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7008A - 선형 가이드 - Google Patents

선형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7008A
KR20030077008A KR10-2003-7009885A KR20037009885A KR20030077008A KR 20030077008 A KR20030077008 A KR 20030077008A KR 20037009885 A KR20037009885 A KR 20037009885A KR 20030077008 A KR20030077008 A KR 20030077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shaft
linear guide
need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9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쩨르닉켈알렉산더
되플링호르스트
Original Assignee
이나-쉐플러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나-쉐플러 카게 filed Critical 이나-쉐플러 카게
Publication of KR20030077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00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06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to allow axial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06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to allow axial displacement
    • F16D3/065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to allow axial displacement by means of roll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20Land vehicles
    • F16C2326/24Steering systems, e.g. steering rods or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신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관형 하우징(2)과 롤링 본체에 의해서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샤프트(1) 사이에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선형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샤프트(1)를 감싸고, 각각 2개의 베어링 레이스 또는 디스크를 가지며, 상기 베어링 레이스 또는 디스크 사이에 롤링 본체 세트를 구비한 다수의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3)이 상기 관형 하우징(2) 내에서 방사 방향 베어링 평면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감마찰 베어링(3)의 하나의 베어링 디스크는 부싱을 형성하면서 하우징(2) 내에 지지되고, 상기 부싱의 중심축은 샤프트-종축의 법선으로부터 소정 거리(a) 만큼 평행하게 오프셋 되며, 상기 감마찰 베어링(3)의 다른 베어링 디스크는 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의 볼록한 돔 표면은 샤프트(1)의 표면 영역에 지지된다.

Description

선형 가이드{LINEAR GUIDE}
미국특허 제 3 427 656 호에는, 샤프트를 감싸고 관형 하우징 내에 지지되어 있는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이 상기 샤프트의 방사 방향 평면 영역에서, 돔 형태로 형성된 베어링 디스크에 의해 샤프트 표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선형 가이드가 공지되어 있다. 횡단면상으로 볼 때 샤프트가 원형이기 때문에, 샤프트의 토크는 하우징으로 전달될 수 없다. 그밖에 상기 선형 가이드는 내장된 베어링 세트의 초기 응력을 형성하기 위해 인장 스크루를 필요로 하며, 상기 초기 응력은 하우징의 방사형 슬롯 영역에서 하우징에 작용한다.
독일특허 제 196 19 449 A1 호는 로드 또는 샤프트를 구비한 선형 가이드를보여주고 기술하고 있으며, 상기 로드 또는 샤프트의 작동면에는 상기 샤프트를 감싸는 캐리지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가 지지된다. 상기 캐리지는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한 T형-홈을 갖는 정사각형 중공 프로필이며, 상기 T형-홈에 의해 소정 부분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중공 프로필의 측벽에 보어가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보어 내에 피벗 베어링, 특히 볼 베어링이 배치되어 있다. 그밖에, 적어도 하나의 롤러 또는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피벗 베어링은 조절 장치,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를 샤프트에 대해 유격 없이 세팅할 수 있는 조절 나사를 필요로 한다.
독일특허 제 37 30 393 A1 호에는, 축을 따라 서로의 내부로 이동 가능한 샤프트 부분을 위한, 토크를 전달하는 연결부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는 차량의 조타축(steering axle)용으로 규정되어 있다. 서문에 언급된 유형의 상기 선형 가이드의 경우에는, 롤링 본체로서 작용하는 볼이 한편으로는 외부 샤프트 부분의 내부 종방향 홈에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내부 샤프트 부분의 외부 종방향 홈에 유격 없이 고정된다. 샤프트 부분이 상호 상대적으로 축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제조 허용 오차의 보상 및 추가 처리 과정 없는 작동 유연성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볼이 금속 시이트로 이루어진 트랙 내에 배치되어야 하며, 상기 볼은 샤프트의 중심 종축과 관련하여 종방향 홈 내부에 삽입되어 방사 방향으로 초기 응력을 받는다. 또한 상기 2개의 샤프트 부분은 다만 제한된 행정으로만 상호 상대적으로 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신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관형 하우징과 롤링 본체에 의해서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샤프트 사이에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선형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선형 가이드는 차량 분야에서, 예컨대 톱니 래크를 가이드 하기 위해 또는 조타주 내에서 조타 스핀들을 가이드 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선형 가이드는 변속 기어 내에서 셀렉터 샤프트(selector shaft) 또는 셀렉터 샤프트 및 포크(selector shaft and fork)를 가이드 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도 1은 평행하게 이동되어 내장된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을 보여주는, 하나의 베어링 평면 영역에서의 횡단면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 가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횡단면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변형된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을 구비한 도 2에 상응하는 부분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니들 및 볼을 포함하는 조합된 롤링 베어링을 구비한 도 2에 상응하는 부분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비해 변형된, 선회되어 내장된 니들 베어링을 구비한 도 2에 상응하는 부분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형 하우징의 치수 허용 오차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샤프트의 치수 허용 오차의 영향이 제거되고, 차량용 조타 샤프트 또는 조타주로 적합하며, 상기 관형 하우징이 내부 조타주로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서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샤프트가 조타 스핀들로서 형성된, 제한되지 않은 행정으로 동작하는 저렴한 선형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관형 하우징 내에 샤프트를 감싸는 다수의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이 축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방사 방향 평면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 하나의 방사 방향 베어링 평면 영역에서는 상기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이 각각 2개의 베어링 레이스 또는 베어링 디스크, 및 상기 2개의 베어링 레이스 또는 디스크 사이에 있는 롤링 본체 세트를 구비하며, 상기 감마찰 베어링의 하나의 베어링 디스크는 부싱을 형성하면서 하우징 내에 지지되고, 상기 부싱의 중심축은 샤프트-종축의 법선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평행하게 이동 배치되며, 상기 감마찰 베어링의 다른 베어링 디스크가 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의 볼록한 돔 표면이 샤프트의 표면 영역에 지지됨으로써 해결된다.
한편으로는 부싱축이 샤프트 중심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함으로써,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샤프트의 표면 영역에서 지지되는 베어링 디스크의 볼록한 돔 표면으로 인해, 접촉점으로부터의 이동 및 그에 따라 회전 레버가 나타나고, 상기 회전 레버는 샤프트의 선형 이동 동안에 베어링 디스크의 회전을 야기한다. 측정 허용 오차로부터 야기되는 영향은, 샤프트와 관련한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의 위치를 허용 오차와 무관하게 설정함으로써 배제된다.
부싱의 축을 평행하게 이동 배치하는 대신에, 기울어진 축을 갖는 부싱을 배치함으로써도 동일한 작용에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과제는 또 하나의 추가 제안에 따라, 관형 하우징 내에 샤프트를 감싸는 방사형 니들 베어링이 축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방사 방향 평면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 하나의 방사 방향 베어링 평면 영역에서는 상기 방사형 니들 베어링이 각각 2개의 베어링 레이스 또는 베어링 디스크, 및 상기 2개의 베어링 레이스 또는 디스크 사이에 있는 롤링 본체 세트를 구비하며, 상기 니들 베어링의 하나의 베어링 디스크는 니들 부싱을 형성하면서 하우징 내에 지지되고, 상기 니들 부싱의 중심축은 샤프트-종축의 법선으로부터 평행하게 오프셋 되거나 또는 기울어져 배치되며, 상기 니들 베어링의 다른 베어링 디스크는 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의 볼록한 돔 표면은 샤프트의 표면 영역에 지지되며, 상기 베어링 디스크가 베어링 저널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저널이 니들 부싱 및 상기 부싱 내에 배치된, 니들로서 형성된 롤링 본체에 의해 감싸져 있음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한 가지 장점은, 선형 가이드에 의해서 토크의 전달뿐만 아니라 기울기 모멘트(tilting moment)의 전달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샤프트 종축을 X-축으로 간주하고, 상기 X-축에 대해 및 서로에 대해 직각으로 서있는 2개의 축을 Y-축 및 Z-축으로 간주하면, X-축을 중심으로 하는 모멘트는 샤프트로부터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토크이다. 샤프트를 감싸는 베어링이 축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방사 방향 평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본 경우에 기울기 모멘트로서 표기되는 Y-축을 중심으로 하는 모멘트 및 Z-축을 중심으로 하는모멘트도 또한 샤프트로부터 하우징으로 전달될 수 있다.
내부 조타주로서 기능하는 하우징이 벽이 얇은 하우징이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은 자체 탄성으로 인해 초기 응력 부재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개별 지지 베어링이 우선 하우징 내부에서 중심 쪽으로 과도하게 설치된다. 그 후에 샤프트가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응하는 소정의 초기 응력 효과에 의해서 하우징의 확장, 즉 내부 조타주의 탄성 변형이 이루어진다. 미리 공지된 선행 기술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특수한 인장 스크루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필요치 않다.
선형 가이드의 샤프트는 횡단면상으로 볼 때 3각형, 4각형, 정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기본 형상을 갖는 다각 샤프트로 형성된 조타주 스핀들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원주 방향으로 연속하는 2개의 종방향 에지 사이에는 오목한 표면을 갖는 표면 영역이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한 표면 영역에 의해서는 지지 강도가 상승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는, 롤링 본체 및 트랙을 갖춘 완전한 베어링 조립 부품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트랙을 하우징 내부에 통합시킬 필요가 더이상 없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하기에서 자세하게 기술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선형 가이드는 샤프트(1), 하우징(2) 및 볼 베어링으로 형성된 다수의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3)으로 이루어진다. 샤프트(1)는 횡단면 상으로 볼 때 정사각형의 기본 형상으로부터 출발하며, 상기 샤프트 내부의 4개의 종방향면에 오목한 표면 영역(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표면 영역은 일정한 횡단면 치수로 샤프트(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우징(2)은 샤프트 치수에 비해 더 큰 횡단면 내부 치수를 갖는 4각 파이프의 형태로 형성된다. 샤프트(1)는 하우징(2) 내에 축을 따라 삽입되고, 하우징 내에서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3)에 의해 방사 방향으로 지지된다. 이를 위해 선형 가이드에는 2개의 방사 방향 베어링 평면이 제공되며, 상기 2개의 베어링 평면은 길이 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유지한다. 각 베어링 평면 영역에서는 4개의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3)이 관형 하우징(2)의 원주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하우징(2)은 방사 방향 관통 보어(5)를 가지며, 이 경우 각각의 보어(5)는 샤프트(1)의 오목한 표면 영역(4) 근처에 있다.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3)은 각각 베어링 디스크(6), 부싱(7)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롤링 본체 세트(8)로 이루어지며, 롤링 본체로서는 볼이 사용된다. 베어링 디스크(6)는 돔 형태로 형성되고, 샤프트(1) 쪽으로 볼록한 돔 표면(9)을 가지며, 상기 표면에 의해 베어링 디스크가 샤프트(1)의 이웃하는 오목한 표면 영역(4)에서 샤프트에 지지된다. 이 경우에는 적절한 밀착 상태로 인해 접촉점(10)에서 포인트 접촉이 이루어진다.
돔 형태의 베어링 디스크(6)는 둘레에 있는 롤링 본체 세트(8)에 의해서 부싱(7)에 지지되며, 상기 부싱은 비절단 방식으로 형성된 부품이고, 상기 롤링 본체 세트(8)를 위한 트랙을 갖는다. 부싱(7)은 하우징(2)의 개별 보어(5) 내부로 가압된다. 이 경우에는 보어(5)가 하우징(2) 내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부싱(7)의 중심축(11)은 베어링 평면에서 진행하는 샤프트(1)의 종축의 법선(12)으로부터 소정 거리(a) 만큼 평행하게 오프셋 된다. 상기 오프셋으로 인해 접촉점(10)이 치수 (b)만큼 법선(12)으로부터 움직이고, 상기 치수는 회전 레버로서 표기될 수 있다. 샤프트(1)가 하우징(2) 내부에서 선형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회전 레버(b)가 접촉점 또는 형성되는 접촉선(10) 만큼 베어링 디스크(6)를 회전시킨다.
샤프트(1)에 대한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3)의 위치를 허용 오차와 무관하게 설정하는 과정은 관형 하우징(2) 내에서의 조립시에 하기와 같이 이루어진다: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3)은 샤프트(1)에서 원하는 콘택이 이루어질 때까지 깊게 또는 오랫동안 보어(5) 내부로 가압되며, 이와 같은 삽입 과정은 파워 상승 수치를 보고 알 수 있다.
도 1은 베어링 평면의 전방 영역을 단면으로 보여준다. 샤프트(1)를 하우징(2) 내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토크를 선형 가이드의 양 원주 방향으로 유격 없이 전달할 수 있기 위한, 상기와 같은 적어도 또 하나의 추가 베어링 평면이 필요하다. 따라서, 후방 베어링 평면 영역에서는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3)의 2개의 부싱을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4각 프로필에서 모든 축방향에 샤프트를 배치할 수 있기 위해서는, 베어링 평면 당 적어도 2개의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3)이 제공되어야 한다.
샤프트는 도면과 다른 프로필, 예컨대 3각형 프로필, 다각형 프로필, 중공 프로필 또는 입체 프로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본 원리에 따르면 원형 샤프트도 가능하지만 토크가 수용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가이드의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13)을 보여주는데, 상기 베어링의 부싱(14) 내에는 추가로 탄성 고무링(15)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고무링에서는 롤링 본체 세트(8)용 트랙을 구비한 추가의 베어링 디스크(16)가 지지된다. 이 경우 고무링(15)은 치수 허용 오차를 위한 보상 부재로서 및 소음 차단 부품으로서 작용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 가이드에서는 전적으로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만을 사용하는 대신에 니들 부시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4에서 방사형-니들 베어링(18)의 니들 부싱(17) 내에는, 베어링 저널(20)을 축방향으로 지지시키기 위한 추가의 롤링 본체 세트(19)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롤링 본체 세트는 베어링 디스크(6)에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디스크와 일체형으로 구현된다. 상기 롤링 본체 세트(19)에 의해서는 회전하는 베어링 저널(20)의 마찰이 감소된다.
도 5에서, 니들로 이루어진 니들 베어링(22)의 롤링 본체 세트 및 베어링 저널(20)을 감싸는 니들 부싱(21)의 바닥은 내부로 볼록한 만곡부(23)를 가지며, 상기 만곡부에서 베어링 저널(20)이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베어링 저널(20)의 회전시 마찰이 감소된다. 도 5에 도시된 니들 부싱(21)의 중심축(11)은 샤프트-종축의 법선(12)에 대해 각도(α) 만큼 기울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베어링 디스크(6)를 위한 회전 레버(b) 및 상기 회전 레버에 의해 야기되는 회전 효과가 형성된다.
모든 실시예에서 개별 베어링은 하우징 제작 재료의 코우킹(24, caulking)(도 4 및 도 5)에 의해서 또는 스프링 링에 의해서 하우징(2)의 보어(5)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선형 가이드의 초기 응력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베어링은 예컨대 샤프트에 비해 치수가 작은 공구가 삽입된 후에 샤프트 치수가 필요로 하는 것보다 더 깊이 가압되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공구를 제거한 후에는 샤프트가 하우징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은 초기 응력을 가하는 부재로서 작용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샤프트 2: 하우징
3, 13: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 4: 오목한 표면 영역
5: 보어 6, 16: 베어링 디스크
7, 14: 부싱8, 19: 롤링 본체 세트
9: 돔 표면 10: 접촉점
11: 중심축 12: 법선
15: 고무링 17, 21: 니들 부싱
18, 22: 니들 베어링20: 베어링 저널
23: 만곡부24: 코우킹
a: 오프셋 b: 치수, 회전 레버
α: 각도

Claims (9)

  1. 자신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관형 하우징(2)과 롤링 본체에 의해서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샤프트(1) 사이에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선형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관형 하우징(2) 내에서는 상기 샤프트(1)를 감싸는 다수의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3, 13)이 축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방사 방향 평면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 하나의 방사 방향 베어링 평면 영역에서는 상기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3, 13)이 각각 2개의 베어링 레이스 또는 베어링 디스크, 및 상기 2개의 베어링 레이스 또는 디스크 사이에 있는 롤링 본체 세트를 구비하며, 상기 감마찰 베어링(3)의 하나의 베어링 디스크는 부싱(7, 14)을 형성하면서 하우징(2) 내에 지지되고, 상기 부싱(7, 14)의 중심축(11)은 샤프트-종축의 법선(12)으로부터 소정 거리(a) 만큼 평행하게 이동 배치되며, 상기 감마찰 베어링(3, 13)의 다른 베어링 디스크(6)는 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의 볼록한 돔 표면(9)은 샤프트(1)의 표면 영역(4)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가이드.
  2. 자신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관형 하우징(2)과 롤링 본체에 의해서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샤프트(1) 사이에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선형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관형 하우징(2) 내에서는 상기 샤프트(1)를 감싸는 방사형 니들베어링(18, 22)이 축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방사 방향 평면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 하나의 방사 방향 베어링 평면 영역에서는 상기 방사형 니들 베어링(18, 22)이 각각 2개의 베어링 레이스 또는 베어링 디스크, 및 상기 2개의 베어링 레이스 또는 디스크 사이에 있는 롤링 본체 세트를 구비하며, 상기 니들 베어링(3)의 하나의 베어링 디스크는 니들 부싱(17, 21)을 형성하면서 하우징(2) 내에 지지되고, 상기 니들 부싱(17, 21)의 중심축(11)은 샤프트-종축의 법선(12)으로부터 평행하게 오프셋 되거나 또는 기울어져 배치되며, 상기 니들 베어링(18, 22)의 다른 베어링 디스크(6)는 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의 볼록한 돔 표면(9)은 샤프트(1)의 표면 영역(4)에 지지되며, 상기 베어링 디스크는 베어링 저널(20)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저널은 니들 부싱(17, 21) 및 상기 부싱 내에 배치된, 니들로서 형성된 롤링 본체에 의해 감싸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가이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3, 13)의 부싱(7, 14) 또는 니들 베어링(18, 22)의 니들 부싱(17, 21)이 각각 하우징(2)의 방사형 관통 보어(5) 내부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가이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는 횡단면상으로 볼 때 3각형, 4각형, 정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기본 형상을 갖는 다각형 샤프트로서 형성된 조타주 스핀들(steering pillar spindle)이며, 원주 방향으로 연속하는 2개의 종방향 에지 사이에는 오목한 표면을 갖는 표면 영역(4)이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가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3)이 볼 베어링으로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가이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부싱(21)의 바닥에는 내부로 볼록한 돌기 형태의 만곡부(23)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만곡부에 베어링 저널(20)의 외부 정면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가이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부싱(17)의 바닥과 상기 베어링 저널(20)의 외부 정면 사이에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의 롤링 본체 세트(19)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가이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감마찰 베어링(13)에는, 롤링 본체용 트랙을 구비한 베어링 디스크(16)가 스프링 부재, 예컨대 고무링(15)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가이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부싱(21)의 중심축(11)과 관련해서는, 소정 거리만큼 평행하게 이동 배치하는 방식 대신에, 샤프트-종축의 법선(12)에 대해 각도(α) 만큼 기울여 배치하는 방식이 제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가이드.
KR10-2003-7009885A 2001-02-15 2002-01-24 선형 가이드 KR200300770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06982A DE10106982A1 (de) 2001-02-15 2001-02-15 Linearführung
DE10106982.0 2001-02-15
PCT/EP2002/000675 WO2002064989A1 (de) 2001-02-15 2002-01-24 Linearführung zum übertragen von drehmoment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008A true KR20030077008A (ko) 2003-09-29

Family

ID=7674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9885A KR20030077008A (ko) 2001-02-15 2002-01-24 선형 가이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948401B2 (ko)
EP (1) EP1360423A1 (ko)
JP (1) JP2004518099A (ko)
KR (1) KR20030077008A (ko)
DE (1) DE10106982A1 (ko)
WO (1) WO20020649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9026A2 (ko) * 2010-06-16 2011-12-22 삼익정공 주식회사 무한 스트로크형 다각형 니이들 베어링 가이드
WO2011159027A2 (ko) * 2010-06-16 2011-12-22 삼익정공 주식회사 다각형 가이드 순환형 니이들 베어링 리테이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6305B2 (en) * 2001-09-04 2006-08-08 Ina-Schaeffler Kg Gearshift device
CN100390000C (zh) * 2001-10-01 2008-05-28 日本精工株式会社 车辆转向用伸缩轴
DE10220063A1 (de) * 2002-05-04 2003-11-13 Ina Schaeffler Kg Führung
DE60322896D1 (de) * 2002-06-11 2008-09-25 Nsk Ltd Teleskopspindel zum lenken eines fahrzeugs und telllenkupplung
DE10239618A1 (de) * 2002-08-29 2004-03-1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schiebelager und Motorradgabel mit einem solchen Verschiebelager
JP4196630B2 (ja) * 2002-10-02 2008-12-17 日本精工株式会社 車両ステアリング用伸縮軸
JP4254194B2 (ja) * 2002-10-10 2009-04-15 日本精工株式会社 車両ステアリング用伸縮軸
JP4419841B2 (ja) * 2002-11-29 2010-02-24 日本精工株式会社 車両ステアリング用伸縮軸
DE10302766A1 (de) * 2003-01-24 2004-07-29 Ina-Schaeffler Kg Zahnstangenlenkung
JP4190905B2 (ja) * 2003-02-06 2008-12-03 日本精工株式会社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GB0308911D0 (en) * 2003-04-17 2003-05-21 Lucas Automotive Gmbh A steering assembly
US7404768B2 (en) * 2003-07-02 2008-07-29 Nsk Ltd. Telescopic shaft for motor vehicle steering
JP4696916B2 (ja) * 2004-01-27 2011-06-08 日本精工株式会社 車両ステアリング用伸縮軸
US7516985B2 (en) 2004-03-11 2009-04-14 Delphi Technologies, Inc. Multi piece bearing for telescoping steering column assembly
US20060053933A1 (en) * 2004-08-30 2006-03-16 Gaeth Gerald A Dual axis rolling element for adjustable steering column
DE102004051829A1 (de) * 2004-10-25 2006-05-04 Bosch Rexroth Mechatronics Gmbh Linearführungs-Vorschubmodul mit Führungskörper sowie Ausleger hierfür
US20060131873A1 (en) * 2004-11-26 2006-06-22 Klingbail Kenneth E High pressure swivel joint
US7556293B2 (en) * 2005-06-27 2009-07-07 Delphi Technologies, Inc. Telescoping steering column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ssembly
DE102005037527B4 (de) * 2005-08-09 2014-07-03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Lenkwelle für Kraftfahrzeuge
US7740207B2 (en) * 2007-08-22 2010-06-22 Embraer - Empresa Brasileira De Aeronautica S.A. Aircraft flight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7798525B2 (en) * 2008-04-11 2010-09-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ollapsible steering column assembly
US8021235B2 (en) * 2008-12-16 2011-09-20 Nexteer (Beijing) Technology Co., Ltd. Rolling element shaft assembly
US20110088502A1 (en) * 2009-10-19 2011-04-2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teering column with integrated shaft bearing and tube-mounted slidable yoke
EP2598763A1 (en) * 2010-07-28 2013-06-05 Thomson Industries, Inc. Linear motion bearing system with self-aligning rail
US8443685B2 (en) * 2010-09-07 2013-05-21 Timotion Technology Co., Ltd. Linear actuator and safety mechanism for the same
JP5803495B2 (ja) * 2011-09-26 2015-11-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US8931805B2 (en) * 2012-11-30 2015-01-13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Telescoping shaft roller assembly in steering column
KR101687554B1 (ko) * 2014-12-30 2016-12-19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 동체 자동 장착 및 탈착 장치
US10295028B2 (en) 2016-07-26 2019-05-21 Blockwise Engineering Llc Linear actuator
JP6991658B2 (ja) * 2017-11-30 2022-01-12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ステアリ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91388A (en) * 1918-06-17 1919-01-14 Arvac Mfg Company Shaft-joint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1775055A (en) * 1929-05-31 1930-09-02 Tarbox Gurdon Lucius Method of making tube joints
US2023796A (en) * 1933-02-21 1935-12-10 Lee S Sorensen Driving bushing for rotary tables
DE649218C (de) * 1935-06-08 1937-08-18 Zeiss Carl Fa Lagerung
US3169407A (en) * 1962-02-28 1965-02-16 Westinghouse Air Brake Co Motion converting device
US3427656A (en) * 1966-01-19 1969-02-11 Donald E Miller Bearing
FR2169475A5 (ko) * 1972-01-26 1973-09-07 Glaenzer Spicer Sa
DE2705331A1 (de) * 1977-02-09 1978-08-10 Walter Schaefer Keilwelle
DE2804778C3 (de) * 1978-02-04 1982-04-08 Uni-Cardan Ag, 5200 Siegburg Teleskopantriebswelle
DE3124927A1 (de) * 1981-06-25 1983-03-31 INA Wälzlager Schaeffler KG, 8522 Herzogenaurach Wellenkupplung zur drehmomentuebertragung
SE461605B (sv) * 1987-03-12 1990-03-05 Ffv Autotech Ab Vridmomentoeverfoerande teleskopaxel med oeverbelastningsskydd
DE3730393C2 (de) * 1987-09-10 1994-01-13 Lemfoerder Metallwaren Ag Lenkwelle für Kraftfahrzeuge, bestehend aus axial ineinander verschieblichen Wellenteilen
DE8816516U1 (ko) * 1988-03-22 1989-12-14 J.M. Voith Gmbh, 7920 Heidenheim, De
DE3834900A1 (de) * 1988-10-13 1990-04-19 Boening Manfred Linearfuehrung - mit selbstnachstellender spieleinstellung ein- und mehrspurig nicht verdrehbar
DE8906246U1 (ko) * 1989-05-20 1990-02-15 Ina Waelzlager Schaeffler Kg, 8522 Herzogenaurach, De
FR2730773B1 (fr) * 1995-02-17 1997-04-30 Guimbretiere Pierre Joint de transmission coulissant, notamment a tripode
DE19619449A1 (de) * 1995-06-03 1996-12-05 Doma Tech Pneumatische Kompone Linearführung
DE19621464A1 (de) * 1996-05-29 1997-12-04 Schaeffler Waelzlager Kg Werkzeugmaschine
FR2759436B1 (fr) * 1997-02-11 1999-04-30 Pierre Guimbretiere Joint homocinetique coulissant a tripode
EP1106851B1 (de) * 1999-12-10 2001-08-01 SKF LINEARSYSTEME GmbH Wälzlager für Längsbewegung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9026A2 (ko) * 2010-06-16 2011-12-22 삼익정공 주식회사 무한 스트로크형 다각형 니이들 베어링 가이드
WO2011159027A2 (ko) * 2010-06-16 2011-12-22 삼익정공 주식회사 다각형 가이드 순환형 니이들 베어링 리테이너
WO2011159026A3 (ko) * 2010-06-16 2012-03-29 삼익정공 주식회사 무한 스트로크형 다각형 니이들 베어링 가이드
WO2011159027A3 (ko) * 2010-06-16 2012-03-29 삼익정공 주식회사 다각형 가이드 순환형 니이들 베어링 리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106982A1 (de) 2002-08-29
US20060005659A1 (en) 2006-01-12
US7147375B2 (en) 2006-12-12
JP2004518099A (ja) 2004-06-17
EP1360423A1 (de) 2003-11-12
US6948401B2 (en) 2005-09-27
US20040109620A1 (en) 2004-06-10
WO2002064989A1 (de) 200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77008A (ko) 선형 가이드
JP3015202B2 (ja) 軸受組立体
US3801171A (en) Preloading anti-friction bearing assembly
US4939946A (en) Composite motion guide device
KR920007779B1 (ko) 복합 운동 안내 유닛 및 그를 사용한 복합 운동 안내장치
CN109311505B (zh) 具有用于使滚珠返回的偏转本体的机电动力转向装置的滚珠丝杠传动件
JPH0155687B2 (ko)
WO2012144371A1 (ja) 直動案内機構
JP3222998B2 (ja) ボールスプライン
EP0180017A1 (en) A steering box for a motor vehicle
EP1906039A1 (en) Shaft coupling and in-wheel motor system using the same
KR20080036609A (ko) 휠 베어링 장치
KR102639868B1 (ko) 요동 스웨이징 장치, 허브 유닛 베어링의 제조 방법 및 차량의 제조 방법
US5207510A (en) Linear ball bearing assembly
US20050236218A1 (en) Rack and pinion steering system
EP0158206B1 (en) A ball bearing
JP2004218790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用軸受装置
JP5082589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2000230564A (ja) 回転軸支持構造
AU4599399A (en) Pure rolling bearing
JP2007303481A (ja) 伸縮軸および伸縮軸の製造方法
JP2004092665A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KR100656649B1 (ko) 고속회전을 위한 주축의 베어링 지지구조
SU1684564A1 (ru) Реечна передача
JPH07317764A (ja) スプライ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