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7949B1 - 한지 한방 타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지 한방 타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7949B1
KR100757949B1 KR1020060071852A KR20060071852A KR100757949B1 KR 100757949 B1 KR100757949 B1 KR 100757949B1 KR 1020060071852 A KR1020060071852 A KR 1020060071852A KR 20060071852 A KR20060071852 A KR 20060071852A KR 100757949 B1 KR100757949 B1 KR 100757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medicine
mulberry
tile
fiber
wetl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치용
Original Assignee
안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치용 filed Critical 안치용
Priority to KR1020060071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fibres or chips, e.g. bonded with synthetic resins, or with an outer layer of fibres or ch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 곽향, 원지, 박하, 당귀, 천궁, 작약, 백복신, 의이인, 솔잎, 감초, 목향, 향부자, 석창포, 애엽과 같은 한약재를 함유하는 한지 타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한지 한방 타일은 천연 소재를 사용하고 약리활성이 있는 한약재를 함유하고 있어, 새집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을 뿐아니라 한약재가 방출하는 정유성분으로 인한 유효 약리활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한지의 특성으로 인해 온도 및 습도 조절 기능과 방음효과가 뛰어나다.
한지, 한약재, 타일, 한방, 인테리어, 내장재

Description

한지 한방 타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the Korean Traditional Paper Tile Comprising Herbs}
도 1은 본 발명의 한지 한방 타일을 제조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한지 타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지 특유의 견고성 및 습도 조절 기능과 한약재의 유효활성 효과로 인해 주거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한지 타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보다 쾌적하고 개성있는 주거 환경을 형성하기 위해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새로 건축되는 아파트에 대해서도 입주 전에 사용해 본 적도 없는 내장재를 모두 철거하고 새로이 설치하는 일도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이렇게 철거된 내장재들은 대부분 목재나 석재 또는 벽지의 장식재들로 폐기 자체가 어렵거나, 폐기할 수 있다 하더라도 이들을 폐기하기 위한 비용이 만만치 않을 뿐 아니라 폐기 시 다이옥신 등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등 환경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인테리어에 주로 사용되는 목재는 방부를 위해 포르말린을 처리하여 시공 후 잔류 유해물질이 방출되는 우려가 있다. 벽면 장식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벽지 또한 벽지 자체의 제조 공정에서 원자재에 함유되거나 인쇄 공정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이 잔류하여 시공 후 실내공기의 오염원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석재 자체에는 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있지 않으나 주로 사용되는 대리석과 같은 석재는 그 자체가 매우 고가이며 원자재의 수입 의존도가 높아 막대한 외화 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건축재 또는 마감재에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은 특히 겨울철과 같이 환기가 불충분할 경우에는 실내에 축적되어 아토피 피부염, 천식, 두통과 같이 인체에 각종 문제를 야기하며 이는 '새집증후군'으로 불리우고 있다. 건축 자재에 포함된 VOC는 방출물질이 절반으로 줄어드는데 2~4년이 걸릴 정도로 장기간에 걸쳐 유해물질을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새집증후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실내공기를 강제로 배기하기 위한 환기시설이나, 공기청정기의 사용, 광촉매를 사용한 유해가스 저감기술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효과가 아직 미약할 뿐 아니라, 환기시설이나 공기청정기를 사용할 경우 추가로 설비가 필요하거나 유지에 비용이 소모되고, 광촉매 코팅은 마모로 인해 기능이 소멸되는 등 보다 근원적인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한지는 섬유질이 길기 때문에 질기고, pH 4.0 이하의 산성지인 양지에 비해 pH 7.0 이상의 알칼리성지로 누렇게 황화현상을 일으키는 리그 닌(lignin)의 함유가 적어서 변색이 되지 않으며, 재질이 질기므로 보존성이 우수하다. 또한, 섬유질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통될 수 있으므로 통기성 및 방음효과가 좋고, 습기를 머금어도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습기를 빨아들였다가 건조할 때 내놓는 등 외부의 습도와 온도에 대처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한지는 닥나무의 껍질과 닥풀을 주원료로 한 천연소재로서 건축 내장재로 사용할 경우 친환경 주거 공간을 제공하여 새집증후군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한지를 이용한 내장재로서, 한지 벽지에 관한 실용신안 및 특허가 출원된 바 있으나(실용신안출원 20-1995-13392호, 등록실용신안 20-351525호, 등록특허 10-249982호), 이들은 단지 기존의 벽지에 한지를 한 층 더 접착시켜 한지의 미적 효과를 살리고자 한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20-397134호는 한지에 옻칠을 하여 한지에 항균효과를 부여하고 새집증후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한 벽지가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한지에 옻칠을 하는 추가 공정이 필요하므로 제조 비용이 높아 질 뿐 아니라 한지 자체만으로는 반투명한 성질이 있어 벽지로 사용하기에는 제한이 따른다.
또한 내장재에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다면 유해성분이 방출되어 인체에 해가 되는 것과 마찬가지 원리로 유효성분이 서서히 방출되어 약리활성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공개특허 2006-42609호에는 한약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벽지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벽지에 한약재와 무기질분말 및 유기질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코팅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코팅층의 마모로 인해 기능이 상실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존 벽지에 여러 차례의 코팅을 진행해야 하므로 제조 공정 또한 복잡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새집증후군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지 않을 뿐 아니라 약리활성이 있는 유효물질을 방출하고 습도 조절 기능이 있어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친환경 기능성 내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효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자체 내에 골고루 함유되어 있어 마모로 인해 기능이 소멸되지 않고, 폐기 시에도 유해물질을 발생시키지 않을 뿐 아이라 재활용도 가능한 내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닥나무로부터 섬유질을 추출하는 닥섬유 추출단계; (B) 상기 닥섬유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닥섬유와 한약재 및 닥풀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C) 상기 혼합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수용공간이 있는 발에 담아 닥섬유의 혼합물이 발 전면에 일정 두께로 형성되도록 고루 펴주는 습지형성 단계; (D) 상기 습지형성단계에서 수득한 습지를 보조부재로 가압하여 탈수하는 탈수단계; 및 (E) 상기 탈수단계 후 남아있는 수분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한지 한방 타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한지'는, 종이로서의 협의가 아니라 전통의 방법에 따라 닥나무로부터 추출한 닥섬유와 닥풀을 사용하여 제조된 물건을 총칭하는 광의로 사용한다.
상기 '타일'이란, 0.2~2cm의 두께를 갖는 조각으로 벽이나 천장 등에 붙여 내장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판을 칭한다. 상기 타일은 겉면이 편편할 수도 있고, 입체 문양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그 크기나 모양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한약재'는 건강, 곽향, 원지, 박하, 당귀, 천궁, 작약, 의이인, 솔잎, 감초, 백복령, 목향, 향부자, 석창포, 애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한약재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기에 언급되어 있지 않다 하더라도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는 한약재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한약재는 내장재를 사용하고자 하는 공간의 특성 및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필요로 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후조리원의 산모가 기거하는 방에는 애엽, 천궁, 솔잎, 당귀 등과 같이 여성에게 좋은 한약재를, 학령기 아이들의 공부방에는 원지, 백복령, 석창포 등과 같이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약재를 선별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한약재군을 구성하는 성분의 효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건강은 생강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생강의 뿌리줄기를 건조한 것으로 살충작용이 있다. 건강은 인체의 중초를 따뜻하게 하여 소화기에 작용, 위가 약하여 헛구역질을 하는 사람, 자주 구토 증상을 보이는 사람에게 효과가 좋다.
곽향은 위장의 습열을 제거하며 건위 및 식체의 소화작용, 구토, 소화기능 증강에 효과가 있고 소염 해열에도 효능이 있다.
원지는 두메애기풀의 뿌리로서 거담, 해울의 효능이 있다. 또한 경계, 건 망, 불면을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하는 건위, 정장, 해열, 치통에 귀중한 생약으로 흥분, 건위, 진통 방향청량제로서 이용된다. 본초서에 영생은 독한을 몰아내고 상한의 두통을 다스리며, 중풍, 두풍을 없애고 관절을 수월히 움직이게 하고 피로를 풀어준다고 하였다. 또 풍과 열을 없애고 눈을 밝게 하며 담 있는 기침, 피부병을 다스린다. 박하는 가벼운 건위작용도 가지고 있으므로 속이 답답하거나 위의 운동이 부족할 때도 쓴다.
당귀는 한약재 중 보혈제의 대표적인 생약으로 혈을 보하여 주고 청열작용과 혈의 흐름을 좋게 한다. 그래서 빈혈이나 어혈로 인한 혈행 장애에서 오는 동통증에 크게 활용하고 있다. 또한 장의 연동운동을 활발히 해주며, 체내의 가스를 원활히 배출시켜 충분한 영양 흡수를 돕는다.
천궁은 기와 혈의 원활한 순환을 도우며 몸 안으로 침입한 풍의 기운을 없애는 동시에 지통의 효과도 있다. 천궁은 기와 혈의 순환 장애로 인한 월경통이나 일정하지 않은 생리, 복통, 옆구리에 통증, 타박상, 두통 등의 증상에 응용된다. 이처럼 천궁은 모든 풍병, 기병, 혈병들을 치료한다. 오래된 어혈을 헤치며 피를 생겨나게 하는 약재이다.
작약은 혈분에 열을 내리고 혈이 뭉쳐서 생긴 어혈 등을 풀어준다. 열과 독으로 인한 발광, 간기가 뭉쳐서 생긴 옆구리의 통증이나 눈이 빨갛게 되고 통증이 있는 상태, 타박상이나 이로 인한 복통 등에 많이 응용된다.
의이인은 율무의 한약재명으로 한약재로는 이수약류에 속한다. 몸의 불필요한 수분을 밖으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이나 수종 등의 치료에 이용되고, 비장을 보하고 그 효과로 폐기 역시 충실해져서 폐에 생긴 종기 등을 치료한다. 또한 열을 내리면서 염증과 농을 없애는 작용도 겸비하고 있다.
솔잎은 심장병이나 동맥경화 등의 순환기 질환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며, 그 외에도 각종 위장병, 고혈압, 중풍, 신경통, 불면증과 같은 질병 치유와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초는 간장에서 유독 물질과 결합, 해독 작용을 하기 때문에 간장기능을 회복시켜 주며 약물중독,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유효하다. 그리고 진해 거담 작용도 있으며 항히스타민, 항아세칠콜린작용도 있다. 근육이나 조직의 급격한 긴장에 의하여 생기는 통증을 풀어주는 작용, 체중의 증가, 백혈구증가, 이뇨작용, 항염증작용이 있으며 특히 리퀴리틴, 리퀴리티게닌 등의 성분은 소화성궤양의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백복령은 소나무의 뿌리에 기생하는 균사의 집합체로 균핵을 이룬 것을 채취하여 사용한다. 위, 간, 이자, 시장등의 질병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질병을 앓고 난 후 허약한 사람이나 만성 위장병 환자 등의 치료를 위한 약재로 이용된다.
목향은 방향성 건위제로서 설사를 멎게하고 소화에 효과가 있어 식상, 토사, 복통에 쓰인다. 또 이뇨 및 거담 작용이 있고 결핵성 질환에 강장약으로 쓰며, 방충효과가 있다.
향부자는 간에 작용하여 정체된 기를 소통시켜주고 통증과 생리불순을 개선시켜 준다. 스트레스성 소화 불량이나 가슴과 옆구리나 배가 부풀고 아픈 증상에 도 효과가 있다.
석창포는 활담, 거풍, 거습에 효능이 있으며, 건망증, 심흉번민 등을 치료한다.
애엽은 일명 의초라고 하며 우리 나라의 길가나 산야에 자생하는 쑥의 한 종류인 황해쑥을 건조한 것이다. 애엽은 인체에 차가운 기운을 날리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경락을 따뜻이 하고 출혈을 멈추게 하는 효능이 있다. 방향성과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기혈을 잘 소통되게 하며 추위와 불필요한 습기를 없애는 작용을 가지고 있어 각종 냉증에 효과가 있다.
상기 약재들이 함유되어 있는 본 발명의 한지 타일은 약재의 정유성분으로부터 방출되는 방향성분으로 인해 각 한약재 고유의 약리활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방충 및 항균작용이 있는 한약재들로 인해 마감재 자체에 곰팡이가 생기거나 좀이나 진드기와 같은 벌레들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지 타일을 구성하는 닥섬유는 섬유질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습기를 머금어도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습기를 빨아들였다가 건조할 때 내놓는 등 외부의 습도와 온도에 대처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방음효과도 탁월하다.
본 발명에 의한 한지 한방 타일은 (A) 닥나무로부터 섬유질을 추출하는 닥섬유 추출단계; (B) 상기 닥섬유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닥섬유와 한약재 및 닥풀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C) 상기 혼합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수용공간이 있는 발에 담아 닥섬유의 혼합물이 발 전면에 일정 두께로 형성되도록 고루 펴주는 습지형성 단계; (D) 상기 습지형성단계에서 수득한 습지를 보조부재로 가압하여 탈수하는 탈수단계; 및 (E) 상기 탈수단계 후 남아있는 수분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로 이루어진다(도 1).
상기 (A) 닥섬유 추출단계는 닥나무로부터 닥섬유를 얻는 과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채집한 닥나무는 줄기를 잘라 1~3시간 정도 찌거나 삶아 닥나무로부터 껍질(흑피)을 수확하는 닥찌기 과정; 닥찌기 과정에서 수확된 껍질에서 다시 겉껍질을 제거한 후 햇볕에 건조하여 백피로 만드는 백피제조 과정; 및 백피를 찬 물에 담가서 불린 후 짚, 메밀대, 콩대 등을 태운 재를 더운 물에 우려내어 얻은 잿물에 삶아 세척한 후 돌판이나 나무판 위에 올려놓고 방망이 등으로 두들겨 섬유조직이 풀어지도록 하는 고해과정;으로 구성된다. 닥나무 이외에도 삼, 안피나 뽕나무 등 섬유질이 풍부한 다른 식물로부터도 닥섬유와 유사한 방법으로 섬유질을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섬유질 추출과정의 세부적인 절차나 조건은 한지의 제조 과정에서 알려진 방법에 따라 진행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상기 (B) 혼합단계는 (A) 단계에서 추출한 닥섬유와 한약재 및 닥풀을 혼합하여 점성이 있는 곤죽 상태로 만드는 단계이다.
상기 '한약재'는 건강, 곽향, 원지, 박하, 당귀, 천궁, 작약, 백복신, 의이 인, 솔잎, 감초, 목향, 향부자, 석창포, 애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한약재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기에 언급되어 있지 않다 하더라도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는 한약재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한약재는 내장재를 사용하고자 하는 공간의 특성 및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필요로 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한약재의 혼합물은 한약재를 0.1~0.5mm정도의 크기로 잘게 자른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분말로 갈아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종래 한약재를 다리는 방법에 의해 약재와 물을 넣고 고온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이를 농축하여 한약재 농축물을 만들어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한약재와 닥섬유의 중량비는 2~20 : 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한약재 농축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비율의 한약재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의 농축액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약재의 사용양이 너무 적을 경우에는 한약재가 갖는 고유 효과가 충분히 발효되지 못하며, 사용양이 너무 많으면 효과가 더 이상 상승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섬유질의 비율이 낮아져 한지 타일의 물성이 나빠진다. 닥풀은 종래 한지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율보다 다소 적은 양인 닥섬유 100에 대해 1~10 중량비의 양을 섞어서 사용할 수 있다. 닥풀의 사용양이 많을 수록 제조되는 물빠짐이 느려 한지가 얇아지는 데, 본 발명은 한지 타일에 관한 것으로 한지에 비해 그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한지 제조 시보다 다소 적은 양의 닥풀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혼합물의 제조 시에는 필요에 따라 다른 첨가제를 추가로 투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연 염료를 추가하면 다양한 색상의 한지 한방 타일을 제조할 수 있고, 원적외선이나 음이온 방출 효과가 좋은 게르마늄이나 맥반석등의 무기광물질 분말을 추가하면 한약재의 효과 이외에도 무기 광물질에 의한 유효한 효과를 추가로 얻을 수 있다.
상기 (C) 습지형성단계는 (B)단계에서 곤죽 상태로 혼합된 혼합물을 제조하고자 하는 타일 모양과 크기의 수용 공간이 형성된 발에 담은 후 발 전면에 일정 두께로 형성되도록 고루 펴서 발로 물이 빠지로록 하여 습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 '습지'란 일반적으로 '수분을 함유하는 초지'를 말하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닥섬유를 발에 담아 놓은 것' 또는 '닥섬유를 발에 담아 놓아 중력에 의해 탈수/배수가 이루어진 초지'라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수용공간'은 섬유소가 포함되어 있는 혼합액을 다량 담게 되어 단위면적당 섬유소의 적층 두께를 증가시키게 되며, 수용공간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습지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발'에는 한개 발에 한개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다수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혼합물을 발에 담는 방법으로는 지통에 담겨있는 닥섬유의 혼합물을 발로 건져올리거나, 발에 닥섬유를 직접 붓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D) 탈수단계는 습지형성단계에서 수득한 습지를 보조부재로 가압하여 습지의 함수율을 낮추는 단계이다. '보조부재'란 습지를 가압하는 판으로서, 그 재질에는 제한이 없다. 보조부재는 습지의 전면에 고른 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습지의 전체면과 크기가 유사하거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부재의 크기가 습지의 면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에는 습지를 탈수하기 위해 여러번의 가압과정을 거쳐야 하고 전단계의 가압면과 후단계의 가압면 사이에 습지 표면이 불균일하게 융기된 띠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압면의 전 후 단계를 일정구간 겹치면 습지의 융기로 인한 띠의 형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보조부재에 입체문양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압하여 탈수하는 것과 동시에 타일에 입체문양이 형성되게 된다. 즉, 보조부재로 입체문양이 돌출된 양각판을 사용하면, 습지를 가압하는 압력이 돌출된 입체문양에서 크게 작용하여 입체문양과 접하는 습지부분이 더욱 치밀하게 압축되면서 한지의 표면에 음각문양이 형성되게 된다. 반대로, 입체문양이 함몰되어 있는 음각판을 보조부재로 사용하면, 습지를 가압하는 압력이 함몰된 입체문양에서 약하게 작용하여 입체문양과 접하는 습지부분이 다른 곳보다 치밀하지 못하게 되면서 한지 표면에 양각문양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음각과 양각이 혼합되어 있는 보조부재를 사용하면, 하나의 타일에 양각과 음각문양을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원리를 적용하면, 본 발명의 한지 한방 타일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하여 내장재로서 더욱 다양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E) 건조단계는 탈수과정에서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는 수분을 건조하는 단계이다. 건조 방법으로는 일광건조법이나 열판을 이용한 열판건조법 등을 선택하여 건조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한지 한방 타일은 천연 소재를 사용하고 약리활성이 있는 한약재를 함유하고 있어, 새집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을 뿐아니라 한약재가 방출하는 정유성분으로 인한 유효 약리활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온도, 습도 조절 기능과 방음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한지 한방 타일은 다양한 색상 및 다양한 형태의 타일을 원하는대로 제조할 수 있어, 각 장소에 적합하도록 생산된 타일을 부착하는 것만으로 쉽게 인테리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한지 한방 타일은 폐기 시 소각을 하더라도 다이옥신과 같은 환경 호르몬이나 유해가스를 방출하지 않으며, 다시 물에 풀어서 모양과 색상을 변형하여 재활용하는 것도 가능하여 최근 인테리어로 인한 환경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A) 닥나무로부터 섬유질을 추출하는 닥섬유 추출단계;
    (B) 상기 닥섬유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닥섬유와 한약재 및 닥풀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C) 상기 혼합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수용공간이 있는 발에 담아 닥섬유의 혼합물이 발 전면에 일정 두께로 형성되도록 고루 펴주는 습지형성 단계;
    (D) 상기 습지형성단계에서 수득한 습지를 보조부재로 가압하여 탈수하는 탈수단계; 및
    (E) 상기 탈수단계 후 남아있는 수분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한방 타일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보조부재는 입체문양이 형성되어 있어 가압하여 탈수하는 경우 동시에 입체문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한방 타일의 제조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한약재는 건강, 곽향, 원지, 박하, 당귀, 천궁, 작약, 백복신, 의이인, 솔잎, 감초, 목향, 향부자, 석창포, 애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한약재의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한방 타일의 제조 방법.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한약재와 닥섬유의 중량비는 2~20 :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한방 타일의 제조 방법.
KR1020060071852A 2006-07-31 2006-07-31 한지 한방 타일의 제조방법 KR100757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852A KR100757949B1 (ko) 2006-07-31 2006-07-31 한지 한방 타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852A KR100757949B1 (ko) 2006-07-31 2006-07-31 한지 한방 타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7949B1 true KR100757949B1 (ko) 2007-09-11

Family

ID=38737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852A KR100757949B1 (ko) 2006-07-31 2006-07-31 한지 한방 타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794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292B1 (ko) * 2007-11-15 2010-06-23 대한민국 기능성 한지 마루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49973B1 (ko) * 2007-07-09 2011-07-15 김미숙 항염 및 항아토피용 분말,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약제, 비누 및 인테리어용 자재
KR101217235B1 (ko) 2011-02-21 2013-01-0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천연 소재를 이용하여 항균성 및 살충력이 우수한 기능성 한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174646A1 (ko) * 2014-05-15 2015-11-19 예원예술대학교산학협력단 방수, 방풍 및 투습이 가능한 기능성 한지의 제조방법
KR20180000563A (ko) 2016-06-23 2018-01-03 차종순 닥섬유와 패각 및 광물질을 이용한 타일의 제조방법
KR20210097943A (ko) 2020-01-31 2021-08-10 고영호 다공질 한지타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질 한지타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474Y1 (ko) 1996-02-09 1999-08-16 황만철 흙 판넬
KR100416385B1 (ko) 2001-12-18 2004-01-31 김구해 한방 향 황토판과 그 제조방법
KR100492412B1 (ko) 2002-05-10 2005-06-03 한종수 건강주택을 위한 황토패널 제조 및 황토바닥과 천장, 벽의시공방법
KR100591783B1 (ko) 2006-02-24 2006-06-26 주식회사 씨쓰리 음이온을 방출하며 솔향을 발산하는 건축내장재용 마감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90317B1 (ko) 2004-04-09 2007-03-09 이현재 황토방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474Y1 (ko) 1996-02-09 1999-08-16 황만철 흙 판넬
KR100416385B1 (ko) 2001-12-18 2004-01-31 김구해 한방 향 황토판과 그 제조방법
KR100492412B1 (ko) 2002-05-10 2005-06-03 한종수 건강주택을 위한 황토패널 제조 및 황토바닥과 천장, 벽의시공방법
KR100690317B1 (ko) 2004-04-09 2007-03-09 이현재 황토방 설치방법
KR100591783B1 (ko) 2006-02-24 2006-06-26 주식회사 씨쓰리 음이온을 방출하며 솔향을 발산하는 건축내장재용 마감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973B1 (ko) * 2007-07-09 2011-07-15 김미숙 항염 및 항아토피용 분말,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약제, 비누 및 인테리어용 자재
KR100965292B1 (ko) * 2007-11-15 2010-06-23 대한민국 기능성 한지 마루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7235B1 (ko) 2011-02-21 2013-01-0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천연 소재를 이용하여 항균성 및 살충력이 우수한 기능성 한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174646A1 (ko) * 2014-05-15 2015-11-19 예원예술대학교산학협력단 방수, 방풍 및 투습이 가능한 기능성 한지의 제조방법
KR20180000563A (ko) 2016-06-23 2018-01-03 차종순 닥섬유와 패각 및 광물질을 이용한 타일의 제조방법
KR20210097943A (ko) 2020-01-31 2021-08-10 고영호 다공질 한지타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질 한지타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949B1 (ko) 한지 한방 타일의 제조방법
CN101624868B (zh) 一种木地板及其制备方法
KR100528659B1 (ko) 목재패널용 한방 무늬 목 제조방법
CN1287713C (zh) 乌拉草制作的保健床垫
KR100257381B1 (ko) 온돌식침대의 황토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492412B1 (ko) 건강주택을 위한 황토패널 제조 및 황토바닥과 천장, 벽의시공방법
CN110903670A (zh) 一种防返潮的木质纤维隔音板及其制造方法
KR200222609Y1 (ko) 황토타일과 구조
KR102502113B1 (ko) 천연식물 추출 방충성분을 함유한 도료
CN104191472A (zh) 一种减少有害气体的人造板
KR100416385B1 (ko) 한방 향 황토판과 그 제조방법
KR200407417Y1 (ko) 목재를 부착한 황토벽돌
KR20030018033A (ko) 황토한지 제조방법
KR101515570B1 (ko) 친환경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398920B1 (ko) 황토와 솔잎을 함유하여 제공되는 솔잎황토판재 및 솔잎황토판재를 바닥재와 벽면재로 사용하여 솔잎향을 발하는 뜸질방으로 이용하는 방법
CN100416016C (zh) 一种茶花板装饰墙及其制备方法
KR20050038773A (ko) 항균 원적외선 향 한지
KR101734731B1 (ko) 소금 보드 제조방법
KR20160074445A (ko) 솔 향(피톤치드)이 분출되는 기능성 건축내장재
KR20130121542A (ko) 숯이 내장된 친환경 황토마감재 제조방법
KR101374130B1 (ko) 아토피 질환에 개선효과를 제공하는 황토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205862Y1 (ko) 옥분말 및 숯분말을 함유하는 원적외선방사접착제를이용하여 제조되는 건축용 조립식 마루판재
KR20000003904A (ko) 생약재 함유 흙벽돌
KR102271381B1 (ko) 고삼과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물티슈
CN103040386B (zh) 黄柏木木质部在制备保健品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