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8691A -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렌즈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8691A
KR20030078691A KR10-2003-0018850A KR20030018850A KR20030078691A KR 20030078691 A KR20030078691 A KR 20030078691A KR 20030018850 A KR20030018850 A KR 20030018850A KR 20030078691 A KR20030078691 A KR 20030078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plastic lens
bis
prepolymer
epithio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3011B1 (ko
Inventor
코사카마사히사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8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0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기계 강도, 내충격성 등의 기본물성을 현저히 손상하는 일이 없이, 더욱 높은 굴절률과 아베수를 갖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제조방법은, 1) 프리폴리머를 2)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 중에 유황을 함유하는 혼합물과 3) 촉매를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렌즈{PROCESS FOR PRODUCING PLASTIC LENS AND PLASTIC LENS}
본 발명은, 고굴절률, 고아베수를 갖고, 투명성이 우수한 안경용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렌즈의 시장에서는, 기계강도, 내충격성 등의 기본물성을 현저하게 손상하는 일 없이, 더욱 높은 굴절률과 아베수를 갖는 플라스틱 렌즈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렌즈의 예로서, JP-A-2001-330701호 공보에는,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구성된 플라스틱 렌즈가 개시되어 있다. 이 렌즈는 1.70의 굴절률을 갖는다. 그렇지만, JP-A-2001-33070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플라스틱 렌즈보다도 더 높은 굴절률을 갖는 플라스틱 렌즈가 요구되고 있다.
고굴절률 및 고아베수를 갖는 광학 재료에 대해서는 EP-A-1 046 931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광학 재료는 유황을 함유하는 화합물과 유황과 셀레늄 중에서 적어도 1종의 원자를 함유하는 무기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으로부터 얻어진다. 그러나, 유황을 함유하는 플라스틱 렌즈는 종종 불충분한 투명성을 나타낸다.
또한, JP-A-2001-2783 및 JP-A2001-2933에는 렌즈 모노머에 유황 원소를 첨가하여 플라스틱 렌즈를 제작하는 제안이 주어져 있다. 그렇지만, 전술한 JP-A-2001-330701호의 기술을 JP-A-2001-2783호 및 JP-A-2001-2933호의 기술과 조합하더라도,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유황을 함유한 투명한 플라스틱 렌즈를 얻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1) 프리폴리머를 (2)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에 유황을 포함하는 혼합물과 (3) 촉매와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1)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을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 중에서 반응시켜 얻어지는 프리폴리머, (2)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과 유황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혼합 용액(혼합물 X)과 (3)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촉매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혼합 용액(혼합물 Y)의 3종의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와, 이 3종의 원료를 혼합하고 혼합물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을 발견하였다.
더구나, 본 발명자들은, (1) 프리폴리머를 (2)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에 유황을 포함하는 혼합물과 (3) 촉매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렌즈가 형성되는 플라스틱 렌즈를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비한정적인 실시예는, 기본물성을 현저하게 손상하는 일 없이, 더욱 높은 굴절률과 아베수를 갖는 플라스틱 렌즈를 제공한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본 발명에 예시된 상세내용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본적인 이해를 위해 필요한 것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상세 내용을 설명하지 않을 것이며, 본 발명의 다수의 형태가 실제로 구체화되는 방식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화합물과 성분에 대한 언급은, 화합물 및 성분 그 자체 뿐만 아니라,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과 같이 다른 화합물들 또는 성분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유황으로부터 제조되고, 상기한 3종의 원료를 미리 제조하고, 이들 3종의 원료를 혼합하여, 이 혼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에 관한 것이다.
프리폴리머는, 상기 3종의 렌즈 원료의 하나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을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 중에서 반응시켜 얻어진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비제한적인 예로서는 크실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클로로디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5-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1,4-디티안,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 설파이드, 비스(이소시아네이토에틸) 설파이드,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 디설파이드, 비스(이소시아네이토에틸) 디설파이드, 2,2',5,5'-테트라클로로디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토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한개 이상의 지방족 고리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비스(4-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실)메탄, 비스(4-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실)메탄,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5-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2]옥탄, 2,5-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l]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3-(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5-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3-(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6-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2-[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5-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2-(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6-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3-(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6-(2-이소시아네이토에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3-(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6-(2-이소시아네이토에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2-(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5-(2-이소시아네이토에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2-(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6-(2-이소시아네이토에틸)-비시클로[2,2,1]-헵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1,4-디티안을 들 수 있다.
폴리티올 화합물의 비제한적인 예로서는, 메탄디티올, 에탄디티올, 프로판디티올, 1,6-헥산디티올, 1,2,3-프로판트리티올, 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메탄, 시클로헥산디티올, 2,2-디메틸프로판-1,3-디티올, 3,4-디메톡시부탄-1,2-디티올, 2-메틸시클로헥산-2,3-디티올, 비스(머캅토메틸)시클로헥산, 2,3-디머캅토-1-프로판올(2-머캅토아세테이트), 2,3-디머캅토-1-프로판올(3-머캅토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1,2-디머캅토프로필 메틸 에테르, 2,3-디머캅토프로필 메틸 에테르, 2,2-비스(머캅토메틸)-1,3-프로판디티올, 비스(2-머캅토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1,2-비스(2-머캅토에틸티오)-3-마캅토프로판, 비스(머캅토메틸) 설파이드, 비스(머캅토에틸) 설파이드, 비스(머캅토프로필) 설파이드, 비스(머캅토메틸티오)메탄, 비스(2-머캅토에틸티오)메탄, 비스(3-머캅토프로필)메탄, 1,2-비스(머캅토메틸티오)에탄, 1,2-(2-머캅토에틸티오)에탄, 1,2-(3-머캅토프로필)에탄, 1,3-비스(머캅토메틸티오)프로판, 1,3-비스(2-머캅토에틸티오)프로판, 1,3-비스(3-머캅토프로필티오)프로판, 1,2-비스(2-머캅토에틸티오)-3-머캅토프로판, 2-머캅토에틸티오-1,3-프로판디티올, 1,2,3-트리스(머캅토메틸티오)프로판, 1,2,3-트리스(2-머캅토에틸티오)프로판, 1,2,3-트리스(3-머캅토프로필티오)프로판, 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티오메틸)메탄, 테트라키스(2-머캅토에틸티오메틸)메탄, 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필티오메틸)메탄, 비스(머캅토메틸) 디설파이드, 비스(머캅토에틸) 디설파이드, 비스(머캅토메틸)-3,6,9-트리티아-1,11-운데칸디티올, 비스(1,3-디머캅토-2-프로필) 설파이드, 3,4-티오펜디티올, 테트라히드로티오펜-2,5-디머캅토메틸, 2,5-디머캅토-1,3,4-티아디아졸, 2,5-디머캅토-1,4-디티안, 2,5-비스(머캅토메틸)-1,4-디티안, 2,5-비스(머캅토에틸)-1,4-디티안 등의 머캅토기 이외에 유황 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 중에서, 바람직한 폴리티올 화합물은, 비스(머캅토메틸)-1,4-디티안, 비스(머캅토에틸) 설파이드, 비스(머캅토에틸) 디설파이드, 1,2-비스(머캅토에틸)티오-3-머캅토프로판이다.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은, 에피설파이드계의 모노머라고도 한다. 이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1,3- 및 1,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시클로헥산, 1,3- 및 1,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시클로헥산,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시클로헥실)메탄, 2,2-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시클로헥실)프로판,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시클로헥실]설파이드 등의 지방족 고리기를 갖는 에피설파이드 화합물; 1,3- 및 1,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벤젠, 1,3- 및 1,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벤젠,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메탄, 2,2-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프로판,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설파이드,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술핀, 4,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비페닐 등의 방향족 골격을 갖는 에피설파이드 화합물; 2,5-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1,4-디티안, 2,5-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티오메틸)-1,4-디티안, 2,5-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1,4-디티안, 2,3,5-트리(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1,4-디티안 등의 디티안 고리 골격을 갖는 에피설파이드화합물; 2-(2-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티오)-1,3-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 1,2-비스[(2-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티오]-3-(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 테트라키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메탄, 1,1,1-트리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프로판,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설파이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디설파이드 등의 지방족 골격을 갖는 에피설파이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더구나,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의 대부분이 종래 알려져 있으며, JP-A-09-071580호 공보, JP-A-09-110979호 공보, JP-A-09-255781호 공보, JP-A-03-081320호 공보, JP-A-11-140070호 공보, JP-A-11-183702호 공보, JP-A-11-189592호 공보, JP-A-180977호 공보, 특개평 01-810575호 공보 등에도 구체예가 기재되어 있다. 이들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에피설파이드계 모노머도,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하다.
이들 중에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 설파이드 및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 디설파이드가 바람직하다.
더구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예를 들면 프리폴리머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촉매가 원료 용액에 첨가될 수 있다.
촉매로는,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주석 촉매를 들 수 있다:
식 중에서, R1, R2, R3 및 R4는 C1∼C4알킬기를 나타내고, 각각이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된다.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촉매의 구체예로서는, 테트라메틸-디아세톡시-디스타녹산, 테트라에틸-디아세톡시-디스타녹산, 테트라프로필-디아세톡시-디스타녹산 및 테트라부틸-디아세톡시-디스타녹산을 들 수 있다. 촉매의 첨가량은, 예를 들면 프리폴리머 원료 전체량에 대해 0.0005중량%∼0.1중량%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프리폴리머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의 혼합 비율에 대해서는, 프리폴리머의 말단을 가능한한 많이 티올화하기 위해 폴리티올 화합물이 과잉인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SH/-NCO의 몰비는 예를 들면 1.75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프리폴리머를 만들 때의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은 반응성 희석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프리폴리머를 만들 때의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의 첨가량은, 프리폴리머를 취급할 수 있는 점도와 유황을 용해시킬 때의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의 양(혼합물 X)을 고려하여, 프리폴리머 원료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50중량% 이상이 될 수 있다. 프리폴리머의 점도가 예를 들면 5,000mPa·s보다 큰 값과 같이 커지는 경우에는, 프리폴리머 점도를 조정하기 위해,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을 적절히 가함으로써, 프리폴리머와 다른 성분들의 혼합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프리폴리머 원료로서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이 반응하여 폴리티오우레탄을 형성하더라도,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이 형성된 폴리티오우레탄을 용해하여, 점도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고 생각된다.
프리폴리머의 점도는, 다른 렌즈 원료와 혼합하는 작업을 고려하여, 25℃에서의 점도가 5000mPa·s 이하가 될 수 있다.
프리폴리머를 제작하기 위한 온도 및 반응시간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반응은 예를 들면 10∼80℃에서 1시간∼48시간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프리폴리머 제작후 이 프리폴리머의 보존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프리폴리머는 필요에 따라 -5℃∼실온 정도까지 냉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의 전체량은, 양호한 내열성, 더욱 안정된 렌즈 형상을 유지한다는 관점에서, 렌즈 원료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15중량% 이하가 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3종의 렌즈 원료 중에서,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과 유황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혼합물 X에 관해 설명한다.
유황과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을 혼합하는 목적은 유황을 효율적으로 용해시키기 위해서이다. 다른 원료(폴리티올 화합물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유황을 첨가한 경우에는, 용해중에 가스가 발생하거나, 유황이 용해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얻어지는 렌즈에 관해 투명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이 방법은 바람직하지 않다. 유황의 첨가량은, 굴절률의 향상 효과와 투명한 렌즈가 확실히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렌즈 원료 전체량에 대해 5∼30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혼합물 X에서의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상기 프리폴리머를 제작할 때에 사용되는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과 동일물 또는 다른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유황과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을 혼합·용해시켜 혼합물 X를 얻기 위해서는, 혼합액을 예를 들면 40℃∼70℃에서 가열·용해시키고, 그후, 유황의 석출을 막기 위해 30∼50℃ 사이에서 1시간∼24시간 교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3종의 원료를 혼합할 때에, 이 혼합물은 10∼25℃의 온도로 냉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혼합물 Y는 3번째의 원료로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 혼합물 X는,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 및 폴리티올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촉매를 혼합하여 얻어진다.
혼합물 Y에 대한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전술한 프리폴리머 및 혼합물 X의 제작에 사용되는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프리폴리머 및 혼합물 X에서 사용된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과, 혼합물 Y에서 사용된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에 대해서도, 혼합물 Y에 대한 폴리티올 화합물로서, 전술한 프리폴리머에서 사용되는 폴리티올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리폴리머와 혼합물 X에 대해 사용된 폴리티올 화합물과 혼합물 Y에 대해 사용된 폴리티올 화합물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제 3의 원료, 즉 혼합물 Y의 제작에 사용되는 촉매는,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과 폴리티올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킬 의도로 첨가한다. 혼합물 Y의 촉매는 전체 원료 혼합물과 반응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 촉매의 예로서는, 아민류, 포스핀류, 제4급 암모늄염류, 제4급 포스포늄염류, 제3급 술포늄염류, 제2급 요오드늄염류, 광산류, 루이스산류, 유기산류, 규산류, 4불화붕산류 등을 들 수 있다.
촉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예를 들면 아미노에탄올, 1-아미노프로판올, 2-아미노프로판올, 아미노부탄올, 아미노펜탄올, 아미노헥산올, 테트라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테트라메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테트라에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테트라에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테트라-n-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테트라-n-부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테트라-n-부틸포스포늄 요오다이드, 테트라-n-헥실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테트라-n-옥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 3의 원료, 즉 혼합물 Y에서 사용되는 촉매에 대해서는, 사용하려는촉매가 선택되며 그것의 양이 사용하는 모노머에 따라 조정될 필요가 있다. 이 양은, 예를 들면 렌즈 원료 전체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0.001중량%∼0.1중량%이다.
이들 3종의 원료를 제작하여 혼합한다. 혼합의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혼합에 있어서, 설정온도, 이것에 필요한 시간 등은 예를 들면 각 성분이 충분히 혼합되는 조건이면 된다. 과잉의 온도 및 시간은 각 원료, 첨가제 사이의 바람직하지 못한 반응이 발생하고 점도의 상승을 초래하여, 주형 조작을 곤란하게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건은 적당하지 않다.
이들 관점에서, 혼합온도는 예를 들면 -30℃∼50℃의 범위에서 행하며, 더구나 -5℃∼30℃의 범위에서 행한다. 혼합시간은, 예를 들면 5분∼2시간, 더구나 예를 들면 5분∼15분 정도이다.
또한, 나중의 주형중합경화 중의 기포발생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각 원료, 첨가제의 혼합전, 혼합시 또는 혼합후에, 감압하에서 탈가스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때의 감압도는 예를 들면 0.1mmHg∼50mmHg 정도에서 행하며, 특히 예를 들면 1mmHg∼20mmHg의 범위에서 행한다.
더구나, 광학재료의 품질을 더욱 높인다는 관점에서, 이들 주, 부원료의 혼합물의 정제 또는 혼합전의 주, 부원료의 정제를 예를 들면 0.05∼3mm 정도의 개구 직경을 갖는 필터로 불순물 등을 여과하여 행할 수 있다.
상기 혼합된 원료는 예를 들면 유리나 금속제의 형틀에 주입 후, 전기로 등에 의한 중합경화를 행한다. 경화온도는 예를 들면 5℃∼120℃, 경화시간은, 예를 들면 1∼72시간이 될 수 있다. 또한, 광학재료의 왜곡을 배제하기 위해, 경화종료후, 재료를 예를 들면 50∼150℃의 온도에서 예를 들면 10분∼5시간 정도 어닐링처리를 행할 수 있다.
플라스틱 렌즈가 중합후에 형틀로부터 떨어지기 어려운 경우에는, 공지의 외부 및 내부 이형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이형제를 사용 또는 첨가하여 이형성을 향상시켜도 된다. 또한, 자외선으로부터 수지 또는 눈을 보호할 목적으로 자외선흡수제가 사용되고, 적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목적으로 적외선흡수제를 첨가하여도 된다. 이들의 첨가량은 사용하는 첨가제의 흡수능과 최대 흡수파장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면 원료 전체량에 대해 0.03중량%∼3중량% 정도이다. 또한, 이들 흡수제를 나중에 수지에 함침시키는 방법으로 행하여도 된다.
더구나, 수지의 미관을 유지 또는 향상시킬 목적으로, 산화방지제의 첨가나 소량의 색소를 사용하여 블루잉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는, 염료를 사용하여 염색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내스크래치성 향상을 위해, 유기규소 화합물 및 아크릴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에 산화 주석, 산화 규소, 산화 지르코늄, 산화 티타늄 등의 미립자형 무기물등 을 갖는 코팅액을 사용하여 경화피막을 플라스틱 렌즈 상에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우레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프라이머층을 플라스틱 렌즈 상에 형성하여도 된다.
더구나, 반사방지의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경화피막 상에, 예를 들면 산화 규소, 이산화 티타늄, 산화 지르코늄, 산화 탄탈 등의 무기물질로 이루어진반사방지막을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발수성 향상을 위해, 상기 반사방지막 상에 예를 들면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유기규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발수막을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플라스틱 렌즈에 관한 것이다. 더구나, 본 발명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티올 화합물,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과 유황을 반응시켜 얻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동일한 양의 동일한 원료를 사용하지만 유황을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 플라스틱 렌즈와 동일하거나 근본적으로 동일한 투명성을 갖는 투명한 플라스틱 렌즈에 관한 것이다.
렌즈의 투명성은 그것의 투과율 T=Φexin으로 정의되는데, 이때 Φex는 렌즈에서 나온 빛의 방사선 양이고, Φin은 렌즈로 들어가는 빛의 방사선 양으로, 빛은 가시광선이다(즉, 400 내지 750nm 범위의 파장을 갖는다).
반사방지막이 코팅되지 않을 때에는, 높은 굴절률을 갖는 렌즈가 높은 반사율 값을 제공하므로, 렌즈의 투명도는 렌즈의 굴절률에 의존한다.
500nm 내지 600nm 범위의 임의의 파장에서 1.8mm의 두께를 갖는 렌즈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을 때, 1.55 내지 1.65의 굴절률을 갖는 투명 렌즈는, 예를 들어 0.80 내지 0.92의 투명성, 특히 예를 들면 0.85 내지 0.92, 더욱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0.88 내지 0.92의 투명성을 갖는다.
500nm 내지 600nm 범위의 임의의 파장에서 1.8mm의 두께를 갖는 렌즈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을 때, 1.66 내지 1.76의 굴절률을 갖는 투명 렌즈는, 예를 들어 0.80 내지 0.91의 투명성, 특히 예를 들면 0.85 내지 0.91, 더욱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0.88 내지 0.91의 투명성을 갖는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이때,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얻어진 안경용 플라스틱 렌즈의 물성평가는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하였다.
(1) 굴절률과 아베수
칼뉴(Kalnew)사제 정밀굴절률계 모델 KPR-200을 사용하여 20℃에서 측정하였다.
(2) 투명성
육안으로 판단하였다.
실시예 1
(a) 프리폴리머의 제작(성분 A)
3구 플라스크에,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1,4-디티안을 14.40 중량부, 비스(머캅토메틸)-1,4-디티안을 33.20 중량부, 테트라-n-부틸-1,3-디아세톡시-디스타녹산을 0.024 중량부,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 설파이드를 47.60중량부 넣었다.이 혼합물을 50℃로 유지하면서 질소분위기 하에서 24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그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 근방까지 냉각시켰다.
(b) 혼합물 X의 제작(성분 B)
3구 플라스크에 분말 유황 14.29 중량부,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 설파이드 75.19 중량부를 넣고, 이 혼합물을 60℃로 가열하여, 질소분위기 하에서 용해시킨 후, 40℃에서 약 12시간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성분 A 및 C와 조합 전에 약 25℃까지 냉각시켰다.
(c) 혼합물 Y의 제작(성분 C)
테트라부틸포스포늄브로마이드를 0.04 중량부,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 설파이드를 2.00 중량부 칭량하고 용해시켜 용액을 제작하였다.
(d) 성분 A, 성분 B, 성분 C의 혼합 및 중합
성분 B가 89.48 중량부가 들어 있는 3구 플라스크에, 성분 A를 9.52 중량부(우레탄 성분으로서의,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1,4-디티안과, 비스(머캅토메틸)-1,4-디티안의 전체량은 4.76 중량부)를 가하고, 혼합하였다. 이 혼합액에, 성분 C를 1.02 중량부를 가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의 혼합 탈기를 행하였다. 그후,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제의 1.0미크론의 필터로 여과하면서, 0.00D, -3.00D의 렌즈 틀에 주입하였다. 중합과 경화는 35℃에서 95℃까지 24시간에 걸쳐 서서히 승온시켜 행하였다. 경화 후, 경화된 생성물을 70℃ 근방까지 냉각시킨 후, 이형하여 0.00D와 -3.00D 렌즈를 얻었다. 평가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렌즈는 투명하고 굴절률 1.73, 아베수 33의 물성을 갖고 있었다.
실시예 2∼9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의 종류와 그 혼합비, 에피티오기 함유 화합물의 첨가량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환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으로 실시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투명하고, 고굴절률, 고아베수의 특성을 갖는 렌즈를 얻을 수 있었다.
[표 1]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비에서, 혼합 전에 우레탄 프리폴리머(성분 A)를 미리 제작하지 않고 렌즈 제작을 시도하였다.
(a) 성분 D의 제작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 설파이드 80.95 중량부, 분말 유황 14.29 중량부를 혼합하고, 혼합물을 질소분위기 하에서 60℃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40℃에서 약 12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다른 성분들과 혼합하기 전에 반응 혼합물을 25℃ 전후까지 냉각시켰다.
(b) 렌즈 원료의 조합 및 중합
상기 성분 D에,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1,4-디티안을 1.44 중량부, 비스(머캅토메틸)-1,4-디티안을 3.32 중량부, 테트라-n-부틸-1,3-디아세톡시-디스타녹산을 0.0024 중량부, 테트라부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를 0.02 중량부 가하고 혼합하여, 그 혼합물의 혼합탈기를 행하였다. 그후, 혼합물을 PTFE제의 1.0미크론의 필터로 여과하면서, 0.00D, -3.00D의 렌즈 틀에 주입하였다. 중합 및 경화는 35℃에서 95℃까지 24시간에 걸쳐 서서히 승온시켜 행하였다. 경화후, 경화된 생성물을 70℃ 근방까지 냉각시킨 후, 이형하였다. 얻어진 렌즈는 흐릿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과 동일한 수법이지만, 우레탄 성분비를 적게 하여 렌즈 제작을 시도하였다.
우레탄 성분인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1,4-디티안을 0.58 중량부, 비스(머캅토메틸)-1,4-디티안을 1.33 중량부,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 설파이드를 83.81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비교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얻어진 렌즈는 흐릿하였다.
비교예 3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포함한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에 유황을 혼합하고 용해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같은 조성으로 렌즈 제작을 시도하였다.
플라스크에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 설파이드를 79.95 중량부,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1,4-디티안을 1.44 중량부, 비스(머캅토메틸)-1,4-디티안을 3.32 중량부, 테트라-n-부틸-1,3-디아세톡시-디스타녹산을 0.0024 중량부 칭량하여, 혼합물을 50℃로 유지하면서 질소분위기 하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시킨 후에, 분말 유황을 9.52 중량부 가하고, 혼합물을 질소분위기 하에서 60℃로 가열하였다. 용해과정에서 용액이 적색화하여, 발열을 따른 황색 가스를 발생하면서 타르화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비이지만,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작할 때에 반응성 희석제(에피티오 화합물)를 사용하지 않고 렌즈 제작을 시도하였다.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1,4-디티안을 1.44 중량부, 비스(머캅토메틸)-1,4-디티안을 3.32 중량부, 촉매인 테트라-n-부틸-1,3-디아세톡시-디스타녹산을 0.0024 중량부를 칭량하고, 이 혼합물을 50℃로 유지하면서 질소분위기 하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용액은 고화하여,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 설파이드를 가하더라도 혼합되지 않았다.
[표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MD:1.44 BIMD:0.58 BIMD:1.44 BIMD:1.44
폴리티올 화합물 BMMD:3.32 BMMD:1.33 BMMD:3.32 BMMD:3.32
SH/NCO 2.5 2.5 2.5 2.5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 - - BEPS:79.95 -
촉매: YK-1 0.0024 0.0024 0.0024 0.0024
촉매: TBPB 0.02 0.02 0.02 0.02
분말 유황 - - 9.52 -
성분 D(중량부)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 BEPS:80.95 BEPS:83.81 - BEPS:80.95
유황 14.29 14.29 - 14.29
조성비 우레탄 성분 5 2 5 5
에피티오 성분 85 88 90 85
유황성분 15 15 10 15
외관 흐릿함 흐릿함 반응중에 유황 폭주 혼합중에 경화
BIMD: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1,4-디티안
DIMB: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8MMD: 비스(머캅토메틸)-1,4-디티안
DMES: 비스(머캅토에틸) 설파이드
DMTMP: 1,2-비스(마캅토에틸티오)-3-머캅토프로판
BEPS: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 설파이드
BEPDS: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 디설파이드
TBPB: 테트라부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TK-1: 테트라부틸-디아세톡시-디스타녹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고굴절률, 고아베수이며, 투명성이 우수한 안경용 플라스틱 렌즈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국면을 더욱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특정한 실시예들과 연계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들 특정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면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대안, 변형물 및 등가물을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1)

  1. (1)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을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 중에서 반응시켜 얻어지는 프리폴리머, (2)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 중에 유황을 함유하는 혼합물과, (3)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촉매의 혼합물을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프리폴리머 중의 폴리티올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비율이 -SH/-NCO의 몰비로 1.7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프리폴리머 중의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의 중량이 프리폴리머 원료 전체량에 대해 50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유황의 함유량이, 상기 (1), (2) 및 (3)의 전체량에 대해 5∼30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1)에 사용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전체 함유량은, 상기 (1), (2) 및 (3)의 전체량에 대해 15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1) 및 (3)에 사용된 폴리티올 화합물의 전체 함유량은, 상기 (1), (2) 및 (3)의 전체량에 대해 15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프리폴리머의 점도가 5000mPa·s(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1,4-디티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폴리티올 화합물은, 비스(머캅토메틸)-1,4-디티안, 비스(머캅토에틸) 설파이드, 비스(머캅토에틸) 디설파이드 및 1,2-비스(머캅토에틸)티오-3-머캅토프로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은,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 설파이드 및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 디설파이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기 위한 액체에 촉매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촉매가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식 중에서, R1, R2, R3 및 R4는 C1∼C4알킬기를 나타내고, 각각이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된다.
  13. 제 12항에 있어서,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촉매는, 테트라메틸-디아세톡시-디스타녹산, 테트라에틸-디아세톡시-디스타녹산, 테트라프로필-디아세톡시-디스타녹산 및 테트라부틸-디아세톡시-디스타녹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렌즈 상에 경화피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경화피막은 유기규소 화합물을 원료로부터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경화피막 상에 반사방지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반사방지막은 무기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반사방지막 상에 발수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발수막은 불소 원자를 함유한 유기규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20. (1)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을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 중에서 반응시켜 얻어지는 프리폴리머, (2)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 중에 유황을 함유하는 혼합물과, (3)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촉매의 혼합물을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
  21.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티올 화합물, 에피티오기를 갖는 화합물과유황을 반응시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플라스틱 렌즈.
KR1020030018850A 2002-03-28 2003-03-26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렌즈 KR100553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90423 2002-03-28
JPJP-P-2002-00090423 2002-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691A true KR20030078691A (ko) 2003-10-08
KR100553011B1 KR100553011B1 (ko) 2006-02-16

Family

ID=27800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850A KR100553011B1 (ko) 2002-03-28 2003-03-26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렌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01953B2 (ko)
EP (1) EP1348726B1 (ko)
KR (1) KR100553011B1 (ko)
CN (1) CN1322337C (ko)
AT (1) ATE338780T1 (ko)
AU (1) AU2003201356B2 (ko)
CA (1) CA2418535A1 (ko)
DE (1) DE60308080T2 (ko)
TW (1) TWI30960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963B1 (ko) * 2008-10-17 2011-01-21 주식회사 럭키산업 평선 자동 감지기
WO2013103276A1 (ko) * 2012-01-06 2013-07-11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티오에폭시 화합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폴리티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굴절 광학렌즈용 공중합체 조성물과 광학렌즈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304935T2 (de) * 2002-06-04 2006-09-21 Hoya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linsen und die hergestellte Kunststofflinse
JP4393831B2 (ja) * 2003-09-22 2010-01-06 Hoya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WO2008136401A1 (ja) * 2007-04-27 2008-11-13 Hoya Corporation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KR20100084513A (ko) * 2007-09-14 2010-07-26 이상희 결정성 광물의 분말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렌즈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에 의하여 제조된 플라스틱 렌즈
JP5217887B2 (ja) * 2008-01-28 2013-06-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物品
JP5228725B2 (ja) * 2008-03-24 2013-07-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物品
EP2455413B1 (en) * 2009-07-16 2016-08-31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Optical material, optical le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material
KR101831892B1 (ko) * 2016-06-30 2018-02-2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티오우레탄계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KR101893558B1 (ko) * 2017-02-03 2018-08-30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플라스틱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
CN110627981B (zh) * 2018-06-22 2022-01-07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树脂组合物、光学树脂材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2657702B1 (ko) * 2019-03-26 2024-04-15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에피설파이드계 고굴절 광학재료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광학재료의 제조방법
CN111748069B (zh) * 2019-03-29 2022-04-22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树脂组合物及其制备的光学树脂材料
WO2023101379A1 (ko) * 2021-11-30 2023-06-08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광학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2933A (ja) * 1999-04-23 2001-01-09 Mitsubishi Gas Chem Co Inc 光学材料用組成物
JP3738817B2 (ja) 1999-04-23 2006-01-25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組成物
JP2001131257A (ja) * 1999-11-09 2001-05-15 Mitsubishi Gas Chem Co Inc 樹脂用組成物
CA2337955C (en) * 2000-03-15 2006-07-25 Hoya Corporation Plastic lenses for spectacles
JP3706036B2 (ja) 2000-03-15 2005-10-12 Hoya株式会社 眼鏡用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3562579B2 (ja) * 2000-10-13 2004-09-08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組成物
DE60304935T2 (de) * 2002-06-04 2006-09-21 Hoya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linsen und die hergestellte Kunststofflin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963B1 (ko) * 2008-10-17 2011-01-21 주식회사 럭키산업 평선 자동 감지기
WO2013103276A1 (ko) * 2012-01-06 2013-07-11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티오에폭시 화합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폴리티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굴절 광학렌즈용 공중합체 조성물과 광학렌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38780T1 (de) 2006-09-15
AU2003201356B2 (en) 2005-02-03
EP1348726B1 (en) 2006-09-06
CN1448732A (zh) 2003-10-15
DE60308080D1 (de) 2006-10-19
AU2003201356A1 (en) 2003-10-16
TW200306249A (en) 2003-11-16
US20030194487A1 (en) 2003-10-16
DE60308080T2 (de) 2006-12-21
CN1322337C (zh) 2007-06-20
KR100553011B1 (ko) 2006-02-16
US7101953B2 (en) 2006-09-05
CA2418535A1 (en) 2003-09-28
TWI309603B (en) 2009-05-11
EP1348726A1 (en) 200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5991B1 (ko)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렌즈
KR100566035B1 (ko)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렌즈
US8304506B2 (en) Polythiourethane-based 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optical resin obtained from the same
JP4716249B2 (ja) 重合性組成物
US20040220370A1 (en) Plastic lenses for spectacles
KR100553011B1 (ko)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렌즈
EP3133098A1 (en)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optical material produced from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WO2007125636A1 (ja) 重合性組成物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樹脂および光学部品
KR101877590B1 (ko) 광학 재료용 조성물
EP2540762B1 (en)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s,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optical materials made from the composition
KR101802479B1 (ko) 고리개환을 통해 사슬연장된 폴리티올화합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우레탄계 광학재료용 수지 조성물
JP4298560B2 (ja) 硫黄含有プレポリマーの製造方法及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3866671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WO2022071482A1 (ja) 眼鏡レンズ
WO2022071497A1 (ja) 眼鏡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