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6850A - 무전극 방전 램프 - Google Patents

무전극 방전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6850A
KR20030076850A KR1020020015826A KR20020015826A KR20030076850A KR 20030076850 A KR20030076850 A KR 20030076850A KR 1020020015826 A KR1020020015826 A KR 1020020015826A KR 20020015826 A KR20020015826 A KR 20020015826A KR 20030076850 A KR20030076850 A KR 20030076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discharge lamp
magnetic
electrodeless discharge
magnetic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0329B1 (ko
Inventor
최대규
Original Assignee
최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규 filed Critical 최대규
Priority to KR10-2002-0015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329B1/ko
Publication of KR20030076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3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Discharge Lamps And Accessories Thereof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전극 방전 램프는 대략 반구형의 돔 형상을 갖는 엔벨로프를 구비한다. 엔벨로프의 내부에는 이온화 가능 기체 매질이 충진 되어있고, 내면에는 형광층이 코팅되어 있다. 엔벨로프의 평탄한 저면의 외측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기 코어가 근접하여 위치한다. 자기 코어의 자속 출입구는 평탄한 저면을 향하도록 위치하며, 자기 코어는 전체적으로 엔벨로프의 평탄한 저면 내에 위치한다. 자기 코어에는 권선이 수회 감겨 있으며, 권선의 양단은 RF를 제공하는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으로부터 RF가 권선으로 인가되면 유도 자장이 발생되어 자기 코어를 통해서 엔벨로프 내부로 전달되며, 이 유도 자장에 의해 엔벨로프 내부에 유도 전계가 발생되면서 내부에 충진된 불활성 가스들이 가속 충돌하여 무전극 방전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무전극 방전 램프는 엔벨로프 내부에 충진된 이온화 가능 기체 매질로 전달되는 이온화 에너지 전달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엔벨로프의 빛의 투과 영역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조도가 높은 무전극 램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기 코어에 의한 발열을 효과적으로 방열 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무전극 방전 램프{electrodeless discharge lamp}
본 발명은 무전극 방전 램프(electrodeless discharge lamp)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램프의 방전 효율을 증가할 수 있도록 엔벨로프(envelope) 및 자기 코어(magnetic core)의 구조를 개선한 무전극 방전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전극 방전 램프는 대략 6만 시간 이상의 수명을 갖는 것으로 통상적인 형광램프에 비하여 매우 긴 수명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으로 램프 교체 비용이 많이 드는 장소 예를 들어, 옥외 조명, 터널 조명, 산업시설 조명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무전극 방전 램프에 관한 기술로는 1980년 10월 12일자로 국내 특허 등록된 등록번호 특1980-0001141호 무전극 방전램프, 1995년 12월 28일자로 국내 공개된 공개번호 특1995-0034396호 무전극 형광램프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무전극 방전 램프는 크게 이온화 가능 기체 매질을 포함한 밀봉된 구형의 엔벨로프와 이온화에 필요한 에너지(이하, 이온화 에너지라 함)를 기체 매질로 제공하기 위한 유도권선(winding)을 구비한다. 유도 권선은 엔벨로프의 중심부에 형성된 공동(cavity)에 삽입되어 이온화 에너지를 엔벨로프 내의 기체 매질로 전달한다.
무전극 방전 램프의 효율은 유도 권선으로부터 제공되는 이온화 에너지가 효과적으로 엔벨로프 내의 기체 매질로 전해지는 것에 의존한다. 그럼으로 무전극 방전 램프의 셋 메이커들은 이온화 에너지가 엔벨로프 내의 기체 매질로 최대한 전달될 수 있는 무전극 방전 램프의 구조 및 회로를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엔벨로프와 자기코어의 구조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그러나, 자기 코어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무전극 방전 램프는 자기 코어의 한쪽 방향만이 엔벨로프의 내측으로 향하는 구조를 갖고 있어 이온화 에너지 전달 효율이 낮았다. 또한, 자기 코어가 엔벨로프에 형성된 동공 내로 삽입되어 있어 자기 코어의 발열이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국내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95-10169호 무전극 방전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자기 코어를 사용하지 않고 엔벨로프의 외주면에 권선을 감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엔벨로프의 외주면의 일부가 권선에 의해 가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무전극 방전 램프는 그 구조가 이온화 에너지의 전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자기 코어에 의한 발열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엔벨로프의 빛의 투과 영역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도 권선으로부터 엔벨로프 내의 이온화 가능 기체 매질로 전달되는 이온화 에너지 전달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엔벨로프 및 자기 코어 구조를 갖는 무전극 방전 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기 코어에 의한 발열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엔벨로프 및 자기 코어 구조를 갖는 무전극 방전 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엔벨로프의 빛의 투과 영역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 엔벨로프 및 자기 코어 구조를 갖는 무전극 방전 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무전극 방전 램프의 측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의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무전극 방전 램프의 측면도 및 평면도;
도 7은 도 4의 무전극 방전 램프에서 권선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변형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의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무전극 방전 램프의 측면도 및 평면도;
도 11은 도 8의 무전극 방전 램프에서 자기 코어의 위치를 변형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무전극 방전 램프의 측면도 및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의 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도 14의 무전극 방전 램프의 측면도 및 평면도; 그리고
도 17은 도 14의 자기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엔벨로프16: 반사층
20: 자기 코어28: 권선
30: RF 전원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무전극 방전 램프는: 반구형의 돔 형상을 갖고, 내부에 형광층이 코팅되며 이온화 가능 기체 매질이 충진된 엔벨로프; 엔벨로프의 평탄한 저면의 외측 하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코어; 자기 코어에 수회 감겨진 자기 유도를 위한 권선 및; 권선의 양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RF(Radio Frequency)를 제공하는 전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엔벨로프는 평탄한 저면과 형광층 사이에 반사층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기 코어는 두 개의 자속 출입구가 각각 엔벨로프의 평탄한 저면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말굽 형상을 갖는다. 상기 자기 코어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자기 코어에 감겨진 권선은 각기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기 코어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통 형상의 제1 자속 출입구와 제1 자속 출입구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형 기둥 형상의 제2 자속 출입구를 구비하되 제1 및 제2 자속 출입구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하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자속 출입구의 외주면까지의 지름은 엔벨로프의 평탄한 저면의 지름 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다. 상기 자기 코어는 제2 자속 출입구의 외면에 권선이 수회 감겨지며, 상기 권선은 제1 및 제2 자속 출입구 사이의 하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해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주 요소 외의 부분들의 도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으며,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기술자들이 기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의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각 구성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의 차이는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에게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1의 기본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의 사시도 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무전극 방전 램프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는 반구형의 돔(dome) 형상을 갖는 엔벨로프(10)를 구비한다. 엔벨로프(10)의 내부에는 이온화 가능 기체 매질 예를 들어, 수은, 아르곤, 할로겐 등과 같은 불활성 가스가 충진 되어있다. 엔벨로프(10)의 내면에는 형광층(12)이 코팅되어 있으며, 엔벨로프(10)의 평탄한 저면(14)과 형광층(12) 사이에는 반사층(16)이 형성될 수 있다.
평탄한 저면(14) 외측 하부에는 말굽 형상의 자기 코어(magnetic core)(20)가 근접하여 위치한다. 자기 코어(20)의 자속 출입구(22, 24)는 평탄한 저면(14)을 향하도록 위치하며, 자기 코어(20)의 길이(a) 및 폭(b)은 평탄한 저면(14)의 지름 보다 작다. 자기 코어(20)의 중심 몸체(26)에는 권선(winding)(28)이 수회 감겨 있다. 권선(28)의 양단은 RF(Radio Frequency)를 제공하는 전원(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무전극 방전 램프는 전원(30)으로부터 RF가 권선(28)으로 인가되면 유도 자장이 발생되어 자기 코어(20)를 통해서 엔벨로프(10) 내부로 전달된다. 이 유도 자장에 의해 엔벨로프(10) 내부에 유도 전계가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엔벨로프(10) 내부에 충진된 불활성 가스들이 가속 충돌하면서 이온화 즉, 무전극 방전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는 자기 코어(20)가 엔벨로프(10)의 외부로 노출된 구조를 갖고 있어 자기 코어(20)가 발열하더라도 쉽게 방열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자기 코어(20)의 두 개의 자속 출입구(22, 24)가 온전히 엔벨로프(10)로 향하여 근접해 위치함으로 자속 손실을 최대한 방지하는 효율적인 구조를 갖는다. 즉, 종래에 자기 코어가 엔벨로프의 동공에 삽입되는 형태를 갖는 무전극 방전 램프의 경우 발생되는 발열 문제와 자속 출입구의 일 측만이 엔벨로프를 향하도록 되어 자속 손실이 발생되는 종래의 구조에 비교하여 탁월한 방열 효과 및 자속 손실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의 제1 변형예)
다음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를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무전극 방전 램프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반구형의 돔 형상을 갖는 엔벨로프(10)를 구비한다. 평탄한 저면(14) 외측 하부에 근접해서 적어도 두 개의 말굽 형상의 자기 코어(40, 44)가 직렬로 배열되어 위치한다. 두 개의 자기 코어(40, 44)의 각각의 자속 출입구(41, 42)(45, 46)는 평탄한 저면(14)을 향하도록 위치하며, 두 개의 자기 코어(40, 44)의 전체 길이 및 폭은 평탄한 저면(14)의 지름보다 작다.
두 개의 자기 코어(40, 44)의 각각의 중심 몸체(43, 47)에는 권선(winding)(48)이 수회 감겨 있다. 그리고 권선(48)의 양단은 RF 주파수를 제공하는 전원(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는 두 개의 자기 코어(40, 44)가 엔벨로프(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두 개의 자기 코어(40, 44)가 발열하더라도 쉽게 방열 되는 구조를 갖으며, 두 개의 자기 코어(40, 44)의 각각의 자속 출입구(41, 42)(45, 46)가 온전히 엔벨로프(10)로 향하여 근접하게 위치함으로 자속의 손실을 방지하는 효율적인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두 개의 자기 코어(40, 44)를 엔벨로프(10)의 저면에 나누어 배열함으로써 이온화 에너지를 분산하여 엔벨로프(10) 내부로 전달하게 된다. 그러므로 엔벨로프(10) 내부에서는 고르게 방전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자기 코어(40, 44)에 감겨진 권선(48)은 각기 동일한 방향으로 감겨져 있으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아 유도 자기의 유도 방향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불활성 가스 입자들 간의 충돌 확률을 더 높게 하여 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자기 코어(40, 44)에 감겨진 권선(48)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나 병렬로 연결할 수 도 있다. 더 나아가, 첨부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자기 코어(40, 44)에 각기 독립적으로 권선들(49a, 49b)을 감고 서로 다른 전원들(32a, 32b)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권선의 전기적인 연결 방법과 전원의 공급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 할 수 있음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기술자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의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무전극 방전 램프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다른 변형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의 엔벨로프(50)는 일자로 길게 연장된 반구형의 돔(dome) 형상을 갖는다. 이 엔벨로프(50)의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불활성 가스가 충진 되어있다. 엔벨로프(50)의 내면에는 형광층(52)이 코팅되어 있으며, 엔벨로프(50)의 평탄한 저면(54)과 형광층(52) 사이에는 반사층(56)이 형성될 수 있다.
평탄한 저면(54) 외측 하부에는 말굽 형상의 자기 코어들(60, 70, 80)이 엔벨로프(5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근접하여 정렬되어 있다. 자기 코어들(60, 70, 80)의 각각의 자속 출입구(62, 64, 72, 74, 82, 84)는 평탄한 저면(54)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자기 코어들(60, 70, 80)의 각각의 중심 몸체(66, 76, 86)에는 연속된 권선(92)이 수회 감겨 있다. 권선(92)의 양단은 RF를 제공하는 전원(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무전극 방전 램프는 전원(90)으로부터 RF가 권선(92)으로 인가되면 유도 자장이 발생되어 자기 코어들(60, 70, 80)을 통해서 엔벨로프(50) 내부로 전달된다. 이 유도 자장에 의해 엔벨로프(50) 내부에 유도 전계가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엔벨로프(50) 내부에 충진된 불활성 가스들이 가속 충돌하면서 이온화 즉, 무전극 방전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다른 변형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에서 자기 코어들(60, 70, 80)은 도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벨로프(50)의 길이 방향에 직각 되는 방향으로 병렬 배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앞서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무전극 방전 램프의 자기 코어들(60, 70, 80)에 감겨진 권선(92)은 각기 동일한 방향으로 감겨져 있으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아 이로부터 유도되는 유도 자기의 방향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불활성 가스 입자들 간의 충돌 확률을 더 높게 하여 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자기 코어들(60, 70, 80)에 감겨진 권선(92)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나 병렬로 연결할 수 도 있으며 더 나아가, 병렬로 서로 다른 전원들(미도시)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권선의 전기적인 연결 방법과 전원의 공급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 할 수 있음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기술자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제2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도 14의 무전극 방전 램프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도 14의 자기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반구형의 돔(dome) 형상을 갖는 엔벨로프(100)를 구비하며, 그 내부에는 불활성 가스가 충진 되어있다. 그리고 엔벨로프(100)의 내면에는 형광층(102)이 코팅되어 있으며, 엔벨로프(100)의 평탄한 저면(104)과 형광층(102) 사이에는 반사층(106)이 형성될 수 있다.
평탄한 저면(104) 외측 하부에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갖는 자기 코어(110)가 근접하여 위치한다. 자기 코어(110)의 지름은 엔벨로프(100)의 평탄한 저면(14)의 지름 보다 작다. 자기 코어(1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통 형상의 제1 자속 출입구(112)와 제1 자속 출입구(112)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형 기둥 형상의 제2 자속 출입구(114)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자속 출입구(112, 114)는 일체로 형성된다. 제2 자속 출입구(114)의 외면에는 권선(122)이 수회 감겨지며, 제1 및 제2 자속 출입구(112, 114) 사이의 하부에 형성된 홀(118a, 118b)을 통해 RF를 공급하는 전원(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자속 출입구(112, 114)의 상단 표면적은 서로 동일하다. 즉, 제2 자속 출입구(114)의 반지름을r1, 제2 자속 출입구의 중심에서 제1 자속 출입구(112)의 내주면까지의 반지름을r2 그리고 제2 자속 출입구의 중심에서 제1자속 출입구(112)의 외주면까지의 반지름을r3라고 할 때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등식이 성립한다.
S_r1 = 2pir1^2, S_r2 = 2pir2^2, S_r3 = 2pir3^2 라 하면,
S_r1 = S_r3 - S_r2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는 전원(110)으로부터 RF가 권선(122)으로 인가되면 유도 자장이 발생되어 자기 코어(110)를 통해서 엔벨로프(100) 내부로 전달되고, 이 유도 자장에 의해 엔벨로프(100) 내부에 유도 전계가 발생되면서 충진된 불활성 가스들이 가속 충돌하여 이온화 즉, 무전극 방전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 역시,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자기 코어(110)가 엔벨로프(100)의 외부로 노출된 구조를 갖고 있어 자기 코어(110)가 발열하더라도 쉽게 방열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자기 코어(110)의 두 개의 자속 출입구(112, 114)가 온전히 엔벨로프(100)로 향하여 근접해 위치함으로 자속 손실을 최대한 방지하는 효율적인 구조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엔벨로프 내부에 충진된 이온화 가능 기체 매질로 전달되는 이온화 에너지 전달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엔벨로프의 빛의 투과 영역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조도가 높은 무전극 램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기 코어에 의한 발열을 효과적으로 방열 시킬 수 있어 그 사용이 안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무전극 방전 램프에 있어서,
    반구형의 돔 형상을 갖고, 내부에 형광층이 코팅되며 이온화 가능 기체 매질이 충진된 엔벨로프;
    엔벨로프의 평탄한 저면의 외측 하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코어;
    자기 코어에 수회 감겨진 자기 유도를 위한 권선 및;
    권선의 양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RF(Radio Frequency)를 제공하는 전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극 방전 램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엔벨로프는 평탄한 저면과 형광층 사이에 반사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극 방전 램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코어는 두 개의 자속 출입구가 각각 엔벨로프의 평탄한 저면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말굽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극 방전 램프.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코어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자기 코어에 감겨진 권선은 각기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극 방전 램프.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코어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통 형상의 제1 자속 출입구와 제1 자속 출입구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형 기둥 형상의 제2 자속 출입구를 구비하되 제1 및 제2 자속 출입구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하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자속 출입구의 외주면까지의 지름은 엔벨로프의 평탄한 저면의 지름 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극 방전 램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코어는 제2 자속 출입구의 외면에 권선이 수회 감겨지며, 상기 권선은 제1 및 제2 자속 출입구 사이의 하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해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극 방전 램프.
KR10-2002-0015826A 2002-03-23 2002-03-23 무전극 방전 램프 KR100460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826A KR100460329B1 (ko) 2002-03-23 2002-03-23 무전극 방전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826A KR100460329B1 (ko) 2002-03-23 2002-03-23 무전극 방전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850A true KR20030076850A (ko) 2003-09-29
KR100460329B1 KR100460329B1 (ko) 2004-12-08

Family

ID=32225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826A KR100460329B1 (ko) 2002-03-23 2002-03-23 무전극 방전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329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901897A (nl) * 1979-03-09 1980-09-11 Philips Nv Elektrodeloze gasontladingslamp.
US4245179A (en) * 1979-06-18 1981-01-13 Gte Laboratories Incorporated Planar electrodeless fluorescent light source
US4963792A (en) * 1987-03-04 1990-10-16 Parker William P Self contained gas discharge device
US5349271A (en) * 1993-03-24 1994-09-20 Diablo Research Corporation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with spiral induction coil
US5886472A (en) * 1997-07-11 1999-03-23 Osram Sylvania Inc. Electrodeless lamp having compensation loop for suppression of magnetic interference
JPH11213957A (ja) * 1998-01-27 1999-08-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無電極放電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0329B1 (ko) 200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73961A (en)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having a radio frequency gas discharge excited by a closed loop magnetic core
US3987334A (en) Integrally ballasted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EP0585108B1 (en) Fluorescent lamp
US6522084B1 (en)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operating apparatus
US4180763A (en)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geometries
US7800289B2 (en) Electrodeless gas discharge lamp
CA1073964A (en)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US4536675A (en) Electrodeless gas discharge lamp having heat conductor disposed within magnetic core
JP3418186B2 (ja) 無電極放電ランプ
US4187447A (en)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with reduced spurious electromagnetic radiation
KR100460329B1 (ko) 무전극 방전 램프
JPS59940B2 (ja) 螢光灯
US6404141B1 (en)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US20040140746A1 (en) Self-ballasted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and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operating device
CA1112711A (en) Spatially distributed windings to improve plasma coupling in induction ionized lamps
JP2003086144A (ja) 無電極放電灯装置
JP3906752B2 (ja) 無電極放電灯装置
US7737613B2 (en) Electrodeless lamp and core having indented coil winding section for use with tubular lamp envelope
JP2003017006A (ja) 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
JP2003109548A (ja) 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
JPH08236286A (ja) 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
JP3849613B2 (ja) 無電極放電灯、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JP2005158356A (ja) 無電極放電ランプ
KR100499198B1 (ko) 무전극 무자심 방전램프
JP3846212B2 (ja) 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