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5985A - 황토가 코팅된 벽지제조방법 및 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황토가 코팅된 벽지제조방법 및 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5985A
KR20030065985A KR1020020006096A KR20020006096A KR20030065985A KR 20030065985 A KR20030065985 A KR 20030065985A KR 1020020006096 A KR1020020006096 A KR 1020020006096A KR 20020006096 A KR20020006096 A KR 20020006096A KR 20030065985 A KR20030065985 A KR 20030065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paper
loess
wall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자
Original Assignee
김영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자 filed Critical 김영자
Priority to KR1020020006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5985A/ko
Publication of KR20030065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98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22Agents rendering paper porous, absorbent or bulky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8Corrosion-inhibiting agents or anti-oxida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8Multi-ply at least one of the sheets having a fibrous composition differing from that of other shee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Landscapes

  • Paper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와 동일한 넓이를 갖으며 황토분말이 올과 올사이마다 코팅된 황토천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종이의 표면에 접착풀을 칠하는 공정과, 상기 종이가 풀의 습기를 빨아들이기 전에 상기 황토천을 종이의 표면에 접착시키는 공정과, 상기 종이에 황토천이 접착되어 형성된 황토벽지의 배면 가장자리부분만 풀칠하여 벽면에 접착시키는 공정과, 상기 접착된 황토벽지에 물을 분사하고 건조시켜서 벽지 배면과 벽 표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황토가 코팅된 벽지제조방법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접착제까지도 밀과 찹쌀로 제조되는 천연 접착풀을 사용하므로써 모든 벽지재료 및 시공재료는 천연재료로 사용하므로써 인체에 매우 유익한 벽지를 제공하고, 표면은 황토분말이 충분히 코팅된 면직물이고 배면은 종이재질이므로 일반벽지와 같이 시공할 수 있어 종래의 황토벽지에 비해 매우 시공이 용이하며, 특히 본 발명 황토벽지는 벽과 벽지사이에 공기층을 구비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시공하므로써 보온효과와 방음효과가 다른 어떤 황토벽지보다 우수한 황토벽지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황토가 코팅된 벽지제조방법 및 그의 시공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wallpaper coated loes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황토가 코팅된 벽지제조방법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천연성분으로만 이루어지면서도 시공이 용이한 황토가 코팅된 벽지제조방법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관한 것이다.
황토는 석영 40~80%, 장석과 운모 10~20%, 탄산염광물 5~35%, 실트 2~4%등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광물로, 화학성분은 실리카가 50~60%, 알루미나는 8~12%, 3가 산화철은 2~4%, 2가 산화철은 0.8~1.1%, 산화칼슘은 4~16%, 산화마그네슘은 2~6%, 약 0.5%의 산화티탄과 산화망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무기물과 효소를 함유하므로 생체활성물질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습도조절능력이 우수하고 원적외선을 방사할 뿐만 아니라 시멘트독을 중화시킬 수 있는 재질이어서 건축물 내외장재로 매우 각광받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사용자들이 벽 표면에 황토가 그대로 노출되길 바라는 추세이고 특히 황토벽지를 시공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은 건강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어서 일체의 화학성분의 접착제들을 사용하기를 꺼려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위와같은 사용자들의 취향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황토입자들이 충분히 함침된 상태의 황토천이 벽면의 가장 외부로 피복되어야 하며, 화학성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찹쌀과 밀가루로만 제조된 우리의 전통풀을 사용하여야 하고, 황토천이 피복된 이후의 벽 표면이 편평하고 깔끔하며 고급스러워야 한다. 또한 보온(保溫)과 방음(防音)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릴 수 있도록 시공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사용되는 종래의 황토벽지와 시공방법은 첫째, 단순히 벽지 위에 황토분말을 코팅한 것이거나, 둘째, 벽지와 벽지 사이에 황토판을 개재시킨 것, 세째, 황토를 함침(含浸)시킨 천(이하 황토천이라 한다)을 직접 벽면에 접착하는 방법, 네째, 일단 벽면에 재생지(再生紙)를 바른 다음 상기 재생지 위에 황토천을 덧바르는 방법에 불과한 것이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바람직한 황토벽지의 시공이 곤란한 단점을 갖는 것이다.
즉 첫번째의 경우는 종이표면에는 황토가 매우 얇게 피복될 수 밖에 없는 것이어서 황토의 효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또 종이위에 직접 황토를 코팅하기란 용이한 일이 아니다. 뿐만 아니라 황토는 건조되어지면 부스러지기 쉽고 유연성이 부족한 것이어서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고 시공이 매우 힘든 단점을 갖는 것이다.
두번째, 벽지와 벽지 사이에 황토판을 개재시킨 경우는 황토의 효능면에서는 매우 효과적이나 벽 표면에 황토가 그대로 노출되길 바라는 최근의 추세와는 동떨어진 것일 뿐만 아니라, 역시 황토가 건조되어지면 부스러지기 쉽고 유연성이 부족한 것이어서 제품의 품질이 떨어질 수 밖에 없고, 경직된 상태이므로 시공범위가 한정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세번째, 황토천만을 벽면에 시공할 경우 접착을 위해 풀을 칠하게 되면 풀에 함유된 습기에 의해 황토천이 흐물거리면서 너무 부드러워지게 되어 시공이 매우 힘들게 된다. 특히 천장에 접착시키고자 할때는 천이 처지게 되면서 접착이 곤란하므로 무려 4명의 작업자가 필요하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대개의 벽지는 가장자리를 일부러 겹치게 한다음 겹친부위의 중간을 칼로 절단해 남는 부분은 떼어내 제거하므로써 겹친 흔적을 없애게 되는데 전통풀을 먹인 황토천의 경우는 칼로 절단하기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나마 가장자리부분을 많이 겹친다음 절단하여야 하므로 황토천의 손실분이 많아지는 폐단을 갖는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황토천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네번째와 같이 일단 벽면에 재생지(再生紙) 등를 바른 다음 상기 재생지에 풀을 칠하고 황토천을 덧바르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재생지 시공 후 황토천을 다시 시공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이중으로 이루어지고,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더디게 된다.
또한 재생지 위에 풀을 칠한 다음 황토천을 그 위에 덧발라야 하는데 재생지에 풀을 칠한 다음 황토천을 바르기 전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됨으로 인해 풀의 습기를 빨아들인 재생지가 필연적으로 쭈끌쭈글해지면서 벽면에 작은 요철(凹凸)들이 생기게 되고, 이로인해 황토천의 접착이 용이하질 않게 되며 완벽한 벽지시공이 곤란해지게 되는 것이다. 결국 이는 고급스럽고 미려(美麗)하게 벽면을 황토로 피복하고자 하는 고객들이게 매우 큰 불만 요소가 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시공자들은 타성에 젖어 지금까지 이를 무시하여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황토벽지가 갖는 단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접착제를 포함해 모두 천연성분으로만 이루어지면서도 시공이 용이하고, 깔끔하고 고급스런 시공이 가능한 황토가 코팅된 벽지제조방법 및 그의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 황토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의 시공방법을 공정별로 도시한 참고도.
도 4 -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 - 본 발명 황토벽지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 황토벽지(이하 황토벽지라 한다)
10: 종이 20,20a: 접착풀
30: 황토천 31: 면직물(綿織物)
32: 황토분말
100: 롤러(roller) 200: 풀 분사장치
A: 벽(wall)
먼저 본 발명에 있어서 황토벽지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종이와 동일한 넓이를 갖는 황토분말이 올과 올사이마다 코팅(coating)된 면직물(綿織物)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종이의 표면에 접착풀을 칠하는 공정과, 상기 종이가 풀의 습기를 빨아들이기 전에 상기 면직물을 종이의 표면에 접착시키는 공정로 이루어진다.
종이란 습기에 매우 민감한 재질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 종이의 재질과 면직물을 종이에 접착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본 발명 황토벽지를 제조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 황토벽지의 생산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벽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는 종이는 저렴한 재생지(再生紙)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재생지는 습기에 취약하므로 종이에 접착풀을 풀칠함과 거의 동시에, 즉 종이가 습기를 빨아들이기 전에 최대한 빨리 황토천을 접착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때 종이가 습기를 빨아들여 쭈글쭈글해지는 시간은 종이의 재질과 주변여건에 따라 큰폭으로 달라지므로 한정할 수는 없으나, 어떤 종이라도 습기에 의해 변형되기 전까지는 약간의 시간적 여유가 있는 것이어서 작업자의 축적된 경험치에 의해 종이의 변형이 시작되기 전에 신속하게 황토천의 접착작업이 이루어져야 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롤러(100)와 롤러사이에 종이(10)와황토천(30)을 겹치도록 끼워넣은 다음 접착풀(20)을 풀 도포장치(塗布裝置) 또는 풀 분사장치(200,噴射裝置)와 같은 풀칠수단에 의해 종이의 표면에 풀을 칠함과 거의 동시에 롤러와 롤러로 이를 압착하므로써 황토벽지(1)을 제조하게된다.
이처럼 본 발명 황토벽지(1)는 공사현상에서도 상기한 것처럼 작업자들의 수작업에 의해 직접 황토벽지를 제조할 수도 있으나 이는 연속적인 제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손놀림이 빠르지 못한 경우 깔끔한 황토벽지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황토벽지(1)는 제조의 곤란함 때문에 공장에서 상기한 황토벽지제조장치를 이용해 두루말이 형태로 연속제조한 다음 이를 공사현상에서 절단하여 일반벽지처럼 시공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벽지제조방법 및 그의 시공방법을 공정별로 도시한 참고도로써 도 1은 먼저 종이(10)의 일측면에 접착풀(20)을 도포한 다음 황토분말이 올마다 부착된 상태의 면직물(30)을 접착시키는 공정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 황토벽지(1)에 있어서 면직물(30)을 사용하는 이유는 다른 직물에 비해 황토분말의 견착력(堅着力)이 우수하고 자연친화적인 재료일 뿐만 아니라 편안하고 따스한 느낌이 다른 천들에 비해 양호하며 가격 또한 비교적 저렴하기 때문이다. 이때 면직물에 코팅하게 되는 황토분말의 크기는 250~400㎛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250㎛이하의 황토분말은 너무 미세해 분말화시키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너무 많이 비경제적이며, 400㎛이상은 입자의 크기가 커서 면직물에 고착(固着)이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황토분말을 면직물에 고착시키는 방법은 전통적인 황토염색방법을 사용하게 되며 이 방법은 공지되어있어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 2는 종이와 황토천이 접착풀에 의해 접착된 상태의 황토벽지로 배면(背面)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 황토벽지를 벽면에 접착하기 직전의 상태이다. 물론 상기 황토벽지는 시공을 위해 일정크기로 절단된 상태이다.
이때 본 발명 황토벽지를 벽면에 접착시킬 접착풀은 벽지의 가장자리부분만을 빙둘러 풀칠하므로써 벽지의 중간부분에는 풀칠되지 않은 공간형성부(40)가 형성되어지는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황토벽지가 벽의 표면으로 부터 약간들뜨도록 하여 공간부(40a)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황토벽지(1)가 벽면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 황토벽지(1)는 벽면에 시공, 즉 벽지의 가장자리부분만 벽면에 접착시킨 다음 스프레이로 물을 미세하게 황토벽지의 표면에 분사하고 건조시키게 되면 축축하게 젖었던 황토벽지의 풀기가 마르면서 동시에 팽팽해지고 이로인해 벽지 배면, 즉 공간형성부(40)와 벽 표면 사이에 얇은 공간부(40a)가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공간부(40a)는 본 발명 황토벽지시공방법에 있어 매우 중요한 구성으로, 상기 공간부(40a)에 의해 시멘트미장에 의해 벽면에 생길 수 밖에 없는 미세한 요철면(凹凸面)을 커버해줄 수 있게 되며, 벽과 벽지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게 되어 보온효과가 높아지며, 또한 방음효과를 좋게 한다. 또 상기 공간부(40a)에 의해직접적으로 시멘트독의 방출되는 것과 냄새를 제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본발명 황토벽지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황토분말에 숯분말을 적당량 첨가시켜 습기흡수 및 탈취, 방충(防蟲) 등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황토분말에 사향 등과 같은 방향성분이 있는 한약재 분말을 적당량 첨가하여 은은한 향기가 배어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기존 황토벽지보다 고품질의 황토벽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 황토벽지시공방법을 공정별로 정리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이와 동일한 넓이를 갖는 황토분말이 올과 올사이마다 코팅된 황토천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종이의 표면에 접착풀을 칠하는 공정과, 상기 종이가 풀의 습기를 빨아들이기 전에 상기 황토천을 종이의 표면에 접착시키는 공정과, 상기 종이에 황토천이 접착되어 형성된 황토벽지의 배면 가장자리부분만 풀칠하여 벽면에 접착시키는 공정과, 상기 접착된 황토벽지에 물을 분사하고 건조시켜서 벽지 배면과 벽 표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 황토벽지제조방법와 그 시공방법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먼저 토질이 좋은 황토를 볼밀(ball mill)과 같은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250~400㎛ 정도 크기의 황토분말을 얻은 다음, 이를 면직물에 공지의 염색방법에 의해 코팅하여 황토천을 제조한다.
다음 종이의 표면에 접착풀을 칠하면서 상기 종이가 습기를 빨아들이기 전에 상기 황토천을 종이의 표면에 접착시켜서 황토벽지가 제조되어진다.
다음 상기 황토벽지의 배면 가장자리부분만 풀칠하여 벽면에 접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겹치는 부분의 황토벽지 중간을 칼로 절단하여 남는 부분은 제거하여 벽지의 단면부(斷面部)끼리 맞닿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벽면에 접착된 황토벽지에 스프레이로 물을 분사하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건조시키게 되면 상기 황토벽지는 접착풀이 마르면서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고 이로인해 벽지 배면과 벽 표면 사이에 약간의 공기층을 구비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황토벽지의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접착제까지도 밀과 찹쌀로 제조되는 천연 접착풀을 사용하므로써 모든 벽지재료 및 시공재료는 천연재료로 사용하므로써 인체에 매우 유익한 벽지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은 황토분말이 충분히 코팅된 면직물이고 배면은 종이재질이므로 일반벽지처럼 시공할 수 있어 종래의 황토벽지에 비해 매우 시공이 용이하며, 황토질감이 자연스럽게 표현된 상태이므로 인테리어적인 미적감각을 그대로 살릴 수 있고, 원적외선 방사 및 단열, 축열, 습기조절 등 황토가 갖는 효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황토벽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 황토벽지는 벽과 벽지사이에 공기층을 구비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므로써 종래 건축물의 벽면에 필연적으로 생길 수 밖에 없는 미세한 시멘트 요철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상기 공기층으로 인한 보온효과와 방음효과가 다른 어떤 황토벽지보다 우수한 황토벽지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종이와 동일한 넓이를 갖는 황토분말이 올과 올사이마다 코팅된 면직물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종이의 표면에 접착풀을 칠하는 공정과, 상기 종이가 풀의 습기를 빨아들이기 전에 상기 면직물을 종이의 표면에 접착시키는 공정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가 코팅된 벽지제조방법 .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는 재생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가 코팅된 벽지시공방법.
  3. 종이와 동일한 넓이를 갖는 황토분말이 올과 올사이마다 코팅된 황토천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종이의 표면에 접착풀을 칠하는 공정과, 상기 종이가 풀의 습기를 빨아들이기 전에 상기 황토천을 종이의 표면에 접착시키는 공정과, 상기 종이에 황토천이 접착되어 형성된 황토벽지의 배면 가장자리부분만 풀칠하여 벽면에 접착시키는 공정과, 상기 접착된 황토벽지에 물을 분사하고 건조시켜서 벽지 배면과 벽 표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가 코팅된 벽지시공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천은 면직물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가 코팅된 벽지시공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천에 코팅되는 황토분말의 크기는 250~400㎛범위의 것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가 코팅된 벽지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분말에 숯 또는 한약재 분말을 적당량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가 코팅된 벽지시공방법.
KR1020020006096A 2002-02-02 2002-02-02 황토가 코팅된 벽지제조방법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30065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096A KR20030065985A (ko) 2002-02-02 2002-02-02 황토가 코팅된 벽지제조방법 및 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096A KR20030065985A (ko) 2002-02-02 2002-02-02 황토가 코팅된 벽지제조방법 및 그의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307A Division KR100515504B1 (ko) 2004-11-10 2004-11-10 황토가 코팅된 벽지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985A true KR20030065985A (ko) 2003-08-09

Family

ID=32220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096A KR20030065985A (ko) 2002-02-02 2002-02-02 황토가 코팅된 벽지제조방법 및 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59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954A (ko) * 2002-05-20 2003-11-28 이재명 도배용 초배지
KR20040065540A (ko) * 2004-07-01 2004-07-22 정경우 천연황토벽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799A (ko) * 1996-12-02 1998-09-05 주재구 황토판이 개재된 벽지 및 장판
KR19990025667A (ko) * 1997-09-13 1999-04-06 이광익 황토 피복 판막과 그 제조방법
KR19990031523U (ko) * 1997-12-31 1999-07-26 이동연 종이재 벽지
KR19990033433U (ko) * 1999-04-21 1999-08-05 황문일 건강 벽지
KR20010067663A (ko) * 2001-03-03 2001-07-13 이찬숙 부직포에 (천연섬유.pp섬유질) 황토와폐지(골판지.신문)를 이용한 천연 황토 벽지 제조 방법
KR200233819Y1 (ko) * 2001-03-21 2001-10-08 박성기 공간 띄우기에 사용되는 도배용 부자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799A (ko) * 1996-12-02 1998-09-05 주재구 황토판이 개재된 벽지 및 장판
KR19990025667A (ko) * 1997-09-13 1999-04-06 이광익 황토 피복 판막과 그 제조방법
KR19990031523U (ko) * 1997-12-31 1999-07-26 이동연 종이재 벽지
KR19990033433U (ko) * 1999-04-21 1999-08-05 황문일 건강 벽지
KR20010067663A (ko) * 2001-03-03 2001-07-13 이찬숙 부직포에 (천연섬유.pp섬유질) 황토와폐지(골판지.신문)를 이용한 천연 황토 벽지 제조 방법
KR200233819Y1 (ko) * 2001-03-21 2001-10-08 박성기 공간 띄우기에 사용되는 도배용 부자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954A (ko) * 2002-05-20 2003-11-28 이재명 도배용 초배지
KR20040065540A (ko) * 2004-07-01 2004-07-22 정경우 천연황토벽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58209B (zh) 室内墙体用带纸质表层装饰贴附层的制备方法及其贴附层
KR100515504B1 (ko) 황토가 코팅된 벽지시공방법
CN106401102A (zh) 一种墙布及其制作方法
CN206267449U (zh) 一种墙布
KR20030065985A (ko) 황토가 코팅된 벽지제조방법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80071825A (ko) 숯을 이용한 건축내장용 마감재 및 마감재 조성물
CN104562858B (zh) 一种低定量装饰印刷纸及其制备方法
KR101034394B1 (ko) 자연소재와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와 그 제조방법
KR20030093389A (ko) 초배지와 벽지 및 그의 제조방법
CN205840221U (zh) 一种带装饰软片的装饰板
CN206579234U (zh) 环保易揭型无纺布自粘墙纸
KR20090109696A (ko) 엠보싱 부직포를 이용한 기능성 벽지 및 그의 시공 방법
CN205637423U (zh) 一种装饰软片
KR101441517B1 (ko) 천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371426Y1 (ko) 한지납골함
JP2013514913A (ja) コルク板状材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CN103266736A (zh) 一种三维立体墙饰及其制造方法
KR100523558B1 (ko)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
KR200299976Y1 (ko)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
KR200179008Y1 (ko) 건축물 내장재의 적층구조 및 이를 이용한 패널
KR200335190Y1 (ko) 오픈코팅 장식재
CN109070625B (zh) 装饰用表面形成材料及使用其施以装饰而成的物品
KR200376141Y1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합지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30739A (ko) 황토층이 형성된 바닥재
JPH0624203Y2 (ja) 化粧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