A KR20030038418 A KR 20030038418A KR 20040107813 A KR20040107813 A KR 20040107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audio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3967B1 (ko
Inventor
김종부
김근도
Original Assignee
김종부
김근도
(주)프리샛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부, 김근도, (주)프리샛 코리아 filed Critical 김종부
Priority to KR1020030038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967B1/ko
Publication of KR20040107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5/00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 F16B25/10Screws performing an additional function to thread-forming, e.g. drill screws or self-piercing screws
    • F16B25/103Screws performing an additional function to thread-forming, e.g. drill screws or self-piercing screws by means of a drilling screw-point, i.e. with a cutting and material remov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5/00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 F16B25/0036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geometric details of the screw
    • F16B25/0084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geometric details of the screw characterised by geometric details of the t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6Specially-shaped heads
    • F16B35/065Specially-shaped heads with self-countersink-cutting means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소정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펑션키와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숫자키로 이루어진 키패드부와, 상기 키패드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신호에 응하여 현재의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모드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전체 시스템이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문자, 숫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화면상에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 잭 연결단자와, 마이크로 이루어진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부를 조작하여 입력되는 키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 선국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상기 선국된 주파수에 포함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각각의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어부의 주파수 선국신호에 응하여 선국된 주파수를 수신하여 직교주파수 분할다중 방식에 따라 복조하는 수신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복조된 신호로부터 채널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채널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된 채널데이터로부터 오디오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코딩한 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오디오 디코딩부; 및 상기 디코딩된 채널데이터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코딩한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표시부의 화면상에 출력하는 데이터 디코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MOBILE HAVING DIGITAL MULTI MEDIA BROADCASTING RECEIVING FUNCTION}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방식으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동영상을 비롯한 화면출력용 신호 및 오디오신호로 디코딩한 후 각각의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은 기존 음악청취를 위한 AM, FM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디지털 라디오 방송기술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술을 활용할 경우 CD(Compact Disc) 수준의 오디오 서비스는 물론 증권, 교통정보, 날씨 등 다양한 부가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방식은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무선랜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직교주파수분할다중화(OFDM: O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의 전송방식을 사용하게 되므로 고속 이동시에도 부가데이터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방식은 다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데이터를 서비스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들이 기존 이동통신망에 비해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방식은 MP3플레이어와 텔레매틱스 시스템 등으로의 응용 개발이 가능하므로, 많은 업체들이 수신모듈 및 세트 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 필요한 시스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업체들의 시스템 개발에 발맞추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방식으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동영상을 비롯한 화면출력용 신호 및 오디오신호로 디코딩한 후 각각의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방송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도중 전화가 걸려오면 출력되고 있는 방송신호를 중단하고,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방송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도중 전화가 걸려오면 사용자의 요청에 응하여 출력되고 있는 방송신호를 중단하고,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강제 방송출력모드가 선택된 경우 착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방송신호는 지속적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대신에 상대방에게 현재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구성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휴대용 단말기 110 : 통화처리신호수단
120 : 방송신호 처리수단 121 : 수신부
122 : 채널 디코딩부 123 : 오디오 디코딩부
124 : DATA 디코딩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정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펑션키와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숫자키로 이루어진 키패드부와, 상기 키패드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신호에 응하여 현재의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모드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전체 시스템이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문자, 숫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화면상에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 잭 연결단자와, 마이크로 이루어진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부를 조작하여 입력되는 키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 선국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상기 선국된 주파수에 포함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각각의 출력단자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어부의 주파수 선국신호에 응하여 선국된 주파수를 수신하여 직교주파수 분할다중 방식에 따라 복조하는 수신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복조된 신호로부터 채널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채널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된 채널데이터로부터 오디오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코딩한 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오디오 디코딩부; 및 상기 디코딩된 채널데이터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이외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코딩한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표시부(116)의 화면상에 출력하는 데이터 디코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디코딩부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상기 이어폰 잭 연결단자를 통해 연결된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디코딩부 및 데이터 디코딩부에 의해 처리된 오디오 신호 및 영상신호를 이어폰 잭 연결단자 및 표시부로 출력하는 도중 착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 및 영상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전체 시스템이 통화모드로 자동으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부는, 오디오 신호 및 영상 신호의 출력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키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제어 키버튼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오디오 디코딩부 및 데이터 디코딩부에 의해 처리된 오디오 신호 및 영상신호를 이어폰 잭 연결단자 및 표시부로 출력하는 도중 착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출력제어 키버튼에 의해 방송출력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방송출력모드를 유지시키는 한편, 상기 출력제어 키버튼에 의해 방송출력중지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 및 영상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전체 시스템이 통화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방송출력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대방 휴대용 단말기로 소정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방송출력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대방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표시부의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 디코딩부에 의해 처리된 동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100)는 통화라인을 형성시키기 위한 통화신호처리수단(110)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방식으로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송신호처리수단(120)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통화신호처리수단(110)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운용 프로그램 및 사용자에 의해 기록이 요구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11)와, 소정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펑션키와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숫자키로 이루어진 키패드부(112)와, 안테나를 통해 RF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부(113)와, 후술하는 제어부(115)의 제어에 응하여 무선신호 수신부(113)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14)와, 상기 키패드부(112)를 통해 입력되는 키신호에 응하여 현재의 모드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모드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전체 시스템이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상기 신호처리부(114)를 제어하는 제어부(115)와, 상기 제어부(115)의 제어에 응하여 문자, 숫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화면상에 출력하는 표시부(116)와, 상기 제어부(115)의 제어에 응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 잭 연결단자(117)와, 마이크(118)로 이루어진다.
한편, 방송신호 처리수단(120)은, 상기 통화신호 처리수단(110)에 포함된 제어부(115)와 표시부(116)를 공통으로 이용하게 되며, 이때 제어부(115)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부(112)를 조작하여 입력되는 키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 선국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상기 선국된 주파수에 포함된 동영상을 비롯한 화면출력용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116)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선국된 주파수에 포함된 오디오신호가 이어폰 잭 연결단자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더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송신호 처리수단(120)은 상기 통화신호 처리수단(110)에 구비된 구성요소와 달리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들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제어부(115)의 주파수 선국신호에 응하여 선국된 주파수를 수신하여 직교주파수 분할다중 방식에 따라 복조하는 수신부(121)와, 상기 제어부(115)의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복조된 신호로부터 채널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채널디코딩부(122)와, 상기 디코딩된 채널데이터로부터 오디오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코딩한 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오디오 디코딩부(123)와, 상기 디코딩된 채널데이터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코딩한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표시부(116)의 화면상에 출력하는 데이터 디코딩부(12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5)는 상기 오디오 디코딩부(123)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상기 이어폰 잭 연결단자(119)를 통해 연결된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5)는 오디오 디코딩부(123) 및 데이터 디코딩부(124)에 의해 처리된 오디오 신호 및 영상신호를 이어폰 잭 연결단자(117) 및 표시부(116)로 출력하는 도중 착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 및 영상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전체 시스템이 통화모드로 자동으로 절환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부(112)는 오디오 신호 및 영상 신호의 출력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키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제어 키버튼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115)는 오디오 디코딩부(123) 및 데이터 디코딩부(124)에 의해 처리된 오디오 신호 및 영상신호를 이어폰 잭 연결단자(117) 및 표시부(116)로 출력하는 도중 착신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출력제어 키버튼에 의해 방송출력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방송출력모드를 유지시키는 한편, 상기 출력제어 키버튼에 의해 방송출력중지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 및 영상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전체 시스템이 통화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5)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방송출력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대방 휴대용 단말기로 소정 안내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11)는 상기 데이터 디코딩부(124)에 의해 디코딩되어 신호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저장하고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데이터 디코딩부(124)에 의해 처리된 동영상 데이터 또는 정지영상 데이터, 문자 데이터 등을 출력하는 제 1 포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포트는 USB port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USB port를 통해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으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동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USB port 이외에 고속으로 디지털 동영상 처리를 위해 출력하는 제 2 포트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제 2 포트는 RS1394 port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15)는 사용자가 키패드부(112)를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모드를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모드를 선택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가 방송신호출력모드로 동작되도록 전체 시스템을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부(112)를 이용하여 채널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5)는 상기 채널에 해당되는 키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키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 선국신호를 상기 수신부(121)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수신부(121)는 240MHz대의 주파수를 수신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주파수 선국신호는 상기 주파수대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이다. 이때, 상기 주파수 선국에 따라 수신되는 신호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방식에 따라 처리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MPEG4 방식으로인코딩된 동영상 데이터가 소정 방식에 따라 합성, 처리된 신호이다.
그러면 상기 수신부(12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 중 상기 제어부(115)의 주파수 선국신호에 해당되는 채널의 신호만 수신받아 직교주파수분할다중방식에 따라 복조한 후 채널 디코딩부(122)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채널 디코딩부(122)는 상기 수신된 신호를 미리 설정된 포맷에 따라 채널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오디오 디코딩부(123) 및 데이터 디코딩부(124)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오디오 디코딩부(123) 및 데이터 디코딩부(124)는 해당 데이터 즉, 오디오 데이터 또는 화면 출력용 데이터(동영상, 정지영상, 그래픽 데이터, 문자 데이터 등을 포함)를 디코딩한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이때, 상기 오디오 디코딩부(123)에 의해 디코딩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MPEG 1 Layer 2 혹은 MPEG 2 Layer 2나 AC(Advanced Audio Coding)에 의해 엔코딩되거나, 또는 WMA(Widow Media Audio)에 의해 엔코딩되며, 상기 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디코딩부(123)에 의해 디코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오디오 디코딩부(123)에 의해 디코딩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오디오 신호는 이어폰 잭 연결단자(117)를 통해 이어폰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그리고, 데이터 디코딩부(124)는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표시부(116)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신호처리를 한다. 물론 휴대용 단말기(100)에 구비된 USB port 또는 RS1394 port로 동영상, 영상, 문자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USB port는 컴퓨터 시스템이 연결되어 수신된 동영상을 컴퓨터 시스템에 저장시켜 둔 후, 추후에 다시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상기 RS1394 port는 USB port로는 지원할 수 없는 고속의 디지털 동영상 처리를 수행하고자 할 때 그에 해당되는 처리시스템이 연결되는 포트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데이터 디코딩부(124)는 MEPG-4에 의해 압축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나, 상기 MEPG-4 이외에 다른 종류의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오디오 데이터는 MEPG-4 동영상과 맞물리는 AAC(Advanced Audio Coding)에 의해 엔코딩된 상태이다. 즉 상기 AAC는 현존하는 오디오 코딩 중에 압축 및 음질이 가장 좋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방송출력모드로 휴대용 단말기(100)가 동작되고 있는 도중 착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15)는 사용자에 의해 강제 방송출력모드로 선택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 강제 방송출력모드로 선택된 경우 상대방에게 현재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임을 알릴 수 있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15)는 상기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 전화번호가 표시부(116)의 화면상에 출력시켜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15)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강제 방송출력 중지모드가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 현재 방송출력모드를 통화모드로 전환시켜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는 오디오 신호 및 영상 신호의 출력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키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제어 키버튼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현재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방식으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디코딩한 후 각각의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여, 장소나 시간에 구애를 받지 않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방송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도중 전화가 걸려오면 출력되고 있는 방송신호를 중단하고,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자동 절환됨으로써, 사용자가 방송신호를 수신하면서 착신에 대한 염려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강제 방송출력모드가 선택된 경우 착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방송신호는 지속적으로 출력하는 되도록 하고, 대신에 상대방에게 현재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며, 발신자번호를 화면상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8)

  1. 소정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펑션키와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숫자키로 이루어진 키패드부와, 상기 키패드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신호에 응하여 현재의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모드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전체 시스템이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문자, 숫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화면상에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 잭 연결단자와, 마이크로 이루어진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부를 조작하여 입력되는 키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 선국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상기 선국된 주파수에 포함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각각의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어부의 주파수 선국신호에 응하여 선국된 주파수를 수신하여 직교주파수 분할다중 방식에 따라 복조하는 수신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복조된 신호로부터 채널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채널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된 채널데이터로부터 오디오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코딩한 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오디오 디코딩부; 및
    상기 디코딩된 채널데이터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이외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코딩한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표시부의 화면상에 출력하는 데이터 디코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디코딩부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상기 이어폰 잭 연결단자를 통해 연결된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디코딩부 및 데이터 디코딩부에 의해 처리된 오디오 신호 및 영상신호를 이어폰 잭 연결단자 및 표시부로 출력하는 도중 착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 및 영상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전체 시스템이 통화모드로 자동으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부는,
    오디오 신호 및 영상 신호의 출력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키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제어 키버튼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오디오 디코딩부 및 데이터 디코딩부에 의해 처리된 오디오 신호 및 영상신호를 이어폰 잭 연결단자 및 표시부로 출력하는 도중 착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출력제어 키버튼에 의해 방송출력모드가 선택되면 방송출력모드를 유지시키는 한편, 상기 출력제어 키버튼에 의해 방송출력중지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오디오 신호 및 영상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전체 시스템이 통화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방송출력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대방 휴대용 단말기로 소정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방송출력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대방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표시부의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디코딩부에 의해 처리된 동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디코딩부에 의해 처리된 동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30038418A 2003-06-13 2003-06-1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100563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418A KR100563967B1 (ko) 2003-06-13 2003-06-1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418A KR100563967B1 (ko) 2003-06-13 2003-06-1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813A true KR20040107813A (ko) 2004-12-23
KR100563967B1 KR100563967B1 (ko) 2006-03-29

Family

ID=3738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418A KR100563967B1 (ko) 2003-06-13 2003-06-1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9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2726A1 (fr) * 2005-08-24 2007-03-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ede de mesure, procede de determination les besoins en capacite de mesure et cellule de selection de services et terminal a cet effet
WO2007061176A1 (en) * 2005-11-28 2007-05-31 Ktf Technologies, Inc. Multiband-multi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ultitasking method
US8072416B2 (en) 2005-07-21 2011-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digit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1156496B (zh) * 2005-08-24 2012-08-29 华为技术有限公司 异频小区/异系统识别方法、对测量结果上报的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2416B2 (en) 2005-07-21 2011-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digit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using the same
WO2007022726A1 (fr) * 2005-08-24 2007-03-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ede de mesure, procede de determination les besoins en capacite de mesure et cellule de selection de services et terminal a cet effet
CN101156496B (zh) * 2005-08-24 2012-08-29 华为技术有限公司 异频小区/异系统识别方法、对测量结果上报的方法
WO2007061176A1 (en) * 2005-11-28 2007-05-31 Ktf Technologies, Inc. Multiband-multi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ultitasking method
US7774018B2 (en) 2005-11-28 2010-08-10 Kt Tech, Inc. Multiband-multi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ultitask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3967B1 (ko) 200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17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media audio signal for a voice call in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KR100735233B1 (ko) 개인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826156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오디오 채널의배경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CN100579260C (zh) 用于提供事故广播导航服务的事故广播导航系统及其方法
KR20060126125A (ko)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음성통화 방법
KR100600790B1 (ko) 듀얼 방송 출력 기능을 갖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장치
KR100563967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CN101094374A (zh) 用于提供电子节目指南信息的装置和方法
JP4520506B2 (ja) セルラ端末で放送チャネルを受信する低コストな方法
CN1925637B (zh) 移动通信终端的通话中传送mp3播放音乐的方法及装置
KR200411644Y1 (ko) Dmb 수신기를 구비한 일반전화기
CN101087455A (zh) 用于多任务处理的便携式终端及其方法
KR2006012730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부가서비스를 실행하는 방법
KR100325249B1 (ko) 차량용 티브이폰 시스템 및 티브이 방송 신호 출력방법
KR100732991B1 (ko) 긴급방송 자동시청기능이 구비된 디엠비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JP2007202010A (ja) 放送受信アプリケーションを含むマルチタスク処理方法およびマルチタスク処理装置
KR100603507B1 (ko) 부가 데이터 출력기능을 갖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KR10055441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JP2002101164A (ja)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を用いた音楽再生方法
JP2006005617A (ja) マルチメディアシステム
KR20040036466A (ko) 휴대용 전화기의 멀티비젼 표시장치 및 방법
KR101181765B1 (ko) 전화번호 인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20030025602A (ko) 동영상 수신 기능을 갖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CN101039436A (zh) 用数字广播接收器终端输出数字广播的方法
KR20040098338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신호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