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4655A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4655A
KR20030074655A KR10-2003-7007861A KR20037007861A KR20030074655A KR 20030074655 A KR20030074655 A KR 20030074655A KR 20037007861 A KR20037007861 A KR 20037007861A KR 20030074655 A KR20030074655 A KR 20030074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uct means
compartment
contents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케 로젠
Original Assignee
에코 린 리서치 앤드 디벨로프먼트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 린 리서치 앤드 디벨로프먼트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에코 린 리서치 앤드 디벨로프먼트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30074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65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6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of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66Integral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Bag Fram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용기는, 유연한 벽(2, 3)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벽(2, 3)의 상대 위치에 따라 체적이 좌우되는 컴파트먼트(4)와, 상기 컴파트먼트(4)와 주변부 사이에서 연결부를 형성하는 유연한 덕트 수단(22)을 포함한다. 상기 덕트 수단은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에 이르게 될 수 있다. 상기 컴파트먼트(4)는 바닥 지대(21)를 구비하며, 용기가 직립 위치를 취할 때 내용물이 본래 상기 바닥 지대(21) 내에 모인다. 상기 벽(2, 3)은 상기 내용물이 상기 바닥 지대(21)에 모일 경우에 상기 내용물에 의해 가동됨으로써, 상기 컴파트먼트(4)의 체적의 증가를 위해 작용하는 상대 위치를 취하게 되어 있고, 상기 체적의 증가는 상기 컴파트먼트(4) 내에 발생된 네가티브 압력에 의해 중단된다. 상기 덕트 수단(22)은 상기 컴파트먼트(4) 내에 발생되는 네가티브 압력에 응답해서 상기 폐쇄 상태에 이르게 되고, 그리고 상기 덕트 수단(22)은 상기 용기의 종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상기 컴파트먼트로부터 연장된다.

Description

용기{CONTAINER}
도입부를 통해 설명된 유형의 용기는 예컨대 WO 9941155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용기는 접을 수 있으며, 그리고 3개의 벽을 포함하는데, 이들 중 2개의 벽은 대향 측벽이며 나머지 하나의 벽은 바닥벽을 형성하는 3개의 벽 부분을 포함한다.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이들 벽들은 유연하며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벽들의 상대 위치에 따라 체적이 결정되는 컴파트먼트를 형성한다. 이러한 용기는 덕트 수단을 구비하는데, 이 덕트 수단은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측벽들 사이에 도입된 관형 피스(tubular piec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용기와 관련된 빈번한 문제들은 용기를 항구적으로 재밀봉시킬 수 있는가 즉, 예컨대, 냉장고에 저장될 때 합리적인 기간 동안 밀봉된 채로 유지시키는 것을 보장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용기는 예컨대 덕트 수단을 개방시킴으로써 개방되고, 이 후, 용기에 보유된 액체 제품을 쏟아부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액체 제품이 주변 공기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덕트 수단을 항구적으로 재밀봉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항구적인 재밀봉성(durable resealability)은, 덕트 수단에 연결된 스크류 캡과 같은 개방 및 폐쇄가능한 연결 수단의 도움으로, 또는 덕트 수단에 대해 적용된 핀칭 수단(pinching means)의 도움으로 달성된다.
그러나, 용기에 항구적인 재밀봉성을 제공하는 이러한 방법들은 복잡하다.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항구적인 재밀봉을 제공할 수 있는 용기에 대한 요구가 존재해 왔다.
본 발명은 액체 내용물을 위한 용기,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한 벽들에 의해 형성되고 이 벽들의 상대 위치에 따라 체적이 좌우되는 컴파트먼트(compartment)와, 상기 컴파트먼트와 주변 사이를 연결하는 덕트 수단(duct means)을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충진되고 개방되지 않은 상태의 본 발명의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용기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일부 부재가 제거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충진되고 개방된 상태인,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쏟아붓는 동작 동안의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의 일부를 쏟아붓기 위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용기를 취급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용기의 종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컴파트먼트로부터 연장된 덕트 수단을 갖춘 본 발명의 용기의 제 2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도입부에 기재된 유형의 개선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선된 항구적인 밀봉성을 가지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범위 제 1항에 기재된 특징들을 갖춘 용기에 의해 이들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청구범위 제 1항에 대한 종속항인 청구범위 제 2항 내지 제13항으로부터 명백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용기는, 유연한 벽들에 의해 형성되며 이 벽들의 상대 위치에 따라 체적이 좌우되는 컴파트먼트와, 상기 컴파트먼트와 주변 사이를 연결하는 유연한 덕트 수단을 포함하며, 이 덕트 수단은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에 이르게 될 수 있고, 컴파트먼트는 바닥 지대를 구비하며, 용기가 직립 위치를 취할 때 액체 내용물이 본질적으로 바닥 지대 내에 모인다. 상기 용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상기 벽들은, 액체 내용물이 바닥 지대에 모일 경우에 이 액체 내용물에 의해 가동됨으로써, 상기 컴파트먼트의 체적의 증가를 위해 작용하는 상대 위치를 취하게 되어 있고, 이러한 체적의 증가는 컴파트먼트 내에 발생된 네가티브 압력(negative pressure)에 의해 중단(counteracting)되며, 상기 덕트 수단은 컴파트먼트 내에 발생되는 네가티브 압력에 응답해서 상기 폐쇄 상태에 이르게 되고, 그리고 상기 덕트 수단은 용기의 종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컴파트먼트로부터 연장된다.
이로써, 항구적인 자가-밀봉(self-sealing) 용기가 된다. 이 용기는, 액체 내용물에 의해 가동됨으로써, 컴파트먼트의 체적에 영향을 미치는 상이한 위치를 취할 것이다. 이것은 용기가 직립 위치를 취할 때 컴파트먼트의 체적의 증가를 위해 작용하는 위치를 벽들이 취하게 된다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컴파트먼트 내에 네가티브 압력이 발생되고, 상기 네가티브 압력은 체적의 증가를 중단시키며, 게다가 덕트 수단이 폐쇄되게 한다. 용기의 종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컴파트먼트로부터의 덕트 수단의 크기(extent)는, 액체 내용물이 용기의 측벽들 상에 작용하는 압력이 덕트 수단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기를 취급할 때, 덕트 수단은 쏟아붓기 동작이 종료되면 폐쇄될 것이며, 용기는 다시 한 번 직립 위치를 취하게 된다. 따라서, 예컨대 스크류 캡 또는 클립의 형태로의 기계적인 항구적 밀봉 방책에 대한 필요가 없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용기는 2개의 마주하는 측벽을 포함하는데, 이 측벽들은 공통의 연결부를 따라 결합되어 있으며, 가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서로 같은 높이로(flush with each other) 인접하려고 한다. 바람직하게, 덕트 수단은 상기 측벽들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측벽들의, 서로 같은 높이로 인접하는 2개의 돌출하는 벽 부분들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한데, 상기 벽 부분들은 그 엣지를 따라 서로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덕트 수단은 내부면을 구비하는데, 이 내부면은 서로 대면해 있으며, 컴파트먼트내에 발생된 네가티브 압력에 응답해서 덕트 수단이 폐쇄될 때 밀봉식으로 인접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내부면은 고평탄도(high flatness)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며, 이것은 컴파트먼트 내부에 발생된 네가티브 압력에 응답해서 덕트 수단의 항구적인 기밀식 밀봉을 보장하는데 기여한다.
용기는 폴리올레핀 물질의 바인더와 무기 재료의 필러를 포함하는 물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필러는 쵸크(chalk)(탄산칼슘)인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의 제 1 측부 상에 운반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운반 수단은 상기 연결부 내에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덕트 수단은 용기의 제 2 측부 상에 그리고 상기 바닥 지대로부터 떨어져서 출구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측부는 상기 제 1 측부와 마주해 있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덕트 수단은 용기의 종축선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덕트 수단은 용기가 개방되지 않는 상태에서 밀봉되어 있으며, 커팅 등과 같은 조작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예를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부호가 표시된 도 1a 및 도 1b는 개방되지 않은 상태이며 액체 내용물로 채워진 본 발명의 용기(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용기(1)는 우유, 과일 쥬스, 물 또는 와인 등과 같은 액체 음료에 특히 적합하다.
이 용기(1)는 연질형(collapsible type) 즉, 압착가능하거나 포갤 수 있는 형태이며, 그 단부에 3개의 유연한 벽을 포함하는데, 이들 중 2개는 마주하는 측벽(2)이며, 하나는 바닥벽(3)이다.
이들 벽(2, 3)은 플라스틱 물질, 바람직하게로는 무기 재료의 필러(filler)와 폴리올레핀 물질의 바인더를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러는 쵸크인 것이 유리하다. 이들 벽(2, 3)은 또한 서로 연결되어, 벽(2, 3)의 상대 위치에 따라 그 체적이 좌우되는 컴파트먼트(4)를 형성하며, 이 컴파트먼트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2개의 측벽(2)은 연결부(5)를 따라 웰딩됨으로써 접합된다.
이러한 유연한 벽(2, 3)은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며, 용기(1)가 비어있는 상태인 비가동 상태에서 상기 측벽(2)은 서로 같은 높이로 인접하려고 하는 강성률(rigidity)을 가진다. 이들 벽이 초크와 같은 무기물-본위 필러(mineral-based filler)를 포함한다면, 이 필러에 의해 상기 강성률이 본질적으로 얻어진다. 본 발명의 용기(1)가 액체 내용물로 채워지면, 컴파트먼트(4)가 내용물을 수용하는데 필요한 체적을 형성하는 상대 위치를 벽(2, 3)이 취할 정도로, 내용물이 벽(2, 3)을 가동시킬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용기(1)는 연질형이며, 이는 용기의 내용물이 비어지게 됨에 따라 컴파트먼트(4)에 의해 형성된 체적이 감소함을 의미한다.
용기(1)의 연결부(5)의 제 1 측부에는 운반 수단(6)이 배치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 운반 수단(6)은 본질적으로 라운드형 제 1 개구(9) 및 본질적으로 기다란 제 2 개구(10)를 갖춘 개구 영역(8)을 포함한다. 이 결과, 운반 수단(6)은 핸들(11)을 형성하며, 이 핸들(11)은 사용자가 4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용기(1)를 들어올릴 수 있게 하는 한편, 동시에 개구(9, 10) 사이에 로드-흡수부(load-absorbing portion; 12)가 형성되어 용기의 취급 시에 어떻게든해서 핸들(11)이 접혀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핸들(1)의 2개의 구멍(9, 10)은 용기(1)를 통해 수직선에 대해 약 25°도의 각도로 연장된다. 용기(1)의 취급에 있어 사용자에게 양호한 편안함을 주는 각도는 20~30°임이 실험을 통해 증명되었다.
도면부호가 표기된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용기(1)의 평면도이며, 가장 인접한 측벽(2)이 제거되었다. 이제, 연결부(5)의 구성, 바닥 벽(3) 및 후방 측벽(2)의 내부를 볼 수 있으며, 이 연결부(5)를 따라 2개의 측벽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용기(1)의 바닥 영역(13)에서, 측벽(2)이 바닥 벽(3)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으로, 측벽(2)은 하부 연결부(14)를 통해 바닥 벽(3)과 연결되는데, 이 하부 연결부(14)를 따라 각각의 측벽(2)이 바닥 벽(3)과 연결된다. 다른 한편으로, 측벽(2)은 2개의 측면 연결부(5)를 통해 연결되는데, 이 측면 연결부(5)를 따라 3개의 벽(2, 3)이 공통의 웰딩 조인트에서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용기(1)의 컴파트먼트(4)는 측벽(2) 및 바닥 벽(3)에 의해 형성된다. 이 연결부(5)는 컴파트먼트(4)와 대면하는 경계선(16)을 형성한다.
이 컴파트먼트(4)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바닥 영역(13)과, 컴파트먼트(4)와 대면하는 연결부(5)의 경계선(16)이 평행한 중심 영역(17)과, 그리고 경계선(16)이 서로를 향해 본질적으로 아치형으로 연장되는 아치형 상부 영역(18)을 포함하는데, 그러나, 출구 영역(19)에서는 아치형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이 출구 영역에 대해서는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용기(1)가 채워지는 정도와 무관하게, 안정된 방식으로 용기(1)가 세워질 수 있게 한다.
용기(1)가 도 1에 도시된 직립 위치를 취하는 경우, 액체 내용물의 대부분은 용기(1)의 바닥 지대(21)에 모이며, 상기 바닥 지대(21)는 바닥 영역(13)과 중심 영역(17)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용기(1)는 덕트 수단(22)을 더 포함하는데, 이 덕트 수단(22)은 상기 출구 영역(19)의 바닥 영역(21)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떨어져 배열된다. 따라서, 덕트 수단(22)은 용기(1)의 제 2 측부(20) 상에 배열되며, 이 제 2 측부(20)는 상기 제 1 측부(7)와 마주하고, 상기 제 1 측부(7) 상에 운반 수단(6)이 배열된다.
덕트 수단(22)은 측벽(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덕트 수단(22)은 측벽(2) 각각의 벽 부분(23)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벽 부분(23)은 용기의 종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각각의 측벽(2)의 측면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를 형성하며, 벽 부분(23)은 측면 엣지를 따라 서로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측면 엣지는 상기 연결부(5) 내에 포함된다. 그래서, 서로 연결된 벽 부분(23)은, 제 1 단부(24)에서 용기(1)의 컴파트먼트(4)와 소통하고 제 2 단부(25)에서 상기 연결부(5)에 의해 밀봉되는 상기 덕트 수단(22)을 형성한다. 상기 벽 부분(23)과또한 덕트 수단이 용기(1)의 종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컴파트먼트(4)로부터 연장되므로, 액체 내용물에 의해 발생되며 용기(1)의 벽 위에 작용하는 압력이 덕트 수단에 전달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덕트 수단은 상기 종축선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한 크기를 가진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것은, 덕트 수단(22)은 2개의 벽 부분(23)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들 벽 부분(23)은 자신의 엣지를 따라 밀봉되고 유연한을 가지며, 벽 부분(23) 각각은 내부면(26)을 구비하고, 이 내부면(26)은 상기 액체 내용물에 의한 작용이 없는 상태에서 서로 같은 높이로 인접해 있다.
본 발명의 용기(1)를 개방시키기 위해, 커팅과 같은 작업에 의해 덕트 수단(22)의 제 2 단부(25)를 제거한다. 물론, 이러한 커팅은 선택적인 각도를 가지는 구멍을 형성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된 용기(1)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용기(1)가 상기 직립 위치를 취할 때, 도 3a에 도시된 용기(1)의 횡단면도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내용물은 컴파트먼트(4)의 바닥 지대(21)에 본질적으로 모인다. 용기(1)에서 내용물이 아직 비워지지 않은 경우, 내용물의 일부가 용기(1)의 아치형 영역(18)내에 보유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측벽이 서로로부터 떨어져 이동하여 결국, 컴파트먼트의 체적을 증가시키도록 작용하는 상대 위치를 취할 정도로, 내용물이 바닥 지대(21)에서 측벽(2) 상에 작용할 것이다. 그러나, 컴파트먼트(4)의 아치형 영역(18)은 어떠한 내용물도 보유하지 않을 것이며 -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의 작은 부분만을 보유할 것이며 - 이로써, 이 아치형 영역(18)의 측벽(2)이 서로 인접하려고 해서, 차례로 컴파트먼트(4)의 체적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체적의 증가는, 체적의 증가를 중단시키는 네가티브 압력을 컴파트먼트(4) 내에 형성하게 하는 체적의 감소보다 크다.
도 5는 쏟아붓는 동작을 하게 되는 본 발명의 용기(1)를 도시하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용기(1)의 횡단면도이다. 이 용기(1)는 직립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기울어진 위치로 이동되며, 도 6은 내용물의 일부가 컴파트먼트(4)의 아치형 영역(18)에 어떻게 이르게 되었는지를 도시하는데, 생성되는 아치형 영역(18)의 체적의 증가는 바닥 지대(21)의 체적의 감소에 의해 어느 정도 보상된다. 이러한 체적의 상대적인 변화는 컴파트먼트내에서의 우세한 네가티브 압력이 중지되는 방식으로 조절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상술한 본 발명의 용기(1)내에 담겨있는 우유와 같은 액체 내용물을 쏟아붓기 위해 이 용기(1)를 어떻게 취급하는가를 도시한다.
도 7a는 기부 상에 직립 위치에 있는 개방된 용기(1)를 나타낸다. 액체 내용물은 상기 바닥 지대(21)에 모여 있다.
도 7b는 쏟아붓는 동작을 실행하는 동안 상승된 위치에 있는 용기(1)를 나타낸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용기(1)내에 보유된 내용물의 일부가 바닥 지대(21)로부터 아치형 영역(18) 및 연관된 출구 영역(19)에 이르게 된다. 액체 내용물은 덕트 수단(22)으로 전달될 것이며, 이로써 덕트 수단(22)의 벽 부분(23)과 그 내부면(26)을 분리시키는 압력이 작용되어, 내용물의 일부가 컵(27) 안으로 쏟아지게 할 수 있다. 내용물의 일부가 바닥 지대(21)로부터 아치형 영역(18)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내용물에 의해 바닥 지대(21)에서 측벽(2) 상에 작용되는 압력이 감소할 것이며, 따라서 측벽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게 하고, 이로써, 컴파트먼트(4)의 체적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체적의 감소는 상기 아치형 영역(18)에서 발생하는 체적의 증가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이로 인해, 컴파트먼트(4)에서 우세한 네가티브 압력이 중지하게 된다.
쏟아붓는 작동이 완성되었다면, 물론 내용물은 덕트 수단의 벽 부분 상에 어떠한 압력도 더 이상 작용하지 않을 것이며, 따라서, 벽 부분의 내부면(26)은 다시 한번 서로에 대해 인접하는 상태를 취할 것이다.
도 7c에서, 용기(1)는 다시 직립 위치로 오게 되었다. 내용물은 다시 상기 바닥 지대(21)에 모일될 것이며, 이것은 내용물이 다시 상기 측벽(2) 상에 압력을 작용하여, 컴파트먼트(4)의 체적의 증가를 가져올 것이다.
이러한 체적상의 증가는, 체적의 증가를 중단시키는 네가티브 압력이 컴파트먼트(4)에서 다시 한 번 발생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러한 네가티브 압력은 액체 내용물을 포함하지 않는 컴파트먼트의 일부분에서 측벽(2)을 수축시키고, 따라서, 이 일부분은 용기(1)의 아치형 영역(18)을 형성하고, 용기(1)의 충진 정도에 따라 바닥 지대의 보다 큰 부분 또는 보다 작은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컴파트먼트(4)의 상기 부분의 상기 측벽(2)이 서로 같은 높이로 인접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덕트 수단(22)은 컴파트먼트(4)에서 발생되는 네가티브 압력에 응답하여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것은 서로 같은 높이로 인접하는, 덕트 수단(22)의 벽 부분(23)의 내부면(26)이 서로에 대해 가압되어 기밀식 밀봉(air-tight seal)을 형성할 것이다. 덕트 수단(22)이 용기(1)의 종축선에 대해 경사지는 크기는 용기(1)의 벽들 상에 액체 내용물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덕트 수단에 전달될 수 없는 것을 보장하고, 이로써, 덕트 수단(22)을 개방하도록 작용하는 압력을 받지 않을 것이다. 이 결과, 용기(1)의 항구적인 밀봉이 얻어지며, 이러한 밀봉은 대기가 용기(1)의 컴파트먼트(4)로 유입되고 용기 내의 내용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기(1)는 항구적인 자가-밀봉식이며, 이것은 캡 또는 클립에 의한 밀봉과 같은 기계적인 항구적 밀봉의 필요성이 제거된다.
내용물을 반복적으로 쏟아붓기 위해, 용기(1)를 들어 올리고, 반복된 쏟아붓기 동작을 실행하기만 하면 되고, 이에 의해 네가티브 압력이 중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쏟아붓기 동작을 실행하는 경우에 내용물에 의해 작용되는 압력이 덕트 수단(22)의 벽 부분(23)의 분리를 중지시키고, 이로써, 내용물이 다시 한번 쏟아 부어지게 한다.
용기(1)의 항구적인 자가-밀봉 수용량은 본질적으로 용기(1)의 충진의 정도와 무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구적인 밀봉 용기(1)에 관심을 둔다.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1)는 예컨대 커팅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덕트 수단(22)을 포함한다. 게다가, 용기(1)는 유연한 벽(2, 3)을 포함하는데, 이 유연한 벽(2, 3)은, 용기(1)의 취급동안, 벽(2, 3)에 의해 형성된 컴파트먼트(4)의 체적이 쏟아붓는 동작일 때에는 감소하고 용기(1)를 직립 위치로 가져올 때에는 증가하는 방식으로, 용기(1)내에 보유된 액체 내용물에 의해 가동된다. 상기 체적의 증가는 컴파트먼트(4) 내에 네가티브 압력을 발생시키고, 이 네가티브 압력은 체적의 증가를 중단시켜서, 개방된 덕트 수단(22)을 밀봉하는 것을 보장한다. 덕트 수단(22)의 측면으로의 크기 즉, 덕트 수단(22)이 용기의 종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는 사실은, 용기(1)의 벽에 대해 내용물에 의해 작용되는 압력이 덕트 수단에 전달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한다. 이 결과, 항구적인 밀봉이 보장되며, 이러한 밀봉에 의해 덕트 수단(22)을 통해 용기(1)의 컴파트먼트(4)에 공기가 유입되어 내용물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컴파트먼트 내에 발생되는 네가티브 압력에 응답해서 덕트 수단(22)의 기밀식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덕트 수단(22)의 내부면(26)은 고평탄도를 가진다.
도 8은 용기(1)의 종축선에 대해 90°미만으로 경사져서 컴파트먼트(4)로부터 연장된 덕트 수단(22)을 갖춘 본 발명에 따른 용기(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도시된 본 발명의 용기(1)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덕트 수단이 용기(1) 내에 일체화될 수 있는데, 즉 덕트 수단이 용기(1)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단지 컴파트먼트(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변경 및 개조가 실행될 수 있으며, 결국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배타적으로 정의된다.

Claims (13)

  1. 유연한 벽(2, 3)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벽(2, 3)의 상대 위치에 따라 체적이 좌우되는 컴파트먼트(4)와, 상기 컴파트먼트(4)와 주변 사이를 연결하는 유연한 덕트 수단(22)을 포함하며, 상기 덕트 수단이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에 이르게 될 수 있고, 상기 컴파트먼트(4)가 바닥 지대(21)를 구비하며, 용기가 직립 위치를 취할 때 내용물이 본질적으로 상기 바닥 지대(21) 내에 모이는, 내용물을 위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벽(2, 3)은 상기 내용물이 상기 바닥 지대(21)에 모일 경우에 상기 내용물에 의해 가동됨으로써, 상기 컴파트먼트(4)의 체적의 증가를 위해 작용하는 상대 위치를 취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체적의 증가는 상기 컴파트먼트(4) 내에 발생된 네가티브 압력에 의해 중단되며,
    상기 덕트 수단(22)은 상기 컴파트먼트(4) 내에 발생되는 네가티브 압력에 응답해서 상기 폐쇄 상태에 이르게 되고, 그리고
    상기 덕트 수단(22)은 상기 용기의 종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상기 컴파트먼트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2, 3)은, 공통 연결부(5)를 따라 결합되며 비가동 상태에서 서로 같은 높이로 인접하고자 하는 2개의 마주하는 측벽(2)를 포함하는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수단(22)은 상기 측벽(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수단(22)은 상기 측벽(2)의, 서로 같은 높이로 인접하는 2개의 돌출하는 벽 부분(23)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 부분들은 그 엣지를 따라 서로 결합되어 있는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수단(22)은 내부면(26)들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면(26)들은 서로 대면해 있으며, 상기 컴파트먼트(4)내에 발생된 상기 네가티브 압력에 응답해서 상기 덕트 수단(22)이 폐쇄될 경우 밀봉식으로 서로 인접하는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면(26)은 고평탄도를 가지는 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물질의 바인더와 무기 재료의 필러를 포함하는 물질로 제조되는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재료는 쵸크(탄산칼슘)인 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제 1 측부(7) 상에는 운반 수단(6)이 설치되어 있는 용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수단(6)은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언급된 상기 연결부(5) 내에 설치되어 있는 용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수단(22)은 상기 용기의 제 2 측부(20) 상에 그리고 상기 바닥 지대(21)로부터 떨어져서 출구 영역(19)에 설치되어 있는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부(20)는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언급된 상기 제 1 측부(7)와 마주하고 있는 용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수단(22)은 상기 용기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밀봉되어 있으며, 커팅 등과 같은 조작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용기.
KR10-2003-7007861A 2000-12-13 2001-12-12 용기 KR200300746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004597A SE517996C2 (sv) 2000-12-13 2000-12-13 Förpackning för ett vätskeformig innehåll
SE0004597-1 2000-12-13
PCT/SE2001/002740 WO2002047994A1 (en) 2000-12-13 2001-12-12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655A true KR20030074655A (ko) 2003-09-19

Family

ID=20282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861A KR20030074655A (ko) 2000-12-13 2001-12-12 용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040096127A1 (ko)
EP (1) EP1341702A1 (ko)
JP (1) JP2004515423A (ko)
KR (1) KR20030074655A (ko)
CN (1) CN1230360C (ko)
AU (2) AU2002221249B2 (ko)
BR (1) BR0116148A (ko)
CA (1) CA2430855A1 (ko)
MX (1) MXPA03005256A (ko)
PL (1) PL361983A1 (ko)
RU (1) RU2277062C2 (ko)
SE (1) SE517996C2 (ko)
UA (1) UA74860C2 (ko)
WO (1) WO20020479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96968A5 (fr) * 2003-04-01 2008-02-29 Pepup S A Récipient souple pour liquide.
US8701947B2 (en) * 2004-02-19 2014-04-22 Pinar Holdings Llc Easy-to-use conical container
JP2007527998A (ja) * 2004-03-05 2007-10-04 ライジング,ピーター,イー. 液体サンプリング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20060034986A1 (en) * 2004-08-13 2006-02-16 Hynes Kenneth A Food container and method
US20090180716A1 (en) * 2007-10-31 2009-07-16 Mark Steele Package handle
JP4545187B2 (ja) * 2007-11-30 2010-09-15 株式会社悠心 飲食品包装袋用の液体注出ノズルの製造方法
EP2277784B1 (en) * 2008-05-21 2012-08-15 Kao Corporation Bag container
US8794833B2 (en) * 2008-08-28 2014-08-05 North American Salt Company Two-handled bag
US9309035B2 (en) 2009-06-25 2016-04-12 Yushin Co., Ltd. Self-standing liquid package bag with a flat film valve
JP5445747B2 (ja) * 2009-06-25 2014-03-19 株式会社悠心 フラットフィルム弁付き自立型液体包装袋
CN102803093A (zh) * 2009-06-26 2012-11-28 有限公司商场贩卖力开发 用于挠性小袋容器的托架
JP2011006122A (ja) * 2009-06-29 2011-01-13 Daiwa Gravure Co Ltd 液体収納袋
US8336495B1 (en) 2009-09-08 2012-12-25 Dumm Richard H Flexible heat treatment and storage bag
US20110170804A1 (en) * 2010-01-13 2011-07-14 Marc Mamiye Slide dispensing sealed pouch
US8910834B2 (en) 2010-11-24 2014-12-16 Method Products, Pbc Flexible container having a grip
US9321582B2 (en) * 2012-11-01 2016-04-26 Timur Yildiz Stand-up packaging apparatus for a shirt
FR3011825B1 (fr) * 2013-10-11 2016-01-01 Oreal Element de fermeture multiple pour un contenant recevant un produit cosmetique
CN105683059A (zh) * 2013-11-06 2016-06-15 宝洁公司 具有产品体积和联接到其的支座结构的容器
US10779507B2 (en) 2014-04-21 2020-09-22 Bark Pouch LLC Pet treat dispensing container with cap fastener
CA2981847C (en) 2015-04-10 2019-03-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containers with reinforcing seals
USD762015S1 (en) * 2015-04-17 2016-07-19 Bark Pouch LLC Animal treat dispensing container
CN105620885A (zh) * 2016-03-16 2016-06-01 李克勤 包装袋
USD927297S1 (en) 2020-11-24 2021-08-10 Stasher, Inc. Container
USD1011927S1 (en) 2021-10-01 2024-01-23 Stasher, Inc. Container
USD1011926S1 (en) 2021-10-01 2024-01-23 Stasher, Inc. Container
USD1012727S1 (en) 2021-10-01 2024-01-30 Stasher, Inc. Container
USD996978S1 (en) 2021-10-01 2023-08-29 Stasher, Inc.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24251E (en) * 1956-12-04 Dispensing containers for liquids
US3009498A (en) * 1954-11-29 1961-11-21 Oerlikon Buehrle Ag Plastic bag with a self-sealing valve
US2999627A (en) * 1957-10-18 1961-09-12 Fr Hesser Maschinenfabrik Ag F Flat bag packag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US2952394A (en) * 1958-01-27 1960-09-13 William S Schneider Self closing dispensing container
US3149772A (en) * 1960-12-07 1964-09-22 Technipak Proprietary Ltd Self sealing sachets or containers
US3815794A (en) * 1972-03-02 1974-06-11 R Carlisle Plastic-film containers with self-sealing orifices
US3878977A (en) * 1972-03-02 1975-04-22 American Can Co Flexible container with arcuate self-sealable spout
DE2852877A1 (de) * 1978-12-07 1980-06-19 Hoechst Ag Beutel mit ein- oder abreissanordnung
US4491245A (en) * 1982-03-24 1985-01-01 Jamison Mark D Liquid dispensing container
US4732299A (en) * 1986-02-10 1988-03-22 Hoyt Earl E Collapsible container
DE8807593U1 (ko) * 1988-06-10 1988-09-08 Indag Gesellschaft Fuer Industriebedarf Mbh, 6900 Heidelberg, De
FR2637572B1 (fr) * 1988-10-12 1990-12-14 Thimonnier Sa Recipient en matiere souple
US5018646A (en) * 1988-11-23 1991-05-28 S. C. Johnson & Son, Inc. Squeezable fluid container
US4988016A (en) * 1989-01-30 1991-01-29 James P. Hawkins Self-sealing container
US5005734A (en) * 1989-03-23 1991-04-09 Colgate-Palmolive Company Flexible pouch with reinforcement to facillitate pouring
US4974732A (en) * 1990-02-02 1990-12-04 S. C. Johnson & Son, Inc. Sealed pouch having tear-open spout
CH682741A5 (de) * 1991-04-09 1993-11-15 Karla Ann Emich Verpackungsbeutel für fliess- oder rieselfähige Stoffe.
US5378065A (en) * 1993-12-30 1995-01-03 Tobolka; Stefan Container
SE513561C2 (sv) * 1998-02-17 2000-10-02 Eco Lean Ab Behållare, sätt och anordning för att framställa en behållare samt sätt och anordning för att fylla en behåll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61983A1 (en) 2004-10-18
SE0004597D0 (sv) 2000-12-13
CA2430855A1 (en) 2002-06-20
BR0116148A (pt) 2003-10-21
JP2004515423A (ja) 2004-05-27
WO2002047994A1 (en) 2002-06-20
UA74860C2 (en) 2006-02-15
AU2124902A (en) 2002-06-24
CN1498182A (zh) 2004-05-19
RU2277062C2 (ru) 2006-05-27
MXPA03005256A (es) 2003-09-25
EP1341702A1 (en) 2003-09-10
US20040096127A1 (en) 2004-05-20
SE0004597L (sv) 2002-06-14
SE517996C2 (sv) 2002-08-13
CN1230360C (zh) 2005-12-07
AU2002221249B2 (en) 200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74655A (ko) 용기
RU2285644C2 (ru) Контейнер
US5433526A (en) Flexible bag
KR101101482B1 (ko) 빈 용기 및 이로 형성된 저장 용기
EP0893358B1 (en) Container formed of lamination sheet
US5378065A (en) Container
WO2019208751A1 (ja) 口栓付紙容器
AU2002221249A1 (en) Container
US5685479A (en) Box-like packaging with dispensing opening and blank for making same
JP4263640B2 (ja) 薄肉容器
KR200267949Y1 (ko) 개방이 용이한 유출구가 구비된 포장용기
US6918533B2 (en) Handled container
KR100641450B1 (ko) 구부접철부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 및 그 구조
JPH09202357A (ja) バックインボックス
JPH0930539A (ja)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KR20030062284A (ko) 양측 거싯부형 파우치 용기에 배출대를 형성하는 구조
KR20030022209A (ko) 스트로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
JPH0356503Y2 (ko)
JP2021062902A (ja) 口栓付紙容器
JP2019209982A (ja) 口栓付紙容器
JPH10120007A (ja) 注出用ノズル及びそれを用いた袋体
US20040190797A1 (en) Package comprising at least two opposite walls as well as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package
JPH08244767A (ja) 容 器
KR20000022409A (ko) 패키징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026717A (ko) 공기로가 형성된 액체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