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566B1 -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 - Google Patents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566B1
KR102540566B1 KR1020220182814A KR20220182814A KR102540566B1 KR 102540566 B1 KR102540566 B1 KR 102540566B1 KR 1020220182814 A KR1020220182814 A KR 1020220182814A KR 20220182814 A KR20220182814 A KR 20220182814A KR 102540566 B1 KR102540566 B1 KR 102540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er
link
handle
piezoelectric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2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석
Original Assignee
김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석 filed Critical 김인석
Priority to KR1020220182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13/00Ignit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16Lighters with gaseous fuel, e.g. the gas being stored in liquid ph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23Q3/002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using piezoelectr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112)와, 제1 라이터수납부(113)가 일체로 형성된 제1 케이스부재(110);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손잡이부(112)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 손잡이부(132)와, 제2 라이터수납부(133)가 일체로 형성된 제2 케이스부재(130); 상기 제1 라이터수납부(113)와 상기 제2 라이터수납부(133) 내에 설치된 압전라이터(165)를 소정의 거리만큼 슬라이딩 시키도록 상기 제1 케이스부재(110)와 제2 케이스부재(130)에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라이터이동부재(150);를 마련하여 라이터수납부에 설치된 압전라이터를 이용하여 불꽃을 분출시켜 가스레인지 또는 버너 등을 안전하게 점화시킬 수 있고, 압전라이터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서 손잡이본체의 회전에 의해 압전라이터를 안전하게 점화시킬 수 있으며, 압전라이터의 사용 후 압전라이터를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압전라이터를 간접적으로 점화시킴에 따라 사용자가 불꽃 등에 의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Ignition device using a disposable lighter}
본 발명은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 내부에 압전라이터를 수납하고, 압전라이터를 이동시켜 발생되는 불꽃을 이용하여 가스레인지 또는 버너 등을 점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이터는 전기적, 기계적인 구조에 의해 불을 붙이는 점화 기구로 사용하는 연료에 따라 오일라이터와 가스라이터로 나뉘나, 최근에는 편의성 및 효용성을 감안하여 일회용 가스라이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회용 가스라이터의 종류는 라이터돌이라 칭하는 부싯돌을 끼워 넣고 이를 돌려 불꽃을 발생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는 마찰 점화방식과, 전기를 발생시켜 전기 불꽃에 의해 점화를 하는 압전 점화방식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압전 점화 방식의 가스 라이터를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점화 방식의 라이터는 케이스(1)와 케이스(1)의 내부에 압전 소자와 가압 스프링 및 전선 등의 전기적 구성을 삽입하고, 화력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는 가스를 수용 및 분출시키는 구성을 삽입한 후, 케이스(1) 상측에 구비된 점화 버튼(2)을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손가락과 상기 가압 스프링의 압력으로 상기 압전 소자를 자극하여 전기 불꽃이 발생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압전 점화 방식의 라이터는 부싯돌을 돌려 점화하는 상기 마찰 점화방식의 라이터에 비해 유아에 의해 혹은 실수로 보다 쉽게 점화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휴대 시 자칫하여 원치 않게 점화가 되는 상황, 혹은 어린이나 유아가 라이터를 잘못 사용하여 안전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있어 위험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음식점 등에 비치된 가스렌지는 대량의 음식물을 일시에 조리하기 위하여 대형의 예를 들면 테이블 렌지 등을 사용하게 되며 주로 냄비나 솥 등의 조리 용기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테이블 자체에 부착된 불대를 사용하거나 휴대용 라이타 등을 사용하여 점화시키는 것이 상례로 되어 있으며 가스공급밸브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렌지와 조리용기의 사이의 틈새 또는 렌지 주위에 천공된 개구부를 통하여 길이가 긴 점화용 라이타를 집어넣어 불꽃을 일으켜 줌으로써 가스렌지에서 유출되고 있는 기화 가스를 착화시켜 주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대형의 가스렌지에는 점화의 편의성을 위해 길이가 긴 점화용 라이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라이터는 가스렌지에 공급되는 가스 공급원(도시 가스나 LPG 통)에 긴 호스를 통해 함께 연결되어 점화용 가스를 공급 받도록 되어 있으며 호스에는 가스 공급원에 근접되는 위치에 밸브를 설치하여 라이타로 공급되는 가스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점화 라이타의 기존구조는 손잡이와 관체형의 커버를 구비하는 점화 라이타의 내부에 장착되는 가스 공급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점화용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호스를 연결하고 손잡이의 상부에는 내부에 설치된 압전소자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 버튼을 두며 가스 공급관의 선단부에는 압전소자와 연결된 전극과 이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상대전극을 구비하는 구조이다.
이는 점화 라이타의 점화에 이용되도록 가스 공급원에 유입되는 연소용 가스의 공급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 가스 공급원의 공급압력이 그대로 점화 라이타의 가스 공급압력으로 세팅되는 것이어서 압전소자의 방전을 통해서 착화되기에는 너무 강한 가스 분출압을 가지고 있게 되어 착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었던 것으로 저조한 착화 성공률로 인해 품질의 신뢰성이 저하되었던 것이며 또한 착화 불발 시 추가적인 착화 시도를 통해 가스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과 밸브와 점화 라이타 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여러 개의 렌지를 점화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가스렌지에의 점화 완료 후 불꽃이 점화된 라이타를 들고 타 렌지가 있는 곳으로 이동해야 함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과 취급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압전 점화식 라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안전장치를 구비한 압전 점화식 라이터는 라이터 케이스 상측에 구비된 점화 버튼을 누름에 따라 압전 소자가 동작되어 점화되는 압전 점화식 라이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 측과 맞닿는 상기 점화 버튼의 하단 일 측에서 상방으로 절삭 형성되되, 장홈과 상기 장홈보다 높이가 짧은 단홈을 포함하는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과 맞닿는 상기 케이스의 일 측 부위가 하방으로 함입 형성되어 하부에 수평면을 형성하는 레일홈과, 상기 가이드 홈과 상기 레일 홈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일 측과 접촉되어 상기 레일 홈의 수평면을 따라 좌우로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 편과,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걸림 편과 접촉되는 내측 벽에 형성된 것으로, 일 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수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장홈과 상기 단홈이 접하는 부위의 두께가 타 부위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곡률지게 돌출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된 제1 돌기와, 상기 걸림 편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 벽과 맞닿는 면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돌기와 접촉되는 부위가 함입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슬릿과, 상기 단홈의 상측 수평면 내지 상기 걸림 편의 상면에 삽입된 것으로,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충격을 완화하도록 하는 완충재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의 외측 면에서 상기 걸림 편과 접촉하는 부위에는 일 측에서 곡률지게 함입되어 종 방향으로 연장된 수용 홈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 편에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 면과 접촉하는 면에는 상기 수용 홈에 일부 수용되되 탄성이 있도록 돌출 형성된 삽입부가 구비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가스렌지용 점화 라이타'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가스렌지용 점화 라이타는 손잡이와 이와 일체로 연결되는 관체형의 커버를 구비하는 점화 라이타의 내부에 장착되는 가스공급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점화용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호스를 연결하고 손잡이의 상부에는 손잡이의 내부에 설치된 압전소자를 작동하기 위한 버튼을 두며 상기 가스공급관의 선단부에는 압전소자와 연결된 전극과 이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상대전극을 구비하고 외측단에 상기 호스를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부를 체결 구비하는 상태로 상기 손잡이의 단부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고 내부에 구성되는 가스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노브와 개폐봉으로 구성되는 압력 조절구를 구비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가스공급로에 접속되는 연결관을 통해 일측이 상기 압력 조절구와 연결되고 타측의 가스배출로에 상기 가스공급관이 연결되는 상태로 손잡이의 선단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가스공급로와 가스배출로와 연결되는 상태로 몸체에 종으로 형성되며 가동 밸브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은 큰 내경을 소유함으로써 상호 결합 시 가스가 유통될 수 있을 정도의 간극이 마련되는 밸브 설치공을 형성한다.
상기 밸브 설치공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단의 작동헤드가 외부로 노출되며 외주면에 스프링 지지턱이 돌설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가스 유입공과 가스 배출공을 양단에 구비하는 가스이동로를 구비하는 봉상의 가동 밸브와, 상기 밸브 설치공의 상하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제1 탄발 스프링과 제2 탄발 스프링을 통한 상하부 실링수단으로의 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구와, 상기 밸브 설치공 내부의 상측 받침턱에 밀접되는 상태에서 교호로 배치되는 한 조의 와셔와 오링으로 구성되는 상부 실링수단과, 상기 상부 실링수단과 스프링 지지턱의 사이에 탄발 설치되며 상부 실링수단을 가압함과 동시에 가동 밸브의 원위치로의 상승 복귀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1 탄발 스프링을 구비한다.
상기 밸브 설치공 내부의 하측 받침턱에 밀접되는 상태에서 교호로 배치되는 한 조의 와셔와 오링으로 구성되는 하부 실링수단과, 상기 하부 실링수단과 밸브 설치공의 바닥 사이에 탄발 설치되며 하부 실링수단을 위로 가압하여 지지하기 위한 제 2탄발 스프링과, 상기 몸체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압전소자의 버튼과 가동 밸브의 작동헤드를 함께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압전소자의 버튼보다 가동 밸브의 작동헤드를 먼저 작동될 수 있도록 내면에 우선 작동부를 구비하는 점화레버를 각각 포함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53000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58305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1344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회용 압전라이터를 이용하여 가스레인지 또는 버너 등을 보다 인정하게 점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회용 압전라이터를 이용하여 압전라이터를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112)와, 상기 제1 손잡이부(112)로부터 연장된 제1 라이터수납부(113)가 일체로 형성된 제1 케이스부재(110);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손잡이부(112)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 손잡이부(132)와, 상기 제2 손잡이부(132)로부터 연장된 제2 라이터수납부(133)가 일체로 형성된 제2 케이스부재(130); 상기 제1 라이터수납부(113)와 상기 제2 라이터수납부(133) 내에 설치된 압전라이터(165)를 소정의 거리만큼 슬라이딩 시키도록 상기 제1 케이스부재(110)와 제2 케이스부재(130)에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라이터이동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케이스부재(110)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112)와, 상기 제1 손잡이부(112)로부터 연장된 제1 라이터수납부(113)가 일체로 형성된 제1 케이스본체(111); 상기 라이터이동부재(150)의 제2 링크(159)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1 라이터수납부(113)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링크안내돌기(117); 상기 제2 링크(159)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1 링크안내돌기(117)에 형성되는 제1 링크안내홈부(1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손잡이부(112)에는 상기 제2 케이스부재(130)가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되는 다수의 볼트고정돌기(114); 상기 볼트고정돌기(114)에 볼트가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되는 볼트구멍(115); 상기 라이터이동부재(1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1 케이스본체(111)에 형성되는 제1 결합힌지(116); 상기 제2 케이스부재(130)의 제2 라이터수납부(133)가 고정될 수 있게 상기 제1 라이터수납부(113)에 제1 고정돌기(119)와 제2 고정돌기(120); 상기 압전라이터(165)의 불꽃이 케이스부재(110, 130)의 외측으로 분출될 수 있게 상기 제1 케이스본체(111)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1 불꽃분출구(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케이스부재(130)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손잡이부(132)와, 상기 제2 손잡이부(132)로부터 연장된 제2 라이터수납부(133)가 일체로 형성된 제2 케이스본체(131); 상기 라이터이동부재(150)의 제2 링크(159)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2 라이터수납부(133)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링크안내돌기(137); 상기 제2 링크(159)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2 링크안내돌기(137)에 형성되는 제2 링크안내홈부(1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손잡이부(132)에는 상기 제1 케이스부재(110)가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되는 다수의 볼트체결돌기(134); 상기 볼트체결돌기(134)에 볼트가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되는 볼트관통구멍(135); 상기 라이터이동부재(1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2 케이스본체(131)에 형성되는 제2 결합힌지(136); 상기 제1 케이스부재(110)의 제1 라이터수납부(113)가 고정될 수 있게 상기 제2 라이터수납부(133)에 제1 고정홈부(139)와 제2 고정홈부(140); 상기 압전라이터(165)의 불꽃이 케이스부재(110, 130)의 외측으로 분출될 수 있게 상기 제2 케이스본체(131)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2 불꽃분출구(1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케이스부재(130)는 상기 제2 라이터수납부(133)에 압전라이터(165)를 꺼내거나 끼워 넣을 수 있게 관통되게 형성되는 라이터관통구멍(142); 커버(144)를 록킹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라이터관통구멍(142)의 일측에 형성되는 록킹버튼(143); 상기 라이터관통구멍(142)을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커버(144); 상기 록킹버튼(143)에 상기 커버(144)가 록킹될 수 있게 상기 커버(144)의 일측에 탄성을 갖게 일체로 형성되는 록킹힌지(1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터이동부재(150)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본체(152); 상기 손잡이본체(15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상기 손잡이본체(152)에 형성되는 회전힌지(153); 상기 회전힌지(153)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링크부(154); 상기 손잡이본체(152)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제1 링크(156)가 결합되게 상기 링크부(154)에 형성되는 이동힌지(155); 상기 이동힌지(15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156); 상기 제1 링크(156)에 결합되는 제2 링크(159); 상기 압전라이터(165)를 받치도록 상기 제2 링크(159)의 일면에 형성되는 라이터받침구(161); 상기 제2 링크(159)에 설치되는 스프링(1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에 의하면, 라이터수납부에 설치된 압전라이터를 이용하여 불꽃을 분출시켜 가스레인지 또는 버너 등을 안전하게 점화시킬 수 있고, 압전라이터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서 손잡이본체의 회전에 의해 압전라이터를 안전하게 점화시킬 수 있으며, 압전라이터의 사용 후 압전라이터를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압전라이터를 간접적으로 점화시킴에 따라 사용자가 불꽃 등에 의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압전 점화 방식의 가스 라이터를 나타낸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112)와, 상기 제1 손잡이부(112)로부터 연장된 제1 라이터수납부(113)가 일체로 형성된 제1 케이스부재(110)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손잡이부(112)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 손잡이부(132)와, 상기 제2 손잡이부(132)로부터 연장된 제2 라이터수납부(133)가 일체로 형성된 제2 케이스부재(130)와, 상기 제1 라이터수납부(113)와 상기 제2 라이터수납부(133) 내에 설치된 압전라이터(165)를 소정의 거리만큼 슬라이딩 시키도록 상기 제1 케이스부재(110)와 제2 케이스부재(130)에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라이터이동부재(15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장치는 압전라이터(165)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 케이스부재(110)와 제2 케이스부재(130) 및 상기 케이스부재(110, 130)에 수납된 압전라이터(165)에서 불꽃을 발생시킬 수 있게 압전라이터(165)를 밀어주는 라이터이동부재(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케이스부재(110)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112)와, 상기 제1 손잡이부(112)로부터 연장된 제1 라이터수납부(113)가 일체로 형성된 제1 케이스본체(111)와, 상기 라이터이동부재(150)의 제2 링크(159)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1 라이터수납부(113)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링크안내돌기(117)와, 상기 제2 링크(159)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1 링크안내돌기(117)에 형성되는 제1 링크안내홈부(118)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케이스본체(111)는 점화장치를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112)와, 상기 손잡이부(112)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압전라이터(165)가 수납되는 제1 라이터수납부(1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손잡이부(112)에는 상기 제2 케이스부재(130)가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되는 다수의 볼트고정돌기(114)와, 상기 볼트고정돌기(114)에 볼트가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되는 볼트구멍(115)과, 상기 라이터이동부재(1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1 케이스본체(111)에 형성되는 제1 결합힌지(116)와, 상기 제2 케이스부재(130)의 제2 라이터수납부(133)가 고정될 수 있게 상기 제1 라이터수납부(113)에 제1 고정돌기(119)와 제2 고정돌기(120)와, 상기 압전라이터(165)의 불꽃이 케이스부재(110, 130)의 외측으로 분출될 수 있게 상기 제1 케이스본체(111)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1 불꽃분출구(1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손잡이부(112)에는 제2 케이스부재(130)가 결합될 수 있게 볼트고정돌기(114)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고정돌기(114)에는 볼트(미도시)가 체결될 수 있게 볼트구멍(115)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케이스본체(111)에는 제2 케이스본체(131)가 결합될 수 있게 제1 결합힌지(116)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라이터수납부(113)에는 압전라이터(165)를 지지할 수 있게 제1 링크안내돌기(117)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링크안내돌기(117)에는 제2 링크(159)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 링크안내홈부(118)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라이터수납부(113)의 일면에는 제2 케이스부재(130)의 고정홈부(139, 140)에 대응되는 제1 고정돌기(119)와 제2 고정돌기(120)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라이터수납부(113)의 일측에는 압전라이터(165)에서 발생된 불꽃(화염)이 케이스부재(110, 130)의 외측으로 분출될 수 있게 제1 불꽃분출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케이스부재(130)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손잡이부(132)와, 상기 제2 손잡이부(132)로부터 연장된 제2 라이터수납부(133)가 일체로 형성된 제2 케이스본체(131)와, 상기 라이터이동부재(150)의 제2 링크(159)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2 라이터수납부(133)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링크안내돌기(137)와, 상기 제2 링크(159)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2 링크안내돌기(137)에 형성되는 제2 링크안내홈부(138)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케이스부재(130)는 제1 케이스부재(110)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케이스본체(131)에는 제1 손잡이부(112)에 대응되게 제2 손잡이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손잡이부(132)에는 제2 라이터수납부(13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손잡이부(132)에는 상기 제1 케이스부재(110)가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되는 다수의 볼트체결돌기(134)과, 상기 볼트체결돌기(134)에 볼트가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되는 볼트관통구멍(135)과, 상기 라이터이동부재(1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2 케이스본체(131)에 형성되는 제2 결합힌지(136)와, 상기 제1 케이스부재(110)의 제1 라이터수납부(113)가 고정될 수 있게 상기 제2 라이터수납부(133)에 제1 고정홈부(139)와 제2 고정홈부(140)와, 상기 압전라이터(165)의 불꽃이 케이스부재(110, 130)의 외측으로 분출될 수 있게 상기 제2 케이스본체(131)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2 불꽃분출구(14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케이스본체(131)에는 볼트고정돌기(114)에 대응되는 볼트체결돌기(134)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체결돌기(134)에는 볼트관통구멍(135)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 케이스본체(131)에는 제1 결합힌지(116)에 대응되는 제2 결합힌지(136)가 형성되고, 압전라이터(165)가 수납되는 제2 링크안내돌기(137)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링크안내돌기(137)에는 제2 링크(159)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게 제2 링크안내홈부(138)가 형성된다.
또 상기 제2 케이스본체(131)에는 제1 케이스본체(111)의 고정돌기(119, 120)가 결합되는 제1 고정홈부(139)와 제2 고정홈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케이스본체(131)에는 제1 불꽃분출구(121)와 대응되는 제2 불꽃분출구(141)가 형성되며, 상기 라이터수납부(133)에는 압전라이터(165)를 끼워 넣거나 빼낼 수 있게 라이터관통구멍(142)이 형성된다.
상기 라이터관통구멍(142)의 일측에는 커버(144)를 록킹 및 해제시킬 수 있게 록킹버튼(143)이 형성되며, 상기 라이터관통구멍(142)을 개폐시키는 커버(144)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144)의 일측에는 록킹버튼(143)에 의해 록킹 및 해제되는 록킹힌지(145)가 형성된다.
상기 라이터이동부재(150)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본체(152)와, 상기 손잡이본체(15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상기 손잡이본체(152)에 형성되는 회전힌지(153)와, 상기 회전힌지(153)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링크부(154)와, 상기 손잡이본체(152)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제1 링크(156)가 결합되게 상기 링크부(154)에 형성되는 이동힌지(155)와, 상기 이동힌지(15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156)와, 상기 제1 링크(156)에 결합되는 제2 링크(159)와, 상기 압전라이터(165)를 받치도록 상기 제2 링크(159)의 일면에 형성되는 라이터받침구(161)와, 상기 제2 링크(159)에 설치되는 스프링(162)을 포함한다.
상기 라이터이동부재(150)는 손잡이본체(152)에 의해 압전라이터(165)를 이동시켜 압전라이터(165)가 점화되게 한다.
상기 레버손잡이(151)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본체(152)와 상기 손잡이본체(152)에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힌지(153)와 상기 손잡이본체(152)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링크부(154)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본체(152)에는 손잡이본체(151)를 결합힌지(116, 136)에 결합되는 회전힌지(153)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154)에는 상기 회전힌지(153)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손잡이본체(151)에 의해 링크(156, 159)를 이동시킬 수 있게 이동힌지(155)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힌지(155)에는 제1 링크(156)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링크(156)의 일단에는 이동힌지(155)에 결합되는 제1 힌지(157)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링크(156)의 타단에는 제2 링크(159)와 결합되는 제2 힌지(158)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링크(159)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159)의 일단에는 제2 힌지(158)에 결합되는 제3 힌지(16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159)의 타단에는 압전라이터(165)를 받치는 라이터받침구(161)가 형성된다.
또 상기 제2 링크(159)에는 손잡이본체(152)를 원위치로 리턴시키는 스프링(162)아 설치된다.
상기 라이터이동부재(150)에는 압전라이터(165)가 구비되고, 상기 압전라이터(165)에는 불꽃을 발생시키는 점화버튼(166)이 설치된다.
다음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재(110, 130)의 라이터수납부(113, 133)에는 압전라이터(165)가 수납되고, 상기 압전라이터(165)는 라이터수납부(113, 133)에 안정되게 끼워져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압전라이터(165)의 일면에는 압전라이터(165)를 이동시켜 불꽃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제2 링크(159)의 라이터받침구(161)가 밀착되고, 상기 제2 링크(159)의 제3 힌지(160)에는 제1 링크(156)의 제2 힌지(158)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제2 링크(159)에는 제1 링크(156)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링크(156)에는 손잡이본체(152)가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본체(152)의 회전힌지(153)는 제1 결합힌지(116)와 제2 결합힌지(13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사용자는 압전라이터(165)를 이용하여 가스레인지 또는 버너 등을 점화시키기 위하여 손잡이본체(152)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손잡이본체(152)는 회전힌지(153)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손잡이본체(152)의 이동힌지(155)는 제1 링크(156)를 라이터수납부(113, 133) 쪽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1 링크(156)에 결합된 제2 링크(159)는 안내홈부(118, 138)를 따라 일직선상으로 수평 이동된다.
이에 상기 라이터받침구(161)는 압전라이터(165)를 전진시키게 되며, 상기 압전라이터(165)가 이동되면서 상기 점화버튼(166)이 눌러지게 되고, 이에 압전라이터(165)에서 불꽃이 점화된다.
이렇게 압전라이터(165)에서 발생되는 불꽃(화염)은 불꽃분출구(121, 141)를 통해 케이스본체(111, 131)의 외측으로 분출된다.
이와 같이 불꽃분출구(121, 131)를 통해 분출된 화염을 이용하여 가스레인지 또는 버너 등을 점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제1 케이스부재 111: 제1 케이스본체
112: 제1 손잡이부 113: 제1 라이터수납부
114: 볼트고정돌기 115: 볼트구멍
116: 제1 결합힌지 117: 제1 링크안내돌기
118: 제1 링크안내홈부 119: 제1 고정돌기
120: 제2 고정돌기 121: 제1 불꽃분출구
130: 제2 케이스부재 131: 제2 케이스본체
132: 제2 손잡이부 133: 제2 라이터수납부
134: 볼트체결돌기 135: 볼트관통구멍
136: 제2 결합힌지 137: 제2 링크안내돌기
138: 제2 링크안내홈부 139: 제1 고정홈부
140: 제2 고정홈부 141: 제2 불꽃분출구
142: 라이터관통구멍 143: 록킹버튼
144: 커버 145: 록킹힌지
150: 라이터이동부재 151: 레버손잡이
152: 손잡이본체 153: 회전힌지
154: 링크부 155: 이동힌지
156: 제1 링크 157: 제1 힌지
158: 제2 힌지 159: 제2 링크
160: 제3 힌지 161: 라이터받침구
162: 스프링 165: 압전라이터
166: 점화버튼

Claims (7)

  1.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112)와, 상기 제1 손잡이부(112)로부터 연장된 제1 라이터수납부(113)가 일체로 형성된 제1 케이스부재(110);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손잡이부(112)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 손잡이부(132)와, 상기 제2 손잡이부(132)로부터 연장된 제2 라이터수납부(133)가 일체로 형성된 제2 케이스부재(130);
    상기 제1 라이터수납부(113)와 상기 제2 라이터수납부(133) 내에 설치된 압전라이터(165)를 소정의 거리만큼 슬라이딩 시키도록 상기 제1 케이스부재(110)와 제2 케이스부재(130)에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라이터이동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케이스부재(110)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112)와, 상기 제1 손잡이부(112)로부터 연장된 제1 라이터수납부(113)가 일체로 형성된 제1 케이스본체(111);
    상기 라이터이동부재(150)의 제2 링크(159)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1 라이터수납부(113)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링크안내돌기(117);
    상기 제2 링크(159)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1 링크안내돌기(117)에 형성되는 제1 링크안내홈부(1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부(112)에는 상기 제2 케이스부재(130)가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되는 다수의 볼트고정돌기(114);
    상기 볼트고정돌기(114)에 볼트가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되는 볼트구멍(115);
    상기 라이터이동부재(1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1 케이스본체(111)에 형성되는 제1 결합힌지(116);
    상기 제2 케이스부재(130)의 제2 라이터수납부(133)가 고정될 수 있게 상기 제1 라이터수납부(113)에 제1 고정돌기(119)와 제2 고정돌기(120);
    상기 압전라이터(165)의 불꽃이 케이스부재(110, 130)의 외측으로 분출될 수 있게 상기 제1 케이스본체(111)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1 불꽃분출구(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부재(130)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손잡이부(132)와, 상기 제2 손잡이부(132)로부터 연장된 제2 라이터수납부(133)가 일체로 형성된 제2 케이스본체(131);
    상기 라이터이동부재(150)의 제2 링크(159)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2 라이터수납부(133)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링크안내돌기(137);
    상기 제2 링크(159)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2 링크안내돌기(137)에 형성되는 제2 링크안내홈부(1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손잡이부(132)에는 상기 제1 케이스부재(110)가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되는 다수의 볼트체결돌기(134);
    상기 볼트체결돌기(134)에 볼트가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되는 볼트관통구멍(135);
    상기 라이터이동부재(1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2 케이스본체(131)에 형성되는 제2 결합힌지(136);
    상기 제1 케이스부재(110)의 제1 라이터수납부(113)가 고정될 수 있게 상기 제2 라이터수납부(133)에 제1 고정홈부(139)와 제2 고정홈부(140);
    상기 압전라이터(165)의 불꽃이 케이스부재(110, 130)의 외측으로 분출될 수 있게 상기 제2 케이스본체(131)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2 불꽃분출구(1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부재(130)는 상기 제2 라이터수납부(133)에 압전라이터(165)를 꺼내거나 끼워 넣을 수 있게 관통되게 형성되는 라이터관통구멍(142);
    커버(144)를 록킹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라이터관통구멍(142)의 일측에 형성되는 록킹버튼(143);
    상기 라이터관통구멍(142)을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커버(144);
    상기 록킹버튼(143)에 상기 커버(144)가 록킹될 수 있게 상기 커버(144)의 일측에 탄성을 갖게 일체로 형성되는 록킹힌지(1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터이동부재(150)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본체(152);
    상기 손잡이본체(15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상기 손잡이본체(152)에 형성되는 회전힌지(153);
    상기 회전힌지(153)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링크부(154);
    상기 손잡이본체(152)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제1 링크(156)가 결합되게 상기 링크부(154)에 형성되는 이동힌지(155);
    상기 이동힌지(15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156);
    상기 제1 링크(156)에 결합되는 제2 링크(159);
    상기 압전라이터(165)를 받치도록 상기 제2 링크(159)의 일면에 형성되는 라이터받침구(161);
    상기 제2 링크(159)에 설치되는 스프링(1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
KR1020220182814A 2022-12-23 2022-12-23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 KR102540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2814A KR102540566B1 (ko) 2022-12-23 2022-12-23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2814A KR102540566B1 (ko) 2022-12-23 2022-12-23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566B1 true KR102540566B1 (ko) 2023-06-07

Family

ID=86760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2814A KR102540566B1 (ko) 2022-12-23 2022-12-23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5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305Y1 (ko) 2004-05-07 2004-08-06 지상한 가스렌지용 점화 라이타
KR200453000Y1 (ko) 2010-08-23 2011-03-31 홍병욱 안전장치를 구비한 압전 점화식 라이터
CN201811276U (zh) * 2010-09-26 2011-04-27 殷伟辉 一种枪式火机点火器
KR101713447B1 (ko) 2015-12-04 2017-03-0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양방향 점화가 가능한 라이터
KR101728484B1 (ko) * 2016-05-27 2017-04-19 김인석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가스점화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305Y1 (ko) 2004-05-07 2004-08-06 지상한 가스렌지용 점화 라이타
KR200453000Y1 (ko) 2010-08-23 2011-03-31 홍병욱 안전장치를 구비한 압전 점화식 라이터
CN201811276U (zh) * 2010-09-26 2011-04-27 殷伟辉 一种枪式火机点火器
KR101713447B1 (ko) 2015-12-04 2017-03-0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양방향 점화가 가능한 라이터
KR101728484B1 (ko) * 2016-05-27 2017-04-19 김인석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가스점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3818A (en) Igniting device
JP4833967B2 (ja) 多モードライター
US6012916A (en) Safety electronic lighter
US3408153A (en) Gas lighter with a manually operable piezoelectric ignition device
US6527543B2 (en) Safety catch device for a gas burner
US7771191B2 (en) Safety mechanism for a torch
KR200239435Y1 (ko) 발화저지기능을갖는다목적가스라이터
KR102540566B1 (ko) 일회용 라이터를 이용한 점화장치
KR200202999Y1 (ko) 발화저지기능을 갖는 다목적 가스라이터
JP6032716B2 (ja) 燃料調節部を備えたバーナー
US7914281B2 (en) Gas combustion apparatus and combustion gas setting device thereof
TWI223703B (en) Child-resistant piezoelectric lighter
US6234784B1 (en) Portable lighter having igniter device equipped with safety lock mechanism
EP0660045A2 (en) Pocket lighter
JP3115368U (ja) ガスライター
KR20050016066A (ko) 방풍 라이터
KR200458189Y1 (ko) 라이터 길이조절구가 구비된 가스점화기
JP4942227B2 (ja) ガスライタ
KR200453590Y1 (ko) 실험실 전용 가스렌지
JP4518518B1 (ja) ライター
KR100305745B1 (ko) 과압차단기능을갖는휴대용가스레인지의착화장치
KR200358305Y1 (ko) 가스렌지용 점화 라이타
KR200150212Y1 (ko) 가스 라이터
KR200240910Y1 (ko) 휴대용가스레인지의소화안전장치
CN111561708A (zh) 具有可替换的可燃燃料罐的点火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