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2912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2912A
KR20030072912A KR1020020012202A KR20020012202A KR20030072912A KR 20030072912 A KR20030072912 A KR 20030072912A KR 1020020012202 A KR1020020012202 A KR 1020020012202A KR 20020012202 A KR20020012202 A KR 20020012202A KR 20030072912 A KR20030072912 A KR 20030072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uide rail
display device
press roll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6105B1 (ko
Inventor
정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20012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105B1/ko
Publication of KR20030072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하단에 형성된 제1힌지와, 상기 제1힌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본체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슬라이드 구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에 그 가이드 레일의 구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랙 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맞물려 구동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상단에 형성된 제2힌지와, 상기 제2힌지가 슬라이드 구동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슬라이드 구동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그 가이드 레일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프레스 롤러와; 상기 프레스 롤러를 상기 가이드 레일 측으로 누르는 누름 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한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슬라이드 구동을 가능케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APPARATUS FOR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량 등과 같이 공간의 제약이 있는 곳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부(화면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보다 안정된 디스플레이부의 슬라이드 구동을 가능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부분사시도, 도 2는 종단면도, 도 3은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디스플레이부(7)와, 디스플레이부(7)의 측면 하단에 형성된 제1힌지(6)와, 제1힌지(6)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본체(10)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1)과,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어 가이드 레일(1)의 슬라이드 구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2)와, 가이드 레일의 일측(1)에 그 가이드 레일(1)의 구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랙 기어(5)와, 랙기어(5)와 맞물려 구동하는 피니언 기어(4)와, 피니언 기어(4)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3)와, 디스플레이부(7)의 측면 상단에 형성된 제2힌지(12)와, 제2힌지(12)가 슬라이드 구동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홈(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디스플레이부(7)가 폐쇄된 상태, 즉, 디스플레이부(7)가 수직하게 배치되어 본체(10)의 전면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구동모터(3)에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모터(3)의 회전운동이 피니언 기어(4) 및 랙 기어(5)의 맞물림 운동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전향된다.
랙 기어(5)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1)은 가이드 롤러(2)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직선구동력에 의해 본체(10)의 전방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이는 제1힌지(6)에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부(7)를 개방시킨다.
한편, 디스플레이부(7)의 측면 상단에는 제2힌지(12)가 이탈방지홈(13)에 슬라이드 구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7)는 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단지 각도가 변화하는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7)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디스플레이부(7)의 전면에 형성된 화면(8)을 통해 방송 등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7)가 개방된 상태, 즉, 디스플레이부(7)가 수평하게 배치되어 본체(10)의 전면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모터(3)에 상기와 반대방향의 회전력을 인가하면, 상기와 반대의 구동이 진행되어 다시 디스플레이부(7)가 폐쇄된 상태로 되돌아 오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부(7)의 개방을 위해 가이드 레일(1)이 본체(10)의 전방을 향해 구동하는 도중,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2) 중 후방에 있는 가이드 롤러(22)의 구속을 벗어나게 되므로, 가이드 레일(1)의 슬라이드 구동이 불안정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7)가 흔들리거나, 아래로 처지게 되는 바,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장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보다 안정된 슬라이드 구동을 가능토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부분사시도
도 2는 종단면도
도 3은 횡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부분사시도
도 5는 횡단면도
도 6은 주요부 확대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이드 레일2 : 가이드 롤러
3 : 구동모터4 : 피니언 기어
5 : 랙 기어6 : 제1힌지
7 : 디스플레이부8 : 화면
10 : 본체30 : 프레스 롤러
40 : 누름수단41 : 본체부
42 : 제3힌지43 : 탄성압축수단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하단에 형성된 제1힌지와, 상기 제1힌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본체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슬라이드 구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에 그 가이드 레일의 구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랙 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맞물려 구동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상단에 형성된 제2힌지와, 상기 제2힌지가 슬라이드 구동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슬라이드 구동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그 가이드 레일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프레스 롤러와; 상기 프레스 롤러를 상기 가이드 레일 측으로 누르는 누름 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누름 수단은 일단부에 상기 프레스 롤러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힌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스 롤러에 탄성압축력을 인가하는 탄성압축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압축수단은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하는 스프링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부분사시도, 도 5는 횡단면도, 도 6은 주요부 확대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디스플레이부(7)와, 디스플레이부(7)의 측면 하단에 형성된 제1힌지(6)와, 제1힌지(6)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본체(10)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1)과,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어 가이드 레일(1)의 슬라이드 구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2)와, 가이드 레일의 일측(1)에 그 가이드 레일(1)의 구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랙 기어(5)와, 랙기어(5)와 맞물려 구동하는 피니언 기어(4)와, 피니언 기어(4)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3)와, 디스플레이부(7)의 측면 상단에 형성된 제2힌지(12)와, 제2힌지(12)가 슬라이드 구동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홈(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는 점에서는 종래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체(10)의 내부의 전방에 장착되어 가이드 레일(1)의 슬라이드 구동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그 가이드 레일(1)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프레스 롤러(30)와; 프레스 롤러(30)를 가이드 레일(1) 측으로 누르는 누름 수단(40)을; 추가적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체(10) 개구부 측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21)의 근방에 상기 프레스 롤러(30)가 추가적으로 장착되므로, 디스플레이부(7)의 개방을 위해 가이드 레일(1)이 본체(10)의 전방을 향해 구동하는 도중,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2) 중 후방에 있는 가이드 롤러(22)의 구속을 벗어나게 되더라도, 가이드 레일(1)의 슬라이드 구동이 안정을 유지하게 되는바, 디스플레이부(7)가 흔들리거나, 아래로 처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누름 수단(40)은 프레스 롤러(30)를 가이드 레일(1) 측으로 누르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겠으나, 일단부에 상기 프레스 롤러가 형성된 본체부(41)와; 본체부(41)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본체(10)의 내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힌지(42)와; 본체부(41)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프레스 롤러(30)에 탄성압축력을 인가하는 탄성압축수단(4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구조의 단순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탄성압축수단(43)은 스프링(431)과; 스프링(431)을 본체(10)의 내부에 고정하는 스프링 고정부(4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간이 제한되어 화면부의 각도 조절이필요한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는 차량 등에 사용되는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7)가 폐쇄된 상태, 즉, 디스플레이부(7)가 수직하게 배치되어 본체(10)의 전면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구동모터(3)에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모터(3)의 회전운동이 피니언 기어(4) 및 랙 기어(5)의 맞물림 운동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전향된다.
랙 기어(5)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1)은 가이드 롤러(2)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직선구동력에 의해 본체(10)의 전방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이는 제1힌지(6)에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부(7)를 개방시킨다.
여기서, 가이드 레일(1)의 전진에 의해 후방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22)의 구속으로부터 가이드 레일(1)이 이탈하게 되더라도, 프레스 롤러(30)의 누름작용에 의해 가이드 레일(1)은 안정된 직선구동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7)의 측면 상단에는 제2힌지(12)가 이탈방지홈(13)에 슬라이드 구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7)는 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단지 각도가 변화하는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7)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디스플레이부(7)의 전면에 형성된 화면(8)을 통해 방송 등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7)가 개방된 상태, 즉, 디스플레이부(7)가 수평하게 배치되어 본체(10)의 전면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모터(3)에 상기와 반대방향의 회전력을 인가하면, 상기와 반대의 구동이 진행되어 다시 디스플레이부(7)가 폐쇄된 상태로 되돌아 오게 된다.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장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보다 안정된 슬라이드 구동을 가능케한다.

Claims (4)

  1.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하단에 형성된 제1힌지와, 상기 제1힌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본체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슬라이드 구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에 그 가이드 레일의 구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랙 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맞물려 구동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상단에 형성된 제2힌지와, 상기 제2힌지가 슬라이드 구동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슬라이드 구동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그 가이드 레일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프레스 롤러와;
    상기 프레스 롤러를 상기 가이드 레일 측으로 누르는 누름 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수단은
    일단부에 상기 프레스 롤러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힌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스 롤러에 탄성압축력을 인가하는 탄성압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압축수단은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하는 스프링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차량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20012202A 2002-03-07 2002-03-07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06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202A KR100806105B1 (ko) 2002-03-07 2002-03-07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202A KR100806105B1 (ko) 2002-03-07 2002-03-07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912A true KR20030072912A (ko) 2003-09-19
KR100806105B1 KR100806105B1 (ko) 2008-02-21

Family

ID=32223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202A KR100806105B1 (ko) 2002-03-07 2002-03-07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1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416B1 (ko) * 2002-11-25 2005-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패널 구동장치
KR100696426B1 (ko) * 2005-12-16 2007-03-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에이브이 시스템용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
KR20200012311A (ko) * 2018-07-26 2020-02-05 이엠디에스코리아 주식회사 광고용 모니터가 부착된 음료 디스펜스 장치
KR20210048839A (ko) * 2019-10-24 2021-05-04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412A (ja) * 1983-07-18 1985-02-06 Osaka Soda Co Ltd 耐油性ゴム組成物
KR20000033789A (ko) * 1998-11-25 2000-06-15 전주범 프론트 패널 틸팅 구조를 갖는 카오디오
KR100345281B1 (ko) * 2000-07-11 2002-07-2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용 에이브이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
JP2003223109A (ja) * 2002-01-31 2003-08-08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スプレイ移送機構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416B1 (ko) * 2002-11-25 2005-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패널 구동장치
KR100696426B1 (ko) * 2005-12-16 2007-03-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에이브이 시스템용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
KR20200012311A (ko) * 2018-07-26 2020-02-05 이엠디에스코리아 주식회사 광고용 모니터가 부착된 음료 디스펜스 장치
KR20210048839A (ko) * 2019-10-24 2021-05-04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105B1 (ko)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0619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sliding vehicle door
EP1705330A1 (en) Damping device
US20020101091A1 (en) Panel driving device
US20060108900A1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KR20030072912A (ko) 디스플레이 장치
CA2730163C (en) Direct drive variable crimp on flange tool
JP5079095B2 (ja) モニタパネル装置
CN115158117B (zh) 座椅滑动装置
KR100385586B1 (ko) 프린터용 클램쉘 장치
KR20040045809A (ko) 패널 구동장치
JP7490986B2 (ja) 車両用開閉体駆動装置
JP3031653B2 (ja) 引戸の停止装置
US6262352B1 (en) Controlling device of music bell in the pearl box
JPH0781426A (ja) サンルーフ装置
JP4453499B2 (ja) 車両用ドア開閉位置保持装置
JPH1037586A (ja) 摺動装置
KR101271533B1 (ko) 휴대 단말기
JPH0683493U (ja) 車載用機器のガイド機構
KR100346265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이동장치
KR20200068802A (ko) 패널 헤밍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헤밍하는 방법
KR200405346Y1 (ko) 슬라이딩 휴대폰의 슬라이드 개폐 구동 장치
KR20050035949A (ko) 패널 구동장치
JP2581999Y2 (ja) 車載用機器の機器本体移動装置
KR0166228B1 (ko) 키보드 수납장치
KR102027344B1 (ko) 트렁크 개폐장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