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976Y1 -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 - Google Patents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976Y1
KR200299976Y1 KR20-2002-0018872U KR20020018872U KR200299976Y1 KR 200299976 Y1 KR200299976 Y1 KR 200299976Y1 KR 20020018872 U KR20020018872 U KR 20020018872U KR 200299976 Y1 KR200299976 Y1 KR 2002999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lower plate
ondol
weight
communica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8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인철
Original Assignee
신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인철 filed Critical 신인철
Priority to KR20-2002-00188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9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9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9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면의 중앙 부분에는 연통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홈(22)의 내측면에는 각각 외측면으로 관통되게 연결홈(24)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하판(20)과, 하면에 상기 하판(20)과 대응되는 연통홈(32)과 연결홈(34)이 형성된 상판(30)과, 상기 하판(20)과 상판(30)이 포개지도록 부착되어 파이프(P)가 상기 연결홈(24 및 34)을 따라 직선 및 반원형으로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는 온수나 전기로 열을 가할 수 있는 형태 및 인체에 유익한 재료로 성형되어 내부에 공기가 서로 통하도록 착안되고 공기가 머물 수 있는 공간이 있기 때문에 자연의 향과 수분이 나올 뿐만 아니라 공해로 인한 스트레스와 호흡기 질환이나 두통, 비염, 가래 등이 사라지며, 바퀴벌레, 노래기, 개미 등이 사라지고 습도를 조절하여 감기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Powder wood building materials for ondol}
본 고안은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돌 또는 흙이 아닌 약제를 포함하는 나무 분말(톱밥)을 이용함으로써 방열과 방습 및 추운 겨울에도 약제에서 훈훈한 기온을 더하여 주며 무더운 여름에는 습한 공기를 빨아드려 시원함을 느끼게 하는 상생(相生) 상극(相剋) 원리를 이용하여 화학물질이나 접착재가 필요 없는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바닥재로 사용되는 나무편은 그 용도에 맞게 적정한 크기를 갖는데,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거실마루용으로 사용되는 나무편은 직사각형상으로서 그 크기는 대략 30cm 정도의 길이에 25㎝ 정도의 폭을 갖고 있다. 상기 거실마루용으로 나무편을 사용할 때는 여러 개를 모자이크식으로 짜맞춤하여 일정 면적의 넓은 거실마루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거실마루 처럼 각종 바닥재로 사용되는 나무편의 종래 구조는 첨부된 도 3와 같이 적정한 크기를 같은 직사각형상의 나무편 몸체(11)가 있고, 상기 나무편 몸체의 상부면에는 표면 보호를 위해 UV코팅제가 수 회 도포되어 일정한 두께의 제1도포층(12)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도포층의 상부면에는 그 표면이 윤기있고 매끄럽게 보여지도록 나무의 진액 우레탄 도료가 도포되어 제2도포층(13)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 바닥재용 나무편의 제조 과정을 참고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차 가공처리된 원목을 2차적으로 가공하여 적정한 두께와 길이 및 폭을 갖는 직사각형상의 나무편 몸체(11)를 구비한 다음 상기 나무편 몸체의 상부면을 센딩기를 이용하여 매끄럽게 센딩 처리한다. 이후 상기 나무편 몸체(11)의 센딩면인 상부면에 UV코팅제를 롤코팅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면, 상기 나무편 몸체의 상부면에는 일정한 두께로 제1도포층(12)이 형성 완료되는데, 상기 나무편 몸체(11)에 제1도포층(12)을 형성하는 것은, 나무편을 이용해 거실마루를 만들었을 경우 상기 나무편 몸체(11)의 외부노출면인 상부표면이 보호되도록 하여 외부적인 조건에 의해서도 상기 나무편 몸체(11)가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나무편 몸체(11)의 상부면에 제1도포층(12)이 형성되고 난 후 상기 제1도포층의 상부면을 센딩기를 이용하여 매끄럽게 센딩 처리한 다음, 그 센딩면에 우레탄도료를 코팅기에 의해 도포하면, 상기 센딩 처리된 제1도포층(12)의 상부면으로 일정한 두께의 제2도포층(13)이 형성되면서 도 3과 같은 구조의 종래 바닥재용 나무편이 제조 완료되는데, 상기 센딩 처리된 제1도포층(12)의 상부면에 제2도포층(13)을 형성하는 것은, 제조 완료된 상태의 나무편을 이용하여 거실마루를 만들었을 경우 그 외부 노출부분인 상부 표면이 윤기있게 보여지면서 상품가치가 높아지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한편, 이러한 바닥재에 관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50971호에서는 분말상태의 원적외선발생물질이 UV 코팅물질에 적당량 혼합된 바닥재용 나무편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실용신안제248977호에서는 전자파 차단물질 및 정전기 방지물질이 혼합되어 진 바닥재용 나무편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8951호에서는 바닥재용 나무자리의 제조시, 목편의 일면측에 무늬목편 압착시 발생되는 벤딩현상(휨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목편의 타면측에 무늬목편을 부착하여 목편의 휨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제작공정을 삭제토록 함으로써 작업공정의 대폭적 감소와 이에 따른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 휨 등 벤딩현상이 기피된 상태의 평형성 높은상질의 목편을 제공하기 위한 건축내장재 및 나무자리용 목편의 제조방법과 그 목편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264159호에서는 바닥재의 PVC시트와 표면무늬목 간의 열팽창 계수 차이에 의한 형태변형을 방지하고 촉감을 개선하며 차음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천공 PVC시트의 상면과 무늬목으로 된 표면소재 사이에 합판을 넣어서 접착하고 천공 PVC시트의 하면에는 부직포를 접착한 마루바닥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바닥재는 화학물질이 칠해진 벽이나 천정에서 나오는 유독한 독성 물질로 인한 공해로부터 벗어나지 못하여 쾌적하고 건강한 자연 친화적인 생활을 어려운 경향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나무 분말(톱밥)을 내부에 온돌 파이프의 설치가 가능하게 압축, 성형하여 바닥재 뿐만 아니라 벽면의 외장재로도 사용할 수 있는 건축재를 개발하였고, 본 고안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방열과 방습, 및 추운 겨울에도 약제에서 훈훈한 기온을 더하여 주고 무더운 여름에는 습한 공기를 흡수하여 시원하게 하는 상생(相生) 상극(相剋)의 원리를 이용한 인체에 유익한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는 상면의 중앙 부분에는 연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홈의 내측면에는 각각 외측면으로 관통되게 연결홈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하판과, 하면에 상기 하판과 대응되는 연통홈과 연결홈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하판과 상판이 포개지도록 부착되어 파이프가 상기 연결홈을 따라 직선 및 반원형으로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상판과 하판은 20∼30중량%의 은행나무, 50∼70중량%의 후박나무 및 향을 발산하는 하나 이상의 약초 10∼20중량%를 잘게 분쇄시킨 다음, 상기 분쇄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의 나무 진액을 끊는 물에 10∼30%의 농도로 희석시킨후, 50∼70℃의 온도에서 상기 분쇄물과 혼합시키고, 상기 혼합물을 35∼50톤의 압력으로 성형시킨 것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바닥재용 나무편이 거실마루에 사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바닥재용 나무편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나무편 몸체 12: 제1도포층
13: 제2도포층 20: 하판
30: 상판 22 및 32: 연통홈
24 및 34: 연결홈 P: 파이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의 선조들이 살아온 한옥은 건강을 위한 과학적인 근거를 말해주고 있지만 수십 층의 빌딩을 흙과 나무로 지을 수 없기에 기둥과 골격을 제외한 부분만이라도 무해한 자재들을 통하여 독성을 막고 유해한 전자파를 막고자 강풍이나 엄동설한에 강하고 독소들을 정화하는 약재와 서로의 상부상조하는 식물과 천적을 이루는 약재들을 이용하여 냄새와 노폐물과 벌레들의 퇴치는 물론 인체의 노화의 원인이 되는 과산화질을 제거시키고 화학물질로 인한 알러지, 비염, 피부병 등에 체질을 개선하고 억제하는 기능이 있는 약재들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유사한 것들이 많이 있는데 맥반석, 운모석, 옥, 숯, 황토는 사람에게 유익을 주는 효능은 사실이지만 한가지 품목으로는 이 현실에 오염된 우리의 몸을 건강하게 할 수는 없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나무의 분말과 약초의 향과 나무 진액을 혼합하여 35∼50톤의 압력으로 압축시켜 모형을 만들어 온수나 전기로 열을 가하면 자연의 향과 수분이 나오면 공해로 인한 스트레스나 기관지 질환 두통, 비염, 가래 등이 사라지며, 바퀴벌레, 노래기, 개미 등이 사라지고 습도를 조절하여 감기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는 대응하는 동일 형상을 갖는 하판(20)과 상판(30)으로 구성된다. 하판(20)은 상면의 중앙 부분에 연통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홈(22)의 내측면에 각각 외측면으로 관통되는 연결홈(24)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상판(30)은 하면에 상기 하판(20)과 대응되는 연통홈(32)과 연결홈(34)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상기 상판(30)과 하판(20)은 서로 포개지도록 부착되어 온수 파이프(P) 또는 전기로 등이 상기 연결홈(24 및 34)을 따라 직선 및 반원형으로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는 상판과 하판로 구성되어 내부에 공기가 서로 통하도록 착안되고 공기가 머물 수 있는 공간이 있기 때문에 열을 가하면 내면에 있던 향기와 약효가 밖으로 나오고 열이 식으면 외부의 노폐물들이 스며들게 되고, 이로 인해 방안의 모든 공기가 청정해지게 되며 몇 년을 사용해도 향기가 계속유지 되는 것이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하판과 상판은 은행나무, 후박나무 및 향을 발산하는 하나 이상의 약초를 잘게 분쇄시킨 다음, 상기 분쇄물에 끊는 물에 희석시킨 나무 진액을 50∼70℃의 온도에서 상기 분쇄물과 혼합시키고, 상기 혼합물을 35∼50톤의 압력으로 도 4와 같은 형상으로 성형시킨 성형체이다.
일반적으로, 은행나무는 오래 살며 수형이 크고 아름다우며, 병충해가 거의 없으며 불에는 잘 타지 않고 기침을 안나게 하고 가래를 삭게한다. 따라서, 풍치목, 기념목, 가로수 등으로 많이 심고 있다. 목재는 결이 곱고 치밀하며 탄력성이 있어서 가구 ·조각 ·바둑판 ·밥상 등에 이용되고 있다. 아울러, 후박나무는 나무껍질과 잎을 분말로 하여 물로 적시면 점성이 강해지므로 선향(線香)의 결합제로 사용하고, 나무껍질을 염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한방에서는 나무껍질을 후박피(厚朴皮)라고 하며 천식과 위장병에 사용한다. 따라서, 은행나무와 후박나무의 분쇄물은 해충을 퇴치하는데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20∼30중량%의 은행나무, 50∼70중량%의 후박나무 및 향을 발산하는 하나 이상의 약초 10∼20중량%를 잘게 분쇄시킨 다음, 상기 분쇄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의 나무 진액을 끊는 물에 10∼30%의 농도로 희석시킨후, 50∼70℃의 온도에서 상기 분쇄물과 혼합시키고, 상기 혼합물을 35∼50톤의 압력으로 성형시킨다.
상기 향을 발산하는 하나 이상의 약초로는 백지, 용뇌, 백합, 곽향, 또는 정향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나무 진액은 결착제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우리나라에 옷나무에 진액이 있는데, 이 옷진액으로 나무에 장식용 칠을 하고 접착재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성형공정은 당업자에게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또한 본 고안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혼합물을 35∼50톤의 압력으로 성형시킨 성형체는 45∼55℃의 온풍으로 건조한 후에 130∼160℃의 증기로 가열시킨 다음, 꽃잎의 색깔과 약초의 원색을 먹인 후에 향기가 있는 원액에 침지시켜 48시간 후에 다시 45∼60℃의 온풍으로 건조시키는 과정을 더욱 거쳐 인공색체가 아닌 홍화나 치자와 같은 천연의 색상을 나타내는 우수한 성형체로 제조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성형체는 건축재, 특히 건축용 바닥재 또는 내장재의 외벽으로 바람직하며, 당업자에게 다양한 용도의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 예에 본 고안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은행나무 25중량%와 후박나무 60중량%를 잘게 분쇄하여 톱밥으로 만들어 백지, 용뇌, 백합, 곽향 및 정향으로 구성된 미세 분말 15중량%와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옷나무 진액 5중량부를 60℃ 따끈한 물로 20%의 농도로 희석한 다음, 상기 분쇄물과 혼합시키고, 상기 혼합물을 약 30톤의 압력으로 도 4와 같은 형상으로 성형시켰다. 이를 약 50℃의 그늘진 온풍에 건조한후 130∼160℃의 증기 열로 구운 다음, 홍화꽃을 삶아 그 물을 먹인 후에 다시 백합유를 먹인 다음 용뇌를 녹여 향기를 배합하여 48시간을 담가둔 뒤에 그늘에서 약 50℃의 온풍기로 건조하여 상판과 하판을 제조하였다.
도 5는 상기 상판과 하판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온돌용 파이프가 내장된 상태로 건축용 바닥재로 사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는 온수나 전기로 열을 가할 수 있는 형태 및 인체에 유익한 재료로 성형되어 내부에 공기가 서로 통하도록 착안되고 공기가 머물 수 있는 공간이 있기 때문에 자연의 향과 수분이 나올 뿐만 아니라 공해로 인한 스트레스나 기관지 질환, 두통, 비염, 가래 등이 사라지며, 바퀴벌레, 노래기, 개미 등이 사라지고 습도를 조절하여 감기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몇 년을 사용해도 향기가 계속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연통홈(22)이 상면의 중앙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연통홈(22)의 내측면에 각각 외측면으로 관통되게 연결홈(24)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하판(20)과
    상기 하판(20)과 포개지도록 부착되어 파이프(P)가 상기 연결홈(24)을 따라 직선 및 반원형으로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연통홈(32)과 연결홈(34)이 하면에 형성된 상판(30)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판(20)과 상판(30)은 20∼30중량%의 은행나무, 50∼70중량%의 후박나무 및 향을 발산하는 하나 이상의 약초 10∼20중량%로 된 분쇄물 100중량부와 끓는 물에 10∼30% 농도로 희석된 나무 진액 1∼10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성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
  2. 삭제
KR20-2002-0018872U 2002-06-21 2002-06-21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 KR2002999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872U KR200299976Y1 (ko) 2002-06-21 2002-06-21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872U KR200299976Y1 (ko) 2002-06-21 2002-06-21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737A Division KR100523558B1 (ko) 2002-06-21 2002-06-21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976Y1 true KR200299976Y1 (ko) 2003-01-06

Family

ID=49398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872U KR200299976Y1 (ko) 2002-06-21 2002-06-21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9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065B1 (ko) 친환경 천연흙판의 제조방법
KR100755242B1 (ko) 조립식 황토타일
KR100752743B1 (ko) 천연직물과 옻칠을 이용한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6579A (ko) 빨래 건조실 겸용 개인용 사우나
CN110903670A (zh) 一种防返潮的木质纤维隔音板及其制造方法
KR100757949B1 (ko) 한지 한방 타일의 제조방법
KR200299976Y1 (ko)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
KR100523558B1 (ko) 온돌용 나무분말 건축재
KR101466250B1 (ko) 인테리어 및 건축용 목재와 그 제조방법
KR101358462B1 (ko) 옻칠을 이용한 온돌침대용 숯판 및 그 숯판 제조방법
KR200222609Y1 (ko) 황토타일과 구조
KR20080071825A (ko) 숯을 이용한 건축내장용 마감재 및 마감재 조성물
KR200345225Y1 (ko) 기능성 화장판
KR101443127B1 (ko)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KR101515570B1 (ko) 친환경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626716B1 (ko) 건축용 내장판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장판넬
KR20110092053A (ko) 황토 패널용 천연 혼합풀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황토패널 제작방법
KR20150122495A (ko) 편백나무 추출 원액과 오일 혼합액이 첨가된 가구 보드 원목 인테리어 건축 마감재 제조방법과 그 마감재
KR100416385B1 (ko) 한방 향 황토판과 그 제조방법
KR101398920B1 (ko) 황토와 솔잎을 함유하여 제공되는 솔잎황토판재 및 솔잎황토판재를 바닥재와 벽면재로 사용하여 솔잎향을 발하는 뜸질방으로 이용하는 방법
KR100711731B1 (ko) 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859442B1 (ko) 친환경 황토 보드의 제조방법
KR20080009337A (ko) 사람에게 이로운 친환경 건축용 내장 시설물 시공방법
KR100362241B1 (ko) 숯한지를 이용한 돌침대
KR101847413B1 (ko) 아산화구리 입자 및 봉선화 추출물을 활용한 항균·항바이러스성 기능성 벽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