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6966A -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 Google Patents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6966A
KR20030066966A KR1020020006744A KR20020006744A KR20030066966A KR 20030066966 A KR20030066966 A KR 20030066966A KR 1020020006744 A KR1020020006744 A KR 1020020006744A KR 20020006744 A KR20020006744 A KR 20020006744A KR 20030066966 A KR20030066966 A KR 20030066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door
screw nut
shaf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3362B1 (ko
Inventor
이동성
Original Assignee
이동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성 filed Critical 이동성
Priority to KR10-2002-0006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362B1/ko
Publication of KR20030066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3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2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radial friction, e.g. cylindrical friction surfaces
    • E05D2011/085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radial friction, e.g. cylindrical friction surfaces the friction depending on the opening ang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52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시에 일정각에 도달하여 유압력이 작용하여 급작스럽게 개폐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개/폐 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한 현관도어용 유압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어와 연동되는 샤프트와 일체로 결합된 스크류 너트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오일저장실에 충만된 오일을 압착하여 이에서 발생되는 유압력이 도어에 작용하여 원활한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현관도어용 유압경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일측면에 취부판이 고정된 중공형의 하부관체를 포함하는 제1지지체와; 내측에 정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관체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관체의 내측에 하부커버에 외삽에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결합되어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피스톤, 상기 하부관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스크류 너트 및 상기 스크류 너트의 상/하 운동을 제어하는 샤프트로 구성되어 상부커버에 의해 고정되는 유압수단과; 일측면에 취부판이 고정된 중공형의 상부관체로 구성된 제2지지체와; 상기 상부관체에 내삽되는 하부브라켓트와 하단부가 샤프트의 다각부에 정합되는 상부브라켓트로 구성된 유압조절수단과; 상기 상부브라켓트의 외측으로 돌출된 샤프트의 나선부에 결합되는 체결너트 및 보호캡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현관도어용 유압경첩{Oil pressure hinge}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시에 일정각에 도달하여 유압력이 작용하여 급작스럽게 개폐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개/폐 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한 현관도어용 유압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어와 연동되는 샤프트와 일체로 결합된 스크류 너트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오일저장실에 충만된 오일을 압착하여 이에서 발생되는 유압력이 도어에 작용하여 원활한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현관도어용 유압경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시에 일정각에 도달하면 유압이 작용하여 급작스런 열림이나 닫힘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가일층 향상시킨 현관도어용 유압경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압을 임의로 조절하여 도어의 작동을 원활하게 도모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현관도어용 유압경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도어프레임과 도어를 연결하는 경첩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현관도어용 유압경첩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일측면에 취부판이 고정된 중공형의 하부관체를 포함하는 제1지지체와; 내측에 정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관체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관체의 내측에 하부커버에 외삽에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결합되어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피스톤, 상기 하부관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스크류 너트 및 상기 스크류 너트의 상/하 운동을 제어하는 샤프트로 구성되어 상부커버에 의해 고정되는 유압수단과; 일측면에 취부판이 고정된 중공형의 상부관체로 구성된 제2지지체와; 상기 상부관체에 내삽되는 하부브라켓트와 하단부가 샤프트의 다각부에 정합되는 상부브라켓트로 구성된 유압조절수단과; 상기 상부브라켓트의 외측으로 돌출된 샤프트의 나선부에 결합되는 체결너트 및 보호캡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상태 및 이로부터 얻게되는 특유의 효과 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을 도어에 장착한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취부판 2a,2b…나선부 3…가이드홈 4…하부관체
5…제1지지체 8…정합홈 10…하부커버 11…실린더
15…피스톤 20…스크류너트 23…샤프트 24…상부커버
26…취부판 28…상부관체 30…제2지지체 35…하부브라켓트
39…상부브라켓트 40…유압조절수단 42…체결너트 45…보호캡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동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외주면의 일정부위에는 도어프레임에 고정되는 취부판(1)이 일체로 고정된 중공형의 하부관체(4)를 포함하는 제1지지체(5)와, 상기 하부관체(4)에 나사결합되는 하부커버(10)와, 상기 하부관체(4)에 내설되는 유압수단(25)과, 슬라이드부시를 게재하여 상기 하부관체(4)의 상부에 결합되어 좌,우로 회동되는 제2지지체(30) 및 유압수단(25)의 작동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유압조절수단(40)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1지지체(5)는 외주면의 일정부위에 도어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a)이 다수 형성된 취부판(1)이 일체로 고정 설치된 중공형상의 하부관체(4)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관체(4)의 내주연의 상/하부에는 하부커버(10)와 상부커버(24)를 결합하기 위한 나선부(2a,2b)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스크류 너트(14)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편(11a)이 결합되는 "∩" 형상의 가이드 스프링(3a)이 내설되는 가이드홈(3)이 수직선상으로 좌/우 2개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가이드 스프링(3a)을 삽입하는 이유는 하부관체(4)는 알루미늄이므로 이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3)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는 금속재인 스크류 너트(20)에 의해 마모되어 수명을 길게 연장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채용한 것으로서, 이 가이드 스프링(3a)은 스크류 너트(20)와 동일재질로 성형하여 내측에 스크류 너트(20)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편(16a)이 위치토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관체(4)의 하부에 형성된 나선부(2b)에 결합되는 하부커버(10)는 외주연에 숫나선부(6a)가 형성된 체결부(6)에는 오일에 함유되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7)가 부설되고 일측면에는 오일유동공(7a)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10)의 중앙에는 좌/우로의 회동에 의해 오일의 유동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압조절구(9)가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삽입구(8)의 일측면에는 오일이 이동되는 절취홈(8a)이 형성된 것이다.
하부커버(10)가 일체로 결합된 하부관체(4)의 내측 중공부에 내설되는 유압수단(25)은 하부커버(10)에 외삽에는 실린더(11)와, 상기 실린더(11)의 내측에 결합되어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피스톤(15), 그리고 하부관체(4)에 형성된 가이드홈(3)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스크류 너트(20) 및 상기 스크류 너트(20)의 상/하운동을 제어하는 샤프트(23)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실린더(11)는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상으로서, 내부에는 일정한 단차를 둔 대경부(11a)와 소경부(11b)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대경부(11a)에는 오일배출공(11c)을 형성하여 이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유압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실린더(11)에 내삽되는 피스톤(15)은 내주면에 나선부(12a)가 형성된 정합홈(12)의 저부에는 유압의 이동을 제어하는 체크밸브(13)가 장착되고 외주면의 상부는 소경부(14a) 저부는 대경부(14b)로 반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정합홈(12)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 너트(20)는 외주면에 2개의 돌출편(16a)이 형성된 두부(16)와, 상기 피스톤(15)의 정합홈에 결합되는 체결부(17)가 단일체로 성형된 것이다.
또는 내측 중앙에는 수직선상으로 샤프트(24)의 다줄나사(21)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배설된 통공(18)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스크류 너트(20)의 상/하 운동을 제어하게되는 샤프트(23)는 최하단에 다줄나사(23a)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 헤드부(23b) 및 다각부(23c) 그리고 최상단에 나선부(23d)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다줄나사(23a)는 스크류 너트(20)에 결합되며, 다각부(23c)는 후술하는 유압조절수단(40)을 구성하는 상부브라켓트(36)에 형성된 다각홈(36a)에 일체로 결합되어 샤프트(23)의 운동반경을 조절하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샤프트(23)를 하부관체(4)에 일체로 결합하는 상부커버(24)는 외주연에 나선부(24a)가 형성된 체결부(24b)의 내측에는 샤프트(23)를 구성하는 헤드부(23b)가 내삽되는 안착홈(24c)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24c)의 중앙에는 샤프트(24)가 관통하는 통공(24d)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지지체(5)의 상부에 결합되어 좌/우로 회동되는 제2지지체(30)는 도어 상에 볼트 등으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26a)이 형성된 취부판(26)과 내측에 중공부(27)가 마련된 상부관체(28)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상부관체(28)의 하부의 내주면에 슬라이드 부시(29)를 결합하여 상기 제1하우징(5)과 접합되어 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활한 좌,우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관체(28)에 형성된 중공부(27)에는 유압조절수단(40)을 결합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압조절수단(40)을 구성하는 하부브라켓트(35)는 상부관체(28)의 중공부(27)의 직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삽입부(31)와 상면에 등간격으로 기어(32)가 형성된 플렌지부(33)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이에 삽입되는 상부브라켓트(39)는 삽입부(36)와 플렌지부(38)가 일체로 형성되어 샤프트(23)가 관통되도록 중앙에 수직선상으로 통공(39a)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삽입부(36)의 하부내측에는 상술한 샤프트(23)에 형성된 다각부(23c)에 외삽되는 다각홈(36a)이 형성되고, 플렌지부(38)의 저면에는 하부브라켓트(23)에 형성된 기어(32)와 치합되는 기어(37)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부브라켓트(39)의 외측으로 돌출된 샤프트(23)의 나선부(23d)에는 체결너트(42)를 결합하고, 이의 외측에는 각종의 이물질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보호캡(45)을 씌운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제1지지체(5)를 구성하는 하부관체(4)의 외주연에 형성된 취부판(1)을 도어 프레임(50)에 고정장착하고, 또 제2지지체(30)를 구성하는 상부관체(38)에 고정된 취부판(26)을 도어(60)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2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60)를 개방하게 되면, 제2지지체(30)가 회동함과 동시에 하부관체(4)에 내설되어 있는 샤프트(2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샤프트(23)의 하단부에 형성된 다줄나사(23a)가 회전함과 동시에 저부에 피스톤(15)이 일체로 결합된 스크류 너트(20)가 상부에 형성된 오일저장실(100)로 서서히 이동하게 된다.
즉, 실린더(11)에 내접되어 상승하는 스크류 너트(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15)이 상승하여 하부의 대경부(14b)가 실린더(11)의 상부에 형성된 대경부(12a)에 도달하면 유압이 작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때 상부의 오일저장실(100)에 충만되어 있는 오일은 피스톤(15)의 저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체크밸브(13)를 경유하여 하부의 오일저장실(200)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도어가 서서히 개방되는 것이다.
또한 도어가 닫히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60)가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제2지지체(30)에 고정된 샤프트(23)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샤프트(23)의 회전과 동시에 스크류 너트(20)와 피스톤(15)은 하부로 이동하면서 오일저장실(200)에 충만된 오일을 압착하게 되는 것이다.
피스톤(15)의 대경부(14b)가 실린더(11)에 형성된 오일배출공(11c)까지 이동하는 동안은 오일이 오일배출공(11c)으로 배출되어 유압이 작용되지 않으나 이 지점을 통과하게 되면 비로소 유압이 작용하게되는 것이다.
이때의 오일은 체크밸브(13)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하부커버(10)에 형성된 오일통로(7a)를 경유하여 상측에 형성된 오일저장실(100)로 유동됨으로써 도어의 닫힘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되어 도어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프링경첩, 정지경첩과 함께 현관도어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어가 일정각도로 개/폐되면 유압력이 작용하여 도어가 부드럽게 작용됨으로써 급작스럽게 개/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이 가일층 향상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9)

  1. 일측면에 취부판이 고정된 중공형의 하부관체를 포함하는 제1지지체와; 내측에 정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관체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관체의 내측에 하부커버에 외삽에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결합되어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피스톤과 하부관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스크류 너트 및 상기 스크류 너트의 상/하 운동을 제어하는 샤프트로 구성되어 상부커버에 의해 고정되는 유압수단과; 일측면에 취부판이 고정된 중공형의 상부관체로 구성된 제2지지체와; 상기 상부관체에 내삽되는 하부브라켓트와 하단부가 샤프트의 다각부에 정합되는 상부브라켓트로 구성된 유압조절수단과; 상기 상부브라켓트의 외측으로 돌출된 샤프트의 나선부에 결합되는 체결너트 및 보호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체는 중공형으로서 상하부에는 나선부가 형성되고 좌/우측에는 가이드스프링을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스프링은 "∩" 형상으로서 유압수단을 구성하는 스크류너트와 동 재질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4. 제1항에 있어서, 외주연에 나선부가 형성된 체결부에는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되고 일정부위에 오일유동공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수단은 구성하는 피스톤은 중공형상의 관체로서 내주면의 상하부는 직경을 달리하는 소경부와 대경부로 구획되고, 상기 대경부에는 오일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수단을 구성하는 피스톤은 저부에 체크밸브가 장착된 정합홈이 형성되고 외표면의 상부는 소경부로 하부는 대경부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수단을 구성하는 스크류너트는 외주면에 2개의 돌출편이 형성된 두부와, 피스톤의 정합홈에 결합되는 체결부가 단일체로 성형되어 수직선상으로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스크류 너트와 나사 결합되는 다줄나사와 하부관체에 내접되는 대경부와, 상부브라켓트의 저부에 형성된 다각홈이 결합되는 다각부와 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조절수단은 삽입부와 상면에 등간격으로 기어가 형성된 플렌지부로 구성된 상부브라켓트와, 저부에 다각홈이 형성된 삽입부와 저면에 기어가 형성되고 수직선상으로 통공이 형성된 플렌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KR10-2002-0006744A 2002-02-06 2002-02-06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KR100483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744A KR100483362B1 (ko) 2002-02-06 2002-02-06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744A KR100483362B1 (ko) 2002-02-06 2002-02-06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966A true KR20030066966A (ko) 2003-08-14
KR100483362B1 KR100483362B1 (ko) 2005-04-15

Family

ID=32220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744A KR100483362B1 (ko) 2002-02-06 2002-02-06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36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853B1 (ko) * 2002-05-28 2004-10-08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힌지장치
KR100583081B1 (ko) * 2004-05-06 2006-05-25 배매동 경첩
KR100813876B1 (ko) * 2007-02-06 2008-03-20 주식회사 해정 스프링 복원력과 유압 완충력을 갖는 내장형 도어 힌지
KR101253721B1 (ko) * 2011-07-26 2013-04-11 (주)디오 다기능 도어 닫음 장치
KR20200056067A (ko) * 2018-11-14 2020-05-22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의 조립구조
KR102539301B1 (ko) * 2023-02-11 2023-06-02 주식회사 케이디이 도어 힌지의 양방향 유압댐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768B1 (ko) 2007-07-11 2008-08-22 주식회사 이피텍 댐퍼도어의 댐퍼구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3179U (ja) * 1983-11-14 1985-06-08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自動蝶番
US5152029A (en) * 1991-08-12 1992-10-06 King Chain Precision Industry Co., Ltd. Hydraulic hinge
JP3781465B2 (ja) * 1995-11-29 2006-05-31 株式会社久力製作所 自動閉止装置付き蝶番
KR100282161B1 (ko) * 1998-08-01 2001-02-15 장종복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KR100282162B1 (ko) * 1998-10-19 2001-02-15 장종복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KR100337469B1 (ko) * 1999-10-12 2002-05-23 민병덕 유압식 도어 체커
KR20000057016A (ko) * 1999-11-18 2000-09-15 장종복 유압작동 완충경첩의 자동복귀장치
KR100466846B1 (ko) * 2002-02-04 2005-01-24 주식회사 정진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현관도어용 정지 경첩
KR20030066058A (ko) * 2002-02-04 2003-08-09 이동성 현관도어용 스프링 경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853B1 (ko) * 2002-05-28 2004-10-08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힌지장치
KR100583081B1 (ko) * 2004-05-06 2006-05-25 배매동 경첩
KR100813876B1 (ko) * 2007-02-06 2008-03-20 주식회사 해정 스프링 복원력과 유압 완충력을 갖는 내장형 도어 힌지
KR101253721B1 (ko) * 2011-07-26 2013-04-11 (주)디오 다기능 도어 닫음 장치
KR20200056067A (ko) * 2018-11-14 2020-05-22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의 조립구조
KR102539301B1 (ko) * 2023-02-11 2023-06-02 주식회사 케이디이 도어 힌지의 양방향 유압댐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3362B1 (ko) 200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3251B1 (ko) 도어용 힌지
US7155776B2 (en) Multipurpose hinge apparatus having automatic return function
JP3789894B2 (ja) ドア開閉装置
US5657511A (en) Piston-tpye door closer with adjustable closing speeds
KR100483362B1 (ko)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CN214365565U (zh) 一种缓冲合页的阻尼机构
US5477589A (en) Piston-type door closer with adjustable closing speeds
EP1680567B1 (en) Door or gate closing hinge
KR100456786B1 (ko)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에 있어서 유압제어구조
JP2023511607A (ja) 自閉式液圧緩衝ヒンジ
US3289242A (en) Door closers
JP2000136669A (ja) 緩衝機構付き自動閉扉蝶番
CN211623031U (zh) 一种暗藏合页
CN114087307A (zh) 一种扭矩可调节的阻尼器
KR100284872B1 (ko) 유압식크로져와 스프링식크로져 및 그것들을 구비한 도어의 경첩
KR100456787B1 (ko) 개량된 피스톤구동구조를 갖는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CN214170286U (zh) 一种合页的缓冲调节机构
KR200388916Y1 (ko) 도어 개폐 완충 장치
JPH08456Y2 (ja) ドア用オートヒンジ
CN220869110U (zh) 一种闭门力度可调节的液压隐形合页
KR20040025290A (ko) 유압식 경첩
KR200209589Y1 (ko) 수직형 도어 클로져
KR200243185Y1 (ko)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기
US7464437B2 (en) Door closer
KR200187613Y1 (ko) 힌지형 도어 클로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