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2234A -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2234A
KR20030082234A KR1020020020882A KR20020020882A KR20030082234A KR 20030082234 A KR20030082234 A KR 20030082234A KR 1020020020882 A KR1020020020882 A KR 1020020020882A KR 20020020882 A KR20020020882 A KR 20020020882A KR 20030082234 A KR20030082234 A KR 20030082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ontainer
main body
sealing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하
Original Assignee
박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하 filed Critical 박진하
Priority to KR1020020020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2234A/ko
Priority to TW091133339A priority patent/TW593928B/zh
Publication of KR20030082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223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용기 내의 압력이 폭발압력에 근접하게 상승되면 자동적으로 과압가스를 배출시켜 가스용기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폭발방지장치를 제공한다. 그 폭발방지장치는 가스레인지의 가버너밸브의 하부에 설치되며, 가버너밸브의 가스주입구와 연통하는 가스배출구와, 가스배출구와 연통하는 밀봉실을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본체에는 가스용기가 변형임계압력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될 때 가스배출구를 개방하여 과압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본체의 밀봉실에 탄성적으로 왕복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장치가 설치된다. 개폐장치는 상단에는 역원추형의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밀봉실에 왕복가능하게 설치되는 밀봉축과, 하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홈에 지지되고 상부에는 소정 형상의 홈이 형성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홈에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본체의 가스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시일편을 구비한 밀봉시일과 상기 밀봉축을 왕복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본체의 하단에는 개폐장치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본체의 하단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며, 가스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과압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구가 형성되는 캡이 나사결합된다.

Description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Hydrostat for portable gas range}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설치된 가스용기 내에 이상 압력이 발생되어 일차적으로 용기탈착식 안전장치에 의해 가스흐름이 차단되고 소화된 후에도 복사열 등에 의해 가스용기의 내압이 계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가스용기 내의 과압된 가스를 자동으로 배출시켜 가스용기가 폭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나 실내에서 간단한 음식을 준비하거나 요리를 하는 경우 휴대용 가스레인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휴대용 가스레인지는 그 휴대성과 편리함으로 인해 그 사용자의 수 및 사용범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안전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휴대용 가스레인지(1)는 착탈레버(2)의 상하작용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가스용기(3)가 가버너밸브(4)에 장착되도록 하는 용기가이드(5)를 구비하고 있다. 물론, 휴대용 가스레인지(1)에는 점화플러그(6), 점화 및 연소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레버(7), 실제로 화염을 제공하기 위한 연소구(8), 용기를 차폐하기 위한 커버(9) 등을 구비하고 있다. 사용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레버(2)를 아래로 내리면 용기가이드(5)가 앞으로 이동되어 가스용기(3)가 가버너밸브(4)에 장착되고, 착탈레버(2)를 위로 올리면 용기가이드(5)가 뒤로 이동되어 가스용기(3)가 가버너밸브(4)로부터 이탈되는 것이다. 한편, 가스용기(3)의 내압이 위험압력에 도달하면 용기탈착식 안전장치의 작동에 의해 착탈레버(2)가 위로 올라감으로써 용기가이드(5)가 뒤로 이동하여 가스용기(3)가 가버너밸브(4)로부터 이탈되어 용기의 과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용기(3)가 이탈된 상태에서 복사열 등에 의해 가스용기(3)의 내압이 변형압력에 도달하면 용기의 상부에 구비된 변형부(3a)가 팽창하는 방식으로 변형되어 가스용기(3)의 주입구가 가버너밸브(4)에 밀착된다. 또한, 유로차단식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경우에는 가스용기의 내압이 위험압력에 도달하면 유로차단식 안전장치의 작동에 의해 가버너밸브(4)의 유로를 차단하여 용기의 과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인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의하면, 사용 중에는 가스용기로부터 가스가 가스레인지로 공급되면, 가스가 기화되면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잠열에 의해 가스용기의 온도가 하강되므로 온도상승에 의한 폭발의 우려는 비교적 낮다.
그러나,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사용시 그 상부에 배치된 조리기구가 가열되어 그 하부로부터 발생되는 복사열이 가스용기에 전달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가스의 기화열로 인하여 빼앗기는 증발잠열보다 복사열이 클 경우에는 그 복사열과 증발잠열의 차이만큼의 열이 가스용기에 부가 누적되고, 온도상승에 따른 가스팽창으로가스용기의 내압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대한민국의 경우에는 가스용기의 내압이 5~7㎏/㎠ 범위로 되면 가스흐름이 자동 차단되어 소화될 수 있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대해서만 제조 및 판매허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에는 가스용기의 내압이 4~6㎏/㎠ 범위로 되면 가스흐름이 자동 차단되어 소화될 수 있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대해서만 제조 및 판매허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가스흐름의 차단을 위한 안전장치로서, 가스용기의 내압이 5~7㎏/㎠범위로 될 때 가스용기가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가버너 주입구로부터 이탈되어 가스흐름을 차단시키는 용기착탈식 안전장치가 있으며, 또한 가스용기의 내압이 4~6㎏/㎠ 범위로 될 때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가버너 내의 유로를 차단시켜 가스흐름을 차단시키는 유로차단식 안전장치가 있다. 용기착탈식은 주로 대한민국에서 적용하고 있으며, 유로차단식은 주로 일본에서 적용하고 있다.
이 같은 안전장치들은, 가스의 기화로 인해 소실되는 증발잠열보다 복사열이 크게 되는 경우, 복사열과 증발잠열의 차이만큼의 열이 가스용기에 가해져 용기 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가스의 팽창으로 인해 내압이 상승하게 되어 가스용기가 폭발하기 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이다.
예컨대,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사용되는 부탄가스용기의 정상압력은 2~3㎏/㎠ 범위이며, 가스용기의 1차 변형압력은 13㎏/㎠ 이고 2차 파열압력은 15㎏/㎠ 로 규정되어 있다. 즉, 가스용기는 내압이 15㎏/㎠ 가 될 때까지는 용기의 파열 또는 폭발이 일어나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어, 복사열 등으로 가스용기의 내압이 상승할 경우에 5~7㎏/㎠ 범위 내에서 조기에 가스흐름을 차단하여 소화될 수 있도록 하여 내압이 폭발임계범위까지 상승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가스용기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차단식 안전장치의 몸체(11)에는 가스용기(3)가 착탈되는 주입구(11a)와 버너에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챔버(12) 및 버너쪽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레버(14)가 마련되며, 이러한 주입구(11a), 챔버(12) 및 조절레버(14)를 연결하는 소정의 유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입구(11a)와 챔버(12) 사이의 유로상에는 가스의 압력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유로를 차단하는 가스차단수단(50)이 마련되며, 상기 챔버(12)에는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해 주는 압력조절수단(30)이 마련된다.
가스차단수단(50)은 유로상에 후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홀(51), 테이퍼홀(51)과 직선으로 연통되는 실린더홀(52), 테이퍼홀(51)과 실린더홀(52) 내에 설치되어 가스의 압력에 의한 후퇴되는 차단밸브(53) 및 차단밸브(53) 후방을 탄지하는 판스프링(54)으로 이루어지며, 판스프링(54)은 일단이 외부로 노출된 리턴밸브(55)에 연접되며, 리턴밸브(55)의 외측단 상부에는 상하로 슬라이드되면서 리턴밸브(55)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리턴레버(56)가 설치된다.
이때, 차단밸브(53)는 테이퍼홀(51) 전방에 위치되는 차단부(57)와 실린더홀(52)에 위치되는 작동부(58)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단부(57) 외주면에는후퇴시 테이퍼홀(51)을 밀폐시켜주는 오링이 끼워지며, 상기 작동부(58)의 외주면에는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이 끼워진다.
또한, 작동부(58) 전방의 실린더홀(52) 일측면에는 챔버(12)로 통하는 노즐공(59)이 마련된다.
압력조절수단(30)은 챔버(12) 상부에 밀폐되도록 설치된 러버판(31), 러버판(31)을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2), 러버판(31)과 연결된 니들홀더(33) 그리고 중앙부가 몸체(11)에 힌지결합되어 일단은 니들홀더(33)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노즐공(59)을 개폐하는 스톱퍼(34)가 마련된 니들밸브(35)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스레인지를 켜게 되면, 챔버(12)에 채워진 가스가 버너쪽으로 공급되어 챔버(12)의 가스압이 떨어지게 되므로, 상부의 러버판(31)이 스프링(32)에 의해 눌려지면서 몸체(11)에 힌지결합된 니들밸브(35)를 노즐공(59)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용기의 가스가 챔버(12)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챔버(12)로 유입되는 가스압이 일정치 이상이 되면, 상기 러버판(31)이 스프링(32)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부로 들려지면서 니들밸브(35)를 회동시켜 노즐공(59)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용기가 과열되어 가스압이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되면, 유로에 설치된 차단밸브(53)가 가스압에 의한 판스프링(54)의 탄성력을 이기고 후퇴되면서 테이퍼홀(51)을 막게 되므로 가스공급이 차단되어 버너의 불꽃이 소화된다.
이러한 유로차단식 안전장치의 경우 기계적 고장이 적다는 장점은 있으나 이 역시 일차 가스 공급이 차단된 후에 가스용기는 가스레인지 내부에 그대로 남아있어 용기 내의 액화가스가 기화하며 발생되는 기화열이 사라진 다음 복사열에 의한 급속한 압력 상승에 대한 마땅한 해결책은 없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위험수준에 도달한 압력 상태에서 가스공급을 차단하여 용기의 폭발을 막았던 경우도 많으나 안전장치가 작동한 후 잠시 후 가스용기가 폭발했다는 사고 사례는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이에 대한 하나의 방안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0065187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6은 그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안전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유로차단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가스레인지에서 가스배출수단(60)을 더 포함한다. 가스배출수단(60)은 유로와 연통되는 통공(61a)과 유입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61b)이 마련된 하우징(61), 그리고 통공(61a)에 밀착되도록 스프링(62)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안전봉(63)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61) 내부에 실린더홀(64)이 마련되고, 실린더홀(64) 일측에는 유로와 연결되는 통공(61a)이 마련되며, 반대방향에는 원판형 캡(65)이 나선 결합되고, 통공(61a)쪽 원주벽면에는 배출공(61b)이 마련되고, 배출공(61b)에는 외부로 연장된 노즐(66)이 연결된다.
안전봉(63)은 하우징의 실린더홀(64)에 끼워져 가스압에 의해 후퇴되는 피스톤부(63a)와 통공(61a)에 밀착되는 밀폐부(63b)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안전봉(63) 후방에는 캡(65) 내벽면에 지지되는 스프링(62)이 마련된다.
따라서, 가스가 챔버(12)에 소정치 이상의 압력으로 채워지면, 전술한 바와같이 압력조절수단(30)의 니들밸브(35)가 노즐공(59)을 차단하여 챔버(12)로 공급되는 가스를 일차적으로 차단하게 되고, 계속해서 용기가 과열되어 공급되는 가스압이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되면 판스프링(54)의 작용에 의해 2차적으로 차단되어 버너의 불꽃이 소화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가스레인지 주변에 발생된 화재 또는 가스레인지 및 가스용기에 축적된 잠열에 의해 용기 내의 가스압이 일정치 이상, 예를 들면 13∼15㎏/㎠이상으로 증가되면, 가스배출수단(60)의 안전봉(63)이 스프링(62)의 탄성력을 이기고 후퇴되면서 통공(61a)을 개방하여 용기 내의 가스가 노즐(6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가스용기의 압력이 낮추어져 지속적으로 과열되더라도 폭발되지는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같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61)은 테이퍼홀(51)에서 연장되어 통공(61a)을 구성하도록 하여 그 구성이 복잡하게 되며 몸체(11)의 측면으로 돌출된 구성이기에 몸체(11)의 부피가 커지고, 이에 따른 일반적인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구조적 변화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61)의 통공(61a)은 단순하게 가스의 통로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판스프링(54)에 의하여 작동되는 일차 안전장치와 기계적으로 연결된 구성을 가지고 있어, 하우징(61)을 제작하는 경우 스프링(58a)에 의하여 작동되는 차단부(57)의 작동을 위해 몸체(11)와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며, 몸체(11)와 하우징(61)의 조립공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또 상기 배출공(61b)은 가스레인지의 내부에 형성되도록 하여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가스배출을 위하여 연결관을 사용하여 저면이나 외부로 배출하여야하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노즐(66)을 구성해야 하므로 전체적인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스용기를 가스레인지에서 분리시키는 용기착탈식의 경우에는 외부에 기계적 장치가 장착되어야 하므로 완제품의 불량률이 높으며, 장기간 사용시 동작부가 부식되거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높아 용기의 압력이 위험치까지 상승하여도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외부장치를 작동시켜 가스용기를 분리하는 방식은 가스용기를 강제로 이탈시키는 방식을 취하므로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함은 물론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스용기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 상승하게 되어 일차적으로 용기탈착식 또는 유로차단식 안전장치에 의하여 유로가 차단되어 불꽃이 소화되지만, 가스용기의 가스배출이 차단된 순간부터 기화열로 인한 증발잠열은 없어지는 반면 가스용기는 불판과 같은 취사도구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을 전량 흡수하여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용기의 내압이 1차 용기변형압력을 초과하여 2차 용기파열압력에 도달되어 가스용기의 폭발이 초래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발행한 가스사고연감(2000년 발행본 제4장 185p)의 "제5절 이동식 부탄연소기(휴대용 가스레인지) 및 접합용기(부탄가스용기) 사고"의 "5-1 삼발이보다 넓은 과대조리기구 사용"에 의하면 '사고원인'으로는 "이동식 부탄연소기를 이용하면서 연소기의 삼발이보다 넓은 조리기구를 사용하여 연소기에 장착된 접합용기가 복사열을 받아 내부압력 상승으로 파열된 사고임.", 또한 '사고내용'을 보면 "이동식 부탄연소기를 이용하면서 고기를 구워 먹던 중 연소기의 과압차단장치가 작동하였고, 잠시후 '펑' 하는 폭발음과 함께 부탄캔이 파열된 사고임"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이는 기존의 안전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스용기가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즉, 기존의 안전장치가 작동하고 잠시후 '펑'하는 폭발음과 함께 가스용기가 파열되었다 함은, 가스흐름이 차단되어 기화열로 인한 증발잠열이 없어지는 반면 복사열 전량이 가스용기에 부가됨으로써 가스용기의 내압이 급격히 상승되어 용기의 변형압력을 지나 파열압력에 이르러 용기가 폭발하였음을 입증한다. 결국, 기존의 안전장치로는 가스용기의 폭발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휴대용 가스레인지에서 가스용기 폭발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안전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용기의 폭발을 차단할 수 있는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탈착식 안전장치의 작동에 의해 가스흐름이 일차적으로 차단된 후 가스용기에 복사열이 계속 인가되어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에도 가스용기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 구성 및 작동이 간단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폭발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스레인지에 가스용기가 착탈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가스용기가 이탈된 상태에서 변형되어 가버너밸브에 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유로차단식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폭발방지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폭발방지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폭발방지장치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의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스용기의 내부압력이 위험압력에 도달하면 가스용기를 자동으로 탈거시켜 가스흐름을 차단하여 소화시키는 용기탈착식 안전장치 또는 가스용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유로를 차단하여 소화시키는 유로차단식 안전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는 상기 가스레인지의 가버너밸브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버너밸브의 가스주입구와 연통하는 가스배출구와, 상기 가스배출구와 연통하는 밀봉실을 구비하는 본체; 상단에는 역원추형의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밀봉실에 왕복가능하게 설치되는 밀봉축; 하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홈에 지지되고 상부에는 소정 형상의 홈이 형성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홈에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본체의 가스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시일편을 구비한 밀봉시일; 상기 밀봉축을 왕복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스용기의 내부압력이 위험압력에 도달하면 가스용기를 자동으로 탈거시켜 가스흐름을 차단하여 소화시키는 용기탈착식 안전장치 또는 가스용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유로를 차단하여 소화시키는 유로차단식 안전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의 타측면에 의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는 상기 가스레인지의 가버너밸브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버너밸브의 가스주입구와 연통하는 가스배출구와, 상기 가스배출구와 연통하는 밀봉실을 구비하는 본체; 상단은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밀봉실에 왕복가능하게 설치되는 밀봉축; 하부에는 역원추형의 지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밀봉축의 상단에 지지되고 상부에는 소정 형상의 홈이 형성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홈에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본체의 가스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시일편을 구비한 밀봉시일; 상기 밀봉축을 왕복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는 가스레인지의 가버너밸브(4)의 하부에 설치되는 본체(70)를 구비한다. 본체(70)는 가스주입구(4a)와 연통하는 가스배출구(72)와 그 가스배출구(72)과 연통하는 밀봉실(74)을 구비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폭발방지장치의 본체(70)는 가스레인지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다리들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70)의 밀봉실(74)에는 그 내부에서 상하로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스배출구(7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보다 상세하게는, 가스용기에 변형임계압력 또는 그 이상의 압력이 형성되는 경우 가스배출구(72)을 개방하기 위한) 개폐장치(80)가 설치된다. 개폐장치(80)는 본체(70)의 밀봉실(74)에 왕복가능하게 설치되는 밀봉축(82)을 구비한다. 밀봉축(82)의 상단에는 원형의 지지판(84)이 구비된다. 지지판(84)에는 실제로 가스배출구(7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밀봉시일(86)이 부착되거나 장착된다. 또한, 밀봉축(82)에는 그 밀봉축을 왕복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88)가 외삽된다. 탄성부재(88)는 상단이 지지판(84)의 하부면에 접촉 고정되는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탄성부재(88)인 압축스프링의 탄성력 또는 팽창력은 일반적인 안전장치의 작동압력인 위험압력(예컨대, 5~7㎏/㎠ 또는 4~6㎏/㎠)보다는 크며 용기 변형압력 또는 용기 파열압력보다는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70)의 하단에는 그 본체(70)의 밀봉실(74)을 차폐함은 물론 개폐장치(80)의 탄성부재(84)의 타단을 지지하기 위한 캡(90)이 해제 가능하게 장착된다. 캡(90)은 본체(70)의 하부에 예컨대, 해제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며 탄성부재(88)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결합부(92)와 그 결합부(92)에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파지부(94)를 구비한다. 캡(90)의 중앙에는 축방향으로 가이드홈(96)이 관통 형성된다. 이 가이드홈(96)에는 개폐장치(80)의 밀봉축(82)의 하단이 삽입되어 왕복동이 안내된다. 또한, 가이드홈(96)의 측부에는 가스용기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홈(98)이 길이방향으로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본체(70)의 하부에는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위해 밀봉실(74)과 연통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기홈(70a)이 천공될 수 있다. 또한, 캡(90)의 외표면에는 배기홈(98)을 통한 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면과 캡(90)의 외표면이 이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레그(90a)들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폭발방지장치는 전술된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는 바, 제1실시예와의 구별을 위해 100 단위의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는 가스레인지의 가버너밸브(4)의 하부에 설치되는 본체(170)를 구비한다. 본체(170)는 가스주입구(4a)와 연통하는 가스배출구(172)과, 그 가스배출구(172)과 연통하는 밀봉실(174)을 구비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가스배출구(172)의 배출부(즉, 가스배출구(172)와 밀봉실(174)의 연접부)는 라운딩 처리된다. 물론, 폭발방지장치의 본체(170)는 가스레인지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다리들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체(170)의 하부에는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밀봉실(174)과 연통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기홈(도시되지 않음)이 천공될 수 있다.
본체(170)의 밀봉실(174)에는 그 내부에서 상하로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스배출구(17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장치(180)가 설치된다. 개폐장치(180)는 본체(170)의 밀봉실(174)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는 밀봉축(182)을 구비한다. 특히, 이 밀봉축(182)은 제1실시예의 밀봉축(82)에 비해 그 길이가 현저히 작게 형성된다. 밀봉축(182)의 상단에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고정편(184a)이돌출 형성되는 지지판(184)이 구비된다. 지지판(184)의 고정편(184a)에는 실제로 가스배출구(172)의 연접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밀봉시일(186)이 삽입 고정된다. 이 밀봉시일(186)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형성되며 고정편(184a)에 삽입되는 고정공(186a)을 구비한 링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봉축(182)의 하단부에는 그 밀봉축(182)을 왕복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188)의 상단부가 삽입된다. 탄성부재(188)의 상단은 밀봉축(182)의 외경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내경을 지니며, 지지판(184)의 하부면에 접촉 고정되는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시, 탄성부재(188)인 압축스프링의 탄성력 또는 팽창력은 일반적인 안전장치의 작동압력인 위험압력(예컨대, 5~7㎏/㎠ 또는 4~6㎏/㎠)보다는 크며, 용기 변형압력 또는 용기 파열압력 보다는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70)의 하단에는 그 본체(170)의 밀봉실(174)을 차폐함은 물론 개폐장치(180)의 탄성부재(184)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캡(190)이 해제 가능하게 장착된다. 캡(190)은 본체(170)의 하부에 예컨대, 해제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192)와 그 결합부(192)에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파지부(194)를 구비한다. 특히, 캡(190)의 결합부(192)에는 전술된 탄성부재(188)의 하단부가 고정되거나 외삽되는 고정편(192a)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캡(190)의 중앙에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홈(198)이 길이 방향으로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190)의 외표면에는 배기홈(198)이 지면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캡(190)의 외표면이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레그(190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는 전술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기본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지니는 바, 이들 실시예들과의 구별을 위해 200 단위의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제3실시에에 따른 폭발방지장치는 가스레인지의 가버너밸브(4)의 하부에 설치되는 본체(270)를 구비한다. 본체(270)는 가스주입구(4a)와 연통하는 가스배출구(272)과, 그 가스배출구(272)과 연통하는 밀봉실(274)을 구비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폭발방지장치의 본체(270)는 가스레인지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다리들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체(270)의 하부에는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밀봉실(274)과 연통하는 배기구(270a)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270)의 밀봉실(274)에는 그 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로 탄성이동되어 가스배출구(27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장치(280)가 설치된다. 개폐장치(280)는 본체(270)의 밀봉실(274)에 탄성적으로 왕복가능하게 설치되는 밀봉축(282)을 구비한다. 밀봉축(282)의 상단에는 원형의 지지판(284)이 구비된다. 지지판(284)에는 실제로 가스배출구(27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형성되는 밀봉시일(286)이 부착되거나 장착된다. 특히, 밀봉축(282)의 하단에는 그 밀봉축을 탄성적으로 왕복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288)가 구비된다. 탄성부재(288)는 곡면형으로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탄성부재(288)인 판스프링의 탄성력 또는 팽창력은 일반적인 안전장치의 작동압력인 위험압력(예컨대, 5~7㎏/㎠ 또는 4~6㎏/㎠)보다는 크며, 용기 변형압력 또는 용기 파열압력보다는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270)의 하단에는 그 본체(270)의 밀봉실(274)을 차폐함은 물론 개폐장치(280)의 탄성부재(284)를 지지하기 위한 캡(290)이 해제 가능하게 장착된다. 캡(290)은 본체(270)의 하부에 예컨대, 해제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며 탄성부재(288)가 탄성 가능하게 수용되는 고정홈(292a)이 형성된 결합부(292)와, 그 결합부(292)에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파지부(294)를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캡(290)에는 가스용기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캡(290)의 외표면에는 배기홈을 통한 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면과 캡(290)의 외표면이 이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레그(도시되지 않음)들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 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또한 전술된 3개의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 바, 전술된 실시예들과의 구별을 위해 300단위의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는 가스레인지의 가버너밸브(4)의 하부에 설치되는 본체(370)를 구비한다. 본체(370)는 가스주입구(4a)와 연통하는 가스배출구(372)과, 그 가스배출구(372)과 연통하는 밀봉실(374)을 구비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폭발방지장치의 본체(370)는 가스레인지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다리들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370)의 밀봉실(374)에는 그 내부에서 상하로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스배출구(37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보다 상세하게는, 가스용기에 변형임계압력 또는 그 이상의 압력이 형성되는 경우 가스배출구(372)을 개방하기 위한) 개폐장치(380)가 설치된다. 개폐장치(380)는 본체(370)의 밀봉실(374)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는 밀봉축(382)을 구비한다. 밀봉축(382)의 상부에는 지지판(384)이 구비된다. 또한, 밀봉축(382)의 상단에는 지지홈(382a)이 구비된다. 지지홈(382a)은 역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홈(382a)에는 실제로 가스배출구(37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밀봉시일(386)이 지지된다. 밀봉시일(386)은 실제로 지지홈(382a)에 지지되는 원추형의 지지편(386a)과, 그 지지편(386a)의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며 본체(370)의 가스배출구(37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형성되는 시일편(386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밀봉축(382)에는 그 밀봉축을 왕복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388)가 외삽된다. 탄성부재(388)는 상단이 지지판(384)의 하부면에 접촉되는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탄성부재(388)인 압축스프링의 탄성력 또는 팽창력은, 전술된 실시예들과 같이, 일반적인 안전장치의 작동압력인 위험압력(예컨대, 5~7㎏/㎠ 또는 4~6㎏/㎠)보다는 크며, 용기 변형압력 또는 용기 파열압력보다는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4실시예에 따른 폭발방지장치는 캡(390)을 본체(370)에 나사결합하는 경우 밀봉시일(386)이 가스배출구(372)를 완전하게 포위할 수 있다. 즉, 밀봉시일(386)은 하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소정 형태의 홈을 구비한 지지편(386a)과, 그 지지편(386a)의 홈에 안치되는 시일편(386b)으로 구성됨으로써, 시일편(386b)이 비틀림없이 가스배출구(372)에 정확하게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이 같은 구성에 의하면, 캡(390)을 본체(370)에 나사결합할 때, 밀봉축(382)은 회전운동과 상하직선운동을 동시에 하는 반면, 밀봉시일(386)은 상하직선운동만을 함으로써 그 시일편(386b)은 비틀림 변형없이 가스배출구(372)를 개폐하거나 그것과 접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밀봉축(382)의 상단에 역원추형의 지지홈(382a)을 구비하고, 지지편(386a)의 하부가 원추형으로 형성된다고 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밀봉축(382)의 상단을 원추형으로 형성하고, 지지편(386a)의 하단에 역원추형의 지지홈을 형성함으로써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체(370)의 하단에는 그 본체(370)의 밀봉실(374)을 차폐함은 물론 개폐장치(380)의 탄성부재(384)의 타단을 지지하기 위한 캡(390)이 해제 가능하게 장착된다. 캡(390)은 본체(370)의 하부에 예컨대, 해제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특히, 캡(390)의 내측에는 본체(370)의 밀봉실(374)과 연통하며, 가스용기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배기홈(398)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캡(390)의 하부표면에는 각각의배기홈(398)을 통한 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면과 캡의 외표면이 이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레그들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캡(90,190,290,390)은 본체(70,170,270,370)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캡을 풀거나 조여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캡에 구비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기홈(98,198,298,398)들이 하부를 향해 형성된 이유는 용기 내에 포함되는 부탄가스가 대기보다 비중이 크므로 외부로 신속하게 빠져나가게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하, 전술된 바와 같아 구성된 각각의 휴대용 가스레인지 폭발방지장치의 작동 및 그 작용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폭발방지장치는 가스레인지의 가버너밸브(4)의 하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가스레인지를 지지하는 다리로 겸용되어 구현된다. 정상적인 상태, 즉, 가스용기 내의 압력이 정상상태를 유지하면 폭발방지장치의 본체(70)의 가스배출구(72)은 개폐장치(80)의 밀봉축(82)에 의해 폐쇄상태를 유지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탄성부재(88)의 팽창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그 밀봉축(82)의 지지판(84) 상에 구비된 밀봉시일(86)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가스용기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가스주입구를 지나 연소기로 공급되어 연소됨으로써 정상적인 취사 또는 요리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정상상태에서, 예컨대 가스용기에 복사열이 과도하게 인가되어 가스용기 내의 압력이 위험압력에 이르거나 그보다 크게 되면, 일차적 안전장치인 유로차단식 안전장치가 작동되어 노즐공(59)에서 챔버(12)로 통하는 유로가 차단되어 소화된다. 그러나, 불판과 같은 취사도구로부터 계속적으로 복사열이 가스용기에 가해져 변형임계압력에 이르거나 또는 이를 초과하면, 가스압력이 가스배출구(72)를 폐쇄하고 있는 밀봉축(82)을 지지하는 탄성부재(88)의 팽창력보다 크게 되고, 탄성부재(88)가 압축됨과 동시에 밀봉축(82)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밀봉시일(86)이 가스배출구(72)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밀봉축(82)은 그 하단이 캡(90)의 가이드홈(96)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9에서는 기본적으로 휴대용 가스레인지가 유로차단식 안전장치로서 채택한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용기착탈식 안전장치를 채택한 경우도 유사하게 설명될 수 있다. 즉, 가스용기에 복사열이 과도하게 인가되어 가스용기 내의 압력이 위험압력에 이르거나 그보다 크게 되면, 일차적으로 용기탈착식 안전장치에 의해 가스용기는 가버너밸브(4)로부터 이탈되어 가스의 공급이 중단된다. 그러나, 불판과 같은 취사도구로부터 계속적으로 복사열이 가스용기에 가해져 변형압력에 이르거나 도는 이를 초과하면, 그 가스용기의 변형부(3a)가 팽창되어 변형되면서 다시 가버너밸브(4)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용기 내의 가스압이 높아져 가스압력이 가스배출구(72)를 폐쇄하고 있는 밀봉축(82)을 지지하는 탄성부재(88)의 팽창력보다 크게 되면, 탄성부재(88)가 압축됨과 동시에 밀봉축(82)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밀봉시일(86)이 가스배출구(72)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가스배출구(72)가 개방됨으로써, 과압가스는 그 배출구를 통해 빠져나와 본체(70)의 밀봉실(74)을 지나 캡(90)의 배기홈(9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배출되는 가스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본체(70)에 천공된 배기홈(70a)을 통해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캡(90)의 외표면에 배기홈(98)을 통한 가스의 배출시 레그(90a)에 의해 캡(90)의 외표면과 지면이 이격됨으로써 가스의 배출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용기의 과압가스가 배출되어 용기 내의 가스압이 정상상태로 복귀되면, 탄성부재(88)의 팽창력 또는 탄성력에 의해 밀봉축(82)이 상방으로 이동되어 밀봉시일(86)이 가스배출구(72)를 폐쇄하게 됨으로써, 더 이상의 가스의 누출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용기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면 자동적으로 개폐장치가 작동되어 용기 내의 과압가스를 배출시킴으로써, 용기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에 의하면,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정상상태에서, 가스용기에 복사열이 과도하게 인가되어 가스용기 내의 압력이 위험압력에 이르거나 그보다 크게 되면, 일차적으로 용기탈착식 안전장치에 의해 가스용기는 가버너밸브(4)로부터 이탈되어 가스의 공급이 중단된다. 그러나, 취사도구로부터 계속적으로 복사열이 가스용기에 가해져 변형압력에 이르거나 또는 이를 초과하면, 그 가스용기의 변형부(3a)가 팽창되어 변형되면서 다시 가버너밸브(4)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용기 내의 가스압이 높아져 가스배출구(172)를 폐쇄하고 있는 밀봉축(182)을 지지하는 탄성부재(188)의 팽창력보다 크게 되면, 탄성부재(188)가 압축됨과 동시에 밀봉축(182)이 하방으로 이동되고 밀봉시일(186)이 가스배출구(172)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가스배출구(172)가 개방됨으로써, 과압가스는 그 배출구를 통해 빠져나와 본체(170)의 밀봉실(174)을 지나 캡(190)의 배기홈(19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후, 용기의 과압가스가 배출되어 용기 내의 가스압이 정상상태로 복귀되면, 탄성부재(188)의 팽창력 또는 탄성력에 의해 밀봉축(182)이 상방으로 이동되어 밀봉시일(186)이 가스배출구(172)를 폐쇄하게 됨으로써, 더 이상의 가스의 누출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용기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면 자동적으로 개폐장치가 작동되어 용기 내의 과압가스를 배출시킴으로써, 용기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에 의하면, 제1실시예 및 2실시예에서와 같은 정상상태에서, 가스용기에 복사열이 과도하게 인가되어 가스용기 내의 압력이 위험압력에 이르거나 그보다 크게 되면, 일차적으로 용기탈착식 안전장치에 의해 가스용기는 가버너밸브(4)로부터 이탈되어 가스의 공급이 중단된다. 그러나, 취사도구로부터 계속적으로 복사열이 가스용기에 가해져 변형압력에 이르거나 또는 이를 초과하면, 그 가스용기의 변형부(3a)가 팽창되어 변형되면서 다시 가버너밸브(4)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용기내의 가스압이 높아져 가스배출구(272)를 폐쇄하고 있는 밀봉축(282)을 지지하는 탄성부재(288)의 팽창력보다 크게 되면, 탄성부재(288), 즉, 판스프링이 압축됨과 동시에 밀봉축(282)이 하방으로 이동되고 또한 밀봉시일(286)이 가스배출구(272)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가스배출구(272)가 개방됨으로써, 과압가스는 그 배출구를 통해빠져나와 본체(270)의 밀봉실(274)을 지나 그 밀봉실과 연통하는 본체(270)의 배기홈(270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후, 용기의 과압가스가 배출되어 용기 내의 가스압이 정상상태로 복귀되면, 탄성부재(288)의 탄성력에 의해 밀봉축(282)이 상방으로 이동되어 밀봉시일(286)이 가스배출구(272)를 폐쇄하게 됨으로써, 더 이상의 가스의 누출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용기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면 자동적으로 개폐장치가 작동되어 용기내의 과압가스를 배출시킴으로써, 용기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에 의하면, 제1실시예 내지 3실시예에서와 같은 정상상태에서, 가스용기에 복사열이 과도하게 인가되어 가스용기 내의 압력이 위험압력에 이르거나 그보다 크게 되면, 일차적으로 용기탈착식 안전장치에 의해 가스용기는 가버너밸브(4)로부터 이탈되어 가스의 공급이 중단된다. 그러나, 취사도구로부터 계속적으로 복사열이 가스용기에 가해져 변형압력에 이르거나 또는 이를 초과하면, 그 가스용기의 변형부(3a)가 팽창되어 변형되면서 다시 가버너밸브(4)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용기내의 가스압이 높아져 가스배출구(372)를 폐쇄하고 있는 밀봉축(382)을 지지하는 탄성부재(388)의 팽창력보다 크게 되면, 탄성부재(388)가 압축됨과 동시에 밀봉축(382)이 하방으로 이동되고 또한 밀봉시일(386)이 가스배출구(372)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가스배출구(372)가 개방됨으로써, 과압가스는 그 배출구를 통해 빠져나와 밀봉실(374)을 지나 캡(39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배기홈(398)을 통해외부로 배출된다. 이후, 용기의 과압가스가 배출되어 용기 내의 가스압이 정상상태로 복귀되면, 탄성부재(388)의 팽창력 또는 탄성력에 의해 밀봉축(382)이 상방으로 이동되어 밀봉시일(386)이 가스배출구(372)를 폐쇄하게 됨으로써, 더 이상의 가스의 누출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용기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면 자동적으로 개폐장치가 작동되어 용기내의 과압가스를 배출시킴으로써, 용기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가스레인지의 사용중 취사도구에 의해 복사열이 가스용기에 계속적으로 가해져 용기내의 압력이 계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도 과압가스를 자동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가스용기의 폭발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4실시예에 따른 폭발방지장치에서는, 탄성부재(388)의 탄성력 조절시 또는 밀봉축(382)의 설치시 밀봉시일(386)의 시일편(386b)이 상하로 이동됨으로써 역시 평탄면을 이루는 가스배출구(372)에 비틀림이나 변형없이 정확하게 접촉될 수 있으므로, 개폐장치의 비작동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서는 휴대용 가스레인지가 용기착탈식 안전장치를 채택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유로차단 안전장치를 채택한 경우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에 의하면, 가스용기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되면 자동적으로 개폐장치가 작동되어 가스를 배출시킴으로써 가스용기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 및 제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폭발방지장치를 기존의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하여 적용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폭발방지장치를 가스레인지의 다리로 구현할 수 있어 편리성 및 간편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가스용기의 내부압력이 위험압력에 도달하면 가스용기를 자동으로 탈거시켜 가스흐름을 차단하여 소화시키는 용기탈착식 안전장치 또는 가스용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유로를 차단하여 소화시키는 유로차단식 안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레인지의 가버너밸브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버너밸브의 가스주입구와 연통하는 가스배출구와, 상기 가스배출구와 연통하는 밀봉실을 구비하는 본체;
    상단에는 역원추형의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밀봉실에 왕복가능하게 설치되는 밀봉축;
    하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홈에 지지되고 상부에는 소정 형상의 홈이 형성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홈에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본체의 가스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시일편을 구비한 밀봉시일;
    상기 밀봉축을 왕복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캡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2. 가스용기의 내부압력이 위험압력에 도달하면 가스용기를 자동으로 탈거시켜 가스흐름을 차단하여 소화시키는 용기탈착식 안전장치 또는 가스용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유로를 차단하여 소화시키는 유로차단식 안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레인지의 가버너밸브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버너밸브의 가스주입구와 연통하는 가스배출구와, 상기 가스배출구와 연통하는 밀봉실을 구비하는 본체;
    상단은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밀봉실에 왕복가능하게 설치되는 밀봉축;
    하부에는 역원추형의 지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밀봉축의 상단에 지지되고 상부에는 소정 형상의 홈이 형성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홈에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본체의 가스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시일편을 구비한 밀봉시일;
    상기 밀봉축을 왕복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캡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단이 상기 지지판의 하부면에 접촉 고정되는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가스용기 파열압력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밀봉축의 하단에 고정되는 곡면형의 판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해제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그 내벽에는 가스용기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기홈들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하부면에는 상기 배기홈이 지면 또는 케이스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레그들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가스레인지를 지지하는 다리들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가스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밀봉실과 연통하는 배기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KR1020020020882A 2002-04-17 2002-04-17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KR2003008223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882A KR20030082234A (ko) 2002-04-17 2002-04-17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TW091133339A TW593928B (en) 2002-04-17 2002-11-14 Hydrostat for portable gas ra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882A KR20030082234A (ko) 2002-04-17 2002-04-17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234A true KR20030082234A (ko) 2003-10-22

Family

ID=32379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882A KR20030082234A (ko) 2002-04-17 2002-04-17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0082234A (ko)
TW (1) TW59392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368B1 (ko) * 2013-12-12 2014-04-04 유상근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 방지장치
KR101402859B1 (ko) * 2014-02-28 2014-06-03 이영준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 방지를 위한 유로차단 및 복귀장치를 갖춘 안전조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64376B (zh) * 2018-05-31 2019-07-01 上旺股份有限公司 卡式瓦斯爐之安全裝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5677U (ko) * 1975-12-10 1977-07-18
JPS5345982U (ko) * 1976-09-22 1978-04-19
JPS5385366U (ko) * 1976-12-14 1978-07-14
KR20000021335U (ko) * 1999-05-26 2000-12-26 홍승덕 휴대용 가스렌지의 가스조정기 안전밸브
KR20030042852A (ko) * 2001-11-24 2003-06-02 박진하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5677U (ko) * 1975-12-10 1977-07-18
JPS5345982U (ko) * 1976-09-22 1978-04-19
JPS5385366U (ko) * 1976-12-14 1978-07-14
KR20000021335U (ko) * 1999-05-26 2000-12-26 홍승덕 휴대용 가스렌지의 가스조정기 안전밸브
KR20030042852A (ko) * 2001-11-24 2003-06-02 박진하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368B1 (ko) * 2013-12-12 2014-04-04 유상근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 방지장치
WO2015088220A1 (ko) * 2013-12-12 2015-06-18 효성하나로 주식회사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 방지장치
CN105190183A (zh) * 2013-12-12 2015-12-23 晓星好乐株式会社 便携式燃气灶的防爆装置
JP2016516170A (ja) * 2013-12-12 2016-06-02 ヒョソン ハナロ カンパニー リミティッド 携帯用ガスレンジの爆発防止装置
KR101402859B1 (ko) * 2014-02-28 2014-06-03 이영준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 방지를 위한 유로차단 및 복귀장치를 갖춘 안전조정기
WO2015129982A1 (ko) * 2014-02-28 2015-09-03 주식회사 다복코리아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 방지를 위한 유로차단 및 복귀장치를 갖춘 안전조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305701A (en) 2003-11-01
TW593928B (en) 2004-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8466B2 (ja) ガス容器の安全バルブ
KR20160041368A (ko) 가스연료용기의 안전밸브장치
JP3787704B2 (ja) 携帯用ガスコンロの安全装置及びその安全装置の作動方法
JP3739359B2 (ja) 携帯用ガスコンロの爆発防止装置
KR101796963B1 (ko) 가스통의 가스 배출 방지용 안전장치
KR101572626B1 (ko) 가스용기 안전장치
KR20150062377A (ko) 가스통의 가스 배출 방지용 안전장치
KR20030082234A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KR20160011134A (ko) 가스용기 안전장치
KR100392794B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KR200485013Y1 (ko) 가스용기 안전장치
KR100431590B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KR100399766B1 (ko)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장치
KR200476903Y1 (ko) 과압력에 의한 폭발방지용 가스용기
KR200485396Y1 (ko) 가스용기 안전장치
KR100585213B1 (ko) 압력변화에 따른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및 이를이용한 제어방법
KR100642290B1 (ko) 점화트리거가 내장된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용자동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AU2002249665A1 (en) Hydrostat for portable gas range
KR200336213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KR200352166Y1 (ko) 압력변화에 따른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KR101572622B1 (ko) 가스용기 안전장치
KR100609021B1 (ko) 스위치 접촉에 의한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용자동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200353655Y1 (ko) 점화트리거가 내장된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용자동점화장치
KR100305745B1 (ko) 과압차단기능을갖는휴대용가스레인지의착화장치
KR20160011135A (ko) 가스용기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