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6021A -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6021A
KR20030066021A KR1020020006164A KR20020006164A KR20030066021A KR 20030066021 A KR20030066021 A KR 20030066021A KR 1020020006164 A KR1020020006164 A KR 1020020006164A KR 20020006164 A KR20020006164 A KR 20020006164A KR 20030066021 A KR20030066021 A KR 20030066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barrel
plating barrel
liquid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카야마시게토
Original Assignee
조난 주시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난 주시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조난 주시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20006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6021A/ko
Publication of KR20030066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02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6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 C25D17/18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having closed contai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피도금재가 투입된 도금용 배럴을 양극 도금액에 침지하고, 피도금재를 음극으로 하여, 도금용 배럴을 그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축방향으로 요동시키면서 전기도금을 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도금용 배럴의 축방향 양단의 끝판에는, 도금용 배럴이 축방향으로 요동할 때, 도금액을 도금용 배럴에 대해 그 축방향으로부터 출입시키기 위한 다수의 통액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금용 배럴 내외에서의 도금액의 유동성이 촉진되고, 도금처리의 진행에 따른 배럴 내부의 도금액 농도의 저하가 회피되어, 도금 처리의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PLATING USING A PLATING BARREL}
본 발명은, 내부에 피도금재인 전자기기의 소형부품 등을 넣고, 도금용액 중에서 회전시키면서, 상기 피도금재에 도금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 및 도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도금 장치에 이용된 도금용 배럴로서는, 도 4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도금용 배럴(Ⅰ)은, 다수의 통액구멍(通液孔)을 형성함으로써 통액성이 확보된 재료판을 조합시켜, 다각통 형상, 예를들면, 육각통 형상으로 형성된 몸통부(1)를 가지고, 이 몸통부(1)의 양단에 원형 끝판(2)이 각각 고정되고, 한 쪽의 끝판(2)은 구동원(도시생략)으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평기어를 겸용(兼用)하고 있다.
몸통부(1)에는, 피도금재(10), 예를들면, 전자기기의 소형부품 등을 꺼내고 넣기 위한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3)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3)는 다공판(多孔板) 등의 통액성을 가지는 덮개(4)에 의해 막혀있다.
덮개(4) 위에는 1쌍의 규제판(5)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규제판(5)의 양단부는 개구부(3)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된 걸림부(1a)에 안내되어 걸리고, 덮개(4)는 규제판(5)의 중앙부에 나사식 고정된 멈춤나사(set screw)(6)에 의해 개구부(3)의 가장자리부에 눌려 고정되어 있다.
양쪽 끝판(2)의 중심부에는 음극(9)에 케이블(8)을 통해 접속된 전극단자(7)가 몸통부(1)의 내부에 돌출되도록 각각 설치되어 있다.
피도금재(10)에 전기도금을 행하는 경우는, 피도금재(10)를 개구부(3)로부터 몸통부(1)에 그 용량의 거의 절반이하 정도의 양만큼 투입하고, 개구부(3)를 덮개(4)로 막은 후, 배럴(Ⅰ)을 양극에 접속된 도금액에 침지(浸漬)하는 동시에, 피도금재(10)를 음극에 접속하여 전기도금을 행한다.
그 때, 각각의 피도금재(10)의 표면에, 되도록 균등한 두께의 도금막이 형성되도록, 배럴(Ⅰ)을 구동원에 의해 몸통부(1)의 축둘레로 회전시켜, 피도금재(10)를 몸통부(1) 내부에서 교반하고 있다.
그런데도, 상기 배럴(Ⅰ)에 있어서는, 전하가, 몸통부(1)의 축방향에 대한 중앙부보다 양단부, 즉, 끝판(2, 2)의 근방에 많이 축적되기 쉽고, 또한, 배럴(Ⅰ)은, 그 몸통부(1)의 축선을 수평상태로 하여, 그 축둘레로 회전되는 것이기 때문에, 몸통부(1)의 양단부와 중앙부에 위치하는 피도금재(10)를 상호 유동시킬 수 없고, 양단부에 위치하는 피도금재(10)는, 중앙부에 위치하는 피도금재(10)보다 막이 두껍게 형성되고, 동일 배럴(Ⅰ) 내부에 있어서 도금막의 두께에 편차가 발생되어 버리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양단부와 중앙부에 위치하는 피도금재(10)끼리의 유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출원인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부(1)를 수평보다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한 도금용 배럴(Ⅱ)을 제안했다.
그러나, 이 배럴(Ⅱ)은 1회전하면, 몸통부가 원래의 경사각으로 되돌아 가버리기 때문에, 몸통부(1)의 양단부와 중앙부에 위치하는 피도금재(10)끼리를 충분히 유동시킬 수 없고, 피도금재(10)의 표면에 형성되는 도금막 두께의 편차를 완전히 해소하기 까지는 이르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출원인은, 상기 배럴(Ⅰ)을 몸통부(1)의 축둘레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축방향으로도 요동시킴으로써, 몸통부(1)의 중앙부와 양단부에 위치하는 피도금재(10) 상호의 충분한 유동화를 도모하고, 각각의 피도금재(10)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의 도금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도금 장치를개발하여, 특허공개 제 2001-131798호 공보에서 제안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도금 장치에서는, 배럴(Ⅰ)의 중앙부와 양단부에 위치하는 피도금재(10) 상호의 유동성에는 착안하여 개량이 이루어졌지만, 도금조(鍍金槽) 내부에 대한 배럴(Ⅰ)내외로의 도금액의 유동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착안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상기 배럴(Ⅰ)에서는, 다공판 등으로 형성된 통액성의 몸통부(1)를 통해서만, 도금액이 배럴(Ⅰ)내외로 유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배럴(Ⅰ)내외로의 도금액의 교류가 충분하게 행해지지 않고, 도금처리의 진행에 따라, 도금조에 대한 배럴(Ⅰ)이 침지되어 있는 영역의 도금액, 즉, 배럴(Ⅰ) 내부의 도금액의 농도가 저하되어 버리고, 효율적인 도금처리의 방해가 된다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각각의 피도금재에 균일한 두께의 도금막을 보다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는, 통액성을 가지는 통형상 몸통부, 및, 그 몸통부의 축방향 양단에 각각 고정된 끝판으로 형성된 피도금재를 수용하기 위한 도금용 배럴과, 도금액에 침지된 그 도금용 배럴을 상기 몸통부의 축둘레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축방향으로도 요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금용 배럴의 각각의 끝판에, 그 도금용 배럴 내외로의 도금액의 유동을 촉진하기위한 통액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끝판에 적어도 1개의 창부(窓部)를 개구하고, 그 창부를 상기 통액구멍이 다수 형성된 패널(panel)로 덮을 수 있다.
그 때. 상기 패널을 상기 끝판보다 얇은 판재로 형성하고, 상기 창부를 내측 개구에 형성한 상기 패널의 장착부와, 그 장착부로부터 상기 창부의 외측 개구를 향해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부로 구성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끝판에 형성한 통액구멍을 대략 타원형으로 하거나, 음극에 접속되어 선단에 전극단자가 설치되어진 케이블을, 상기 도금용 배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그 도금용 배럴을 회전축방향으로 요동되는 측면 프레임에 고정하고, 상기 전극단자를, 상기 양쪽 끝판의 중심부에 형성된 통액구멍을 통해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안내하면, 더 우수한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방법은, 통액성을 가지는 통형상 몸통부, 및 그 몸통부의 축방향 양단에 고정된 끝판으로 이루어진 도금용 배럴에, 피도금재를 수용하여 음극에 접속하고, 그 도금용 배럴을 양극 도금액에 침지하여, 축둘레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축방향으로 요동시키면서, 상기 피도금재에 전기도금을 실시하는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금용 배럴의 축방향으로의 요동에 의해, 상기 끝판에 형성된 통액구멍을 통해, 상기 도금용 배럴 내외의 도금액을 교류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의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금 장치의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도금용 배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다른 도금용 배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 및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종래예와 동일 기능을 가지는 구성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도금 장치에 있어서, 대략 상자형으로 구축된 외부 프레임(11)에는, 그 상부 프레임(11a)으로부터 소정거리 아래쪽에 횡방향 브리지(13)가 수평으로 장착되고, 이 횡방향 브리지(13) 위에는 모터(15)가 탑재되어 있다. 상기 횡방향 브리지(13)의 중앙으로부터 아래쪽에 연장하는 부분에는, 상자형의 내측 프레임(14)이, 그 상부 프레임(14a)의 중앙으로부터 아래쪽에 불룩하게 나온 만곡부에 위치하는 지지점(14b)을 중심으로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부 프레임(14a) 위에는 모터(18)가 탑재되어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14)은, 간격을 두어 평행하게 대치하는 측면 프레임(14c)을 가지고, 그 측면 프레임(14c) 사이에 있어서, 도금용 배럴(Ⅲ)이 축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 프레임(14)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14a)은, 상기 배럴(Ⅲ)의 축선에 평행하게 장착되고, 측변 프레임(14c)은, 그 배럴(Ⅲ)의 축방향 끝쪽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터(15)는, 상기 배럴(Ⅲ)의 축과 직교하는 양쪽 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회전축(26)을 가지고, 이들 회전축(26)에는, 한 쌍의 원반(17)이 그 중심부에 있어서 각각 고정되어 있다. 그 한 쌍의 원반(17)의 편심위치에는, 로드(rod)(22)의 일단이 지지점(17a)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각각 지지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14a)에 대한 상기 지지점(14b)보다 편심된 위치에는,로드(22)의 타단이 지지점(14d)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각각 지지되어 있다.
즉, 모터(15)와 내측 프레임(14) 사이에, 소위 크랭크기구를 구성함으로써, 배럴(Ⅲ)은, 그 축방향에 지지점(14b)을 중심으로 하여 내측 프레임(14)과 함께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 요동 각도는, 지지점(14d, 17a)의 편심량을 조절함으로써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배럴(Ⅲ)은, 아크릴, P.V.C.,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초내열성, 내약품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원형 통액구멍(1b)이 형성된 판재를, 용접 등의 고착수단에 의해 상호 조립되어 단면이 대략 육각형의 통형상으로 형성한 몸통부(1)와, 이 몸통부(1)의 축방향 양단에 고정된 통액성을 가지는 한 쌍의 끝판(31)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양쪽 끝판(31, 31)은 원판 형상이고, 그 적어도 한쪽의 끝판(31)의 외주에는 평기어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모터(18)의 회전축(도시생략)에는 평기어(23)가 고정되고, 그 모터(18)의 동력이, 평기어(23)에 순서대로 맞물린 평기어(24, 25)를 통해, 상기 평기어를 겸용하는 끝판(31)에 전달되어, 배럴(Ⅲ)을 축둘레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15, 18)는, 횡방향 브리지(13) 위에 장착된 조작부(16)에 의해 조작되고, 배럴(Ⅲ)의 원주방향 회전수나 축방향의 요동 속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럴(Ⅲ)은, 모터(18) 및 상기 각각의 평기어와, 모터(15) 및 상기 크랭크기구로 이루어진 구동수단에 의해, 축둘레로 회전하는 동시에, 축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부호 33은, 도금 장치를 도금조 등으로 이송할 때 이용되는 후크(hook)를 나타낸다. 또한, 배럴(Ⅲ)의 몸통부(1)에는, 피도금재(10), 예를들면, 전자기기의 커넥터(connector), 브래킷(bracket), 또는 칩(chip) 등의 소형부품이 출입되는 개구부(3)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3)는 다공판 등의 통액성을 가지는 덮개(4)에 의해 막혀있다.
그런데, 상기 끝판(31, 31)은, 그 중심부에 관통구멍(31a)을 가지고, 이 관통구멍(31a)의 주위에 복수의 창부(31b)가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극(9)에 접속된 2개의 케이블(8, 8)이, 각각 상기 각각의 끝판(31)의 상기 관통구멍(3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관통되고, 몸통부(1)의 양단 중앙으로부터 그 바닥부를 향해 안내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피도금재(10)를 음극(9)에 통전(通電)시키는 전극단자(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8)은, 전극단자(7)가 배럴(Ⅲ)과 일체로 되어 요동하도록, 내부 프레임(14)의 측면 프레임(14c)에 고정구(19a)에 의해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창부(31b)는 대략 원형이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몸통부(1)측, 즉, 내면측의 개구부에 각각 형성된 창부의 직경을 축소시키는 단차부(31c)와, 그 단차부(31c)의 축경부로부터 상기 창부(31b)의 외면측 개구부를 향해 직경이 확대된 테이퍼부(31d)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창부(31b)의 상기 단차부(31c)에는 각각, 그 단차부(31c)의 최대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이고, 판 두께가 그 단차부(31c)의 깊이와 거의 같은 다공패널(32)이 장착부를 형성하고있다. 또한, 상기 다공패널(32)에는, 종방향 길이의 타원형의 작은 통액구멍(32a)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배럴(Ⅲ)을 이용한 도금 장치는 이러한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배럴(Ⅲ)의 축둘레로 회전 및 축방향으로의 요동에 의해, 배럴(Ⅲ) 내부에 수용된 피도금재(10)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시켜 충분히 교반할 수 있고, 배럴(Ⅲ) 내부에 대한 전하의 편차에 기인하는, 도금막 두께의 편차를 없애서, 피도금재(10)에 균일한 두께의 도금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럴(Ⅲ)의 축방향으로의 요동에 의해, 상기 끝판(31, 31)에 형성된 다수의 통액구멍(32a)을 통해, 배럴(Ⅲ) 내외의 도금액을 교류시킴으로써, 배럴(Ⅲ) 내부의 도금액의 농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피도금재(10)에 효율적인 도금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창부(31b)나 통액구멍(1b, 32a)의 수, 형상, 또는 크기는, 본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피도금재(10)의 크기 등의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럴(Ⅲ)의 몸통부(1) 및 끝판(31, 31)에 형성된 통액구멍(1b, 32a)을, 그들 구멍보다 틈이 촘촘한 그물로 피복할 수도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통액구멍(1b, 32a)의 크기보다 작은 피도금재(10)에 대해서도, 도금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창부(31b)는, 끝판(31) 외면측을 향해 직경이 확대된 테이퍼부(31d)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배럴(Ⅲ)의 축방향으로의 요동시에, 도금액이 테이퍼부(31d)로 안내되어 원활하게 통액구멍(32a)으로 안내될 수 있고, 또한,통액구멍(32a)이 타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도금액이나 전하의 통과가 보다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결과로서, 배럴(Ⅲ) 내외의 도금액의 교류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선단에 전극단자(7)를 가지는 케이블(8)이 각각의 측면 프레임(14c)에 고정되고, 각각의 끝판(31)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구멍(3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관통되어, 배럴(Ⅲ) 내부의 바닥부로 안내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케이블(8) 및 전극단자(7)는 배럴(Ⅲ)과 일체로 되어 요동하기 때문에, 배럴(Ⅲ)의 회전 및 요동에 관계없이, 전극단자(7)를 배럴(Ⅲ)의 바닥부에 항상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전극단자(7)와 피도금재(10)의 전기적 접촉을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피도금재(10)를 항상 음극(9)에 접속해 두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도금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전극단자(7) 자체에 도금액 중의 금속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도금용 배럴(Ⅲ)을 이용한 도금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피도금재(10)를, 배럴(Ⅲ)의 개구부(3)로부터 투입함으로써, 상기 음극단자(7)에 접촉시키고, 케이블(8)을 통해 음극(9)에 접속된 상태로 하고, 개구부(3)를 덮개(4)로 막는다. 이어서, 배럴(Ⅲ)을, 양극에 접속된 도금조 내부의 로듐(rhodium), 금, 은, 동, 니켈, 주석, 또는 아연 등의 도금액에 침지한다. 그리고, 배럴(Ⅲ)을 모터(18)에 의해 그 축둘레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모터(15)에 의해 그 축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요동시켜, 피도금재(10)에 전기도금을 실시한다. 그때, 배럴(Ⅲ)의 축방향의 요동 운동에 의해, 상기 끝판(31, 31)에 형성된 통액구멍(32a)을 통해 배럴(Ⅲ) 내외의 도금액을 교류시킨다. 즉, 도금에 의해 농도가 저하된 배럴(Ⅲ) 내부의 도금액을 배럴(Ⅲ) 외부로 유출시키고, 보다 농도가 높은 배럴(Ⅲ) 외부의 도금액을 배럴(Ⅲ) 내부로 유입시킨다.
이와 같이, 도금조 내부에서 배럴(Ⅲ)의 축둘레의 회전에 의해, 배럴(Ⅲ)내부에 대한 상하층의 피도금재가 상호 유동되는 동시에, 배럴(Ⅲ) 축방향으로의 요동에 의해, 축방향 중앙부와 그로부터 양쪽 끝판(31, 31)측에 위치하는 피도금재(10)가 상호 유동되는 것이기 때문에, 배럴(Ⅲ) 내부에 있어서 피도금재(10)가 충분히 교반되고, 전하가 배럴(Ⅲ)의 중앙부보다 양쪽 끝판(31, 31)측 방향에 많이 축적하는 것에 기인하는, 도금막 두께의 편차를 막을 수 있고, 전체 피도금재(10)에 균일한 두께의 도금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끝판(31)에 형성된 다수의 통액구멍(32a)을 통해 배럴(Ⅲ) 내외의 도금액을 교류시켜 바꿔넣도록 했기 때문에, 도금처리의 진행에 따라 배럴(Ⅲ) 내부의 도금액 농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피도금재(10)에 대해 효율적으로 도금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 및 도금 방법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도금 장치 및 도금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각각의 피도금재에 균일한 두께의 도금막을 보다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Claims (7)

  1. 통액성을 가지는 통형상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축방향 양단에 각각 고정된 끝판으로 형성된 피도금재를 수용하기 위한 도금용 배럴과, 도금액에 침지된 상기 도금용 배럴을 상기 몸통부의 축둘레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축방향으로도 요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금용 배럴의 각각의 끝판에는, 상기 도금용 배럴 내외로의 도금액의 유동을 촉진하기 위한 통액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끝판에 1개 이상의 창부가 개구되고, 상기 창부가 상기 통액구멍을 다수 형성한 패널에 의해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끝판보다 얇은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창부는 내측개구에 형성된 상기 패널의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로부터 상기 창부의 외측 개구를 향해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끝판에 형성된 통액구멍은 대략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극에 접속되고 선단에 전극단자가 설치된 케이블이, 상기 도금용 배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도금용 배럴의 회전축 방향으로 요동되는 측면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전극단자가, 상기 양쪽 끝판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음극에 접속되고 선단에 전극단자가 설치된 케이블이, 상기 도금용 배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도금용 배럴의 회전축 방향으로 요동되는 측면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전극단자가, 상기 양쪽 끝판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
  7. 통액성을 가지는 통형상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축방향 양단에 고정된 끝판으로 이루어진 도금용 배럴에, 피도금재를 수용하여 음극에 접속하고, 상기 도금용 배럴을 양극 도금액에 침지하여, 축둘레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축방향으로 요동시키면서, 상기 피도금재에 전기도금을 실시하는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금용 배럴의 축방향으로의 요동에 의해, 상기 끝판에 형성된 통액구멍을 통해, 상기 도금용 배럴 내외의 도금액을 교류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방법.
KR1020020006164A 2002-02-04 2002-02-04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 및 방법 KR200300660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164A KR20030066021A (ko) 2002-02-04 2002-02-04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164A KR20030066021A (ko) 2002-02-04 2002-02-04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021A true KR20030066021A (ko) 2003-08-09

Family

ID=49321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164A KR20030066021A (ko) 2002-02-04 2002-02-04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60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150B1 (ko) * 2002-02-26 2004-05-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폐수내 유가금속 회수처리용 배럴형 전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150B1 (ko) * 2002-02-26 2004-05-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폐수내 유가금속 회수처리용 배럴형 전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51449B (ko)
KR20030066021A (ko) 도금용 배럴을 이용한 도금 장치 및 방법
US4162951A (en) Electroplating apparatus with selectively interchangeable, connectable drums
US20090045069A1 (en) Plating apparatus and plating method
CN211645428U (zh) 一种电泳槽
KR100681201B1 (ko) 완전침지식 롤러 회전 도금장치
KR101388678B1 (ko) 상, 하로 승강되는 침지식 도금 장치
US6228230B1 (en) Electroplating apparatus
CN111676507A (zh) 一种滚镀装置及其在陶瓷电镀中的应用方法
JP2773102B2 (ja) めっき用回転バレル装置とその使用方法
CN1161501C (zh) 电镀设备
JP2001131798A (ja) メッキ用バレルを用いたメッキ方法および装置
JPH06272095A (ja) バレルメッキ装置
KR100773893B1 (ko) 표면개질이 가능한 복수 배럴 장착형 도금장치
JP2010001534A (ja) バレルめっき装置
JP3509783B2 (ja) バレルメッキ装置
JP3037179B2 (ja) 自動メッキ装置
CN212247260U (zh) 一种滚镀装置
JPH07316893A (ja) メッキ装置用筒状バレル
JP5741944B2 (ja) めっき装置、及びめっき方法
JPH0116920B2 (ko)
JPH06170648A (ja) 工作物の表面処理装置
SU1013518A1 (ru) Безосный барабан дл нанесени гальванических покрытий
KR200483480Y1 (ko) 주화 도금장치
JPS615855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