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6463A -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 - Google Patents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6463A
KR20030076463A KR1020030029710A KR20030029710A KR20030076463A KR 20030076463 A KR20030076463 A KR 20030076463A KR 1020030029710 A KR1020030029710 A KR 1020030029710A KR 20030029710 A KR20030029710 A KR 20030029710A KR 20030076463 A KR20030076463 A KR 20030076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ower
gear
spring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2023B1 (ko
Inventor
김병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테크종합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테크종합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테크종합기술단
Priority to KR10-2003-0029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023B1/ko
Publication of KR20030076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8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retractable wheel, i.e. movable relative to the chassis out of contact from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12Electrically powered or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에 관한 것이다.
이는특히, 저면부 전후방에 로울러장착홀을 갖는 신발본체;
상기 수납부에 각각 장착되면서 분할되어 수납토록 설치되는 로울러;
상기 로울러를 분할시켜 수납및 노출시키는 로울러연결부;
상기 신발본체의 일측면에 돌출되는 노브의 동작에 의해 로울러의 수납및 노출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로울러지지부;
동력공급부;및,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에 의해 로울러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최소의 공간으로도 로울러를 장착할수 있도록 되어 일반구두 및 각종 캐주얼 슈즈등에 로울러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노브의 동작에 의해 로울러가 간단하게 수납및 배출되도록 하며, 전원의 공급에 의해 자체 회전이 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A roller shoes installed driving equipment}
본 발명은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저면부 전후방에 로울러장착홀을 갖는 신발본체와 상기 로울러장착홀에 각각 장착되면서 분할되어 수납토록 설치되는 로울러 및 상기 로울러를 분할시켜 수납및 노출시키는 로울러연결부와 상기 신발본체의 일측면에 돌출되는 노브의 동작에 의해 로울러의 수납및 노출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로울러지지부, 전원공급부 및 상기전원공급부의 동력원에 의해 로울러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는 로울러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로울러용 전용슈즈나 운동화 및 구두, 캐쥬얼 단화등에 용이하게 장착할수 있도록 하고, 로울러가 외부동력에 의해 자체 구동토록 하는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울러는, 고무등으로 이루어진 휠이 미끄럼 운동을 하는 부시나 구름운동을 하는 볼등에 의해 축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할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산업용 캐리어등에 많이 장착되어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상기 로울러를 개량하여 일반적인 신발이나 전용슈즈등에 장착하여 도로등을 빠른속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로울러는, 신발등에 노출되는 상태로 일체로 고정되어 일반적인 신발의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단점을 보완하고자 신발과 로울러의 기능을 동시에 갖춘 롤러를 구비한 신발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75921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신발(10)의 저면 밑창(11)에 전,후 한쌍의 요홈부(12)(13)를 형성하고, 상기 각 요홈부(12)(13) 내에는 고정브라켓트(21)(34)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의 고정브라켓트(21)(34)에는 힌지축(22)(33)으로서 회동가능한 작동브라켓트(23)(32)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작동브라켓트(23)(32)에는 전,후면 로울러(20)(30)를 회전축으로 체결하여 구름작동되도록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작동브라켓트(23)(32)의 후단 소정위치에 지지축(25)을 구비하여 고정브라켓트(21)(34)와의 사이에 코일스프링(26)(36)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 작동브라켓트(23)의 지지축(25)에는 스프링(29)에 의해 체결되어 슬라이드 작동되면서 작동브라켓트의 회전작동을 제동토록 하는 걸림턱(27)을 가진 스토퍼(28)를 구비하는 것으로 되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롤러를 구비한 신발은, 전,후면 로울러(20)(30)를 장착시 소정의 깊이를 갖는 요홈부(12)(23)를 밑창(11)에 형성하여야 하며, 일반적인 신발에는 장착이 힘들게되고, 굽이 높은 운동화나 신발등에만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전,후면 로울러(20)(30)의 배출 및 수납시 사용자가 손으로서 로울러가 장착된 브라켓트를 회전시켜 로울러의 수납및 배출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으로 신속한 동작이 힘들게 됨은 물론 손을 오염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롤러를 구비한 신발은,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하거나 지면의 경사도에 의해서만 구동가능토록 되어있어 불편함이 따르고 연속 사용시 계속적인 힘을 가하여야만 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공보 02-65462호에 모터 구동형 인라인 스케이트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2a,b에서와 같이, 인라인스케이트(90)가 신발(51)의 저면에 다수개의 바퀴(52)가 일렬로 축설된 프레임(53)이 부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신발(51)의 일부에 충전 배터리(54)가 설치되고, 뒷축 상부에 외부 전원 입력을 위한 컨넥터(55)와 온오프 스위치(56)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53) 뒷부분의 양외측면 각각에 뒷부분 두개의 바퀴축(57)과 고정판 지지봉(58)으로 고정판(59)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59)의 상부에구동축(67)에 설치된 마찰용 구동바퀴(65)가 프레임(53) 뒷부분에 설치된 바퀴(52)에 접촉되게 마찰방식 구동장치(60)를 회동축(61)으로 회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59)의 하부에 고정판(59)과 마찰방식 구동장치(60)를 연결하는 구동력 유지장치(6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60)는, 모터 하우징 지지봉(63)이 설치되는 하우징(64)에 마찰용 구동바퀴(654)가 설치되고, 일단에 종동풀리(66)가 설치된 구동축(67)이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에 구동풀리(68)가 설치되는 모터(69)가 클램프(7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구동풀리와 전돌벨트(71)가 체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모터 구동형 인라인 스케이트 역시, 바퀴가 신발의 외측에 노출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일상적인 산발로서의 활용가치는 극히 제한적이고, 사용이 불편하여 그 용도가 한정적일뿐 아니하, 중량이 증가되어 휴대하기가 힘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의 밑창 저면부의 바닥 공간으로도 로울러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밑창부분의 두께가 최소화 되는 구두, 캐쥬얼슈즈, 단화등에 로울러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로울러의 수납 및 배출 과정 역시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도 반대측 발로 노브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로울러가 간단하게 수납및 배출되도록 하며, 로울러가 외부요인에 의해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노브에 회전방지턱을 두는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보행 및 주행시에 신체 중심을 유지할수 있도록 하고, 기타의 간섭을방지하도록 한다.
더하여, 전원 공급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로울러에 연결하여 로울러가 외부 동력원에 의해 자동적으로 구동하여 사용의 피로도를 최소화 시킬수 있도록 하는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로울러를 구비한 신발을 도시한 사시도.
도2a,b는 각각 종래의 모터 구동형 인라인 스케이트를 도시한 사시도및 측면구조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를 도시한 사시도.
도4a,b,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의 로울러 동력전달를 도시한 사시도및 측면도.
도5a,b,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의 로울러 고정상태를 도시한 저면도및 측면도.
도6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의 로울러 회전력 전달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7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의 노브 동작에 따른 회전력 전달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의 로울러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의 스토퍼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울러 슈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구두본체 130,140...로울러장착홀
150...스위치발판 160...터미널 접속구
200...로울러 210...브라켓
220...스프링 340...걸림돌기
350...스토퍼 430...회전축
520...밧데리 530...모터
610...동력전달편 620...동력전달구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저면부 전후방에 로울러 장착홀을 갖는 신발본체;
상기 수납부에 각각 장착되면서 분할되어 수납토록 설치되는 로울러;
상기 로울러를 분할시켜 수납 및 노출시키는 로울러연결부;
상기 신발본체의 일측면에 돌출되는 노브의 동작에 의해 로울러의 수납 및 노출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로울러지지부;
동력공급부;및,
상기 동력공급부의 전원에 의해 로울러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내지 도10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신발본체(100)와 로울러(200), 로울러연결부(300)와 로울러지지부(400)및, 전원공급부(500)와 동력전달부(600)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신발본체(100)는, 신발밑창(120) 전후방에 로울러장착홀(130)(140)이각각 형성되고, 내측에 모터를 구동하는 복수의 스위치발판(150)이 발가락의 접촉부위에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발판(150)이 신발밑창(120)의 일측에 설치되는 터미널접속구(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로울러(200)는, 상기 로울러장착홀(130)(140)에 각각 장착되면서 분할되어 수납토록 대칭설치되고, 상기 로울러장착홀(130)(140)에 각각 설치되는 힌지축(230)에 스프링(220)을 개재하여 탄성회전하도록 연결되는 브라켓(210)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로울러(200)의 밀착면 일측 둘레에 구동을 위한 기어(200c)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울러(200)의 상호 밀착되는 면 둘레에 단차(200a)와 상기 단차가 진입되는 요부(200b)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200c)및 이에 치합되는 기어조합(640)은 상호 대응토록 삼각뿔및 테이퍼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로울러연결부(300)는, 상기 브라켓(210)을 각각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복수의 로울러(200)가 상호 노출되거나 수납되도록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진 기어조합(310a)이 연결설치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210)의 일측에 걸림홈(340a)을 갖는 걸림돌기(340)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돌기(340)에 대응토록 고정홈(350a)을 갖는 스토퍼(350)가 로울러장착홀(130)(140)에 스프링(360)을 개재하여 탄성 설치된다.
상기 로울러지지부(400)는, 신발본체(100)의 뒷굽 일측에 돌출되는 노브(410)와 상기 노브(410)에 연결되는 회전력전달수단(420)및 상기 회전력전달수단(420)에 의해 기어조합(310a)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4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430)은, 스토퍼(350)가 양단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회전력전달수단(420)은, 상기 노브의 회전력을 일방향으로만 전달하면서 노브의 랙기어에 치합되는 래칫휠(420b)및 상기 래칫휠(420b)의 일방향 회전을 회전축(430)에 전달하는 워엄과 웜휠(420c)로서 이루어 지고, 상기 웜휠은 내측에 스프링기어가 일체로 장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하여, 상기 스토퍼(350)를 구동하는 스토퍼 구동수단(45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 구동수단(450)은, 노브(410)와 연결되는 구동바(450a)와 회전축(430)에 연결되는 종동바(450b)및 상기 종동바(450b)및 구동바(450a)가 일체로 연결되는 회전판(450c)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노브(410)는, 상하 이동되면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노브(410)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외부노브는 손으로서 동작시켜 로울러의 착탈을 방지해주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신발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회전방지턱(410a)이 일체로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회전된 방지턱이 공간의 저면에 걸려 고정됨으로서 노브의 이동을 방지토록 설치되고, 상기 노브(410)는 이중으로 설치되어 하향이동 및 그 내측으로 압입시 이에 연결되는 로드에 의해 구동바(450a)를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더하여, 도6a,b에서와 같이, 상기 노브(410)의 완전 상향시 노브에 연결되는 랙의 일측에 기어가 형성되지 않는 지지면(410a-1)이 형성되고, 상기 노브(410)는 스프링(420b-1)의 탄성에 의해 하향시 자동상향토록 설치된다.
한편, 도7에서와 같이, 상기 로울러(200)는, 하이힐에 장착될 경우, 회전축(430)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태엽스프링이동방식에 의해 로울러(200)를 승하강 시킨다.
상기 태엽스프링이동방식은, 상기 회전축(430)에 연결되는 스프링(660c)과 상기 스프링의 일단에 연결되어 신발밑창(120) 후방의 회전력 전달수단(420)과 연결되며 타단에 로울러(200)가 연결되는 승하강브라켓(420d)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하강브라켓(420d)은, 하우징(480)에 스프링(490a)을 개재하여 연결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420d)역시, 걸림요홈(340)가 설치되어 상기 걸림요홈(340)에 대응토록 고정홈을 갖는 스토퍼(350)에 고정및 분리토록 설치된다.
상기 동력공급부(500)는, 사용자의 종아리 부분이나 신체일부에 착용토록 양단에 매직테잎(510a)이 부착되는 고정밴드(510)와 상기 고정밴드(510)에 연결되는 밧데리(520)및 상기 밧데리(520)의 전원에 의해 동작하도록 고정밴드(510)의 일측에 고정되는 모터(530)로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모터(530)는, 복수의 스위치발판(150)에 의해 제어되도록 터미널접속구(1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터미널접속돌기(530a)가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동력공급부(500)의 동력을 로울러(200)에 전달하여 이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동력전달부(600)는, 상기 모터(530)의 회전력을 일정거리까지 전달하는 동력전달편(610)과 그 단부에 연결되는 동력연결구(620)및 상기 동력연결구(620)와 연결토록 신발밑창(120)에 설치되는 동력연결편(630), 상기 동력연결편(630)이 치합되면서 최종적으로 로울러(200)의 기어(200c)에 치합토록 하는 복수의 기어조합(640)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동력전달편(610)은, 유니버셜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회전봉 또는 동력케이블에서 선택되며, 상기 동력연결구(620)는, 내측에 동력전달편(610)이 자유회전하도록 설치되면서 외측에 동력연결구(620)와 나사결합토록 회전연결편(610a)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연결편(610a)과 대응토록 동력연결구에는 나사산(62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동력연결구(620)와 동력전달편(610)은 상호 대응토록 일단에 돌기(620b)가 일단에 요홈(620c)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하이힐의 경우, 상기 동력전달부(600)는, 상기 동력연결구(620)에 연결되는 베벨기어(650)와 이에 치합토록 단부에 베벨기어(660a)가 연결되면서 타단부의 기어조합(660b-1)에 의해 로울러(200)에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로드(660)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로드(660)는, 승하강브라켓(210)에 연결되는 어느하나의 로드(660a)가 다른하나의 로드(660b) 내측에서 상하이동가능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스프링(220)이 개재되는 힌지축(230)의 일측과 기어조합(260a)을 통하여 분리된 복수의 덮개판(260)이 연결되어 로울러 수납시 로울러장착홀(130)(140)의 상측을 덮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판(260)은, 기어조합(310a)에 의해 로울러(200)가 수납및 배출될때 상기 기어조합(310a)과 베벨기어로 이루어 지면서 내측에 래칫을 갖는 기어조합(260a)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고, 상기 회전력에 의해 덮개판(260)이 회전되며, 상기 덮개판(260)이 연결되는 힌지에는 스프링이 개재되어 탄성력이 저장됨으로써 급속하게 개방되면서 래칫에 의해 천천이 닫히도록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내지 도10에서와 같이, 로울러가 노출된 상태에서 주행을 하다 로울러를 수납하기 위하여 구두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노브(410)를 반대편의 발로 툭치면 노브와 스토퍼 구동수단(450)을 통하여 연결되는 회전축(430)이 조금씩 이동하면서 그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스토퍼(350)를 이동시킨다.
상기 동작에 의해 브라켓(210)에 연결되는 걸림돌기(340)이 분리되면서 로울러장착홀(130)(140)에 탄성연결되는 브라켓(210)이 각각 하강되어 로울러장착홀에서 분리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로울러(200)를 로울러장착홀(130)(140)의 외측으로 노출시킬때는 상기 신발(110)의 측면에 돌출되는 노브(410)를 반대발을 이용하여 비비듯이 누르면 그 누름동작에 의해 래칫휠(420b)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래칫휠(420b)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연속적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은 웜과웜휠(420c)을 통하여 90도 방향에 위치하는 회전축(430)에 전달되고, 남는 회전력은 웜휠(420c)의 스프링기어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웜과웜휠(420c)은, 헬리컬 타잎으로 형성되어 양방향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즉 웜에서 웜휠로, 웜휠에서 웜으로)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430)은, 그 양단에 브라켓(210)과 연결되는기어조합(310a)이 연결되어 대향설치되는 브라켓(210)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호 밀착시킴과 동시에 걸림돌기(34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로울러의 지면접촉시 분리없이 용이하게 회전토록 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210)에 각각 연결되는 좁은 폭을 갖는 로울러(200)가 상호 접촉되면서 일정폭을 갖는 로울러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호 밀착되는 로울러(200)는 그 상향면에 각각 형성되는 단차와 요부에 의해 상호 긴밀하게 밀착된다.
더하여, 상기 기어조합(310a)및 회전축(430)은 일정유격을 갖으면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이 동일형상의 관통을 갖는 기어조합에 이동가능토록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노브(410)를 압입하면 상기 구동바(450a)와 종동바(450b)및 회전판(450c)을 통하여 노브의 운동을 스토퍼에 용이하게 전달하게 되고, 상기 스토퍼에는 고정홈(350a)이 형성되어 걸림돌기(340a)를 고정하거나 분리시킨다.
또한, 상기 노브(410)를 감싸는 외부 노브는, 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때 그 일측에 돌출되는 회전방지턱(410a)이 신발본체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상의 저면에 접촉하게 되어 노브의 하강을 더이상 억제함으로써 로울러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더하여, 상기 노브(410)가 상향시 노브에 연결되는 랙의 일측에 기어가 형성되지 않아 스프링(420b-1) 탄성에 의해 상향된 이후 로울러(200)를 노출시키기 위해서 발생된 회전력중 남아 있는 회전력을 워엄휠(420c)의 스프링 기어에 힘을 저장하게 된다.
한편, 도7에서와 같이, 상기 로울러(200)는, 하이힐(140)에 장착될 경우, 노브(410)를 수직방향으로 누르면 회전력전달수단(420)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이 태엽스프링이동방식으로 승하강되는 승하강브라켓(420d)에 전달되고, 이때 상기 승하강브라켓(420d)에 전달되는 로울러(200)가 승하강된다.
이때, 상기 웜휠(420c)에 고정되는 회전축(430)은 밑창(120)의 전방에 형성되는 로울러(200)를 상기에서 설명한 로울러의 구동과 동일한 방식으로 노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태엽스프링이동방식은, 상기 웜휠(420c)에 치합되는 회전축(430)이 회전시 이에 태엽스프링(660c)을 통하여 연결되는 승하강브라켓(420d)을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승하강브라켓(420d)의 이동시 그 일측에 연결되는 스프링(490a)에 의해 복원토록 되어 수납된다.
또한, 상기 노브(410)의 압입시 도8에서와 같은 원리에 스토퍼(350)을 이동시켜 승하강브켓(420d)에 연결되는 고정돌기(340)를 지지토록 하여 로울러(200)를 소정위치에서 지지한다.
더하여, 상기 웜축(460)에 연결되는 웜휠(420)은, 그 일측면에 스프링기어가 일체로 연결 설치되어 회전력을 연속적으로 전달하게 함은 물론 로울러의 완전 배출시에 회전축(430)의 회전을 저장하여 기어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상기와 같이 노브(410)를 누르거나 회전시키는 동작 및 스프링을 개재하여 탄성 설치되는 브라켓(210)에 로울러(200)를 설치하고, 상기 로울러(200)는, 대향되는 복수의 브라켓에 분리설치하여 작동시 상호 밀착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최소깊이의 수납공간으로도 로울러의 수납이 가능토록 되어 최소의 두께를 갖는 구두 또는 단화등에 장착이 가능하다.
또한,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노브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로울러의 수납및 노출이 가능하여 그 동작이 손쉽게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로울fj장착홀에 수납되거나 돌출토록 하는 로울러는, 밧데리(520)를 고정밴드(510)로서 사용자의 종아리나 허리부분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밧데리(520)의 전원이 모터(530)에 공급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의 신발본체(100)에 설치되는 스위치발판(150)를 제어하여 상기 밧데리(52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터(530)를 정회전 및 역회전 가속 및 감속토록 하고, 상기 신호는 스위치발판(150)과 모터(5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접속구(160)와 터미널접속돌기(530a)의 연결에 의해 가능토록 된다.
계속하여, 상기 모터(530)에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530)가 동작하면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동력전달편(610)및 이에 접속되는 동력연결편(630)를 통하여 로울러(200)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돌출되는 신발 밑창(120)의 로울러(200)를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인위적임 힘에 의하지 않아도 자력이동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편(610)과 동력연결편(630)은, 상기 동력전달편(610)의 단부에 연결되는 동력연결구(620)가 회전하면서 동력연결편(630)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상호 연결되고, 이때 유니버셜조인트에 연결되는 회전봉, 바나 동력케이블등으로 이루어진 동력전달편(610)과 로울러(200)와 치합토록 설치되는 동력연결편(630)이 상호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된다.
더하여, 상기 동력연결편(630)을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받는 로울러(200)는, 압착되는 부분에 상호대향하는 삼각형상의 밀착면이 형성되어 항상 동일 치산을 갖도록 함으로써 동력연결편(630)의 기어조합(630a)이 로울러(200)에 용이하게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도록 한다.
한편, 하이힐의 경우 상기 동력연결편(630)에는 베벨기어(650)가 연결되어 그 일측에 치합되는 회전로드(660)를 회전시키고, 이때 상기 회전로드(660)의 타단부는 로울러(200)를 지지하는 회전축의 기어조합(660b)에 의해 로울러(200)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로드(660)는 분할되어 브라켓(210)의 승하강에 상관없이 그 동력을 용이하게 전달하도록 한다.
더하여, 상기 스프링(220)이 개재되는 힌지축(230)의 일측과 기어조합(260a)을 통하여 복수의 덮개판(260)이 연결되어 미 사용시 로울러(200)가 장착되는 로울러장착홀(130)(140)의 상측을 덮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최소의 공간에 로울러를 설치함은 물론 상기 로울러가 스스로 회전할수 있도록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로울로 슈즈를 애용함에 있어 불편함을 줄이고, 인위적인 에너지소모를 최소화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최소의 공간으로도 로울러를 장착할 있도록 되어 밑창부분의 두께가 최소화 되는 구두 또는 단화등에 로울러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직접손을 대지 않고도 노브를 돌리거나 누르는 동작에 의해 로울러가 용이하게 수납 및 배출되도록 하며, 로울러가 외부요인에 의해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행및 주행시에 신체중심을 유지할수 있도록 하며, 기타 다른 간섭을 방지한다.
또한, 로울러가 인위적으로 인가된 힘에 의하지 않고 반복 충전되는 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만큼 그 활용범위가 증대되며, 로울러의 구동조작역시 발바닥의 스위치발판을 간편하게 조작하여 작동함으로써 편리성을 증가시키고, 복잡 다양한 교통문화의 바탕이 됨은 물론 부족한 에너지 자원을 활용하지 않고 환경 친화적인 단거리 교통수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8)

  1. 신발본체(100)의 밑창(120) 전,후방에 로울러장착홀(130)(140)이 각각 형성되고, 이에 분할되어 수납토록 대칭설치되면서 힌지축(230)에 스프링(220)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브라켓(210)에 각각 고정되는 로울러(200)가 장착되며, 상기 브라켓(210)을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복수의 로울러(200)가 상호 밀착되거나 분리토록 힌지축(230)에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진 기어조합(310a)이 연결되는 로울러연결부(300)가 설치되고, 상기 기어조합(310a)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신발본체(100)에 돌출되는 노브(410)와 상기 노브(410)에 연결되는 회전력전달수단및 기어조합(310a)과 연결되는 회전축(430)으로 구성되는 로울러구동부(400)가 설치되는 로울러에 있어서,
    내측에 스위치발판(150)이 설치되어 밑창(120)의 일측에 돌출되는 터미널접속구(160)와 연결되고, 상기 밑창(120)의 전,후방에 로울러장착홀(130)(140)이 각각 형성되는 신발본체(100);
    상기 로울러장착홀에 장착되면서 상호 밀착되는 접촉면의 외측에 기어(200c)가 일체로 형성되는 로울러(200);
    사용자의 신체일부에 부착되면서 모터(530)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을 일정거리까지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동력공급부(500);및,
    상기 동력공급부(500)의 동력에 의해 로울러(200)의 기어(200c)에 접촉되는 기어조합(640)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는 동력전달부(6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200)는, 상호 밀착되는 면 둘레에 단차(200a)와 상기 단차가 진입되는 요부(200b)가 일체로 형성되며, 기어조합(640)의 뿔형치산과 대응토록 테이퍼형의 치산을 갖는 기어(200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200)는, 하이힐(120)에 장착되어 태엽스프링이동방식으로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태엽스프링이동방식은, 상기 회전축(430)에 연결되는 태엽스프링(660c)및 상기 태엽스프링(660c)에 연결되어 승하강하면서 그 단부에 로울러(200)가 연결되는 승하강브라켓(420d)으로 이루어 지고, 상기 승하강브라켓(420d)은, 하우징(480)에 스프링(490a)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공급부(500)는, 사용자의 종아리 부분이나 신체일부에 착용토록 양단에 매직테잎(510a)이 부착되는 고정밴드(510)와 상기 고정밴드(510)에 연결되는 밧데리(520)및 상기 밧데리(520)의 전원에 의해 동작하도록 고정밴드(510)의 일측에 고정되는 모터(530)로서 이루어 지고, 상기 모터(530)는, 복수의 스위치발판(150)에 의해 제어토록 터미널접속구(1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터미널접속돌기(530a)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600)는, 상기 모터(530)의 회전력을 일정거리까지 전달하는 동력전달편(610)과 그 단부에 연결되는 동력연결구(620)및 상기 동력연결구(620)와 연결토록 신발밑창(120)에 설치되는 동력연결편(630), 상기 동력연결편(630)이 치합되면서 최종적으로 로울러(200)의 기어(200c)에 치합토록 하는 복수의 기어조합(640)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편(610)은, 유니버셜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회전봉 또는 동력케이블에서 선택되며, 상기 동력연결구(620)는, 내측에 동력전달편(610)이 자유회전하도록 설치되면서 외측에 동력연결구(620)와 나사결합되도록 회전연결편(610a)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연결편(610a)과 대응하도록 동력연결구에는 나사산(62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200)가 장착되는 로울러장착홀(130)(140)의 상부를 커버링하도록 스프링(220)이 개재되는 힌지축(230)에 기어조합(260a)이 더 연결되어 그 일측에 복수의 힌지(260b)로서 덮개판(26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600)는, 상기 동력연결구(620)에 연결되는 베벨기어(650)와 이에 치합토록 단부에 베벨기어(660a)가 연결되면서 타단부의 기어조합(660b)에 의해 로울러(200)에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로드(660)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로드(660)는, 승하강브라켓(210)에 연결되는 어느하나의 로드(660a)가 다른하나의 로드(660b) 내측에서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
KR10-2003-0029710A 2003-05-12 2003-05-12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 KR100512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710A KR100512023B1 (ko) 2003-05-12 2003-05-12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710A KR100512023B1 (ko) 2003-05-12 2003-05-12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056U Division KR200314227Y1 (ko) 2003-02-20 2003-02-20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463A true KR20030076463A (ko) 2003-09-26
KR100512023B1 KR100512023B1 (ko) 2005-09-09

Family

ID=32226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710A KR100512023B1 (ko) 2003-05-12 2003-05-12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0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2023B1 (ko) 200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08953A (ja) 電動移動具及び電動移動方法
JP2008508953A5 (ko)
CA2474249A1 (en) Powered roller skates
KR200382969Y1 (ko) 전동식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US20030073543A1 (en) Running machine
CN108325204A (zh) 电动轮滑鞋及电动轮滑设备
KR100512023B1 (ko)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
KR200314227Y1 (ko) 구동장치를 갖는 로울러 슈즈
CN108295457A (zh) 电动轮滑鞋及电动轮滑设备
US5704619A (en) Slidable skate brake and methods
KR102222078B1 (ko) 화장실 출입용 신발 방향 자동전환장치
GB2378888A (en) Foot wear capable of vibrational massage
WO2003084621A1 (en) Sports equipment for assisting increase of walking speed
KR200323802Y1 (ko) 로울러식 주행장치를 갖는 드라이빙 슈즈
KR200304557Y1 (ko) 로울러가 장착되는 신발
CN1243684A (zh) 电动鞋
KR200251081Y1 (ko) 건강 신발용 진동장치
KR200320174Y1 (ko) 무한궤도식 주행장치를 갖는 드라이빙 슈즈
CN215649490U (zh) 一种具有保护脚踝功能的板鞋
CN212678488U (zh) 一种足底筋膜炎运动康复辅助装置
RU2628267C1 (ru) Индивидуальный гусеничный движитель
KR101252716B1 (ko) 빠르게 걷는 신발에 붙착하는 부착장치
CN211882463U (zh) 一种便于老人开启灯光的夜晚用拖鞋
KR101627215B1 (ko) 회전출몰식 아이젠이 구비된 신발
CN2272218Y (zh) 履带式电动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