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0119A - 창출의 새로운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창출의 새로운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0119A
KR20030080119A KR1020020018148A KR20020018148A KR20030080119A KR 20030080119 A KR20030080119 A KR 20030080119A KR 1020020018148 A KR1020020018148 A KR 1020020018148A KR 20020018148 A KR20020018148 A KR 20020018148A KR 20030080119 A KR20030080119 A KR 20030080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rs
extraction method
creation
extraction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학
Original Assignee
유종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종학 filed Critical 유종학
Priority to KR1020020018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0119A/ko
Publication of KR20030080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1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계통 장애에 효능이 있는 창출의 새로운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창출 추출물은 소화기 장애, 복통, 설사, 신경성 위경련, 위궤양, 급성·만성 위염 등 광범위한 위장병 증세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창출의 새로운 추출방법{New extraction method of Atractylodis Rhizoma}
본 발명은 창출의 새로운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창출(蒼朮)은 조선삽주(Atractylodes koreana) 또는 삽주(A. japonica)등의 뿌리줄기를 말린것이다. 창출은 습(濕)을 제거하고 발산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따뜻하고 독이 없고, 담음의 과낭과 현벽 및 기괴, 산풍장기·풍한·습비·토사광란과 수종 장만을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류마티스, 건위, 이뇨작용, 식욕부진, 설사, 구토, 감기, 야맹증에 좋은 효능을 갖으며, 머리를 검게하고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며, 피부를 윤택, 눈과 귀를 젊게 유지하는 효능을 갖고 있어, 한방제제에 거의 필수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창출을 한방에서 약으로 사용할 때에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로 하며, 술을 담가서 사용하기도 한다.
창출을 탕으로 하여 사용하는 탕법의 경우에는 단순히 물을 가하여 100℃에서 4~5시간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며, 술을 담가서 사용하는 주침법의 경우에는 소주에 약 6~8개월 숙성시켜 사용한다.
최근들어 현대인들은 과중한 스트레스와 식생활의 서구화 및 불규칙한 식생활로 소화불량, 식욕부진, 구역, 구토, 복부창만, 동통, 장명설사, 발혈, 두통, 어지럼증, 출혈 증상과 같은 많은 위장질환이 급증하고 있으므로, 위장장애에 특히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창출을 한방제제로 이용하는 예가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알려진 창출에 대하여 그 유효성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새로운 추출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창출 성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개선된 추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창출의 새로운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창출의 추출방법은 1) 창출을 고온, 고압에서 장시간 가열하여 1차 수(水)추출하는 단계, 2) 1차 추출액을 24시간동안 숙성하는 단계, 및 3) 숙성된 액을 증발기에 넣고 숙성액의 70~75% 까지를 증발·농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추출방법은 상기 1)단계에서 추출기의 온도는 100~110℃, 압력은 2~2.5㎏/㎠로 하여 15시간 가열하여 1차 추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출방법은 상기 2)단계에서 1차 추출액을 상온에서 숙성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출방법은 상기 3)단계에서 95~100℃에서 15~20시간동안 가열하여 숙성액의 70~75% 까지를 증발·농축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창출 추출물은 소화기 장애, 복통, 설사, 신경성 위경련, 위궤양, 급성·만성 위염 등 광범위한 위장병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추출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건조상태인 창출을 세척기에 넣고, 약 2시간 정도 불린다. 불린 창출을 3회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여 자루에 넣는다. 건조상태의 창출 10㎏당 물 30ℓ비율로 하여 창출을 포함한 자루를 추출기에 넣는다. 이때 추출기의 온도는 100~110℃, 압력은 2~2.5㎏/㎠로 하여 15시간 가열한 후, 1차 추출한다. 자루에 담긴 창출은 버리고, 1차 추출된 액을 상온에서 24시간동안 숙성시킨다. 숙성액을 증발기에 넣고 95~100℃에서 15~20시간 동안 가열하여 숙성액을 증발·농축시킨다. 이때 농축액의 부피가 숙성액의 70~75% 까지 되도록 증발·농축시킨다. 2차 가열할 당시의 액체 색상은 갈색빛을 띄지만, 수분이 70~75% 증발되어 농축되면 액체의 색상은 진한 검갈색으로 변하며, 점도가 높아지고, 창출 특유의 역겨운 냄새도 완전히 사라진다.
본 발명의 추출액은 점도가 높은 농축액 뿐만 아니라, 수분을 95% 까지를 증발시켜 환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기존의 단순가열에 의해서 추출하였을때는 한약재의 성분을 완전히 추출할 수 없었는데, 본 발명의 가열, 숙성, 증발, 농축단계에 의한 추출방법에서는 한약재의 성분을 완전히 추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숙성단계를 거치게 되므로, 향미등의 개선효과도 뛰어나다.
본 발명의 추출방법은 창출에만 국한되지 않고, 한약재 중에서 위장장애에 효능이 좋은 백출, 곽향, 감초, 찹쌀 등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혼합물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창출의 추출방법
1. 건조상태인 창출을 세척기에 넣고, 약 2시간 정도 불렸다.
2. 불린 창출을 3회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였다.
3. 물기가 제거된 창출을 자루에 넣은 후, 추출기에 넣었다(건조상태의 창출 10㎏당 물 30ℓ비율).
4. 추출기의 온도는 100~110℃, 압력은 2~2.5㎏/㎠로 하여 15시간 가열한 후, 추출하였다.
5. 1차 가열 추출된 액체를 상온에서 24시간동안 숙성시켰다.
6. 숙성된 액을 증발기에 넣고 95~100℃에서 15~20시간 동안 가열하여 숙성액의 부피가 70~75% 까지 되도록 증발·농축시켰다.
7. 검갈색이며, 점도가 높은 농축액을 얻었다.
실험예 : 창출 추출액의 위장장애 제거 효과 실험
만성적인 위장질환을 가지고 있는 35세 ~ 60세 성인 남녀 80명을 선정하여본 발명의 추출방법에 따라 추출된 창출 추출물을 1회당 10㎎씩, 하루 2~3회 복용시켰다.
3일 이후부터 위장 통증이 없어졌으며, 2주 이내에 대상자중 90% 이상이 위장 통증이 사라짐을 확인하였다. 대상자중 10%는 위장 장애가 많이 호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창출, 백출, 곽향, 감초, 찹쌀 등의 혼합 추출액을 복용하였을 경우에도, 대상자중 90% 이상이 일주일 후부터 위장에 통증이 사라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창출 추출물은 소화기 장애, 복통, 설사, 신경성 위경련, 위궤양, 급성·만성 위염 등 광범위한 위장병 증세에 효과적이다.

Claims (8)

1) 창출을 고온, 고압에서 장시간 가열하여 1차 수(水)추출하는 단계, 2) 1차 추출액을 24시간동안 숙성하는 단계, 및 3) 숙성된 액을 증발기에 넣고 숙성액의 70~75% 까지를 증발·농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창출의 추출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추출기의 온도는 100~110℃, 압력은 2~2.5㎏/㎠로 하여 15시간 가열하여 1차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출의 추출방법
제 2항에 있어서, 건조상태의 창출 10㎏당 물 30ℓ비율로 하여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출의 추출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1차 추출액을 상온에서 숙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창출의 추출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95~100℃에서 15~20시간동안 가열하여 숙성액의 70~75% 까지를 증발·농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창출의 추출방법
제 5항에 있어서, 숙성액의 70~75% 까지를 증발·농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창출의 추출방법
제 5항에 있어서, 숙성액의 95% 까지를 증발·농축시켜 환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출의 추출방법
제 1항 내지 제 7항에 의해 추출된 창출 추출물
KR1020020018148A 2002-04-03 2002-04-03 창출의 새로운 추출방법 KR20030080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148A KR20030080119A (ko) 2002-04-03 2002-04-03 창출의 새로운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148A KR20030080119A (ko) 2002-04-03 2002-04-03 창출의 새로운 추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119A true KR20030080119A (ko) 2003-10-11

Family

ID=32377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148A KR20030080119A (ko) 2002-04-03 2002-04-03 창출의 새로운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01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7451A (ja) * 2009-05-22 2012-11-08 エスケー ケミカル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過敏性腸症候群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WO2012157949A3 (ko) * 2011-05-18 2013-03-21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3089383A1 (ko) * 2011-12-13 2013-06-20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45828A1 (en) * 1999-02-03 2000-08-10 Indena S.P.A. Soya extract containing lipids,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pharmaceutical and cosmetic composition
KR20010088728A (ko) * 2001-08-27 2001-09-28 -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비만방지 차 조성물
KR20020007997A (ko) * 2000-07-19 2002-01-29 이종호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의제조방법 및 그의 조성물
KR101273831B1 (ko) * 2009-12-09 2013-06-1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45828A1 (en) * 1999-02-03 2000-08-10 Indena S.P.A. Soya extract containing lipids,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pharmaceutical and cosmetic composition
KR20020007997A (ko) * 2000-07-19 2002-01-29 이종호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의제조방법 및 그의 조성물
KR20010088728A (ko) * 2001-08-27 2001-09-28 -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비만방지 차 조성물
KR101273831B1 (ko) * 2009-12-09 2013-06-1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7451A (ja) * 2009-05-22 2012-11-08 エスケー ケミカル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過敏性腸症候群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1399513B1 (ko) * 2009-05-22 2014-05-2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157949A3 (ko) * 2011-05-18 2013-03-21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3089383A1 (ko) * 2011-12-13 2013-06-20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031B1 (ko) 감의 가공 방법
KR20140049673A (ko) 함초, 민들레, 생강나무 등 125가지의 원재료를 생물의 물성에 따라 CO2(또는 N2) Carrier Gas를 이용하여 추출농축, 설탕에 절임에 의한 천연발효 효소법에 의해 추출 및 Microwave와 Filter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들을 혼합발효숙성하여 제조한 조성물과 그 조성방법
CN104095095A (zh) 一种具有保健功效的香茅草茶及其制备方法
CN111034958A (zh) 一种不伤口有劲道且卤水无游离碱的槟榔制作工艺
KR101192563B1 (ko) 황토와 뽕잎성분이 함유된 황토뽕잎소금 제조방법
CN106993687B (zh) 一种栀子茶的制备方法
KR20030080119A (ko) 창출의 새로운 추출방법
Javed et al. Fennel
JP4838418B2 (ja) アリウム属植物エキスの製造方法
KR101616955B1 (ko) 청보리잎 또는 흑마늘 성분을 포함한 인스턴트 커피와 커피 추출액 및 그 제조방법
KR101588341B1 (ko)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 기능성 된장 및 그 제조방법
Chaudhary et al. A pharmacognosy, ethanobotany and phyto-pharmacology of Moringa oleifera lam
CN108419869A (zh) 一种清热排毒下火的组合物、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708552B1 (ko) 특정의 복합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조성물
KR20180016718A (ko) 황칠 구운 소금 제조방법
KR101187806B1 (ko) 죽력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죽력 소금
CN108497444A (zh) 一种金银花盐及其制备方法
KR101931907B1 (ko) 함초를 함유한 함초파우더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32048A (ko) 기능성 양파 음료 및 그 제조방법
EP1708789B1 (en) Herbal composition for gastrointestinal disorders
CN105124509A (zh) 十香液态调味剂及其生产方法
KR810001689B1 (ko) 인삼잎을 주제로 하는 인삼차의 제조 방법
KR101961086B1 (ko) 폴리페놀 자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자염
KR20190129367A (ko) 그라비올라를 포함하는 혼합차 제조 방법
CN107549303A (zh) 一种火龙果保鲜球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