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3904A - 생약재 함유 흙벽돌 - Google Patents

생약재 함유 흙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904A
KR20000003904A KR1019980025207A KR19980025207A KR20000003904A KR 20000003904 A KR20000003904 A KR 20000003904A KR 1019980025207 A KR1019980025207 A KR 1019980025207A KR 19980025207 A KR19980025207 A KR 19980025207A KR 20000003904 A KR20000003904 A KR 20000003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rick
leaf
peony
cinna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5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봉수
이상태
Original Assignee
이상태
한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태, 한봉수 filed Critical 이상태
Priority to KR1019980025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3904A/ko
Publication of KR20000003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90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2Cellulosic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other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생약재를 함유한 흙벽돌에 관한 것으로, 황토 56 ∼88중량%, 천궁, 당귀, 약쑥, 작약, 박하, 감초, 향나무, 계피, 무궁화뿌리, 볏짚, 참나무잎, 껍질, 당두충, 감잎, 아주까리열매, 대나무잎, 솔잎, 탱자, 들국화, 추자, 육두구, 정향으로 구성되는 생약재 10 ∼ 42중량%, 맥반석 0.5 ∼ 2.5중량%, 석회 0.5 ∼ 2.5중량%, 백토 0.5 ∼ 2.5중량% 및 참숯분말 0.5 ∼ 2.5중량%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성분 분말을 혼합하고 적량의 물을 가한 다음, 벽돌 성형기에 투입하여 벽돌로 성형한 후, 건조하여 흙벽돌을 제조하므로서 황토, 맥반석, 생약재에서 방출되는 성분들에 의하여 인체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Description

생약재 함유 흙벽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생약재를 함유한 흙벽돌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황토 56 ∼ 88중량%, 천궁, 당귀, 약쑥, 작약, 박하, 감초, 향나무, 계피, 무궁화뿌리, 볏짚, 참나무잎, 껍질, 당두충, 감잎, 아주까리열매, 대나무잎, 솔잎, 탱자, 들국화, 추자, 육두구, 정향으로 구성되는 생약재 10 ∼ 42중량%, 맥반석 0.5 ∼ 2.5중량%, 석회 0.5 ∼ 2.5중량%, 백토 0.5 ∼ 2.5중량% 및 참숯분말 0.5∼ 2.5중량%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성분 분말을 혼합하고 적량의 물을 가한 다음, 벽돌 성형기에 투입하여 벽돌로 성형한 후, 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재를 함유한 흙벽돌에 관한 것이다.
건축문화 발달 및 기술의 개발로 인하여 건축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의 공법들이 개발되고 있고, 벽돌 역시 시멘트를 주재로 하는 벽돌과 적벽돌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건축공정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벽돌들은 강도는 우수하지만 벽돌에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방출되며, 인체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각종 파동을 차단하여 생체리듬을 파괴하므로서 건강을 해친다는 것이 많은 연구 결과로부터 알려지고 있다.
상술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바이오세라믹을 함유시킨 벽돌의 사용이 제안되기도 하였지만 인체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바이오세라믹을 함유시켜야 하므로 벽돌의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경제성이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벽돌 자체에서 방출되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의 제거에는 만족스러운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또한, 근래에 황토가 인체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알려진 이후로 황토방, 황토매트 등이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지만 황토로 인한 효과 이외에는 다른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황토, 맥반석, 생약재에서 방출되는 성분들에 의하여 인체에 좋은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생약재를 함유하는 흙벽돌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될 수 있는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황토 56 ∼ 88중량%, 천궁, 당귀, 약쑥, 작약, 박하, 감초, 향나무, 계피, 무궁화뿌리, 볏짚, 참나무잎, 껍질, 당두충, 감잎, 아주까리열매, 대나무잎, 솔잎, 탱자, 들국화, 추자, 육두구, 정향으로 구성되는 생약재 10 ∼ 42중량%, 맥반석 0.5 ∼ 2.5중량%, 석회 0.5 ∼ 2.5중량%, 백토 0.5 - 2.5중량% 및 참숯분말 0.5 ∼ 2.5중량%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성분 분말을 혼합하고 적량의 물을 가한 다음, 벽돌 성형기에 투입하여 벽돌로 성형한 후, 건조하여 흙벽돌을 제조하므로서 황토, 바이오세리믹, 생약재에서 방출되는 성분들에 인하여 인체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재 함유 흙벽돌은 황토 56 ∼ 88중량%, 천궁, 당귀, 약쑥, 작약, 박하, 감초, 향나무, 계피, 무궁화뿌리, 볏짚, 참나무잎, 껍질, 당두충, 감잎, 아주까리열매, 대나무잎, 솔잎, 탱자, 들국화, 추자, 육두구, 정향으로 구성되는 생약재 10 ∼ 42중량%, 맥반석 0.5 ∼ 2.5중량%, 석회 0.5 ∼ 2.5중량%, 백토 0.5 ∼ 2.5중량% 및 참숯분말 0.5 ∼ 2.5중량%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성분 분말을 혼합하고 적량의 물을 가한 다음, 벽돌 성형기에 투입하여 벽돌로 성형한 후, 건조하는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황토로는 벽돌로서의 형성능을 갖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며, 우리 나라 전역에 걸쳐 골고루 분포되어 있어 얻기가 쉬운 것으로 황토에서 인체의 생리리듬이 정상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지자기파 등의 파장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벽돌로 제조하여 건축자재로 사용하므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황토의 사용량은 56 ∼ 88중량%의 것이 효과적이며, 황토의 사용량이 56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벽돌로서의 성형이 불가능해지는 단점이 있고, 88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적어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능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천궁은 미나리과에 속하며 다년생 초본의 천궁(Cnidium officinale)의 근경으로서 10월 중순경 줄기와 잎이 황변할 때 포기를 캐어서 흙을 털고 줄기와 가는 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은 후 햇볕에 건조시키거나 화건한 것을 사용하며, 거풍, 활혈, 진통의 효능이 있어 풍한두통, 폐경, 난산, 한비근련, 산후어조괴통 등에 이용되는 한약재이다.
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하며 다년생 초본의 참당귀(Angelica gigas)의 근으로서 채취하여 지상부분과 흙을 제거하고 햇볕에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며, 강장, 조경, 하혈, 진통 등의 효능이 있어 월경불순, 산후복통, 폐경, 관절통, 요통, 타박성동통, 빈혈 등에 응용되고 있으며, 약쑥은 엉거시과에 속하며 다년생 초본인 쑥(Artemisia asiatica)의 잎으로서 채취하여 햇볕에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고, 성질이 온하므로 속이 냉해서 복통이나 요통이 생긴 때 또는 동태가 된 때에 내복하고 뜸질에도 사용되며 피를 맑게하고 염증을 삭히며 독성분을 제거하여 주고 근육의 이완작용을 하는 효능이 있어 자궁내 염증, 종양, 암, 냉대하증, 임지메루, 월경불순, 뼈마디의 결림증세에 이용되며, 근래에는 비만방지, 근육이 이완되면서 심층으로 신체의 호흡을 불러일으킴으로 인한 건강유지, 염분 및 노폐물 축적방지, 스트레스 해소, 피부미용, 두통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작약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며 다년생 초본인 작약(Paeonia albiflora)의 뿌리로서 양혈, 유간, 진통, 완화, 지한, 수렴 등의 효능이 있어 사지경련, 흉복동통, 하리, 월경불순, 신체허약, 도한 등에 응용되며, 박하는 꿀풀과에 속하며 다년생 초본의 박하(Mentha haplocalyx)의 전초로서 전초를 베어서 음건한 것을 사용하고 구충, 해열, 건위, 이기, 해울, 해독의 효능이 있어 두통, 인후동통, 소화불량, 목적, 구내염, 치통, 창개, 음진 등에 응용된다.
감초는 콩과에 속하며 다년생 초본인 감초(Glycyrrhiza uralensis)의 근 또는 근상경으로서 수확하여 줄기에 붙어 있는 근경을 제거하고 잔가지 뿌리와 수염뿌리 등을 제거하고 흙을 잘 털어 햇볕에 건조한 것을 사용하며 완화, 해독, 폐포, 제약조화, 자윤 등의 효능이 있어 급박한 증세(중독), 입이나 목이 마르는 경우나, 인후에 통증이 있을 때, 가래의 배출이 잘 되지 않을 때, 위경련, 위궤양, 간질환과 암의 초기에 응용하고, 향나무는 향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향나무(Sabina chinensis)의 줄기로서 자체에서 향이 발산되어 방향 효과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고, 계피(Beckmannia erucaeformis)는 포아풀과에 속하는 2년생 풀이다.
무궁화 뿌리(목근근)는 아욱과에 속하는 낙염관목의 무궁화(Hibiscus syriacus)나무의 뿌리로서 채취하여 흙을 깨끗이 씻고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며 해열, 이뇨, 소종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볏짚은 벼의 낱알을 털어낸 것으로 일반적인 식물에 비하여 많은 양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옛날에는 흙벽돌의 제조시 황토의 응집원으로도 사용되어 왔다.
당두충은 두충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인 두충(Eucommia ulmoides)의 수피로서 껍질을 벗겨서 조피를 제거하고 햇볕에 건조시키거나 바람이 잘 통하는 음지에서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며 예로부터 보간신, 강근골, 안태, 혈압강하에 주로 응용되는 것이고, 감잎은 감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인 감나무(Diospyros kaki)의 잎으로 떫은 맛이 있으며 구충, 항균 및 제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주까리 열매는 대극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인 아주까리(Ricinus communis)의 열매로서 기름을 짜서 사용하기도 하는 것으로 하제로도 사용된다.
대나무잎은 대과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 목본인 대(Bambusaceae)의 잎이며, 솔잎은 소나무과에 속하는 소나무의 잎으로 특유의 향기를 갖는 송진을 함유하고 있어 방향성분으로 사용되고 있고, 탱자는 운향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의 탱자나무(Poncilus trifoliate)의 열매로서 향기가 좋고 약재로도 사용되며, 국화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국화(Chrysanthemum morlfolium)의 꽃잎으로서 채취하여 음건하거나 햇볕에서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며 해열, 진통, 소염 등의 효능이 있어 두통에 많이 응용되고, 추자는 호도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인 호도나무(Juglans sinensis)의 열매 또는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의 열매로서 내고피 속에 조금 들어 있는 살이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육두구(Myristica fragrans)는 육두구과에 속하는 상록 교목으로서 한약재로 사용되어 있으며, 정향은 목서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인 정향나무(Syringa palibiniana)의 꽃봉오리로서 성질이 덥고 독이 없어 심복통, 구토, 반위등에 약재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생약재에 있어서 본 발명에 적용시에는 분말을 사용하며, 분말의 입도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혼합이 용이한 정도의 입도이면 모두 사용 가능하며, 사용량은 10 ∼ 42중량%가 바람직하고, 사용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첨가효과가 미약하고, 42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황토의 사용량이 저하되어 벽돌로의 성형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특히, 생약재는 천궁, 당귀 각 3중량%, 약쑥, 작약, 박하, 감초, 향나무, 계피, 무궁화뿌리, 볏짚, 참나무잎, 껍질, 당두충, 아주까리열매, 대나무잎, 솔잎, 탱자, 들국화, 추자, 육두구, 정향 각 1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벽돌의 제조 용이성, 생약재 함유 효과 측면에서 우수함을 반복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맥반석 분말, 석회, 백토, 참숯은 제습, 흡기 및 원적외선 방사를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건축물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거나 조절하여 항상 쾌적한 환경이 유지되도록 하고, 흡기성으로 인하여 건축물 내부의 불쾌한 냄새의 제거가 이루어지며,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하여 인체에 유용한 효과가 나타나도록 한다.
맥반석 분말, 석회, 백토, 참숯은 각각 0.5 ∼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사용량이 0.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약하고, 2.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첨가 상승 효과가 미약하거나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생약재를 비롯하여 맥반석 분말, 석회, 백토, 참숯을 분말화하여 황토와 함께 칭량하여 투입하고 벽돌로서의 성형이 가능할 정도의 물과 혼합한 다음, 벽돌 성형기에 투입하여 벽돌로 성형한 후, 건조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의 생약재 함유 흙벽돌을 제조한다.
물의 사용량은 상기의 각각의 성분들을 혼합한 혼합물이 벽돌로 성형이 가능할 정도이면 가능하지만 반복 실험 결과,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 ∼ 30중량%인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물의 사용량이 2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벽돌로의 성형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고, 3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건조가 용이하지 못하고 성형 역시 용이하지 못하다.
벽돌 성형기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벽돌 성형기가 모두 사용 가능하고, 건조 역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행하며, 필요에 따라 표면에 유약을 도포하여 소성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흙벽돌은 건축물의 축조시 내벽용으로 사용하므로서 건축물의 강도 저하없이 생약재 및 기타 성분들에 의한 효과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황토 71중량%, 천궁, 당귀 각 3중량%, 약쑥, 작약, 박하, 감초, 향나무, 계피, 무궁화뿌리, 볏짚, 참나무잎, 껍질, 당두충, 아주까리열매, 대나무잎, 솔잎, 탱자, 들국화, 추자, 육두구, 정향 각 1중량%, 맥반석 1중량%, 석회 1중량%, 백토 1중량% 및 참숯분말 1중량%의 비율이 되도록 칭량하여 혼합하고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25중량%에 해당하는 양의 물을 가한 다음, 벽돌 성형기에 투입하여 벽돌로 성형한 후, 3일간 음지에서 건조하고 양생하면서 1주일동안 더욱 건조하여 본 발명의 생약재 함유 흙벽돌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벽돌을 이용하여 1층 슬라브 양식의 가옥을 축조하되 벽면 및 바닥면용으로 사용하여 건축물을 축조하고, 형성된 방의 정중앙에서 측정되는 원적외선의 양을 측정한 결과, 공지의 시멘트 벽돌만을 사용한 가옥보다 3 ∼ 5배 정도 높았으며, 실내에서 생약재 특유의 향기가 발산되었고, 50명의 패널인에게 3일 동안 취침케 한 결과 만족도가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황토 56 ∼ 88중량%, 천궁, 당귀, 약쑥, 작약, 박하, 감초, 향나무, 계피, 무궁화뿌리, 볏짚, 참나무잎, 껍질, 당두충, 감잎, 아주까리열매, 대나무잎, 솔잎, 탱자, 들국화, 추자, 육두구, 정향으로 구성되는 생약재 10 ∼ 42중량%, 맥반석 0.5 ∼ 2.5중량%, 석회 0.5 ∼ 2.5중량%, 백토 0.5∼ 2.5중량% 및 참숯분말 0.5 ∼ 2.5중량%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성분 분말을 혼합하고 적량의 물을 가한 다음, 벽돌 성형기에 투입하여 벽돌로 성형한 후, 건조하여 흙벽돌을 제조하므로서 황토, 바이오세라믹, 생약재에서 방출되는 성분들에 의하여 인체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Claims (2)

  1. 황토 56 ∼ 88중량%, 천궁, 당귀, 약쑥, 작약, 박하, 감초, 향나무, 계피, 무궁화뿌리, 볏짚, 참나무잎, 껍질, 당두충, 감잎, 아주까리 열매, 대나무잎, 솔잎, 탱자, 들국화, 추자, 육두구, 정향으로 구성되는 생약재 10 ∼ 42중량%, 맥반석 0.5 ∼ 2.5중량%, 석회 0.5 ∼ 2.5중량%, 백토 0.5 ∼ 2.5중량% 및 참숯분말 0.5∼ 2.5중량%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성분 분말을 혼합하고 물을 가한 다음, 벽돌 성형기에 투입하여 벽돌로 성형한 후, 건조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재 함유 흙벽돌.
  2. 제 1 항에 있어서, 생약재는 천당귀 각 3중량%, 약쑥, 작약, 박하, 감초, 향나무, 계피, 무궁화뿌리, 볏짚, 참나무잎, 껍질, 당두충, 아주까리열매, 대나무잎, 솔잎, 탱자, 들국화, 추자, 육두구, 정향 각 1중량%로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재 함유 흙벽돌.
KR1019980025207A 1998-06-30 1998-06-30 생약재 함유 흙벽돌 KR20000003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5207A KR20000003904A (ko) 1998-06-30 1998-06-30 생약재 함유 흙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5207A KR20000003904A (ko) 1998-06-30 1998-06-30 생약재 함유 흙벽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904A true KR20000003904A (ko) 2000-01-25

Family

ID=1954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5207A KR20000003904A (ko) 1998-06-30 1998-06-30 생약재 함유 흙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390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864A (ko) * 2001-12-06 2003-06-18 이화실 피라미드형 황토 구조물
KR20040004806A (ko) * 2002-07-05 2004-01-16 김혜숙 개량 흙벽돌의 제조방법
KR100416385B1 (ko) * 2001-12-18 2004-01-31 김구해 한방 향 황토판과 그 제조방법
KR100506176B1 (ko) * 2000-05-22 2005-08-05 김병철 찜질 조성물
KR100742230B1 (ko) * 2005-11-18 2007-07-24 최병환 참숯가루와 점토분말을 이용한 점토벽돌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176B1 (ko) * 2000-05-22 2005-08-05 김병철 찜질 조성물
KR20030046864A (ko) * 2001-12-06 2003-06-18 이화실 피라미드형 황토 구조물
KR100416385B1 (ko) * 2001-12-18 2004-01-31 김구해 한방 향 황토판과 그 제조방법
KR20040004806A (ko) * 2002-07-05 2004-01-16 김혜숙 개량 흙벽돌의 제조방법
KR100742230B1 (ko) * 2005-11-18 2007-07-24 최병환 참숯가루와 점토분말을 이용한 점토벽돌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5627B1 (ko) 친환경, 신축성 및 형태 유지력이 있는 원단
CN109892350A (zh) 一种植物源的农药组合物
KR20000003905A (ko) 기능성 흙벽돌
KR200405651Y1 (ko)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KR20000003904A (ko) 생약재 함유 흙벽돌
CN104983082A (zh) 一种驱蚊抗菌兼远红外线健体型女士乳罩及其制造方法
CN104875693A (zh) 一种天然驱蚊植物与活性矿物质组合的汽车用前围隔音垫
KR20030009006A (ko) 한약재, 막걸리 및 식초를 이용한 건강 담배
KR102206192B1 (ko) 원예용 친환경 해충 퇴치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예용 친환경 해충 퇴치제
CN105148308A (zh) 一种灭菌消毒去残留的环保新材料
CN104924953A (zh) 一种具有提神健脑功能的汽车脚垫组件
KR100556997B1 (ko) 황토몰탈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977115B (zh) 一种治疗外伤及感染的外用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6490074A (zh) 一种用于绿化树木病害防治的杀菌剂及其制备方法
CN105560987A (zh) 医治冻疮的中药组合物及制法
CN104997177A (zh) 活性炭与负离子矿物质复配的透气型文胸及制造方法
CN104430617A (zh) 中药消毒剂
KR20050038773A (ko) 항균 원적외선 향 한지
CN109394990A (zh) 一种中药外用洗剂及其制备方法与用途
KR20130046833A (ko) 한방 발효 모기향의 제조방법
WO2001072316A1 (en) Ayurvedic composition for diabetes
KR20010106603A (ko) 찜질 조성물
CN108938846A (zh) 一种快速治愈糖尿病足的配方及其制备方法
CN114306555A (zh) 一种加强药效渗透的砖熨工具及其制备和使用方法
KR100966140B1 (ko) 활성화 황토 제품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