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7452A - 수량계 설치 유닛 - Google Patents

수량계 설치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7452A
KR20030067452A KR1020020038796A KR20020038796A KR20030067452A KR 20030067452 A KR20030067452 A KR 20030067452A KR 1020020038796 A KR1020020038796 A KR 1020020038796A KR 20020038796 A KR20020038796 A KR 20020038796A KR 20030067452 A KR20030067452 A KR 20030067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heck valve
water
circular
water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9671B1 (ko
Inventor
오치아이마사루
마츠우라노부유키
야마구치히사유키
니시무라유지
Original Assignee
가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7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6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수량계의 교환 작업 등을 효율적으로 행한다.
(해결수단) 수량계(M)의 출입구(M1, M2)의 각각을 연결하는 지수전(2) 및 역지밸브(3)와, 그 지수전(2) 및 역지밸브(3)의 각각을 수량계(M)의 출입구(M1, M2)를 연결하는 축선상에서 수량계(M)의 전장보다 긴 간격으로 이간 배치하는 기대(4)로 이루어지는 유닛(1)을 구성하고, 지수전(2) 및 역지밸브(3)를 기대(4)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지수전(2)과 역지밸브(3) 사이에 개장되는 수량계(M)의 출입구(M1, M2)를 지수전(2)의 출구(6) 및 역지밸브(3)의 입구(31)에 대응하게 하고, 지수전(2)의 출구(6) 또는 역지밸브(3)의 입구(31)의 어느 일방에, 구내부(27)를 수밀상태로 미끄럼이동하는 원형 기단부(28)를 진퇴 자유롭게 삽입한 신축관(29)을 설치하고, 신축관(29)의 신축에 의하여 간단하게 수량계(M)를 지수전(2)과 역지밸브(3) 사이에 개장연결한다.

Description

수량계 설치 유닛{WATER METER ATTACHING UNIT}
본 발명은, 집합 주택 등의 각 호의 상수관에 설치되는 수량계를 간편하게 착탈하도록 한 수량계 설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수관 중에 있어서, 수량계는 그 1차측(입구) 및 2차측(출구)의 각각에 지수전 및 역지밸브를 연결하고 있고, 수량계의 교환시에는, 지수전과 역지밸브와의 연결을 해제한 후, 새로운 신규의 수량계를 지수전과 역지밸브와의 사이에 수량계를 개장연결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일단 수량계를 지수전과 역지밸브와의 사이로부터 떼어내면, 지수전과 역지밸브에 있어서의 수량계와의 연결구의 축심이 서로 어긋나는 일이 종종 있고, 이와 더불어 일반적으로 집합 주택 등에서는 수량계의 설치 장소가 좁기 때문에, 재차 수량계의 출입구를 지수전과 역지밸브의 각 연결구에 요령있게 연결하는 일은 어렵고, 일집합 주택에 있어서의 각 호마다 설치되는 수량계의 전부를 교환 또는 신설하는데는, 대단한 수고,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도 1은 수량계 설치 유닛의 단면도.
도 2는 기대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 확대 단면도.
도 5는 지수전의 확대 단면도.
도 6a는 지수전의 본체와 기대 장착부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로서, 본체와 기대 장착부와의 연결 완료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b는 지수전의 본체와 기대 장착부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로서, 연결 완료후에 본체와 기대 장착부와의 각각을 분리 방향으로 인장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부호의 설명)
2 지수전3 역지밸브
4 기대6 출구
9 본체10 기대 장착부
11 연결단부12 원형면
13 테이퍼면15 C형 탄성링
15a 내경측부위16 오목홈
17 경사면부18 연결단부
20 테이퍼면21 원형면
22 오목홈25 측면
26 원형 칼라부27 구내부
28 원형기단부29 신축관
30 다각형 측면부31 입구
34 기대 장착부35 측면
36 원형 칼라부40, 40a 좌부
41, 41a 고정 부재42 전단면
43 전단면45, 45a 플랜지
46, 46a 앵커볼트 삽통구멍47, 47a… 나사삽통구멍
BT 체결 부재GL 기대 설치면
M 수량계M1 입구
M2 출구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수량계의 출입구의 각각을 연결하는 지수 전 및 역지밸브와, 이 지수전 및 역지밸브의 각각을 수량계의 출입구를 연결하는 축선상에서 수량계의 전장보다 긴 간극으로 이간 배치하는 기대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구성하고, 지수전 및 역지밸브를 기대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지수전과 역지밸브 사이에 개장되는 수량계의 출입구를 지수전의 출구 및 역지밸브의 입구에 대응하게 하고, 지수전의 출구 또는 역지밸브의 입구의 어느 일방에, 구내부를 수밀상태로 미끄럼이동하는 원형 기단부를 진퇴 자유롭게 삽입한 신축관을 설치하고, 신축관의 신축에 의하여 간단하게 수량계를 지수전과 역지밸브 사이에 개장연결하도록 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에 관한 수량계 설치 유닛(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유닛(1)은, 수량계(M)의 출입구(M1, M2)의 각각을 연결하는 지수전(止水栓)(2) 및 역지밸브(3)와, 이 지수전(2) 및 역지밸브(3)의 각각을 수량계(M)의 출입구(M1, M2)를 연결하는 축선상에서 수량계(M)의 전장(출입구(M1, M2)간 거리)보다 긴 간격으로 이간 배치하는 기대(4)로 구성하고 있다.
지수전(2)은, 그 입구(5)와 출구(6)의 유로가 대략 직각으로 형성된 앵글형의 부전(副栓) 부착식 지수전이고, 입구(5)에 연통하는 직선 유로를 설치함과 동시에, 직선 유로 내에 부전(7) 및 주전(主栓)(8)으로 이루어지는 구형상 밸브체를 입구측으로부터 차례로 연속 형성한 본체(9)와, 출구(6)에 연통하는 엘보형상의 유로를 설치한 기대 장착부(10)를 서로 회전 자유롭게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본체(9)의 연결단부(11)는, 개구단 내주에 원형면(12)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원형면(12)에 연속하여 속방향을 향함에 따라 직경축소하여 이루어지는 테이퍼면(13)을 설치하고, 이 테이퍼면(13)의 최소 직경부에 연속하여 소직경 원형 면(14)을 설치하고 있다.
원형면(12) 주위에는, 직경 확대축소 자유로운 C형 탄성링(15)을 출몰 자유롭게 배치하도록, 링(15)의 단면 형상의 직경과 동일 깊이의 오목홈(16)을 새겨설치함과 동시에, 이 오목홈(16)의 개구부 단테두리에 있어서의 연결단부(11)의 개구단측의 능각부를 비스듬하게 절결하여 경사면부(17)를 설치하고 있다.
기대 장착부(10)의 연결단부(18)는, 외주에 본체(9)의 연결단부(11)에 대응한 소직경 원형면(19), 테이퍼면(20), 원형면(21) 및 오목홈(22)을 설치하고, 소직경 원형면(19)에는 그 주위에 오목설치한 O링 홈내에 O링(P)을 장착하고 있다.
오목홈(22)은, C형 탄성링(15)에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9)의 연결단부(11)에 있어서의 오목홈(16)으로부터 돌출하는 링(15)의 내경측 부위(15a)(링(15)의 반원형상의 반단면)를 내접하는 깊이에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기대 장착부(10)의 연결단부(18)를 본체(9)의 연결단부(11)에 삽입하면, 그 연결단부(11)의 오목홈(16)으로부터 돌출하는 링(15)의 내경측부위(15a)는, 기대 장착부(10)의 연결단부(18)의 테이퍼면(20)을 따라서 서서히 본체(9)의 연결단부(11)의 오목홈(16) 내로 가압되고, 테이퍼면(20)에 계속하여 원형면(21)에 의하여 링(15)은 오목홈(16) 내에 몰입하도록 일단 직경확대하여, 오목홈(16, 22) 끼리가 대응한 때에 링(15)은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초기상태로 직경축소하고, 링(15)의 내경측부위(15a)가 오목홈(22)에 내접하도록 수용되고, 링(15)에 의하여 본체(9)와 기대 장착부(10)는 빠짐방지됨과 동시에, 서로 회전 자유롭게 되고, 부전(7) 및 주전(8)으로 이루어지는 구형상 밸브체에 연계하여 본체(9) 외부로 돌출하여 이루어지는 밸브체 개폐용의 조작봉(23, 24)의 돌출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본체(9)의 오목홈(16)에 설치한 경사면부(17)는, 이하와 같은 작용을 가지고 있다.
즉, 본체(9)와 기대 장착부(10)가 상기와 같이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양자(9, 10)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인장한 경우, 도 6(b)와 같이 경사면부(17)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양 오목홈(16, 22)의 개구부 단테두리의 각 능각부(X)(오목홈(16)의 일방의 능각부는 경사면부(1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음)가 링(15)을 상하 상반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링(15)을 본체(9)의 오목홈(16) 내로 몰입하도록 직경확대시키기 때문에, 그 때에 본체(9)와 기대 장착부(10)가 이탈하는 것이 상정되지만, 오목홈(16)에 경사면부(17)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도 6(b)와 같이 링(15)의 외경측부위(15b)가 경사면부(17)를 가압하는 반력이 그 경사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 즉 기대 장착부(10)의 오목홈(22) 내측으로 운동하기 때문에, 링(15)은 본체(9)의 오목홈(16) 내로 몰입하도록 직경확대하는 일 없이, 일단 연결일체화된 지수전(2)은, 그 본체(9)와 기대 장착부(10)로 분리할 수 없다.
지수전(2)의 기대 장착부(10)의 출구(6)측(본체(9)에 대하여 직각인 부분)은, 측면(25)이 원형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원형 칼라부(26)를 돌출설치하고 있다.
기대 장착부(10)의 출구(6)에는, 그 구내부(27)를 수밀상태로 미끄럼이동하는 원형 기단부(28)를 진퇴 자유롭게 삽입한 직관형상의 신축관(29)을 설치하고 있다.
신축관(29)에 있어서, 원형 기단부(28)에는, 그 주위에 오목설치한 O링 홈내에 0링(P)를 장착하고 있고, 원형 기단부(28)보다 선단측은, 원형 기단부(28)의 외경보다 작은 (도시예에서는, 원형 기단부(28)에 대략 내접한) 다각형 측면부(30)를 소정 길이 연속 형성하고 있고, 신축관(29) 선단의 개구부 단면에는 패킹(S)을 고착한 플랜지를 설치함과 동시에, 신축관(29) 선단에는 수량계(M)의 입구(M1)와 연결하기 위한 유니온 너트 등의 조인트 부재(U)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시예에 있어서는, 주전(8)의 조작봉(24)에만 핸들(24a)이 설치되어 있지만, 부전(7)의 조작봉(23)에도 도시하지 않은 핸들이 적절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지수전(2)은, 상기 구성의 볼지수전이지 않더라도, 다른 구성의 지수전이라도 좋고, 또한 기대 장착부(10)는, 엘보형상의 것을 도시하였는데, 직관의 것이라도 좋고, 본체(9)와 기대 장착부(10)의 연결단부(11, 18)는 서로 반대의 구조, 즉 본체(9)의 연결단부(11)를 기대 장착부(10)의 연결단부(18)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역지밸브(3)는, 그 입구(31)와 출구(32)의 유로가 대략 직각으로 형성된 앵글형으로 형성되고, 입구(31)에 연통하는 직선 유로 내에 2차측으로부터 1차측으로의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체(33)를 내장하여 기대 장착부(34)로 이루고, 입구(31)의 개구부 단면에는 패킹(S)을 고착한 플랜지를 설치하고, 입구(31)에는 수량계(M)의 출구(M2)와 연결하기 위한 유니온 너트 등의 조인트 부재(U)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역지밸브(3)의 입구(31) 측에 설치한 기대 장착부(34)는, 측면(35)이 원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원형 칼라부(36)를 돌출설치하고 있다.
또한, 역지밸브(3)는, 그 출구(32)측이 엘보형상으로 굴곡한 앵글형의 것을 도시했지만, 입구(31)와 출구(32)의 유로가 직선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수전(2)의 출구(6)에 신축관(29)을 부착한 것을 도시했지만, 역지밸브(3)의 입구(31)에 부착하더라도 좋고, 이 경우, 지수전(2)의 출구(6)는, 원형 칼라부(26)로부터 돌출하고, 그 선단에 조인트 부재(U)를 설치하고 있다.
기대(4)는, 좌우로 긴 직방체형상의 중간부(37)와, 그 중간부(37)의 좌우로부터 연속하여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면부(38, 38a)와, 그 경사부(38, 38a)의 최상단으로부터 직립한 돌출벽(39, 39a)으로 이루어진다.
돌출벽(39, 39a)에는, 지수전(2) 및 역지밸브(3)의 원형 칼라부(26, 36)와 함께 동시에 기대 장착부(10, 34)의 하반원부분을 끼워맞춤하는 좌부(40, 40a)를 오목설치하고, 그 좌부(40, 40a) 상에는, 원형 칼라부(26, 36)와 함께 기대 장착부(10, 34)의 상반원부분을 끼워맞춤하는 동시에, 육각구멍부착 볼트로 이루어지는 체결 부재(BT)에 좌부(40, 40a)에 설치되는 대략 반원호형상의 고정 부재(41, 41a)를 설치하고 있다.
지수전(2) 및 역지밸브(3)의 각각을 좌부(40, 40a) 상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지수전(2)의 출구(6)(신축관(29))와 역지밸브(3)의 입구(31)는 동일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좌부(40, 40a) 및 고정 부재(41, 41a)의 기대 장착부(10, 34)와의 끼워맞춤면에는, 얇은 고무판(R)을 접착하고, 체결 부재(BT)를 완전하게 체결하였을 때의 기대 장착부(10, 34)의 회전 방지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신축관(29)을 설치한 지수전(2)의 연결단부(10) 또는 역지밸브(3)의연결단부(34)(도시예에서는 연결단부(10))를 고정하는 좌부(40) 또는 고정 부재(41)의 일방 또는 양방의 전단면(42, 43)(도시예에서는 고정 부재(41)의 전단면(43)에만 형성)에는, 다각형 측면부(30)에 대응한 다각형구(44)를 형성하고 있다.
기대(4) 하부의 좌우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기대 설치면(GL)에 접지하는 플랜지(45, 45a)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플랜지(45, 45a)에는, 기대 설치면(GL)으로부터 돌출설치한 앵커볼트 삽통구멍(46, 46a), 및 기대 설치면(GL)에 나사고정하는 나사삽통구멍(47, 47a…)을 설치하고 있다.
다음에, 수량계 설치 유닛(1)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기대 설치면(GL)에 대한 기대(4)의 고정에 있어서는, 그 설치 조건에 따라 고정 수단이 선택된다.
예를 들면, 기존의 수량계(M)를 교환하는 경우, 이미 상수관이 배관되어 작업 공간이 좁고, 기대 설치면(GL)에 앵커볼트를 끼움설치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플랜지(45, 45a)에 설치한 나사삽통구멍(47, 47a)에 대응하는 기대 설치면(GL) 상에 드릴로 구멍을 천공함과 동시에, 그 구멍에 나사비틀어넣기용의 플러그(도시하지 않음)를 묻어설치하고, 나사삽통구멍(47, 47a)에 삽통한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상기 플러그에, 나사박음하는 것에 의하여, 기대(4)를 기대 설치면(GL)에 고정한다.
기대(4)의 신설의 경우는, 상수관이 배관되기 전이면, 상기의 경우보다도 작업 공간이 비교적 넓기 때문에, 기대 설치면(GL)에 앵커볼트의 끼움설치가 용이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플랜지(45, 45a)에 설치한 앵커볼트 삽통구멍(46, 46a)에 대응하는 기대 설치면(GL)에 앵커볼트를 끼움설치한 후, 기대 설치면(GL) 상으로부터 돌출하는 볼트(도시하지 않음)를 앵커볼트 삽통구멍(46, 46a)에 삽통하고 너트로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기대(4)를 기대 설치면(GL)에 고정한다.
상기한 기대(4)의 고정 방법외에는, 모르타르로 플랜지(45, 45a)를 기대 설치면(GL) 상에 고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3종류의 고정 방법의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기대(4)를 기대 설치면(GL)에 고정한 후에, 도시하지 않은 상수관에 지수전(2), 역지밸브(3) 및 수량계(M)를 배관할 때는, 우선 지수전(2) 및 역지밸브(3)의 기대 장착부(10, 34)와 함께 원형 칼라부(26, 36)의 하반원부분을 좌부(40, 40a) 상에 각각 배치하고, 그 상반원부분을 고정 부재(41, 41a)로 각각 덮어 씌워 체결 부재(BT)를 원활히 체결하고, 좌부(40, 40a)와 고정 부재(41, 41a) 사이에 각 기대 장착부(10, 34)를 느슨하게 끼운 상태에서 가고정한다.
이 가고정 상태에서는, 좌부(40, 40a)와 고정 부재(41, 41a)와의 사이에 각 원형 칼라부(26, 36)도 느슨하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기대 장착부(10, 34)는 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자유롭지만, 그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이 각 원형 칼라부(26, 36)에 의하여 규제되고, 지수전(2) 및 역지밸브(3)는 기대(4)의 좌우에 위치결정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지수전(2) 및 역지밸브(3)의 각각을 적당하게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지수전(2)의 입구(5) 및 역지밸브(3)의 출구(32)를 상수관의 각연결구에 대응하도록 지향시키고, 유니온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가고정 연결한다.
그리고, 지수전(2)에 있어서는, 조작봉(23, 24) 및 핸들(24a)을 소망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기대 장착부(10)에 대하여 본체(9)를 회전시키고, 그 후, 지수전(2) 및 역지밸브(3)와 상수관을 가고정 연결하고 있는 유니온 너트와, 체결 부재(BT)를 완전하게 체결한다.
또한, 지수전(2) 및 역지밸브(3)를 앵글형상으로 굴곡하고 있지 않는 직관 형태의 것을 이용해도, 상수관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지수전(2)의 입구(5) 및 역지밸브(3)이 출구(32)의 각각에 엘보관을 연결하지 않으면 되지 않기 때문에, 결국, 가고정시에는, 지수전(2)의 입구(5)측 및 역지밸브(3)의 출구(32)측에 연결된 엘보관의 연결구를 상수관의 연결구에 대응하기 위해, 가고정 상태의 지수전(2) 및 역지밸브(3)를 회전시키는 것이 된다.
다음에, 기대(4)에 고정된 지수전(2) 및 역지밸브(3) 사이에 수량계(M)를 개장연결한다.
이러한 연결시에는, 지수전(2) 및 역지밸브(3) 사이에 수량계(M)를 배치함과 동시에, 신축관(29)을 적당한 길이로 신장시키고, 신축관(29) 및 역지밸브(3)의 입구(31)에 설치한 조인트 부재(U)의 각각을 수량계(M)의 출입구(M1, M2)에 나사부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신축관(29)의 신장에 있어서, 그 원형 기단부(28)는 다각형 측면부(3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신축관(29)을 최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는, 원형 기단부(28)가 고정 부재(41)의 전단면(43)의 내측(다각형구(44) 주위)에 맞닿아서 빠짐방지된다.
조인트 부재(U)의 나사부착에 있어서는, 지수전(2) 및 역지밸브(3)의 기대 장착부(10, 34)는 좌부(40, 40a)와 고정 부재(41, 41a)에 의하여 끼워지지되어 회전 불능이고, 신축관(29)도 그 다각형 측면부(30)가 고정 부재(41)의 전단면(43)에 합치하고 있는 것으로 회전 불능이므로, 신축관(29)과 역지밸브(3)의 각각이 회전하지 않도록 플라이어 등의 공구로 각각을 잡아지지하는 일 없이, 각 조인트 부재(U)를 단지 스패너 등으로 체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수량계(M)의 출입구(M1, M2)의 각각을 연결하는 지수전(止水栓)(2) 및 역지밸브(3)와, 이 지수전(2) 및 역지밸브(3)의 각각을 수량계(M)의 출입구(M1, M2)를 잇는 축선상에 수량계(M)의 전장(출입구(M1, M2)간 거리)보다 긴 간격으로 이간 배치하는 기대(4)로 이루어지는 유닛(1)을 구성하였으므로, 단지 지수전(2) 및 역지밸브(3)를 기대(4)에 세트하는 것만으로, 수량계(M)의 입구(M1) 및 출구(M2)에 지수전(2)의 출구(6) 및 역지밸브(3)의 입구(31)의 각각을 간단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고, 또 지수전(2), 역지밸브(3) 및 수량계(M)의 조립이 정돈되어 잘 정리되고, 유닛(1) 전체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지수전(2)의 출구(6)측 및 역지밸브(3)의 입구(31)측의 기대 장착부(10, 34)의 각각은, 측면(25, 35)이 원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원형 칼라부(26, 36)를 돌출설치하여 이루어지고, 기대(4)에는, 원형 칼라부(26, 36)와 동시에 기대 장착부(10, 34)의 하반원부분을 끼워맞춤하는 좌부(40, 40a)와, 원형 칼라부(26, 36)와 동시에 기대 장착부(10, 34)의 상반원부분을 끼워맞춤함과 동시에, 체결 부재(BT)로 좌부(40, 40a)에 부착되는 고정 부재(41, 41a)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좌부(40, 40a)와 고정 부재(41, 41a)의 사이에 각 기대 장착부(10, 34)를 빗나가지 않고 정위치에 압착 유지할 수 있고, 또 체결 부재(BT)를 완화한 가고정 상태에서는, 각 기대 장착부(10, 34)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수전(2)의 입구(5)와 역지밸브(3)의 출구(6)의 각각을 상수관의 연결구에 지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수전(2)의 출구(6) 또는 역지밸브(3)의 입구(31)의 어느 일방에는, 구내부(27)를 수밀상태로 미끄럼이동하는 원형 기단부(28)를 진퇴 자유롭게 삽입한 신축관(29)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신축관(29)을 수축시키는 것으로 아무런 지장 없이 수량계(M)를 지수전(2)과 역지밸브(3)와의 사이에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축관(29)을 신장시켜서 수량계(M)의 입구(M1) 및 출구(M2)의 각각을 지수전(2)의 출구(6) 및 역지밸브(3)의 입구(31)에 연결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수량계(M)를 지수전(2)과 역지밸브(3) 사이에 개장연결할 수 있다.
게다가, 신축관(29)의 원형 기단부(28)로부터 선단측에는 원형 기단부(28)의 외경보다 작은 다각형 측면부(30)를 연속 형성하고, 좌부(40) 또는 고정 부재(41)의 일방 또는 양방의 전단면(42, 43)을 다각형 측면부(30)에 대응하도록 형성한 것에 의하여, 신축관(29)을 최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는, 원형 기단부(28)가 고정 부재(41)의 전단면(43)의 내측에 맞닿는 것으로 빠짐방지될 수 있음과 동시에, 신축관(29)은 그 축회전에 회전하지 않기 위해(때문에), 신축관(29)과 수량계(M)를연결하는 조인트 부재(U)를 단단히 죄거나, 완화하거나 할 때에, 신축관(29)을 회전하지 않도록 플라이어 등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이러한 공구를 이용하는 수고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신축관(29)의 빠짐방지 및 회전방지는, 해당 신축관(29)을 부착한 지수전(2)의 기대 장착부(10) 또는 역지밸브(3)의 기대 장착부(34)를 고정하는 좌부(40, 40a) 및 고정 부재(41, 41a)의 전단면(42, 43)을 다각형 측면부(30)에 대응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신축관(29)을 부착한 기대 장착부(10) 또는 기대 장착부(34)의 고정 수단과 신축관(29)의 빠짐방지 및 회접방지수단을 각각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기대(4)의 전장을 보다 단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유닛(1)을 보다 컴팩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량계(M)의 설치나 그것에 수반하는 제작업, 병행하여 수량계(M)의 떼어내기 작업이 간단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그 작업 능률을 종래에 비하여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지수전(2)은 그 본체(9)와 기대 장착부(10)를 회전 자유롭게 연결하였기 때문에, 본체(9)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조작봉(23, 24) 및 핸들(24a)의 위치를 적절한 방향으로 간단하게 지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일방의 연결단부(11)는, 개구단 내주에 원형면(12)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원형(12)에 연속하여 속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직경축소하여 이루어지는 테이퍼면(13)을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원형면(12) 주위에는 직경확개축소 자유로운 C형 탄성링(15)을 출몰 자유롭게 배치한 오목홈(16)을 새겨설치함과 동시에, 그 오목홈(16)의 개구부 단테두리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단부(11)의 개구단측의 능각부를 비스듬하게 절결하여 경사면부(17)를 설치하고, 타방의 연결단부(18)는, 외주에 상기 연결단부(11)에 대응한 테이퍼면(20), 원형면(21) 및 오목홈(22)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오목홈(22)은, C형 탄성링(15)에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일방의 연결단부(11)에 있어서의 오목홈(22)으로부터 돌출하는 링(15)의 내경측부위(15a)를 내접하는 깊이에 설정하였기 때문에, 본체(9)와 기대 장착부(10)를 원 터치로 연결할 수 있고, 양자(9, 10)를 연결한 후에 분리하도록 하여도, C형 탄성링(15)의 직경확대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양자(9, 10)의 연결을 해제할 수 없고, 본체(9)와 기대 장착부(10)와의 상기 연결 수단은 지수전(2) 외부에 노출한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배관 시공시 등에 잘못하여 링(15)를 빼먹을 위험도 없다.
게다가,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하면, 본체(9)의 연결단부(11)와 기대 장착부(10)의 연결단부(18)가 내외에서 서로 겹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본체(9)와 기대 장착부(10)를 유니온 너트나 커플링용 밴드로 연결하는 경우에 비하여, 그 전장을 비교적 단축할 수 있고, 유닛(1) 전체를 보다 컴팩트화할 수 있다.
기대(4)에는, 기대 설치면(GL)에 접지하는 플랜지(45, 45a)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플랜지(45, 45a)에는, 기대 설치면(GL) 상으로부터 돌출설치한 앵커볼트 삽통구멍(46, 46a), 및 기대 설치면(GL)에 나사고정하는 나사삽통구멍(47, 47a…)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기대(4)의 설치시에는, 플랜지(45, 45a)를 모르타르로 기대 설치면(GL)에 고착하는 수단, 플랜지(45, 45a)를 앵커볼트 또는 나사로 기대 설치면(GL)에 고정하는 수단의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기대(4)의 설치가 그 설치 장소의 제 조건에 따라 시공할 수 있고, 그 설치 작업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등 그 실용적 효과가 몹시 크다.

Claims (3)

  1. 수량계(M)의 출입구의 각각을 연결하는 지수전 및 역지밸브와, 그 지수전 및 역지밸브의 각각을 수량계의 출입구를 연결하는 축선상에서 수량계의 전장보다 긴 간격으로 이간 배치하는 기대로 이루어지고, 지수전의 출구측 및 역지밸브의 입구측의 기대 장착부의 각각은, 측면이 원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원형 칼라부를 돌출설치하여 이루어지고, 기대에는, 원형 칼라부와 동시에 기대 장착부의 하반원부분을 끼워맞춤하는 좌부와, 원형 칼라부와 동시에 기대 장착부의 상반원부분을 끼워맞춤하는 동시에, 체결 부재로 좌부에 부착되는 고정 부재를 설치하고, 지수전의 출구 또는 역지밸브의 입구의 어느 일방에는, 구내부를 수밀상태로 미끄럼이동하는 원형 기단부를 진퇴 자유롭게 삽입한 신축관을 설치하고, 그 신축관의 원형 기단부로부터 선단측에는 원형 기단부의 외경보다 작은 다각형 측면부를 연속 형성하고, 좌부 또는 고정 부재의 일방 또는 양방의 전단면을 다각형 측면부에 대응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계 설치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수전은 그 본체와 기대 장착부를 회전 자유롭게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일방의 연결단부는, 개구단 내주에 원형면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원형면에 연속하여 속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직경축소하여 이루어지는 테이퍼면을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원형면 주위에는 직경확대축소 자유로운 C형 탄성링을 출몰 자유롭게 배치한 오목홈을 새겨설치함과 동시에, 그 오목홈의 개구부 단테두리에있어서의 상기 연결단부의 개구단측의 능각부를 비스듬하게 절결하여 경사면부를 설치하고, 일방의 연결단부는, 외주에 상기 연결단부에 대응한 테이퍼면, 원형면 및 오목홈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오목홈은, C형 탄성링에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일방의 연결단부에 있어서의 오목홈으로부터 돌출하는 링의 내경측부위를 내접하는 깊이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계 설치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대에는, 기대 설치면에 접지하는 플랜지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플랜지에는, 기대 설치면 상으로부터 돌출설치한 앵커볼트 삽통구멍, 및 기대 설치면에 나사고정하는 나사삽통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계 설치 유닛.
KR1020020038796A 2002-02-08 2002-07-05 수량계 설치 유닛 KR100549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32517 2002-02-08
JP2002032517A JP3845586B2 (ja) 2002-02-08 2002-02-08 水量計取付け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452A true KR20030067452A (ko) 2003-08-14
KR100549671B1 KR100549671B1 (ko) 2006-02-08

Family

ID=2765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796A KR100549671B1 (ko) 2002-02-08 2002-07-05 수량계 설치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845586B2 (ko)
KR (1) KR100549671B1 (ko)
CN (1) CN1213282C (ko)
HK (1) HK1058230A1 (ko)
SG (1) SG98482A1 (ko)
TW (1) TW5249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8221A (ja) * 2005-03-18 2006-09-28 Kane Kogyo Kk 管継手構造
JP2011179660A (ja) * 2010-03-03 2011-09-15 Kitz Corp 両挿しチーズ継手とこれを用いた回転ヘッダー並びにメータユニット用の分岐継手
ITBS20120037A1 (it) * 2012-03-12 2013-09-13 Rubinetterie Utensilerie Bonomi S R L Sistema per facilitare montaggio e smontaggio di dispositivi di misura o controllo tra due tronconi di tubazioni a circolazione di fluido
US11609112B2 (en) 2020-05-12 2023-03-21 The Ford Meter Box Company, Inc. Meter box having adjustable length meter coupling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95011A (en) * 1922-06-30 1924-05-20 Ford Meter Box Company Combined meter setting and support
US4862744A (en) * 1987-11-13 1989-09-05 A. Y. Mcdonald Manufacturing Company Holder and shut off valve for a water flow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24913B (en) 2003-03-21
KR100549671B1 (ko) 2006-02-08
SG98482A1 (en) 2003-09-19
CN1213282C (zh) 2005-08-03
HK1058230A1 (en) 2004-05-07
JP2003232055A (ja) 2003-08-19
CN1437007A (zh) 2003-08-20
JP3845586B2 (ja) 200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3508A (en) Wall-attached plumbing connector
US4848405A (en) Insert means for fluid flow system
US20020070547A1 (en) Plumbing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system and method
EP0494249A1 (en) VARIABLE LENGTH TUBE CONNECTION, MANUFACTURING METHOD AND USE.
KR100721502B1 (ko) 설치 대상물의 방향 조절 기능을 갖는 연결구
US46917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alve assembly for a hot water tank
US20050236166A1 (en) Body with couplings
KR100549671B1 (ko) 수량계 설치 유닛
US20040069517A1 (en) Set screw type raintight threadless couplings & conncectors for electrical conduits
US20120153617A1 (en) Connection assembly
KR20100024790A (ko) 급수 개폐 장치
US5349887A (en) Tubular pipe wrench
US4408636A (en) Reheater isolation device and chemical connector
KR20100096613A (ko) 관연결구조
US7617835B2 (en) Hydrant assist kit
KR200254112Y1 (ko) 스프링클러용 주름관 연결장치
CN217441086U (zh) 一种硬性排水管道连接装置
KR102626941B1 (ko) 수전박스용 연장구
KR100385348B1 (ko) 스프링클러헤드용 배관연결장치
US20090045369A1 (en) Plumbing Fitting
CN218178230U (zh) 一种可适应调节锁紧件的机械三通
CN220390045U (zh) 一种多滑块内侧水路连接结构
CN216896004U (zh) 一种新型暗装龙头开关盒
EP3757440B1 (en) Rotatable connection assembly for metal water tubes
CN210135338U (zh) 连接组件及具有其的压力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