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5745B1 - 과압차단기능을갖는휴대용가스레인지의착화장치 - Google Patents

과압차단기능을갖는휴대용가스레인지의착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5745B1
KR100305745B1 KR1019980042738A KR19980042738A KR100305745B1 KR 100305745 B1 KR100305745 B1 KR 100305745B1 KR 1019980042738 A KR1019980042738 A KR 1019980042738A KR 19980042738 A KR19980042738 A KR 19980042738A KR 100305745 B1 KR100305745 B1 KR 100305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magnet
valve
burner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5594A (ko
Inventor
손재원
Original Assignee
한인철
철인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인철, 철인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인철
Priority to KR1019980042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5745B1/ko
Publication of KR20000025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5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05Regulating fuel supply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압 차단기능을 갖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착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부주의나 바람의 영향등으로 버너(20)의 불꽃이 소화된 후 가스가 계속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버너(20)의 일측에 위치되어 불꽃의 점화여부를 감지하는 열전대(10)와, 상기 열전대(10)로 부터 발생되는 열기전력으로 자력을 발생하여 가스의 통로를 차단토록 형성되며, 몸체 전면부에는 이동로드(31)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로드(31)의 단부에는 금속편(32)과 마감부재(33)가 형성된 마그네트 차단변(30)과, 상기 마그네트 차단변(30)의 이동로드(31) 외측에 위치되어 선택적으로 이동로드(31)를 완충 및 복원시키는 제 1 스프링(40)과, 상기 마그네트 차단변(30)을 내측에 수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는 공간부(54)가 형성되고, 몸체 일측과 타측으로는 가스유입홈(52)과 가스배출홈(51)이 구비되며, 상기 가스배출홈(51)의 타측으로는 제어홈(53)이 형성된 마그네트 차단변 하우징(50)과, 상기 마그네트 차단변 하우징(50)의 타측부에 형성된 제어홈(53)에 위치되어, 선택적으로 가스배출홈(51)의 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몸체 후측에는 걸림판(61)이 형성되고, 몸체 외측으로는 제 2 스프링(62)이 구비된 푸쉬핀(60)과, 상기 마그네트 차단변 하우징(50)의 상부에 위치하고, 몸체 후측으로는 가스용기(5)를 접속하는 어댑터(71)가 구비된 거버너밸브(70)와, 상기 거버너밸브(70)의 몸체 타측부에 설치되어 푸쉬핀(60)의 후측에 위치하며, 선택적으로 푸쉬핀(60)을 전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가압핀(80)과, 상기 거버너밸브(70)의 전면부에 위치되어 회전에 의해 가압핀(80)이 푸쉬핀(60)을 전면으로 이동시켜 가스가 공급되게 하고, 압전기(9)를 가압하여 점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몸체 후측 중앙부로는 돌출편(91)이 형성되고, 외측부로는 가압편(92)이 형성된 가스조절노브(90)로 구성되므로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전면 일측에 형성된 가스조절노브(90)를 회전시켜 가스를 공급 및 점화시킨 후 바람등에 의해 버너(20)가 소화되면, 열전대(10)의 열기전력이 약화되어, 마그네트 차단변(30)에 흡착된 금속편(32)이 이탈되면서 제 1 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마감부재(33)는 마그네트 차단변 하우징(50)의 가스배출홈(51)을 막아 버너(20)로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시키므로 가스유츌로 인한 가스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과압 차단기능을 갖는 과압 차단기능을 갖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착화장치
본 발명은 과압 차단기능을 갖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착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가스용기 내에서 기준치 이상의 과압이 발생되었을 때, 가스의 흐름을 자동으로 차단시켜 가스의 유출방지와 가스용기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 가스기구는 도시가스 및 대형가스용기에 담겨진 액화천연스를 연료로 하는 고정식의 가정용 가스레인지와, 주로 야외용으로 소형의 부탄 가스용기를 일회용으로 착탈시켜 사용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로 구분되어 있다.
가정용 가스레인지의 경우 조리중 국물이 넘치거나 바람에 의해 화여이 소화된 상태에서도 계속 가스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소화상태 가스차단수단으로, 일본 공개특허 소52-96163호에서 아려진 바와 같이 열기전력에 의해 작동되는 마그네트차단밸브가 설치되어 있기도 한다.
이 마그네트차단밸브는 버너헤드 주변에 설치된 열전대가 착화에 의해 열을 감지할 경우 그 열기전력으로 가스통로를 밀폐하고 있던 마그네트차단밸브가 개방되어 가스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조리중 국물이 넘치거나 바람등의 이상 원인으로 소화됐을 경우 열전대로부터 열기전력이 상실되어 마그네트차단밸브가 복귀되며 가스공급을 차단시키는 소화상태에서 가스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가정용 가스레인지는 비교적 저압인 도시가스 및 가스용기의 안전성이 높은 액화천연가스(LPG)를 그 연료로 사용하므로써, 과압에 의한 용기 폭발사고 염려가 거의 없어 과압방지수단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한편, 마그네트차단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가정용 가스레인지는 처음 착화를 위한 구조를 반드시 필요로 하게 된다.
즉, 착화전 상태는 열전대에 의해 열기전력이 발생되기 이전에 해당되므로 마그네트차단밸브는 열기전력 상실로 밸브 본체 내에서 가스통로를 차단하고 있게된다.
그러므로, 초기 착화시에는 이 마그네트차단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메인 가스통로와 별개로 가스조절노브의 착화위치에서 개방되는 별도의 파이롯트버너를 구비하여, 이 파이롯트버너를 통해 착화용 가스가 버너로 공급된 후 스파크 발생으로 형성된 착화염에 의해 열전대가 가열된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다음 열전대에서 감지된 열기전력에 의해 마그네트차단밸브가 개방되어 메인 가스통로를 개방하는 것이다.
한편, 일회용 가스용기를 주연소원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는 비교적 부피가 작아 휴대하기가 용이하고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휴대용 조리기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연료로서 부탄가스가 채워지고 얇은 금속판으로 크기가 작은 원통형 일회용 가스용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 휴대용 가스레인지는, 소정의 폭파 크기를 갖는 본체의 일측으로는 가스용기 수납부를 구비하고, 이 가스용기를 장착하고 있는 정압밸브(가버너)를 거쳐 가스가 공급되어 착화에 의해 연소열을 발열시키는 버너헤드와, 상기 버너헤드로의 연료공급량 조절과 소화를 가버너의 조절로 이루어지도록 본체의 외부로 설치된 노브와, 이 노브의 조작으로 정압밸브를 개방시킬 때 착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점화 장치로 스파크발생기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상부에는 삼발이가 구비된 덮개가 덮어지는데 통상 이 덮개는 삼발이의 노출위치를 보관시와 휴대시에 따라 부피를 최소화 하기 위해 앞뒤로 그 위치를 전환시켜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덮개가 역으로 설치되어 삼발이가 본체 내부로 위치된 보관상태에서 버너헤드 위로 조리용기를 얹혀 놓은 상태로 조리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 경우 화염이 바로 덮개 상부와 조리용기 저면부를 따라 이동되므로 본체 일측에 수납된 가스용기가 가열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 과정에서 가스용기내의 가열로 고압가스가 공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휴대용 가스레인지 특성을 감안하여 안전성을 위해 과압 차단장치가 구비된 것도 제안된 바 있다.
종래,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설치된 과압 차단장치로는 정압밸브(가버너) 내에서 과압이 발생되었을 때, 그 가스압력으로 과압핀이 이동되어 가스용기 탈착용 협지레버 및 가스용기를 직접 후퇴시키는 방법으로 과압이 발생된 가스를 차단시키는 기구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과압 차단기능을 갖는 가스레인지의 착화장치는 가스의 압력으로 괴압핀이 후퇴되는 기구적 구조를 이용하므로써, 과압핀의 조립상태에 따른 마찰력이나 끼워마춤 공차에 따라 과압핀의 이동력에 차이가 발생된다.
따라서, 협지레버 및 가스용기를 직접 복귀시킬 만한 힘이 부족하여 안전장치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밸브내의 압력 차이에 따라 그 작동 능력 차이가 발생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그 작동이 원할하지 못하여 오히려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과압 차단기능을 갖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착화장치는 통상적으로 작동압력의 산포가 크고, 초기 작동 압력이 일정치 않은 문제로 인하여 가스사고의 원인이 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상기한 가정용 가스레인지에 초기 착화를 위한 수단으로 별도의 파이롯트버너와 같은 착화용 버너를 구비해야 하므로 그 장치가 복잡하여 오동작 및 오동작에 의한 위험의 염려가 매우 크다.
따라서, 소령의 가스용기가 본체 내에 수납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특성상 착화수단으로써 파이롯트버너 등을 구비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용기내에서 기준치 이상의 과압이 발생하였을 때, 가스의 흐름을 자동으로 차단시켜 가스의 유출방지와 가스용기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과압 차단기능을 갖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착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품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과압 차단기능을 갖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착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조에 의해 초기 착화시 메인 가스통로를 개방시킬 수 있어 제품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착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본 발명인 착화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하여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착화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3은 과압 차단수단의 내부형상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4는 과압 차단구조에 의해 열기전력을 차단시키는 마그네트차단밸브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가스조절노브의 회전조작에 의해 연동 작업되는 가압부재와 푸쉬핀의 설치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열전대 20 - 마그네트차단밸브
30 - 밸브복귀스프링 40 - 밸브하우징
50 - 푸쉬핀 60 - 다이어후램
70 - 몸체부 80 - 가스차단부재
90 - 마이크로 스위치 100 - 휴대용 가스레인지 본체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가스용기(5)로부터 가스조절노브(65)의 개폐 조절로 가스가 공급되고, 압전기(9)의 가압으로 버너(8) 주위에서 스파크가 발생되어 착화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본체(100)와;
휴대용 가스레인지 본체(100)의 내부에 가스조절노브(65)와 가스용기(5) 사이에 설치되어, 가스가 다이어후램(60)에 의해 정압상태로 통과구멍(79)을 통해 가스출입홀(73)을 거쳐 버너(8)로 공급되도록 하는 정압밸브(70)와;
이 휴대용 가스레인지 본체(100)의 버너(8) 일측에 위치되어 화염의 연소열에 의해 열기전력을 발생기켜 불꽃의 점화여부를 감지하는 열전대(10)와;
상기 열전대(10)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전력으로 자력을 발생하여 가스통로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키고, 소화시에는 열기전력 상실로 밸브복귀스프링(30)의 탄력에 의해 이동로드(21)의 단부에 고정된 밀폐부재(23)가 가스통로를 개방시키게 하는 마그네트차단밸브(20);
이 마그네트차단밸브(20)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는 공간부(24)가 형성되는 밸브하우징(4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40)은 공간부(24)를 연통하는 가스유입홀(42)과 가스배출홀(41)이 뚫어져 마그네트차단밸브(20)의 밀폐부재(23)로 그 가스통로를 밀폐 단속토록 하고, 이 가스배출홀(41)에는 슬라이드홀(43)이 뚫어져 스프링(52)에 의해 탄력 설치된 푸쉬핀(50)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가스조절노브(65)의 배면부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편(54)이 회전될 때 가압부재(53)이 푸쉬핀(50)을 가압시켜 이동로드(21)의 단부에 고정된 밀폐부재(23)를 강제 후퇴시켜 가스유입홀(42)과 가스배출홀(41)을 통해 가스가 공급되게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가스용기(5)의 사용중 이상압력이 발생하면, 가스차단부재(80)의 전면에 형성된 압지로드(81)가 과압에 의해서 몸체부(70)내에서 후측으로 이동되면서, 마이크로 스위치(90)의 접점이 단락되어, 마그네트차단밸브(2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끊어 가스가 버너(8)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초기 착화시에는 가스조절노브(65)의 회전 조작으로 마그네트차단밸브(20)의 밀폐부재(23)를 기구적으로 강제 후퇴시키는 것에 보다 간단하게 가스통로를 개방시켜 초기 점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본 발명인 착화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하여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초기 점화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측면도이다.
도 3은 과압 차단구조를 요부확대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가스레인지 본체(100)는 속이 빈 함체형상으로 내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가스용기(5)가 수납되어 정압밸브(70)와 접속된 상태로 가스조절 노브(65)의 개폐 조절로 가스가 공급되어, 버너(8)에서 연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처음 착화를 위해서는 가스조절노브(65)의 개폐조작과 동시에 그 배면에 일체로 성형된 가압편(55)이 압전기(9)를 강제 가압시켜 버너(8) 주위에서 스파크가 발생되어 착화된다.
정압밸브(70)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본체(100)의 내부에 가스조절노브(65)와 가스용기(5)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로 공급된 가스는 내부 압력에 의해 유동성을 갖는 다이어후램(60)에 의해 정압상태를 유지시킨 상태로 통과구멍(79)을 통해 가스출입홀(73)을 거쳐 버너(8)로 공급되도록 하는 1차 정압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버너(8) 일측에는 열전대(10)가 위치되어 화염의 연소열에 의해 열기전력을 발생시켜 불꽃의 점화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 열전대(10)는 열 감지에 의해 열기전력이 발생되어 마그네트차단밸브(20)의 조작에 필요한 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마그네트차단밸브(20)는 몸체 전면부에 이동로드(21)가 구비되고, 이동로드(21)의 단부에는 금속편(22)과 밀폐부재(23)가 고정 부착된다.
따라서, 열전대(10)의 열감지로 열기전력이 발생되어 마그네트차단밸브(20)에 전달되면, 전자력이 형성되어 마그네트차단밸브(20)의 이동로드(21)와 단부에는 취부된 금속편(22) 및 밀폐부재(23)가 몸체쪽으로 당겨져 밸브하우징(40)에 형성된 가스유입홀(42)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밸브하우징(40)에 형성된 슬라이드홀(43)에는 최초 착화시 가스배출홀(41)과 가스유입홀(42)을 강제 개방시키기 위하여 푸쉬핀(5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조립된다.
이 푸쉬핀(50)은 후측에는 걸림판(51)이 형성되고, 밸브하우징(40)의 외측단부와 걸림판(51) 사이에는 스프링(52)이 탄력 설치된다.
따라서, 처음 착화를 위해 가스조절노브(65)를 회전시킬 때 정압밸브(70) 내의 가스통로가 개방됨과 동시에 가스조절노브(65)의 배면부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편(54)이 함께 회전될 때 그 회전력이 걸림판(51)에 접촉되어 있던 가압부재(53)를 통해 푸쉬핀(50)에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 가압부재(53)의 형상은 비틀림 코일스프링 형식으로 형성되어 회동하면서 푸쉬핀(50)을 전면으로 밀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 하측단부에는 가압부(53a)의 타측에는 회동부(53b)가 역시 수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가스조절노브(65)의 몸체 후측에 각각 돌출된 돌출편(54)은 가압부재(53)를 작동시켜 푸쉬핀(50)을 전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버너(8)로 가스를 공급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돌출편(54)과 어긋난 위치에 돌출된 가압편(53)은 그 회전궤적에 압전기(9)에 접촉되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 차단변 하우징(50)의 상부에는 몸체 후측으로는 가스용기(5)를 접속하는 어댑터(71)가 구비된 거버너밸브(70)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조절노브(65)의 회전에 의해 먼저 돌출편(54)이 가압부재(53)를 회동시켜 푸쉬핀(50)을 전면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가스가 버너로 공급된 후, 가압편(53)이 압전기(9)를 가압하여 스파크를 발생, 착화가 이루어 지는 것이다.
상기 푸쉬핀(50)를 탄력 설치하는 스프링(52)은 가스조절노브(65)의 회전에 의해 푸쉬핀(50)이 전면으로 이동되면서 가스가 공급되어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한후, 사용자가 가스조절노브(65)에서 손을 떼면 상기 스프링(52)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푸쉬핀(60)을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푸쉬핀(50)을 가압, 이동시키는 결과로 이동로드(21)의 단부에 고정된 밀폐부재(23)를 강제 후퇴시켜 가스유입홀(42)과 가스배출홀(41)을 개방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이 가스유입홀(42)은 정압밸브(70)의 가스출입홀(73)과 연통되어 정압밸브(70)에서 1차 정압 처리된 가스가 가스유입홀(42)를 통해 강제 개방된 가스배출홀(41)을 거쳐 버너(8)로 가스를 공급시키는 것이며 착화에 의해 점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걸림판(51)에 탄력 설치되는 스프링(52)은 사용자가 가스조절노브(65)를 회전시켜 가스통로를 강제 개방하는 것에 의해 버너(8)에 점화를 한 후 가스조절노브(65)에서 손을 떼었을 경우, 다시 푸쉬핀(50)을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정압밸브(70)의 일측에는 가스용기(5)가 접속하기 용이하고, 접속상태에서 가스용기(5)를 개방시킨 후 인입되는 가스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유도하는 어댑터(61)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정압기능을 갖는 다이어후램(60)이 설치된다.
다이어후램(60)은 정압밸브(70)의 내부로 유입된 가스가 설정압 이상으로 고압이 발생될 경우 그 압력에 의해 유동되어 통과구멍(79)을 거쳐 가스출입홀(73)을 통해 이동되는 가스량을 줄이는 등, 압력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통로 개방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정압밸브(70)의 내부에는 가스용기(5)의 과열 등으로 과압이 발생된 가스가 버너(8)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차단부재(80)가 설치 된다.
이 정압밸브(70)의 내부는 관통된 상태로 일측에 단턱부(72)가 형성된 가스 출입홀(73)이 연통되게 트여진다.
상기 가스차단부재(80)는 일측으로 압지로드(810)가 길게 연장되어 정압밸브(70)의 가이드구멍(78)에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어 몸체 외측으로까지 연장되고, 그 타측에는 걸림턱(82)이 형성되어 단턱부(72)에 걸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82)의 후측으로는 스프링(83)이 고정구(84) 사이에서 탄력 설치되고, 고정구(84)는 외주면에 나선부(84A)가 형성되어 정압밸브(70)에 파여진 나사구멍과 나사 체결되는 것에 의해 가스차단부재(80)를 탄력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스차단부재(80)의 일측에 길게 연장되는 압지로드(81)의 끝단에는 과압의 가스유입시 그 가스의 압력에 의해 후측으로 이동되면서 마이크로 스위치(90)를 단락 시키게 된다.
이 마이크로 스위치(90)는 마그네트차단밸브(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점상태에서는 열전대(10)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전력이 마그네트차단밸브(20)에 정상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압밸브(70) 내에 과열로 인한 고압이 발생될 때는 가스차단부재(80)가 스프링(83)의 탄성력을 누르고 이동되는 것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90)가 단락되어 마그네트차단밸브(20)로 전류가 이동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걸림턱(82)은 정압밸브(70)의 내측 수납공간(71)에 형성된 단턱부(72)와 걸려지는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84)는 가스차단분재(80)를 후측에서 지지하는 스프링(83)의 탄력을 조절하여, 가스용기(5)의 과열 등으로 인해 고압이 내부에서 발생될 때 가스차단부재(80)가 이동되어 열기전력 차단으로 가스공급 밀폐를 위한 작동 시기 및 허용안전 압력기준 등의 설정 및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는, 각 메어커 및 국가마다 상이하게 설정되는 가스의 기준압력을 맞출 수 있는 것이다.
즉, 설정되는 가스의 기준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고정구(84) 몸체에 형성된 나선부(84A)를 이용하여, 고정구(84)가 조여지도록 회전시키면, 가스차단부재(80)의 후측에 끼워진 스프링(83)의 탄성력이 커져 가스차단부재(80)를 지지하는 힘이 커진다.
따라서, 가스의 허용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가스의 기준압력을 낮출 경우에는 역으로 고정구(84)가 풀리도록 회전시켜 스프링(83)의 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스차단부재)80)의 몸체 중앙부에는 기밀을 유지하여 보다 정확한 압력상태에서 가스차단부재(8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패킹부재(85)를 장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스레인지 본체(100)를 사용 할 때 부주의로 가스용기(5)가 가열되거나 할 때 정압밸브(70) 내부로 과압 가스가 유입되면 수납공간(71)에 그 압력이 작용되어 스프링(83)으로 지지되어 있던 가스차단부재(80)가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차단부재(80)의 압지로드(81)가 이동되며 마이크로 스위치(90)의 접점을 단락시키게 되어 열전대(10)의 열기전력에 의해 가스통로를 개방시키고 있는 마그네트차단밸브(20)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것이다.
열기전력이 차단된 마그네트차단밸브(20)는 스프링(30)의 탄력에 의해 밀폐부재(23)가 전진되어 도 4에서와 같이 가스유입홀(42)과 가스배출홀(41)의 연결 통로를 차단시키는 결과로 가스배출홀(41)을 거쳐 버너(8)로 공급되는 과압의 가스를 차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폭발 및 가스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가스레인지 본체(100)의 사용시 가스 용기(5)에서 이상압력이 발생하면, 가스차단부재(80)의 전면에 형성된 압지로드(81)가 과압에 의해서 몸체부(70)내에서 후측으로 이동되면서, 마이크로 스위치(90)와 이탈되어, 열전대(10)에서 마그네트차단밸브(20)로 공급되는 전원을 끊어 가스가 버너(8)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초기 착화시에는 가스조절노브(65)의 회전 조작으로 푸쉬핀(50)을 가압, 이동시키는 결과로 마그네트차단밸브(20)의 일폐부재(23)를 기구적으로 강제후퇴시켜 가스유입홀(42)과 가스배출홀(41)을 개방시킬 수가 있어 스파크 발생과 아울러 초기 점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초기 착화를 위한 파이롯트버너 등의 구조물이 필요 없게 되고 그 구성이 간단하고 안전하므로, 제품의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가스용기(5)로부터 가스조절노브(65)의 개폐조절로 가스가 공급되고, 압전기(9)의 가압으로 버너(8) 주위에서 스파크가 발생되어 착화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본체(100)와;
    휴대용 가스레인지 본체(100)의 내부에 가스조절노브(65)와 가스용기(5) 사이에 설치되어, 가스가 다이어후램(60)에 의해 정압상태로 통과구멍(79)을 통해 가스출입홀(73)을 거쳐 버너(8)로 공급되도록 하는 정압밸브(70);
    이 휴대용 가스레인지 본체(100)의 버너(8) 일측에 위치되어 화염의 연소열에 의해 열기전력을 발생시켜 불꽃의 점화여부를 감지하는 열전대(10);
    상기 열전대(10)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전력으로 자력을 발생하여 가스통로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키고, 소화시에는 열기전력 상실로 밸브복귀스프링(30)의 탄력에 의해 이동로드(21)의 단부에 고정된 밀폐부재(23)가 가스통로를 개방시키게 사는 마그네트차단밸브(20)와;
    이 마그네트차단밸브(20)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는 공간부(24)가 형성되는 밸브하우징(4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40)은 공간부(24)를 연통하는 가스유입홀(42)과 가스배출홀(41)이 뚫어져 마그네트차단밸브(20)의 밀폐부재(23)로 그 가스통로를 밀폐 단속토록 하고, 이 가스배출홀(41)에는 슬라이드홀(43)이 뚫어져 스프링(52)에 의해 탄력 설치된 푸쉬핀(50)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가스조절노브(65)의 배면부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편(54)이 회전될 때 가압부재(53)이 푸쉬핀(50)을 가압시켜 아동로드(21)의 단부에 고정된 밀폐부재(23)를 강제 후퇴시켜 가스유입홀(42)과 가스배출홀(41)을 통해 가스가 공급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 차단기능을 갖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착화장치
    `
KR1019980042738A 1998-10-13 1998-10-13 과압차단기능을갖는휴대용가스레인지의착화장치 KR100305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738A KR100305745B1 (ko) 1998-10-13 1998-10-13 과압차단기능을갖는휴대용가스레인지의착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738A KR100305745B1 (ko) 1998-10-13 1998-10-13 과압차단기능을갖는휴대용가스레인지의착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594A KR20000025594A (ko) 2000-05-06
KR100305745B1 true KR100305745B1 (ko) 2001-12-17

Family

ID=19553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2738A KR100305745B1 (ko) 1998-10-13 1998-10-13 과압차단기능을갖는휴대용가스레인지의착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57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969B1 (ko) * 2021-08-30 2023-02-0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레인지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594A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7704B2 (ja) 携帯用ガスコンロの安全装置及びその安全装置の作動方法
KR100305745B1 (ko) 과압차단기능을갖는휴대용가스레인지의착화장치
KR200180405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KR200352575Y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 차단 장치
KR100305744B1 (ko) 휴대용가스레인지의과압차단장치
JP2004519654A (ja) 携帯用ガスコンロの爆発防止装置
KR101410057B1 (ko) 휴대용 가스버너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406682B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안전장치
KR200240910Y1 (ko) 휴대용가스레인지의소화안전장치
KR200240911Y1 (ko) 휴대용가스레인지의소화안전장치
KR200210077Y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초기 점화를 위한 가스 공급장치
KR102540566B1 (ko)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
KR930003923B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CN210832098U (zh) 燃气灶
KR0132874Y1 (ko) 보턴식 소화스위치를 갖는 용기내장형 가스난방기
KR200244553Y1 (ko) 휴대용가스레인지의초기점화를위한가스공급장치
KR200240912Y1 (ko) 휴대용가스레인지의초기점화를위한가스공급장치
KR200453590Y1 (ko) 실험실 전용 가스렌지
KR200345558Y1 (ko) 휴대용 가스버너의 가스통 장착 장치
JP3876454B2 (ja) ガス器具栓装置
KR960006054Y1 (ko) 가스연소기기의 이중밸브장치
KR200244554Y1 (ko) 휴대용가스레인지의초기점화를위한가스공급장치
KR20030088150A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안전장치
KR0114577Y1 (ko) 가스조리기기의 안전점화장치
JPH07289429A (ja) 圧力式ガス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