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0123A - 내장형 프린터를 구비한 검안경 - Google Patents

내장형 프린터를 구비한 검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0123A
KR20030070123A KR10-2003-7009575A KR20037009575A KR20030070123A KR 20030070123 A KR20030070123 A KR 20030070123A KR 20037009575 A KR20037009575 A KR 20037009575A KR 20030070123 A KR20030070123 A KR 20030070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hthalmoscope
printhead
print
print engin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9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1859B1 (ko
Inventor
키아 실버브룩
자넷 페이에 리
Original Assignee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70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61B3/1208Multiple lens hand-held instru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Ink Jet (AREA)
  • Liquid Develope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검안경(800)은, 렌즈(802)와, 검안사(optometrist) 또는 안과의사나 일반 개업의사가 이를 통하여 환자의 눈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접안경(eyepiece;801)을 포함한다. 상기 검안경은, 관찰된 이미지의 즉석(instantaneous) 영구기록을 제공하기 위하여 프린터가 그 내부에 설치된 핸들(803)을 포함한다. 트리거(817)의 작동에 의하여, 슬롯(804)을 경유하여 핸들(803) 외부로 배출되는 시트(816) 상에 영구(permanent) 그래픽 이미지가 프린트된다.

Description

내장형 프린터를 구비한 검안경{OPHTHALMOSCOPE WITH INTERNAL PRINTER}
일반적인 검안경은 일반 개업의사, 검안사(optometrist) 또는 안과의사가 이를 통하여 환자의 눈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접안경(eyepiece)과 연결된 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그러한 장치들은, 관찰을 위하여 눈의 내측을 비춰주는 배터리로 작동되는 광원(light source)을 포함하고 있다.
만약, 눈 내측의 모습에 대한 영구적인 그래픽 기록이 값싸게 즉석으로 제공될 수 있다면 유용할 것이다. 이는, 검안경으로 관찰할 때, 예를 들어 망막의 그래픽 이미지를 프린트하는데 적용되는 내장형 프린터를 구비한 핸드헬드(hand-held) 검안경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장형(in-built) 이미지센서와 내장형 프린트엔진을 구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내장형 프린터를 구비한 검안경(ophthalmoscope)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들을 포함하는 프린트엔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엔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거 가능한 프린트 카트리지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프린트엔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프린트 카트리지를 점선으로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엔진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엔진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엔진의 프린트헤드 부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헤드 부조립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캐핑기구가 캐핑 위치(capping position)에 있는 프린트헤드 부조립체의 끝단면도이다.
도 9는, 캐핑기구가 캐핑되지 않은 위치(uncapped position)에 있는 프린트헤드 부조립체의 도면이다.
도 10은, 프린트엔진의 공기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내장형 프린터를 구비한 검안경 내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2는, 그 핸들 내에 프린터가 설치된 검안경의 개략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는, 검안경에 수신된 눈 내측의 그래픽 이미지를 프린팅하기 위한 내장형(built-in) 프린터를 구비한 핸드헬드(hand-held) 검안경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프린터는, 검안경의 핸들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안경은, 프린트헤드를 제어하는 프린트엔진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미지 센서와 프린트엔진 컨트롤러가, 프린트매체 전송용 모터 드라이버 및 프린트매체 롤러로부터 프린트된 이미지를 잘라내기 위한 길로틴(guillotine) 모터의 작동용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마이크로 제어회로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린트엔진 컨트롤러와 이미지 메모리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린트헤드는, 모놀리식(monolithic) 페이지폭(pagewidth) 프린트헤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린트헤드는, 잉크젯 프린트헤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안경은, 환자의 눈 내부를 비추기 위한 광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린터는, 잉크공급원과 프린트매체가 편입된 제1 부조립체(sub-assembly)와, 프린트헤드가 편입된 제2 부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린트엔진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될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에서, 참조부호 500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엔진을 나타낸다. 프린트엔진(500)은 프린트엔진 조립체(502)를 포함하는데, 상기 프린트엔진 조립체(502) 상에는 프린트 롤 카트리지(print rollcartridge)(504)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프린트 카트리지(504)는, 본 발명과 함께 계류중인 출원인 국제출원번호 PCT/AU00/00741 및 국제출원번호 PCT/AU00/00742의 출원서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그 개시된 내용은 참조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편입되어 있다.
프린트엔진 조립체(502)는 제1 부조립체(506)와 제2 프린트헤드 부조립체(508)를 구비한다.
부조립체 506은 섀시(510)를 포함한다. 상기 섀시(510)는, 잉크공급채널(514)이 몰딩되는 제1 몰딩부(512)를 구비한다. 잉크공급채널(514)은, 잉크를 프린트헤드 카트리지(504)로부터 프린트헤드 부조립체(508)의 프린트헤드(516)(도 5 내지 도 7)로 공급한다. 프린트헤드(516)는 4개의 컬러나, 3개의 컬러와 적외선 광 스펙트럼에서만 볼 수 있는 잉크(이하, "적외선 잉크"라 칭함)를 더한 것을 프린트한다. 따라서, 공기공급채널(518)과 함께, 4개의 잉크공급채널(514)이 상기 몰딩부(512)에 규정된다. 공기공급채널(518)은 공기를 프린트헤드(516)로 공급하여 프린트헤드(516)의 노즐보호구 상에 이물질 입자가 쌓이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 섀시(510)는 커버몰딩부(520)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커버몰딩부(520)는 그 위에 있는 펌프(522)를 지지한다. 상기 펌프(522)는 일종의 흡인펌프로서, 공기유입구 핀(air inlet pin)(524)과 공기유입 개구(526)를 경유하여 프린트 카트리지(504) 안에 있는 공기필터를 통해 공기를 빨아들인다. 공기는 유출 개구(528)를 통해 상기 섀시(510)의 공기공급채널(518)로 방출된다.
상기 섀시(510)는 스테퍼 모터(530)의 형식을 가지는 제1 구동모터를 부가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스테퍼 모터(530)는 제1 기어열(532)을 경유하여 상기 펌프(522)를 구동한다. 또한, 상기 스테퍼 모터(530)는, 제2 기어열(538)을 경유하여 프린트 카트리지(504)의 롤러조립체(536)의 구동롤러(534)(도 5 참조)에도 연결된다. 기어열 538은, 구동롤러(534)의 일 단부(端部)에 설치된 결합부재(540)(도 2 참조)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테퍼 모터(530)는, 부조립체(508)의 프린트헤드(516)로 프린트매체(542)의 이송을 제어하여, 프린트매체(542)가 상기 프린트헤드(516)의 바로 밑을 지나갈 때, 이미지(image)가 상기 프린트매체(542) 상에 프린트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주목되어져야 할 점은, 프린트매체(542) 상에서 프린트 작업이 일어날 때, 상기 스테퍼 모터(530)는 상기 프린트매체(542)를 진행시키기 위해서 작동할 뿐이며, 상기 펌프(522)는 공기를 프린트헤드(516)를 지나 불어넣기 위해서 작동할 뿐이라는 것이다.
섀시(510)의 몰딩부(512)는 또한, 잉크공급채널(514)과 소통하는 핀(pins)(544)의 형식을 가지는 복수의 잉크공급관을 지지한다. 프린트 카트리지(504) 안에 있는 잉크챔버나 저장실(548)(도 5 참조)로부터 잉크를 빨아들여 프린트헤드(516)로 공급하기 위해서, 잉크공급핀(544)이 프린트 카트리지(504)의 탄성중합체 칼러조립체(elastomeric collar assembly)(546)를 통해 수납된다.
DC 모터인 제2 모터(550)는, 클립(clips)(552)을 경유하여 상기 섀시(510)의 커버몰딩부(520) 상에 지지된다. 상기 모터(550)는, 커터 아암 조립체(554)의 형식을 가지는 분리수단을 구동하여, 프린트매체 상에 이미지가 프린트된 후, 그 프린트매체의 잔부로부터 한 장의 프린트매체(542)를 분리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상기 모터(550)는, 그 출력축(output shaft) 상에서 베벨기어(556)를 구비하고 있다. 베벨기어(556)는 커터조립체(554)의 워엄기어(560) 상에 있는 베벨기어(558)와 맞물린다. 상기 워엄기어(560)는, 프린트헤드 부조립체(508)의 섀시 기초판(564)에 베어링(562)을 경유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커터조립체(554)는 커터휠(cutter wheel)(566)을 포함하는데, 그 커터휠은 장착블럭(570) 상의 탄성적으로 유연한 아암(568) 상에 지지된다. 워엄기어(560)는 장착블럭(570)을 관통하여 지나가므로, 워엄기어(560)가 회전할 때, 상기 장착블럭(570)과 커터휠(566)이 섀시 기초판(564)을 가로질러 간다. 장착블럭(570)은 상기 기초판(564)의 립(lip)(572)에 대항 지지되어, 워엄기어(560)에 대한 장착블럭(570)의 상대적 회전이 방지된다. 더욱이, 프린트매체(542)를 절단하도록 하기 위해서, 커터휠(566)은, 프린트헤드 조립체(508)의 상부 하우징 또는 캡부분(574)에 대항 지지된다. 상기 캡부분(574)은 금속 부분이다. 따라서, 커터휠(566)이 상기 캡부분(574)을 가로질러 갈 때, 가위와 유사한 절단작용이 프린트매체에 부여되어, 이미지가 프린트된 프린트매체(542)의 그 부분이 분리된다.
부조립체 506은 방출기구(ejector mechanism)(576)을 포함한다. 상기 방출기구(576)는 섀시(510) 상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방출기구(576)를 섀시(510)에 고정 및 부착하는 클립(580)을 구비하는 칼러(578)를 가진다. 상기 칼러(578)는, 그 내부에 탄성중합체의 인서트(insert)(582)를 지지한다. 탄성중합체 인서트(582)에는 복수의 개구(openings)(58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584)는핀(544)의 유입 개구를 막아, 이물질 입자들이 핀(544)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채널(514)과 프린트헤드(516)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인서트(584)에는, 동일한 목적으로 공기유입구 핀(524)의 유입 개구를 차단하는 랜드(land)나 플랫폼(platform)(586)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588)은 섀시(510)와 칼러(578) 사이에 배치되어, 카트리지(504)가 프린트엔진(500)으로부터 분리될 때, 섀시(5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간격이 형성된 위치까지 칼러(578)를 밀어낸다. 도 4에, 방출기구(576)가 조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프린트헤드 부조립체(508)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초판(564)을 포함한다. 캐핑기구(capping mechanism)(590)는 상기 기초판(564) 상에서 변위될 수 있게 지지되어, 상기 프린트헤드(516)에 근접되게, 그리고 멀어지게 변위될 수 있다. 상기 캐핑기구(590)는, 캐리어(carrier)(593) 상에 배치된 연신리브(elongate rib)(592)를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는 변위기구(displacement mechanism)(594)에 의해 지지되는데, 이는 프린트헤드(516)가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리브(592)를 이동시켜 프린트헤드(516)와 접합시킨다. 반대로, 프린트헤드(516)가 작동중일 때, 상기 변위기구(594)는 상기 리브(592)를 회복시켜서 프린트헤드(516)로부터 떨어지게 작동될 수 있다.
프린트헤드 부조립체(508)는, 프린트헤드(516)가 장착된 프린트헤드 지지 몰딩부(596)를 포함한다. 몰딩부(596)에 배치된 인서트(599)와 함께, 몰딩부(596)에는, 이미지가 프린트매체(542) 위에 프린트될 때, 상기 프린트매체(542)가 통과하는 통로(598)가 형성된다. 홈(700)은 몰딩부(596)에 형성되며, 캐핑기구(590)가 캐핑위치에 있을 때, 몰딩부를 통해 캐핑기구(590)가 돌출된다.
잉크 급송(feed)구조(702)는, 캡부분(574)의 바로 밑에서 인서트(599)에 의해 지지된다. 잉크 급송구조(702)는 척추부(spine portion)(704)와, 척추부(704)에 장착된 케이싱(casing)(706)을 구비한다. 척추부(704)와 케이싱(706) 사이에는, 통로(710)(도 7 참조)를 경유하여 잉크를 프린트헤드(516)로 공급하기 위해, 섀시(510) 내부의 잉크공급채널(514)과 소통하는 잉크급송 갤러리(gallery)(708)가 형성된다.
공기공급채널(711)(도 8 참조)은, 프린트헤드(516) 옆을 따라 나란히 척추부(704)에 규정된다.
전기적 신호는, 인서트(599)와 잉크 급송구조(702) 사이에 에워싸여 고정된 탭 필름(TAB film)(712)을 경유하여 프린트헤드(516)에 제공된다.
몰딩부(596)는 경사진 날개부(714)를 포함한다. 유연한 프린트 회로기판(PCB)(716)은 상기 날개부(714) 상에 지지되어 고착된다. 상기 유연한 프린트 회로기판(716)은, 인서트(599)의 리브(718)를 경유하여 탭 필름(712)과 강제로 결합됨으로써, 탭 필름(712)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유연한 PCB(716)는, 그 위에서 버스바(busbars)(720)를 지지한다. 버스바(720)는, 프린트헤드(516)와 프린트엔진(500)의 다른 전기부품에 전력을 공급한다. 더욱이, 카메라 프린트엔진 제어칩(721)은, 카트리지(504)가 프린트엔진(500)과 호환가능하고 잘 조화된다는 것을 증명하는 QA칩(미도시)과 함께 유연한 PCB(716) 상에 지지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PCB(716)는, 프린트 카트리지(504)에서 접촉부 725와 결합하는 접촉부 723을 포함한다.
도 7에 보다 명확히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프린트헤드 자체는, 실리콘 웨이퍼(724) 상에 배치된 노즐보호구(722)를 포함한다. 잉크는, 잉크공급부재(726)를 경유하여 프린트헤드(516)의 노즐어레이(array)(미도시)에 공급된다. 잉크공급부재(726)는, 필요할 때 잉크를 프린트헤드(516)의 노즐어레이로 공급하기 위한 잉크 급송구조(702)의 통로(710) 유출구와 소통한다.
도 10에는, 상기 프린트헤드(516)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통로가 더욱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522)는 단부 캡(730)에 의하여 덮여지는 임펠러(728)를 포함한다. 섀시의 커버몰딩부(520)에는 임펠러(728)를 위한 수용용기(732)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몰딩부(520)는 공기 유입구(734)와 공기 유출구(736)를 구비한다. 상기 공기 유입구(734)는 핀(524)과 소통된다. 공기 유출구(736)는 공기를 도 10에서, 굵은 검은 선으로 표시된 공기공급채널(518)로 공급한다. 상기 공기공급채널(518)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프린트헤드를 청소하기 위하여 프린트헤드(516) 내로 송풍된다. 펌프(522)를 경유하여 빨아들여진 공기는 프린트 카트리지(504)에 수용된 공기필터(738)에 의하여 여과된다. 상기 공기필터(738)는, 종이 재질 또는 다른 적절한 여과매체로 이루어진 필터 부품(740)을 구비한다. 상기 필터부품(740)은 베이스(742)와 뚜껑(744)을 구비한 여과통(canister) 내에 수용된다. 상기 뚜껑(744)은 개구(746)를 가지고 있다. 상기 개구(746)는 핀(524)에 의하여 관통되는 필름(748)에 의하여 덮여진다. 프린트카트리지(504) 내에 공기필터(738)가 설치될 때의 장점은, 프린트 카트리지(504)가 교체될 때 상기 공기필터(738)도 교체된다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장점 중 하나는, 공기펌프(522)가 프린트헤드(516)로의 프린트매체 공급을 제어하는 스테퍼모터(530)에 의하여 구동된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프린트엔진에 요구되는 부품의 수가 더 적게 되어 프린트엔진을 더욱 컴팩트하게 만들 수 있다. 게다가, 동일한 모터(530)가 공기펌프(522) 작동 및 프린트헤드(516)로의 프린트매체(542) 공급을 위하여 사용되므로, 프린트엔진(500)에 포함된 전력소모부품들의 수가 적게 되어 프린트엔진을 더욱 컴팩트하고 보다 싸게 생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주목되어져야 할 점은, 프린트엔진(500)을 보다 컴팩트하게 만들기 위해, 프린트엔진 조립체(502)의 사이즈가, 대부분의 부품들이 프린트엔진 카트리지(504)의 일 단부의 장착부(footprint) 내에 수납되도록 정해진다는 것이다.
도 11에는, 내장형 프린터를 구비한 검안경의 기본적인 내부 구성요소가 블록도 형태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프린터는 전형적으로 모놀리식(monolithic) 프린트헤드(814)를 사용하는데, 이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같은 프린트헤드일 수도 있지만, 사진 크기의 프린트매체를 프린트할 수 있는 다른 컴팩트한 프린트헤드일수도 있다. 이미지 센서(806)는 검안경의 렌즈(802)(도 12 참조)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806)의 이미지 데이터는 프린트헤드(814)를 제어하는 프린트엔진 컨트롤러(813)로 공급된다.메모리(815)는 상기 프린트엔진 컨트롤러와 연결되며, 이미지 메모리를 저장한다. 이 이미지 메모리는 예컨대, 트리거(tirgger;817)를 누름으로써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 및 프린트엔진 컨트롤러와 연결된 마이크로 컨트롤러(807)는, 메체 전송장치(810)를 교대로 구동시키는 모터 드라이버(809)를 제어한다. 이는, 상술한 스테퍼모터(530)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807)는, 이미지가 프린트된 후 프린트 매체의 내장형(in-built) 롤로부터 프린트된 시트(sheet)를 절단하기 위한 길로틴(guillotine) 모터(812)를 교대로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811)를 제어한다. 매체전송장치(810)에 의해 이동되는 시트는, 도 12에 816번으로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길로틴은 상술한 커터휠(566)의 형태일 수 있다.
첨부된 도면 12에는, 그 렌즈(802)가 환자의 눈을 향하도록 놓여진 검안경(800)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검안경의 맨 위에 있는 광원(818)은, 빛이 눈동자를 관통하여 눈 안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망막을 조명(illuminate)한다. 검안사, 안과의사나 일반 개업의사는 접안경(801)을 사용하여 조명된 눈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상기 검안경은, 내부에 드라이 셀(dry cell) 배터리와 같은 전력원이 제공된 핸들(803)을 구비하며, 이에 의하여 도 1 내지 도 10에 개시된 것과 같은 프린트엔진에 동력을 공급한다. 상기 핸들(803)의 케이싱은 슬롯(804)을 포함하며, 이를 통하여 그 위에 프린트된 이미지를 구비한 시트(816)가 배출될 수 있다. 프린트 작업이 개시되도록 트리거(817)가 제공된다.
상기 이미지 센서(806)는, 종래의 거울과 같이 배치된 접안경(801)과 렌즈(802)를 통하여 관찰되는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렌즈(802)가 이미지를 뒤에 위치한 이미지 센서(806) 상에 맺히도록 하고, 상기 접안경(801)을 예컨대, 조그만 전자 이미지 디스플레이 패널로 대치할 수도 있다.
사용시에는, 검안경(800)의 핸들(803)을 잡고 있는 검안사, 안과의사 또는 다른 의사가, 렌즈(802)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눈동자를 통하여 환자의 눈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접안경(801)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검안경에는 망막에 대한 명확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렌즈(802)를 회전시키고 페룰(ferrule)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조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작동을 시작할 때는, 트리거(817)를 눌러 프린트엔진 컨트롤러를 작동시킴으로써, 메모리(815)에 저장된 이미지를 프린트할 수 있다. 상기 프린트엔진 컨트롤러는 마이크로 컨트롤러(807)를 교대로 작동시켜 매체전송장치(810)와 길로틴 모터(812)를 작동시킨다. 슬롯(804)을 통하여 핸들(803) 외부로 배출된 프린트된 이미지(816)는, 의사와 환자에게 영구적인 기록으로서 유용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 본질적특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고안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일 뿐 한정적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보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지시되고, 상기 청구범위의 균등한 의미와 범위 내의 모든 변형도 본 발명범위에 포함되어야만 한다. 또한, 반대의 지시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 공지된선행기술에 관한 어떤 참고문헌이 기재되어 있다는 것만으로, 본 발명에 관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도 그러한 선행기술이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9)

  1. 검안경(ophthalmoscope)에 수신된 환자의 눈 내부(interior)의 그래픽 이미지를 프린팅하기 위한 내장형(built-in) 프린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hand-held) 검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는 검안경의 핸들(handle)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핼드 검안경.
  3. 제1항에 있어서,
    프린트헤드를 제어하는 프린트엔진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검안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와 프린트엔진 컨트롤러가, 프린트매체 전송용 모터 드라이버 및 프린트매체 롤러로부터 프린트된 이미지를 잘라내기 위한 길로틴(guillotine) 모터의 작동용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마이크로 제어회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검안경.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엔진 컨트롤러와 이미지 메모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검안경.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헤드는, 모놀리식(monolithic) 페이지폭(patewidth) 프린트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검안경.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헤드는, 잉크젯 프린트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검안경.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의 눈 내부를 비추기 위한 광원(light sourc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검안경.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는 제1 및 제2 부조립체(sub-assembly)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린트엔진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조립체 내에는 잉크공급원과 프린트매체가 결합되고, 제2 부조립체 내에는 프린트헤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검안경.
KR1020037009575A 2001-01-17 2002-01-08 내장형 프린터를 구비한 검안경 KR100571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R2566 2001-01-17
AUPR2566A AUPR256601A0 (en) 2001-01-17 2001-01-17 An apparatus (AP29)
PCT/AU2002/000020 WO2002056757A1 (en) 2001-01-17 2002-01-08 Ophthalmoscope with integral prin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123A true KR20030070123A (ko) 2003-08-27
KR100571859B1 KR100571859B1 (ko) 2006-04-17

Family

ID=3826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9575A KR100571859B1 (ko) 2001-01-17 2002-01-08 내장형 프린터를 구비한 검안경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7237896B2 (ko)
EP (1) EP1359836B1 (ko)
JP (1) JP3816055B2 (ko)
KR (1) KR100571859B1 (ko)
CN (1) CN1322836C (ko)
AT (1) ATE364347T1 (ko)
AU (1) AUPR256601A0 (ko)
CA (1) CA2435016C (ko)
DE (1) DE60220644D1 (ko)
WO (1) WO2002056757A1 (ko)
ZA (2) ZA2004086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6420B1 (en) 1997-07-15 2004-09-0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ata distribution mechanism in the form of ink dots on cards
US6803989B2 (en) * 1997-07-15 2004-10-1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mage printing apparatus including a microcontroller
US6618117B2 (en) 1997-07-12 2003-09-0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mage sensing apparatus including a microcontroller
US6702417B2 (en) * 1997-07-12 2004-03-0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ing cartridge with capacitive sensor identification
US6624848B1 (en) * 1997-07-15 2003-09-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Cascading image modification using multiple digital cameras incorporating image processing
US6879341B1 (en) 1997-07-15 2005-04-1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igital camera system containing a VLIW vector processor
US7110024B1 (en) * 1997-07-15 2006-09-1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igital camera system having motion deblurring means
US6948794B2 (en) 1997-07-15 2005-09-27 Silverbrook Reserach Pty Ltd Printhead re-capping assembly for a print and demand digital camera system
US6690419B1 (en) 1997-07-15 2004-02-1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Utilising eye detection methods for image processing in a digital image camera
AUPP702098A0 (en) 1998-11-09 1998-12-0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mage creation method and apparatus (ART73)
US6637882B1 (en) 1998-11-24 2003-10-28 Welch Allyn, Inc. Eye viewing device for retinal viewing through undilated pupil
AUPQ056099A0 (en) 1999-05-25 1999-06-1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A method and apparatus (pprint01)
AUPR256601A0 (en) * 2001-01-17 2001-02-08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An apparatus (AP29)
AU2003202639A1 (en) * 2002-04-16 2003-11-0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Telescope with integral printer
AUPS175202A0 (en) 2002-04-16 2002-05-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An apparatus (AP36)
US7062261B2 (en) * 2003-01-31 2006-06-1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detection and installation of Java-enabled accessories
US7357507B2 (en) * 2006-04-05 2008-04-15 Visionetx, Inc. Image-based system to observe and document eye responses
US7832867B2 (en) * 2006-07-01 2010-11-16 Lenovo (Singapore) Pte Ltd. Retinal scan device with removable eyepiece and onboard data storage
WO2009023540A1 (en) * 2007-08-10 2009-02-19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High affinity human antibodies to human nerve growth factor
US7862173B1 (en) 2009-07-29 2011-01-04 VistaMed, LLC Digital imaging ophthalmoscop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5861A (en) * 1973-10-04 1975-04-08 Photo Marketing Systems Co Photofinishing and imprinting process
JPS57115542A (en) * 1981-01-09 1982-07-19 Copal Co Ltd Loop control device for picture printer
US4464608A (en) * 1982-09-13 1984-08-07 Warner Lambert Technologies, Inc. Circuit for controlling optical apparatus such as an ophthalmoscope
CA1284913C (en) * 1984-10-23 1991-06-18 Mitsuhiro Shimada Heat-transfer type thermal recording device
JP2631377B2 (ja) 1987-12-08 1997-07-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ント制御装置
CN2060654U (zh) * 1989-11-07 1990-08-22 岑烈芳 检眼镜
US5493409A (en) * 1990-11-29 1996-02-20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Still video camera having a printer capable of printing a photographed image in a plurality of printing modes
US5528323A (en) * 1992-10-30 1996-06-18 Nidek Co., Ltd. Ophthalmic apparatus including hand-held measuring device and wireless data transmission
JP3408308B2 (ja) * 1994-02-02 2003-05-19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底カメラ
JPH09234186A (ja) * 1996-03-01 1997-09-09 Nikon Corp 検眼装置
US5879289A (en) * 1996-07-15 1999-03-09 Universal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Hand-held portable endoscopic camera
US5757388A (en) * 1996-12-16 1998-05-26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camera and integral ink jet printer
JPH10179517A (ja) * 1996-12-27 1998-07-07 Topcon Corp 眼科画像処理装置及び眼科画像処理方法
US6106457A (en) 1997-04-04 2000-08-22 Welch Allyn, Inc. Compact imaging instrument system
AUPO940397A0 (en) * 1997-09-23 1997-10-16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RT65)
US5861939A (en) * 1997-10-16 1999-01-19 Odyssey Optical Systems, Llc Portable fundus viewing system for an undilated eye
JP3711734B2 (ja) * 1998-02-25 2005-11-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ッタ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プリンタ
JPH11262673A (ja) * 1998-03-17 1999-09-28 Babcock Hitachi Kk 排煙脱硝触媒の製造法および排煙脱硝触媒
JP4673976B2 (ja) 1998-11-09 2011-04-20 シルバーブルック リサーチ プロプライエタリイ、リミテッド 手持ち式ステッカ印刷デジタルカメラ装置
EP1150844B1 (en) * 1998-12-16 2006-05-03 Silverbrook Research Pty. Limited A printer for incorporation into consumer electronic (ce) systems with limited access
JP2000316809A (ja) 1999-05-14 2000-11-21 Nikon Corp 他覚式眼屈折力測定装置
AUPR256601A0 (en) * 2001-01-17 2001-02-08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An apparatus (AP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56757A1 (en) 2002-07-25
US20040218144A1 (en) 2004-11-04
CA2435016A1 (en) 2002-07-25
US20040114106A1 (en) 2004-06-17
CN1486157A (zh) 2004-03-31
CN1322836C (zh) 2007-06-27
KR100571859B1 (ko) 2006-04-17
ZA200305856B (en) 2004-08-25
US20030128332A1 (en) 2003-07-10
ZA200408691B (en) 2005-09-28
EP1359836A4 (en) 2006-04-12
CA2435016C (en) 2009-04-07
US6749301B2 (en) 2004-06-15
ATE364347T1 (de) 2007-07-15
JP2004520118A (ja) 2004-07-08
EP1359836B1 (en) 2007-06-13
US7237896B2 (en) 2007-07-03
EP1359836A1 (en) 2003-11-12
JP3816055B2 (ja) 2006-08-30
DE60220644D1 (de) 2007-07-26
AUPR256601A0 (en) 2001-02-08
US7059720B2 (en) 200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1859B1 (ko) 내장형 프린터를 구비한 검안경
KR20030077005A (ko) 내장형 프린터를 구비하며 이미지가 개선된 디지털 사진앨범
KR100706710B1 (ko) 내장형 프린터를 구비한 디지털 사진 앨범
KR100704247B1 (ko) 핸드헬드 이경
AU2002218875B2 (en) Ophthalmoscope with integral printer
AU2004202950B2 (en) Hand-Held Ophthalmoscope with Built-In Printer
AU2004233552B2 (en) Medical image sensor with internal printer
AU2002214850B2 (en) Otoscope with internal printer
US7137678B2 (en) Telescope with integral printer
AU2002218875A1 (en) Ophthalmoscope with integral printer
AU2005232275B2 (en) Telescope with integral printer
KR100733489B1 (ko) 프린트엔진용 캐핑기구
KR20030024696A (ko) 공기펌프를 포함하는 프린트엔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