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8740A - 진공흡착 원리가 적용되는 압착롤러를 이용한수분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진공흡착 원리가 적용되는 압착롤러를 이용한수분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8740A
KR20030068740A KR1020020008340A KR20020008340A KR20030068740A KR 20030068740 A KR20030068740 A KR 20030068740A KR 1020020008340 A KR1020020008340 A KR 1020020008340A KR 20020008340 A KR20020008340 A KR 20020008340A KR 20030068740 A KR20030068740 A KR 20030068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ompression roller
vacuum pressure
pressing roller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숙
Original Assignee
이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숙 filed Critical 이숙
Priority to KR1020020008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8740A/ko
Publication of KR20030068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74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압착롤러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진공압을 제공하여 습식처리공정에서 발생한 수분을 진공으로 제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 원리가 적용되는 압착롤러를 이용한 수분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측에 파이프 형상의 동력전달용 중심축이 설치되며, 하우징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원통형 압착롤러와; 상기 동력전달용 중심축상에 설치되며 외부 동력제공장치와 연결되어 기계적인 동력을 제공받기 위한 구동기어와; 상기 동력전달용 중심축의 끝단에 연결되어 압착롤러의 홀을 통해 수분이 흡수되도록 압착롤러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압 제공장치와; 상기 진공압 제공장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압착롤러가 유동되도록 연결하는 회전지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이며;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흡입된 수분이 압착롤러의 내부로 빨려 들어가고, 오염원은 표면의 건조상태 천에 수분과 함께 스며들어 남아있게 되어 제품에는 다시 점착되지 않으며, 또한 제품과 접촉되는 망사는 수분 흡습이 되지 않은 나일론과 같은 유기 섬유 계열로 수분이 흡수되지 않는 재료이기 때문에 흡수된 수분은 모두 건조상태의 천으로 이동하게 되어 망사표면에는 남아있지 않게 계속적으로 제거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공흡착 원리가 적용되는 압착롤러를 이용한 수분제거장치{Water Removal Unit Using Compressing Rollor}
본 발명은 진공흡착 원리가 적용되는 압착롤러를 이용한 수분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통형 압착롤러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진공압을 제공하여 습식처리공정에서 발생한 수분을 진공으로 제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 원리가 적용되는 압착롤러를 이용한 수분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용 부품을 비롯한 전자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부품과 소자를 제조하는 공정에서는 제품의 표면을 보다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려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제품 표면에 이물질이나 오염이 존재할 경우 산화현상이 일어나고 제품 특성을 변화시켜 기능상의 문제와 신뢰성에 영향을 주는 심각한 문제들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고정밀도와 기능을 요하는 반도체 재료 산업과 전자부품을 제조하는 산업에서는 제품 표면의 이물질이나 오염의 방지는 절대적인 과제와 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현행 반도체 재료와 전자부품산업의 제조공정에서 특히 습식 공정의 최종처리공정으로 제품 표면의 수분흡수와 이물질/오염 제거는 압착롤러를 사용하여 제품표면을 접촉해서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를 위해 압착롤러의 재질은 스펀지와 같이 연속적인 기공을 가지는 재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시에는 압착 롤러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서 일정 수준으로 습윤시켜서 사용하고 있다.
이런 압착롤러의 흡수원리는 기공구조에 의한 모세관들이 모세관 현상으로 수분을 빨아드리도록 하며, 이런 기공 구조는 수분의 흡수와 동시에 제품의 표면에 묻어있는 물방울을 작게 분쇄시켜 건조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게 하는 역할도 가지고 있다.
즉, 종래의 습기제거 기술은 반도체 부품(구체적으로 리드 프레임, PCB 기판 등)의 습식 공정 마지막공정에서 공정진행중 여러 부분에서 약품의 사용에 의해 제품의 표면에 고착된 잔류 약품이나 기타 이물질/오염의 흡착을 제거하는 수세작업을 압착롤러 전단에서 진행하고, 수세후 제품표면에 잔존할 수 있는 이물질 및 오염원을 남아있는 수분과 함께 압착롤러의 기공에 의한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흡습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공정처리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품(1)을 물로 닦아내는 수분처리공정과, 상기 과정에서 발생한 물방울(2)을 잘게 나누는 수세공정과, 수분흡수에 의한 약품 및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한 압착공정과, 최종 건조시키는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사용되어지는 압착롤러(10)는 도 2a, b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심축(20) 상에 스펀지(11)가 결합되어 있는 형상이다.
상기 스펀지는 도 3a와 같은 구조로서 물기를 흡수할 수 있으며, 도 3b와 같이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물기를 흡수하고, 도 3c와 같이 초기에는 물기가 채워질 공간이 많으나, 마지막 공정에서는 도 3d와 같이 물기가 체워질 공간이 서서히 줄어듬을 알 수 있다. 이를 다시 상세히 설명한 도면으로서 도 3e는 초기 물기를 빨아 올리는 도면으로서 초기작업에서는 물기를 원할히 빨아올리고 있으나, 도 3f와 같이 후반으로 가게 되면 스펀지가 더이상 물을 빨아 올리지 못하고 내부에 품고 있던 오염물질을 제품에 묻어 있는 물로 다시 재투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종래기술은 반도체 부품 습식 제조공정에서 약품을 이용해 제품의 형상을 만들고, 동종/이종의 재료를 부산물과 약품이 제품표면에 고착되어 오염되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초정제된 순수한 물을 이용해 딥핑(Dipping)과 스프레이(Spray)등의 여러 방법을 이용해서 수세작업을 하지만 미세량이 제품표면에 묻어서 진행이 되며, 특히 공정조건(Parameter)과 약품조건(농도, 배합비율) 등 많은 인자(Factor)들이 그 잔존하는 정도에 양향을 미치게 되는바, 이를 위해 기공구조를 가지는 압착롤러를 이용하게 되면 모세관 현상으로 압착롤러 내부로 흡수된 미량의 약품과 부산물이 수분과 함께 압착롤러내에 축적이 되며, 특히 약품의 경우 물에 용해된 상태에서 계속 축적이 된다면 결국 농도가 증가 되어서 지속적인 작업이 될 경우 반대로 제품표면에 역으로 흡착되어 제거되지 않고 건조되어 제품의 산화 내지 이물질 오염등에 의한 불량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기공구조의 압착롤러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압착롤러를 통과한 후에 제품표면에 남게 되는 미세한 잔류 물방울에 압착롤러로부터 약품과 부산물이역으로 이동해서 오염을 유발하는 메카니즘이 상기 도면과 같으며 고신뢰성과 정밀도를 요구하는 반도체 부품 제조공정에서는 심각한 문제들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종래기술의 압착롤러는 기공구조에 의한 모세관 원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흡습된 수분은 완전히 제거가 되는 개념이 아닌 내부에 축적이 되고, 이는 연속적인 제조공정에서 제품표면에 잔류 물방울이 발생하게 되며, 특히 수분과 함께 흡수되는 약품 및 부산물등의 용해 농도가 높아지게 되면 농도구배에 의해 잔류 물방울로 이동하여 오염을 일으켜 제품의 산화와 이물질 오염등의 치명적인 불량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반도체 재료와 전자부품산업 제조공정의 습식 처리에서 제품의 표면 이물질과 오염을 보다 원할하게 제거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양측에 파이프 형상의 동력전달용 중심축이 설치되며, 하우징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원통형 압착롤러와; 상기 동력전달용 중심축상에 설치되며 외부 동력제공장치와 연결되어 기계적인 동력을 제공받기 위한 구동기어와; 상기 동력전달용 중심축의 끝단에 연결되어 압착롤러의 홀을 통해 수분이 흡수되도록 압착롤러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압 제공장치와; 상기 진공압 제공장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압착롤러가 유동되도록 연결하는 회전지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하우징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원통형 압착롤러와; 상기 원통형 압착롤러를 관통하는 파이프 형상이며, 압착롤러에 삽입되는 부분의 하우징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상에 설치되며 외부 동력제공장치와 연결되어 기계적인 동력을 제공받기 위한 구동기어와; 상기 중심축의 끝단에 연결되어 압착롤러의 홀을 통해 수분이 흡수되도록 압착롤러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압 제공장치와; 상기 진공압 제공장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압착롤러가 유동되도록 연결하는 회전지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압착롤러의 관통홀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압착롤러의 하우징에는 길이방향으로 한개 이상의 홈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진공압 제공장치는 압착롤러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압착롤러는 제품의 상부와 하부에 한개이상 다수개가 쌍으로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장치는, 진공압 제공장치 연결편과; 압착롤러 연결편 및; 상기 진공압 제공장치 연결편과 압착롤러 연결핀 사이에 삽입되어지는 베어링 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압착롤러의 외부 하우징에는 관통홀이 다수개 형성된 수분흡수및 오염물 흡착용 천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천의 상부에는 오염물질의 외부 배출을 차단하기 위한 유기섬유계열의 망사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종래 수분제거장치의 공정 흐름도.
도 2a는 종래 압착롤러의 구성도.
도 2b는 종래 압착롤러의 단면도.
도 3a는 종래 압착롤러에 장착되는 스펀지 개념도.
도 3b는 종래 스펀지를 이용한 수분 흡수 상태 설명도.
도 3c는 종래 스펀지를 이용한 초기 작업시 물 흡수 상태도.
도 3d는 종래 스펀지를 이용한 계속적인 작업시 물 흡수 상태도.
도 3e는 종래 스펀지를 이용한 작업시 잔류 물방울 설명도.
도 3f는 종래 스펀지를 이용한 작업시 오염물 재이동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분제거장치의 공정 흐름도.
도 5a는 압착롤러 내부통 구성도.
도 5b는 도 5a의 일부 단면 구성도.
도 6a는 압착롤러 내부통에 천을 감싼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 6b는 도 6a의 일부 확대 구성도.
도 7a는 압착롤러 내부통에 천 및 망사를 감싼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 7b는 도 7a의 일부 확대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망사의 구성도.
도 9a는 본 발명의 압착롤러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9b는 도 9a의 요부 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압착롤러에 진공장치를 2개 탑재한 구성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작동 실시예도.
도 1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도 11b는 도 11a의 요부 확대도.
도 12a는 본 발명의 동작을 위한 구성을 탑재한 상태도.
도 12b는 도 12a에 적용되는 베어링의 단면도.
도 13a는 본 발명의 압착롤러 실시예도.
도 13b는 도 13a의 요부 단면도.
도 13c는 도 13a를 이용한 사용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제품 2: 수분
3: 오염물질 10: 압착롤러
11: 스펀지 12: 내부통
13: 천 14: 망사
20: 중심축 30: 진공장치
31: 연결호스 40: 기어
50: 회전지지장치(베어링)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수분제거장치의 공정 흐름도.
도 5a는 압착롤러 내부통 구성도.
도 5b는 도 5a의 일부 단면 구성도.
도 6a는 압착롤러 내부통에 천을 감싼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 6b는 도 6a의 일부 확대 구성도.
도 7a는 압착롤러 내부통에 천 및 망사를 감싼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 7b는 도 7a의 일부 확대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망사의 구성도.
도 9a는 본 발명의 압착롤러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9b는 도 9a의 요부 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압착롤러에 진공장치를 2개 탑재한 구성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작동 실시예도.
도 1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도 11b는 도 11a의 요부 확대도.
도 12a는 본 발명의 동작을 위한 구성을 탑재한 상태도.
도 12b는 도 12a에 적용되는 베어링의 단면도로서, 양측에 파이프 형상의 동력전달용 중심축(20)이 설치되며, 하우징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원통형 압착롤러(10)와; 상기 동력전달용 중심축(20)상에 설치되며 외부 동력제공장치와 연결되어 기계적인 동력을 제공받기 위한 구동기어(40)와; 상기 동력전달용 중심축(20)의 끝단에 연결되어 압착롤러의 홀(12a)을 통해 수분이 흡수되도록 압착롤러(10)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압 제공장치(30)와; 상기 진공압 제공장치(30)가 고정된 상태에서 압착롤러가 유동되도록 연결하는 회전지지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공정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는바, 종래와 마찬가지로 수분처리공정과, 수세공정과, 압착공정 및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며, 단지 압착공정에서 진공압에 이용한 압착롤러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다른점이다.
또한, 도 5a, b는 본 발명의 압착롤러 내부통을 나타내고 있는바,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원통형 압착롤러(10)의 내부통(12)은 다수개의 홀(12a)이 형성되어 상기 홀(12a)을 통해 습기와 오염원을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내부통(12)의 외주연에는 도 6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분흡수 및 오염물 흡착용 천(13)이더 설치되고, 또한, 상기 천(13)의 상부에는 도 7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염물질의 외부 배출을 차단하기 위한 유기섬유계열의 망사(14)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원통형 압착롤러(10)의 내부통(12)에 형성되는 홀(12a)은 원형이나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장 용이하게 제작이 가능토록 원형홀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흡착용 천(13)은 내부통(12)에 형성되는 관통홀(12a)을 통해 습기를 흡입시 자체에 묻어 있는 수분이 압착롤러(10)의 내부공간으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망사(14)는 도 8과 같이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형태이며, 이물질이 통과후 다시 제품에 묻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천(13)과 제품(1)사이를 일정한 거리만큼 띄어놓기 때문에 천(13)에 묻은 오염원과 제품이 직접 맞닿는 것을 방지하여 한번 흡수된 오염원이 다시 제품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a, b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총 망라한 전체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원통형 압착롤러(10)는 내부통(12)과 천(13) 및 망사(14)를 순차적으로 결합한 형태이고, 내부는 진공압에 의하여 외부 습기를 흡입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는 파이프 형상의 동력전달용 중심축(20)을 통해 진공압 제공장치로 빨려들어가도록 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0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통형 압착롤러(10)는 제품의상부 및 하부에 쌍으로 설계될 수 있고, 제품(1)의 이동속도와 상응하게 이동하여 제품에 묻어있는 습기를 제거토록 하기 위해 제품면을 유동하는 유동구조가 설치되어 있으며(도 12a, 12b에 도시함), 이는 동력원과 체인 또는 기타 동력연결장치로 기어물림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어구조(40)를 동력전달용 중심축(20)의 일단 또는 양측에 설치토록 하였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장치(50)는,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압 제공장치 연결편(51)과; 압착롤러 연결편(52) 및; 상기 진공압 제공장치 연결편(51)과 압착롤러 연결편(52) 사이에 삽입되어지는 베어링 볼(52)로 구성하여, 진공압 제공장치(30)에 연결되는 파이프는 정지상태에 있고, 이와 맞물리는 압착롤러(10)는 상기 내측에 결합되어 베어링볼(53)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회전지지장치(50)는 압착롤러(10)의 일측 또는 양사이드에 설치될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압착롤러(10)는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진공청소기의 원리와 같은 것이며, 압착 롤러(10) 외부에 진공펌프에 의한 공기 흡입장치를 설치해 압착롤러(10) 내부의 압력을 낮추고, 압착롤러(10) 표면에 부착된 건조상태의 천(13)과 그 표면에 부착된 망사(14)는 모두 공기 흡입 및 통과가 가능한 재료이기 때문에 압착 롤러(10)가 제품과 접촉되면, 순간적인 흡입작용에 의해서 제품표면에 수분(물방울)에 녹아 잔류되어 있는 오염원은 압착롤러에 부착/흡입되어 제품으로부터 제거되고, 흡입된 수분은 압착롤러 내부로 빨려들어가고, 오염원은 표면의 건조상태 천(13)에 수분과 함께 스며들어 남아있게 되어 제품에는 다시 접착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제품(1)과 접촉이 되는 망사는 수분 흡습이 되지 않는 나일론과 같은 유기 섬유 계열로 수분이 흡수되지 않는 재료이기 때문에 흡수된 수분은 모두 건조상태의 천(13)으로 이동하게 되어 망사(14)표면에는 남아 있지 않고 계속적으로 제거가 되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압착롤러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롤러의 구조는 스펀지(11)를 통한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흡수된 오염물질이 제품에 다시 투입되는 경우가 발생하나, 본 발명에서는 진공흡착을 이용하고, 동시에 나일론과 같은 재질의 망사(14)를 내부통(12)에 더 부착하기 때문에 한번 흡착된 오염물질이 다시 제품에 묻는 경우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오염원의 재투입이 발생하지 않아 한번의 작업으로 수분흡수와 동시에 오염원 제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6b 및 도 7b와 같이 내부통(12) 관통홀(12a)과 직접 접촉되는 이외의 부위에 흡수되는 수분은 내부에서 점선 화살표와 같이 이동하여 역시 홀(12a)을 통해 내부로 흡입되게 된다.
내부통(12)의 양쪽 측면중 한쪽에는 진공흡입구멍이 있어야 하며, 구동축(20)은 내부통의 양쪽 모두에 반드시 있어냐 하나, 진공흡입구멍은 구동축(20)의 일측에 존재하거나 또는 양쪽 모두에 있을 수 있다.
특히, 진공흡입구멍이 있는 구동축(20)은 외부의 진공흡입장치(30)와 연결되어 내부통 내부의 공기가 빠질 수 있도록 반드시 내부가 빈 형태로 되어 있는 구조로 만들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3a, 13b,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통(12)에 일개 이상 다수개의 홈(12b)을 형성하고, 상기 홈(12b)을 통해 접착수단(15)을 더 부가할 수 있도록 하여, 천(13)과 망사(14)를 두른 후 상기 접착수단(15)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지지장치(50)는 베어링 볼(53)을 이용하여 회전지지되는 구조로서 진공압 제공장치(30)의 연결 파이프는 진공압 제공장치 연결편(51)에 연결된 상태에서 정지되고, 압착롤러(10)는 압착롤러 연결편(52)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구동기어(40)를 통한 동력제공장치로 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압착롤러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제품에 묻은 수분 및 오염물질을 닦아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a,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에 다수개의 홀(12a)이 형성되는 원통형 압착롤러(10)와; 상기 원통형 압착롤러(10)를 관통하는 파이프 형상이며, 압착롤러에 삽입되는 부분의 하우징에 다수개의 홀(21)이 형성되는 중심축(20)과; 상기 중심축(20)상에 설치되며 외부 동력제공장치와 연결되어 기계적인 동력을 제공받기 위한 구동기어(40)와; 상기 중심축의 끝단에 연결되어 압착롤러의 홀을 통해 수분이 흡수되도록 압착롤러(10)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압 제공장치(30)와; 상기 진공압 제공장치(30)가 고정된 상태에서 압착롤러가 유동되도록 연결하는 회전지지장치(50)를 포함하는 구조로 제작할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특징은 중심축을 압착롤러(10)에 관통시키고, 관통 삽입되는 부위에 다수개의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을 통해 수분을 빨아들이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중심축이 압착롤러의 외부 하우징에 부착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제 2 실시예에서는 중심축이 압착롤러의 중심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제 1 실시예에서는 흡착된 수분이 곧바로 진공장치로 이동하나, 제 2 실시예에서는 중심축을 통해 진공장치로 이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흡입된 수분이 압착롤러의 내부로 빨려 들어가고, 오염원은 표면의 건조상태 천에 수분과 함께 스며들어 남아있게 되어 제품에는 다시 점착되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제품과 접촉되는 망사는 수분 흡습이 되지 않은 나일론과 같은 유기 섬유 계열로 수분이 흡수되지 않는 재료이기 때문에 흡수된 수분은 모두 건조상태의 천으로 이동하게 되어 망사표면에는 남아있지 않게 계속적으로 제거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결국, 본 발명은 진공압에 의한 완벽한 수분제거 및 오염물질 제거가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별도의 수분 흡수공정이 필요치 않은 효과를 제공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설명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수정 및 변형은 포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Claims (9)

  1. 양측에 파이프 형상의 동력전달용 중심축이 설치되며, 하우징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원통형 압착롤러와;
    상기 동력전달용 중심축상에 설치되며 외부 동력제공장치와 연결되어 기계적인 동력을 제공받기 위한 구동기어와;
    상기 동력전달용 중심축의 끝단에 연결되어 압착롤러의 홀을 통해 수분이 흡수되도록 압착롤러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압 제공장치와;
    상기 진공압 제공장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압착롤러가 유동되도록 연결하는 회전지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 원리가 적용되는 압착롤러를 이용한 수분제거장치.
  2. 하우징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원통형 압착롤러와;
    상기 원통형 압착롤러를 관통하는 파이프 형상이며, 압착롤러에 삽입되는 부분의 하우징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상에 설치되며 외부 동력제공장치와 연결되어 기계적인 동력을 제공받기 위한 구동기어와;
    상기 중심축의 끝단에 연결되어 압착롤러의 홀을 통해 수분이 흡수되도록 압착롤러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압 제공장치와;
    상기 진공압 제공장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압착롤러가 유동되도록 연결하는 회전지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 원리가 적용되는 압착롤러를 이용한 수분제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롤러의 관통홀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 원리가 적용되는 압착롤러를 이용한 수분제거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롤러의 하우징에는 길이방향으로 한개 이상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 원리가 적용되는 압착롤러를 이용한 수분제거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압 제공장치는 압착롤러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 원리가 적용되는 압착롤러를 이용한 수분제거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롤러는 제품의 상부와 하부에 한개이상 다수개가 쌍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 원리가 적용되는 압착롤러를 이용한 수분제거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장치는, 진공압 제공장치 연결편과;
    압착롤러 연결편 및;
    상기 진공압 제공장치 연결편과 압착롤러 연결핀 사이에 삽입되어지는 베어링 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 원리가 적용되는 압착롤러를 이용한 수분제거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롤러의 외부 하우징에는 수분흡수 및 오염물 흡착용 천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 원리가 적용되는 압착롤러를 이용한 수분제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천의 상부에는 오염물질의 외부 배출을 차단하기 위한 유기섬유계열의 망사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 원리가 적용되는 압착롤러를 이용한 수분제거장치.
KR1020020008340A 2002-02-16 2002-02-16 진공흡착 원리가 적용되는 압착롤러를 이용한수분제거장치 KR20030068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340A KR20030068740A (ko) 2002-02-16 2002-02-16 진공흡착 원리가 적용되는 압착롤러를 이용한수분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340A KR20030068740A (ko) 2002-02-16 2002-02-16 진공흡착 원리가 적용되는 압착롤러를 이용한수분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740A true KR20030068740A (ko) 2003-08-25

Family

ID=32221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340A KR20030068740A (ko) 2002-02-16 2002-02-16 진공흡착 원리가 적용되는 압착롤러를 이용한수분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87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8458A (ko) * 2008-05-30 2011-03-18 피코 비. 브이. 분리된 전자부품 건조용 장치 및 방법
CN110565308A (zh) * 2019-09-20 2019-12-13 浙江肯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床上用品面料除湿成套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8458A (ko) * 2008-05-30 2011-03-18 피코 비. 브이. 분리된 전자부품 건조용 장치 및 방법
US9558970B2 (en) 2008-05-30 2017-01-31 Besi Netherlands B.V. Device and method for drying separated electronic components
CN110565308A (zh) * 2019-09-20 2019-12-13 浙江肯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床上用品面料除湿成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37541B (zh) 用于干燥已分离的电子元件的装置和方法
US6135267A (en) Device for cleaning a transport belt
CN108686994B (zh) 一种玻璃调拌板清洗装置及工作方法
CN112575757A (zh) 一种流域水污染治理用水面油污处理装置
WO2007116609A1 (ja) 予備吐出装置及び予備吐出方法
KR20030068740A (ko) 진공흡착 원리가 적용되는 압착롤러를 이용한수분제거장치
CN108722802B (zh) 一种电子产品用标签防腐处理装置
KR101338812B1 (ko) 기판 세정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기판 세정 장치
KR100845734B1 (ko) 스폰지로울러와 이를 이용한 터널 조명 클리닝장치용세척박스
CN208790845U (zh) 一种无纺布浸润擦辊装置
CN87100570A (zh) 循环带的清洗装置
KR20140026016A (ko) 물걸레 청소기
KR100850699B1 (ko) 프로브카드 세척기
CN219273791U (zh) 一种屏幕面板清洗装置
CN111839380B (zh) 一种玻璃幕墙清洁机器人
KR940002584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체구조
CN210842876U (zh) 一种墙面清洁机器人
CN114376437A (zh) 一种玻璃外墙清洁机器人
CN116329155B (zh) 发光测试用光伏组件清理设备
JP2012174974A (ja) 現像方法及び現像装置
JP2001103634A (ja) ケーブル拭き取り装置
JP2000102770A (ja) 洗浄装置
CN220220685U (zh) 一种车轮清洁装置
KR101374792B1 (ko) 와이퍼레스 마스크 세척장치
CN115400543B (zh) 一种VOCs废气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