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5909A -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5909A
KR20030065909A KR1020020005974A KR20020005974A KR20030065909A KR 20030065909 A KR20030065909 A KR 20030065909A KR 1020020005974 A KR1020020005974 A KR 1020020005974A KR 20020005974 A KR20020005974 A KR 20020005974A KR 20030065909 A KR20030065909 A KR 20030065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dit card
server
card
vat refund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5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계순
Original Assignee
(주)아이삭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삭글로벌 filed Critical (주)아이삭글로벌
Priority to KR1020020005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5909A/ko
Publication of KR20030065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909A/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를 이용하여 대금을 결제하고, 통신망을 통해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를 이용한 거래 내역을 조회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구매한 물품에 부과되는 부가가치세를 환급받기 위한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부가가치세 환급카드에는 사용자의 사업자 등록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며, 공중 전화 교환망이나 인터넷에 연결되는 신용카드 조회기나 신용카드 리더수단을 장착한 컴퓨터를 구비하여 부가가치세 환급카드 정보를 획득하는 다수의 신용카드 가맹점, 다수의 신용카드 가맹점으로부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수의 신용카드 가맹점으로 승인 번호를 송신하는 다수의 신용카드 가맹점과 공중 전화 교환망이나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VAN 서버 및 사용자에게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를 발급하며, VAN 서버로부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 정보를 수신하여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를 이용한 거래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고, 승인 번호나 불승인 신호를 상기 VAN 서버로 송신하는 신용카드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대금 결제시 발부받는 매출전표에 공급받는자의 사업자 등록번호가 표기되므로 매출전표를 부가가치세 환급용 세금계산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Details of Dealings for Value Added Tax Refund}
본 발명은 새로운 개념의 신용카드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상거래를 할 경우 일반 사업자나 법인 사업자의 사업자 등록번호를 신용카드 매출전표에 인쇄하여 신용카드 매출전표의 부가가치세 항목에 표기된 금액의 일정액을 납부세액에서 공제받거나 환급세액에 가산하기 위한 신용카드를 이용한 대금 결제 및 거래 내역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집단을 이루어 생활하기 시작하면서부터 물물 교환을 시초로 하는 경제 활동의 개념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사회가 점점 발전하면서 물물 교환이 그기능을 크게 발휘하기가 힘들어지자 물물 교환을 대체할 화폐라는 새로운 개념의 거래 수단이 도입되었다. 즉, 사람들은 화폐를 사용하여 물건을 구입하거나 제공받은 서비스에 대한 대가를 지불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사람들이 화폐를 항상 소지하고 다니기가 어렵고, 큰 금액의 화폐인 경우에는 화폐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져 소지 자체가 힘든 경우도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신용카드 등의 새로운 지불 수단이 등장하였다.
신용카드(Credit Card)는 은행이나 대형 점포 등에서 발급하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된 식별 카드로, 신용카드의 소지자가 구매한 물품의 대금이나 제공받은 서비스 요금을 나중에 계산하기 위해 미리 결제를 하거나 현금 자동 지급기(CD : cash dispenser) 등에서 현금을 인출하는데 사용된다.
신용카드는 일반적으로 자기(Magnetic) 타입(Type)과 칩 기반(Chip-Based) 타입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자기 타입은 신용카드의 자기 띠(Magnetic Stripe)에 신용카드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비밀 번호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칩 기반 타입은 신용카드에 집적 회로 칩(Integrated Circuit Chip)이 내장되고, 집적 회로 칩에 신용카드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비밀 번호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신용카드 사용자가 신용카드 신용카드 가맹점에서 신용카드로 대금 결제를 하게 되면 신용카드 사용자는 신용카드 가맹점으로부터 대금 결제에 관한 신용카드 매출전표를 발부받게 된다.
도 1은 종래 신용카드를 이용한 대금 결제시 발부받는 신용카드 매출전표(10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신용카드 매출전표(100)는 카드 종류, 거래 종류, 회원 번호, 유효 기간, 거래 일시, 공급가액(100), 부가가치세(120), 승인 번호(130), 신용카드 가맹점명(140), 사업자 등록 번호(150), 신용카드 가맹점 주소, 서명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용카드 매출전표(100)의 항목들 중 공급가액(110)은 신용카드 사용자(이하 '공급받는 자'라고 칭함)가 결제한 대금을 나타내고, 부가가치세액(120)은 공급가액(110)에 붙는 세금으로 우리나라는 통상 공급가액(110)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부가가치세액(120)은 물품이 팔릴 때마다 과세되는 소비세로 생산자, 도매업자, 소매업자, 소비자의 각 유통 단계마다 증가된 가치(부가가치) 부분이 과세 대상이 된다. 신용카드를 이용한 카드 거래시 부가가치세액(120)이 붙는 상품에는 유류, 주류, 숙박업 및 각종 서비스 상품이 속할 수 있다. 승인 번호(130)는 신용카드 신용카드 가맹점이 신용카드사로 공급받는 자의 신용카드 사용에 관한 승인 조회를 요청하여 발급받는 번호로, 공급받는 자가 신용카드 사용이 가능한 경우에만 승인번호(130)가 부여되어 신용카드 거래가 이루어 진다. 신용카드 가맹점명(140)은 신용카드사에 회원으로 가입한 매장의 상호이고, 참조번호 150은 신용카드 가맹점의 사업자 등록번호를 나타낸다.
한편,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대금을 결제할 경우 부가가치세액(120)은 신용카드 사용자가 연말에 세금 정산을 할때 부가가치세액(120)의 일정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는 환급세액의 항목에 포함된다. 이러한 부가가치세액(120) 환급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부가가치세법상 일반 과세자는 일반 사업자 및 법인 사업자가 해당된다.
현재의 부가가치세법에 의하면 신용카드 매출전표(100)를 이용하여 부가가치세액(120)을 환급받기 위해서는 신용카드 매출전표(100)에 부가가치세액(120)뿐만 아니라 공급받는 자의 사업자 등록번호도 함께 기재되어야만 한다("부가가치세법제32조의2, 신용카드 등의 사용에 따른 세액 공제 등" 참조).
하지만,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대금 결제시 발부받는 신용카드 매출전표(100)는 부가가치세액(120) 항목에 부가가치세액(120)만 표기될뿐 공급받는 자의 사업자 등록번호는 표기되지 않는다. 따라서, 공급받는 자의 사업자 등록번호가 표기되지 않은 신용카드 매출전표(100)를 이용하여 부가가기세액(100)을 환급받기 위해서는 별도로 공급받는 자의 사업자 등록번호를 표기해야 한다. 즉, 공급받는 자는 항상 자신의 사업자 등록증을 소지해야 하고, 신용카드를 이용해 대금을 결제할 경우 사업자 등록증을 공급자에게 제시하면 공급자는 사업자 등록증에 표기된 사업자 등록번호를 신용카드 매출전표(100)에 별도로 기재해야만 신용카드 매출전표(100)를 세금을 환급받을 수 있는 세금계산서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최근의 판례에 의하면 신용카드 매출전표(100)에 사업자 등록증을 기재하는 방법은 반드시 공급자가 기재해야 하고, 공급자의 서명이나 날인까지 필요하지는 않다.
따라서, 공급받는 자의 사업자 등록번호가 표기되지 않는 종래 신용카드 매출전표(100)를 이용하여 부가가치세를 환급받기 위해서는 신용카드 사용자는 항상 사업자 등록증을 소지해야 하고, 신용카드 가맹점은 신용카드 사용자의 사업자 등록증을 확인한 후, 신용카드 매출전표(100)에 일일이 사업자 등록번호를 표기해 주어야 하는 큰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신용카드를 이용한 대금 결제시 부가가치세를 환급받을 수 있는 법인 사업자인 기업들이 사용하고 있는 법인 신용카드 전체에 대한 사용 내역을 정확하게 집계하여 기업들에게 제공해 주는 시스템이 보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기업들이 법인 신용카드의 거래 내역을 확인하거나 집계하기 위해서는 법인 신용카드 매출전표를 전부 수집하여 법인 신용카드 거래 내역에 대해 개별건들을 일일히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법인 신용카드의 사용 횟수가 많은 기업의 경우에는 법인 신용카드의 사용에 따른 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법인 신용카드의 사용이 확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상거래를 할 경우 일반 사업자나 법인 사업자의 사업자 등록번호를 신용카드 매출전표에 인쇄하여 신용카드 매출전표의 부가가치세 항목에 표기된 금액의 일정액을 납부세액에서 공제받거나 환급세액에 가산하기 위한 신용카드를 이용한 대금 결제 및 거래 내역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신용카드를 이용한 대금 결제시 발부받는 신용카드 매출전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를 이용한 대금의 결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를 이용한 대금의 결제시 발부받는 매출전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를 이용한 거래 내역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가가치세 환급용 테이블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를 이용한 대금 결제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업이 신용카드사로부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를 이용한 거래 내역을 전송받아 조회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신용카드 매출전표200 : 부가가치세 환급카드
210 : 신용카드 가맹점212, 222 : 신용카드 조회기 214, 224 : 컴퓨터250 : VAN 서버260, 270 : 신용카드사 262, 272 : 신용카드사 서버264, 274 : 회원데이터베이스부300 : 매출전표
410 : 사내 네트워크420 : 단말기
430 : 기업 신용카드 서버432 : 통신부
434 : 데이터 저장부436 : 제어부
438 : 소프트웨어부500: 부가가치세 환급용 테이블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구매한 물품에 부과되는 부가가치세를 환급받기 위한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부가가치세 환급카드에는 사용자의 사업자 등록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며, 공중 전화 교환망이나인터넷에 연결되는 신용카드 조회기나 신용카드 리더수단을 장착한 컴퓨터를 구비하여 부가가치세 환급카드 정보를 획득하는 다수의 신용카드 가맹점, 다수의 신용카드 가맹점으로부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수의 신용카드 가맹점으로 승인 번호를 송신하는 다수의 신용카드 가맹점과 공중 전화 교환망이나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VAN 서버 및 사용자에게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를 발급하며, VAN 서버로부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 정보를 수신하여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를 이용한 거래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고, 승인 번호나 불승인 신호를 상기 VAN 서버로 송신하는 신용카드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를 이용한 거래가 발생하는 신용카드 가맹점, 신용카드 가맹점과 연결되어 부가가치세 환급카드에 기록된 카드정보 및 승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VAN 서버, VAN 서버로부터 카드정보 및 승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신용카드 가맹점으로 승인 번호를 송신하는 신용카드사로 구성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방법에 있어서, 신용카드 가맹점에 설치된 신용카드 조회기나 신용카드 리더수단을 장착한 컴퓨터를 이용해 카드정보를 읽는 단계, 카드정보 및 승인 요청 신호를 VAN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VAN 서버는 수신한 카드정보 및 승인 요청 신호를 신용카드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신용카드사 서버는 수신한 카드정보를 이용해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신용카드사 서버는 승인 번호를 VAN 서버를 통해 신용카드 가맹점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신용카드 조회기나 컴퓨터를 이용해 매출전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한 대금의 결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는 여신전문 금융업법에서 규정하는 신용카드, 직불카드 등의 일반적인 대금 결제 기능을 위한 비밀번호 등이 저장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사업자 등록번호도 저장되어 있는 카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한 대금의 결제 시스템은 다수의 신용카드 가맹점(210, 220)과 부가가치 통신망(VAN : Value Added Network) 서버(250)가 공중 전화 교환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230)이나 인터넷(240)을 통해 연결되고, VAN 서버(250)는 신용카드사 서버(262, 272)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신용카드 가맹점(210, 220)은 공급받는 자가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하여 대금 결제 등을 하는 곳으로 신용카드 조회기(212, 222)나 컴퓨터(214, 224)를 구비한다. 신용카드 가맹점 A(210)에 설치되는 신용카드 조회기(212)나 컴퓨터(214)는 공중 전화 교환망(230)이나 인터넷(240)에 연결되기 위한 통신 장치, 예컨대, 모뎀(Modem)이나 랜카드(LAN Card)를 구비한다. 특히, 컴퓨터(214)는 신용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정보를 읽기 위한 신용카드 리더기(미도시)를 더구비한다.
한편, 신용카드 가맹점 B(220)에 설치되는 신용카드 조회기(222)는 자체적으로 모뎀을 장착하지 않고 컴퓨터(224)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신용카드 조회기(222)를 통해 읽어들인 사용자의 정보를 컴퓨터(224)로 전송하고, 컴퓨터(224)가 공중 전화 교환망(230)이나 인터넷(240)과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각 신용카드 가맹점(210, 220)에 설치된 컴퓨터(214, 224)에는 신용카드 거래 승인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어서, 공급자는 컴퓨터(214, 224)를 이용하여 신용카드의 거래 승인을 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신용카드 가맹점(210, 220)들은 신용카드 조회기(212, 222)나 컴퓨터(214, 224) 외에도 인터넷(240)에 접속 가능한 노트북, 무선 인터넷폰, 개인 정보 단말기(PDA) 등과 같은 유무선 정보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용카드를 이용한 거래가 가능하다.
VAN 서버(250)는 신용카드 가맹점(210, 220)으로부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 (200)의 사용에 관한 승인 요청을 수신하여, 수신한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에 저장되어 정보를 해당 신용카드사(260, 270)로 전송한 후, 신용카드사(260, 270)로부터 거래 승인번호를 회신한다.
일반적으로 VAN이라고 불리는 부가가치 통신망은 기존의 데이터 통신망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통신망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정보 제공자는 정보 서비스의 수수료를 바탕으로 이익을 얻는 새로운 형태의 정보 서비스를 말한다. 즉, 부가가치 통신망은 공중 전기통신 사업자로부터 회선을빌려서 컴퓨터를 이용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정보의 축적·처리·가공을 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을 말한다. 예를 들어 파일 전송, 전자 우편, 데이터베이스 검색 등과 같은 일반적인 컴퓨터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신용카드를 이용하는 신용카드 결제 서비스 등 다양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신용카드사(260, 270)는 VAN 서버(250)로부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한 후,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 사용자의 신용 정보를 검색하여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의 사용에 관한 승인 여부를 VAN 서버(250)로 통보해 준다. 신용카드사(260, 270)는 신용카드사 서버(262, 272), 회원 데이터베이스부 (264, 274), 신용카드 가맹점 데이터베이스부(266, 276) 및 통계 데이터베이스부 (268, 27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용카드사 서버(262, 272)는 VAN 서버(250)로부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 (200)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 거래가 가능한지의 여부 등을 판단하여 거래 불승인 신호나 거래 승인 번호를 VAN 서버(250)를 통해 해당 신용카드 가맹점(210, 220)으로 전송한다.
회원 데이터베이스부(264, 274)에는 각 신용카드사(260, 270)에 회원으로 등록하여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발부받은 사용자의 각종 정보, 예컨대, 성명, 주민등록번호, 사업자 등록번호, 연락 가능한 주소, 전화번호 등의 신상 정보와 사용자의 계좌에 구치된 금액, 거래 내역, 사용자의 신용 상태 등의 신용 정보 등이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다. 회원 데이터베이스부(264, 274)에 저장된 신용 정보는 사용자가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하여 거래를 할 때마다 갱신된다. 즉, 사용자가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하여 결제를 하면 각 사용자별로 거래가 발생한 신용카드 가맹점 코드(Code), 거래 품목, 거래 금액, 거래 일시 등의 거래 내역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신용카드 가맹점 데이터베이스부(266, 276)에는 각 신용카드사(260, 270)에 회원으로 가입한 신용카드 가맹점(210, 220)의 상호, 주소, 대표자 성명, 신용카드 가맹점들을 관리하기 위한 일련의 신용카드 가맹점 코드, 신용카드 가맹점의 사업자 등록번호 등의 신용카드 가맹점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통계 데이터베이스부(268, 278)는 각 신용카드사(260, 270)의 회원 데이터베이스부(264, 274)에 저장된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한 거래 내역 정보를 일별, 주별, 월별 등의 주기로 회원별로 분류하여 통계를 산출한다. 또한, 회원별로 분류된 거래 내역 정보를 각 매장별로 재분류하여 통계를 산출하고, 분류한 회원별 및 매장별 거래 내역 정보를 신용카드사 서버(262, 272)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는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는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마그네틱 타입이나 칩 기반 타입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마그네틱 타입의 자기 띠나 칩 기반 타입의 칩에 일반 사업자나 법인 사업자의 사업자 등록번호가 저장된다.
따라서, 일반 사업자나 법인 사업자가 신용카드 가맹점(210, 220)에서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을 이용하여 거래를 하면 신용카드 가맹점(210, 220)에 설치된 신용카드 조회기(212, 222)에서 출력되거나 컴퓨터(214, 224)에 연결된 프린터(미도시)에서 출력되는 매출전표에는 공급받는자의 사업자 등록번호도 함께 표기된다. 여기서, 각종 카드의 마그네틱 타입의 자기 띠나 칩 기반 타입의 칩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신용카드 매출전표를 출력하는 방법은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한 대금 결제시 발부받는 매출전표(30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출전표(300)는 도 1에서 설명한 신용카드 매출전표(100)와 거의 유사하다. 하지만, 도 3을 살펴보면 도 1의 신용카드 매출전표(100)에서는 표기되지 않았던 공급받는자의 사업자 등록번호(320) 항목이 추가로 표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반 사업자나 법인 사업자는 매출전표(300)에 표기된 부가가치세액(310)의 일정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는 증빙 서류로 도 3에 예시된 매출전표(30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한 거래 내역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한 거래 내역 제공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420)와 기업에 설치되는 기업 신용카드 서버(430)를 포함하는 사내 네트워크(410), 사내 네트워크(410)와 인터넷(440)을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신용카드사(260, 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기(420)는 기업 내부에 설치되며, 인터넷(44) 접속이 가능한 통상적인컴퓨터나 인터넷 접속 장치이다. 기업의 소속 임직원은 기업 내부에 LAN 등으로 네트워킹되어 있는 단말기(420)을 이용하여 자신이 사용한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의 거래 내역을 조회할 수 있다.
기업 신용카드 서버(430)는 인터넷(440)을 통해 다수의 신용카드사(260, 27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통신부(432), 데이터 저장부(434), 제어부(436) 및 소프트웨어부(4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432)는 기업 신용카드 서버(430)를 인터넷(440)을 통해 다수의 신용카드사(260, 270)에 접속해 주는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 신용카드사(260, 270)와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랜카드나 모뎀 등의 통신 장치를 구비한다.
데이터 저장부(434)는 신용카드사(260, 27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기업 신용카드 서버(430)가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RAM, 하드 디스크 등의 저장 장치를 구비한다.
제어부(436)는 기업 신용카드 서버(430)의 데이터 송수신 및 소프트웨어의 동작 등 기업 신용카드 서버(43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중앙처리장치(CPU) 등과 같은 연산 장치를 구비한다.
소프트웨어부(438)는 기업 신용카드 서버(430)에 설치되며, 본 발명에 따른 신용카드 정보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인터넷 접속 기능, 기업의 신용카드 거래 내역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편집 및 관리하는 기능 등을 제공한다.
소프트웨어부(438)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는 신용카드사(260, 270)로부터 온라인을 통한 다운로드(Download)나 CD-ROM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고, 온라인을 통한 업데이트(Update)나 관리가 가능하다. 물론, 향후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를 통해 기업의 사용자가 단말기(420)를 이용하여 각 신용카드사 서버(262, 272)에 접속하여 법인 신용카드에 관련된 거래 승인 요청 기능 등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소프트웨어부(438)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는 매출전표(300)를 이용하여 부가가치세를 환급받기 위한 부가가치세 환급용 테이블의 기능을 포함한다. 부가가치세 환급용 테이블에 대해서는 도 5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신용카드사(260, 270)는 인터넷(440)을 통해 기업 신용카드 서버(4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 신용카드사 서버(262, 272), 회원 데이터베이스부(264, 274), 신용카드 가맹점 데이터베이스부(266, 276) 및 통계 데이터베이스부(268, 27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용카드사 서버(262, 272)는 기업 신용카드 서버(430)로 해당 기업의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한 거래 내역 정보를 제공하고, 앞에서 설명한 소프트웨어부(438)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대한 유지보수 서비스를 온라인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한 거래 내역 정보는 카드번호, 부서명, 업종코드, 신용카드 가맹점명, 신용카드 가맹점 번호, 거래 총액, 부가가치세액, 승인일자, 승인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신용카드사(260, 270)의 회원 데이터베이스부(264, 274), 신용카드 가맹점 데이터베이스부(266, 276) 및 통계 데이터베이스부(268, 278) 대해서는 도 2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한편, 도 4는 사내 네트워크(410)와 다수의 신용카드사(260, 270)간의 데이터 송수신의 중개 역할을 하는 VAN 서버와 같은 중개 서버(미도시)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개 서버는 다수의 신용카드사(260, 270)로부터 전송되는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한 거래 내역을 각 기업의 시스템 환경에 맞는 양식으로 변환하여 해당 기업의 기업 신용카드 서버(430)에 전송하거나 각 기업의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한 거래의 승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승인 요청 신호를 해당 신용카드사 서버 (262, 272)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가가치세 환급용 테이블(500)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살펴보면, 부가가치세 환급용 테이블(500)은 공급받는자 사업자 등록번호(510), 신용카드 가맹점명(520), 신용카드 가맹점 사업자 등록번호(530), 카드번호(540), 거래 총액(550), 부가가치세액(560), 거래 일시(570) 등의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급받는자 사업자 등록번호(510)는 각 기업이 신용카드사(260, 270)에 회원으로 등록할 때 제출하는 사업자 등록증에 표기된 번호로 신용카드사 서버(262, 272)는 공급받는자 사업자 등록번호(510)로 기업 고객을 분류 및 관리한다.
신용카드 가맹점명(520)은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취급하기 위해 신용카드사(260, 270)에 회원으로 가맹한 상점들의 상호이고, 신용카드 가맹점 사업자 등록번호(530)는 각 신용카드 가맹점의 사업자 등록증에 표기된 번호로 공급받는자사업자 등록번호(510)와 마찬가지로 상점 고객을 분류 및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신용카드사 서버(262, 272)는 각 기업 고객의 신용카드 거래 내역 정보를 공급받는자 사업자 등록번호(510)에 의해 분류하여 집계한 후, 신용카드 가맹점 사업자 등록번호(530)별로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한 거래 내역을 재분류하여 집계한다.
카드번호(540)는 각 기업 소속의 임직원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기업의 명의로 발급되는 법인공용 카드번호나 각 기업 소속의 임직원 중 신용카드 사용자를 지정하여 신용카드 사용자 명의로 발급되는 법인개별 카드번호를 포함한다. 즉, 앞에서 열거한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는 법인공용 부가가치세 환급카드 및 법인개별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거래 총액(550)은 해당 기업이 신용카드 가맹점에서 부가가치세 환급카드 (200)를 이용하여 결제한 대금의 총금액이고, 부가가치세액(560)은 일반적으로 거래 총액(550)의 10% 정도의 금액에 해당하는 소비세로서 기업은 소득을 정산할 경우에 부가가치세액(560)의 일정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다. 거래 일시(570)는 각 신용카드 가맹점에서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하여 대금 결제가 발생한 년, 월, 일 및 시간 정보를 나타낸다.
도 5에 예시된 부가가치세 환급용 테이블(500)을 이용하면, 각 기업들은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하여 거래한 내역 중 부가가치세를 환급받을 수 있는 거래 내역만 따로 출력하여 확인할 수 있으므로 다량의 매출전표(300)를 수작업으로 일일히 분류 및 집계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시간 소모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있다. 물론, 도 5에 예시된 부가가치세 환급용 테이블(500)은 각 신용카드사 서버(262, 272)에서 인터넷(440)을 통해 온라인으로 해당 기업별로 제공할 수 있지만, 각 신용카드사(260, 270)에서 부가가치세 환급용 양식(500)을 용지 등에 인쇄하여 각 기업별로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한 대금 결제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서 특정 신용카드 가맹점(210)과 특정 신용 카드사(260)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신용카드사(260)에 사업자 회원으로 등록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발부받는다(S600). 여기서, 사용자는 일반 사업자나 법인 사업자를 지칭한다. 사용자가 신용카드 가맹점(210)에서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하여 대금 결제를 하는 경우 신용카드 가맹점(210)에 설치된 신용카드 조회기(212)나 신용카드 리더기가 장착된 컴퓨터(214)를 이용하여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에 저장된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의 정보를 읽어들인다(S602). 여기서,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의 정보는 종래 신용카드 매출전표에 표기되는 항목 외에 추가로 공급받는자의 사업자 등록번호도 포함된다.
신용카드 조회기(212)나 컴퓨터(214)는 수신한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의 정보 및 거래에 관련된 승인 요청 신호를 공중 전화 교환망(230)이나 인터넷(240)을 통해 VAN 서버(250)로 전송한다. VAN 서버(250)는 수신한 부가가치세환급카드(200)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신용카드사(260)를 판단하여 수신한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의 정보 및 승인 요청 신호를 신용카드사 서버(262)로 전송한다 (S606). VAN 서버(250)로부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의 정보 및 승인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신용카드사 서버(262)는 회원 데이터베이스부(264)에 저장된 회원들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승인 요청이 발생한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에 대하여 거래를 승인한다는 승인 번호를 부여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608). 신용카드사 서버(262)에서 승인 여부를 판단하여 승인이 이루어지면 신용카드사 서버(262)는 승인 번호를 VAN 서버(250)를 통해 신용카드 가맹점(210)의 신용카드 조회기(212)나 컴퓨터(214)로 전송한다(S610). 신용카드 가맹점(210)에서는 신용카드 조회기(212)나 컴퓨터(214)에 연결된 출력 장치, 예컨대, 프린터 등을 이용하여 매출전표(300)를 출력한다(S612). 여기서, 출력되는 매출전표(300)는 도 3에서 설명한 것처럼 공급받는자의 사업자 등록번호가 추가적으로 표기된다. 반면에, 단계 S608에서 신용카드사 서버(262)에서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한 거래의 승인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신용카드사 서버(262)는 거래 불승인 신호를 VAN 서버(250)를 통해 신용카드 가맹점(210)의 신용카드 조회기(212)나 컴퓨터(214)로 전송한다(S614). 신용카드사 서버(262)로부터 거래 불승인 신호를 수신한 신용카드 가맹점(210)은 사용자의 대금 결제를 중지하거나 취소한다(S616).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업이 신용카드사(260, 270)로부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한 거래 내역을 전송받아 조회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의 상세한 설명에서도 도 6과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서 특정 신용 카드사(260)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신용카드사 서버(262)는 회원으로 등록한 각 기업별로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한 거래 내역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분류하여 통계 데이테베이스부(268)에 저장하여 기업별로 거래 내역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S700). 기업 신용카드 서버(430)는 소프트웨어부(438)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통신부(432)를 통해 신용 카드사 서버(262)에 접속과 동시에 인증키(Key)를 입력한다(S702). 여기서, 기업 신용카드 서버(430)에 의한 신용카드사 서버(262)로의 접속은 기업 신용카드 서버(430)의 관리자가 수동으로 할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부(438)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특정 시간이나 특정 시간 간격을 미리 설정해 두어 자동으로 주기적으로 접속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업 신용카드 서버(430)로부터 입력되는 인증키는 특정 기업이 신용카드사(260)에 회원으로 등록하여 신용카드사(260)에서 제공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한 거래 내역에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부여받는 일련의 숫자나 문자 코드(Code)이다. 신용카드사 서버(262)는 기업 신용카드 서버(430)로부터 수신한 인증키를 이용하여 회원 인증 작업을 수행한다(S704).
신용카드사 서버(262)에서 회원 인증이 이루어지면 기업 신용카드 서버(430)는 신용카드사 서버(262)에 자사의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한 거래 내역을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한다(S706). 기업 신용카드 서버(430)로부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한 거래 내역의 전송을 요청받은 신용카드사 서버(262)는 회원데이터베이스부(264)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기업 신용카드 서버(430)로 해당 거래 내역을 전송한다(S708). 기업 신용카드 서버(430)는 신용카드사 서버(262)로부터 수신한 거래 내역을 데이터 저장부(434)에 저장한다(S710). 기업의 법인 신용카드 사용자는 단말기(420)를 이용하여 데이터 저장부(434)에 저장된 자신의 부가가치세 환급카드(200)를 이용한 거래 내역을 조회하고, 기업 신용카드 서버(430)의 관리자는 데이터 저장부(434)에 저장된 기업 전체의 거래 내역을 확인 및 관리한다(S712). 또한, 기업 신용카드 서버(430)의 관리자는 신용카드사 서버(262)로부터 수신한 거래 내역 중 부가가치세 환급용 테이블을 출력하여 세금 정산시에 환급액 집계 자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종래 일반 사업자나 법인 사업자용 신용카드 매출전표는 공급자가 별도로 법인 등의 공급받는자의 사업자 등록번호를 확인하여 수기 등의 방법으로 표기해야만 부가가치세를 환급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부가가치세 환급카드에는 공급받는자의 사업자 등록번호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대금 결제시 매출전표에 공급받는자의 사업자 등록번호가 표기되므로 종래의 신용카드 매출전표에 공급자가 별도로 공급받는자의 사업자 등록번호를 표기해야만 신용카드 매출전표를 부가가치세 환급용 세금계산서로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신용카드사는 신용카드 거래가 많은 대규모 기업체 등과 같은 사업자들을 위해 일별, 주별, 월별, 분기별 등으로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를 이용한 거래 내역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그러면, 기업체들은 통신망을 통해 신용카드사 서버로부터 정확하고 신속하게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를 이용한 거래 내역을 수신 및 확인할 수 있으며, 세금 정산시에 일일히 수작업으로 환급 세액을 집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21)

  1. 사용자가 구매한 물품에 부과되는 부가가치세를 환급받기 위한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에는 상기 사용자의 사업자 등록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며,
    공중 전화 교환망이나 인터넷에 연결되는 신용카드 조회기나 신용카드 리더수단을 장착한 컴퓨터를 구비하여 상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의 카드정보를 획득하는 다수의 신용카드 가맹점;
    상기 다수의 신용카드 가맹점으로부터 상기 카드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다수의 신용카드 가맹점으로 승인 번호를 송신하는 상기 다수의 신용카드 가맹점과 상기 공중 전화 교환망이나 상기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VAN 서버; 및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를 발급하며, 상기 VAN 서버로부터 상기 카드정보를 수신하여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를 이용한 거래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고, 승인 번호나 불승인 신호를 상기 VAN 서버로 송신하는 신용카드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카드사는
    상기 VAN 서버로부터 상기 카드정보를 수신하여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지의여부 및 거래에 대한 승인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VAN 서버로 상기 승인 번호나 상기 불승인 신호를 송신하는 신용카드사 서버;
    상기 신용카드사에 회원으로 등록한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와 신용 정보가 저장되고 갱신되는 회원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신용카드사에 회원으로 가입한 다수의 신용카드 가맹점의 상호, 주소, 대표자 성명, 사업자 등록번호, 관리 코드가 저장되고 갱신되는 신용카드 가맹점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회원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는 상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의 거래 내역을 이용하여 상기 거래 내역을 상기 가맹점별이나 상기 사용자별로 분류하거나 통계를 산출하는 통계 데이터베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는 부가가치세법상 일반 과세자인 일반 사업자나 법인 사업자에게 발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는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를 이용하여 대금 결제시 발부받는 매출전표에는 공급받는자의 사업자 등록번호가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는 자기 띠(Magnetic Stripe)를 구비한 자기 타입인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는 집적 회로 칩(Integrated Circuit Chip)을 구비한 칩 기반 타입인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시스템.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받는자의 사업자 등록번호는 상기 자기 띠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시스템.
  9.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받는자의 사업자 등록번호는 상기 집적 회로 칩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시스템.
  10. 기업의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를 이용한 거래 내역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업 내에 설치되며 상기 거래 내역을 확인하기 위한 다수의 단말기;
    상기 다수의 단말기가 접속되며 인터넷을 통해 상기 거래 내역을 상기 신용카드사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부가가치 환급카드를 이용한 거래의 승인 요청을 하는 기업 신용카드 서버; 및
    상기 기업 신용카드 서버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거래 내역을 상기 기업 신용카드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승인 요청을 수신하는 신용카드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 신용카드 서버는
    상기 기업 신용카드 서버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신용카드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신용카드사로부터 상기 거래 내역 및 상기 기업 신용카드 서버의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기업 신용카드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 신용카드 서버는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넷 접속 기능,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거래 내역을 편집 및 관리하는 기능,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 상기 승인 요청을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소프트웨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카드사는
    상기 거래 내역을 인터넷을 통해 상기 기업 신용카드 서버로 전송하는 신용카드사 서버;
    상기 신용카드사에 회원으로 등록한 상기 기업 정보, 상기 기업 소속의 임직원의 신상 정보 및 발급된 카드번호가 저장되고 갱신되는 회원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신용카드사에 회원으로 가입한 다수의 신용카드 가맹점의 상호, 주소, 대표자 성명, 사업자 등록번호, 가맹점 코드가 저장되고 갱신되는 신용카드 가맹점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회원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는 상기 임직원의 상기 거래 내역을 이용하여 상기 거래 내역을 상기 가맹점별이나 상기 임직원별로 분류하고 통계를 산출하는 통계 데이터베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은 부가가치세법상 일반 과세자인 일반 사업자나 법인 사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시스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 신용카드 서버와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중개 기능을 하는 VAN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기능은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기업 신용카드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거래 내역을 상기 기업의 시스템 환경에 맞게 변환하거나, 상기 기업 신용카드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승인 요청을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시스템.
  17.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를 이용한 거래가 발생하는 신용카드 가맹점, 상기 신용카드 가맹점과 연결되어 부가가치세 환급카드에 기록된 카드정보 및 승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VAN 서버, 상기 VAN 서버로부터 상기 카드정보 및 상기 승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용카드 가맹점으로 승인 번호를 송신하는 신용카드사로 구성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신용카드 가맹점에 설치된 신용카드 조회기나 신용카드 리더수단을 장착한 컴퓨터를 이용해 상기 카드정보를 읽는 단계;
    (b) 상기 카드정보 및 상기 승인 요청 신호를 VAN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VAN 서버는 수신한 상기 카드정보 및 상기 승인 요청 신호를 신용카드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는 수신한 상기 카드정보를 이용해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는 승인 번호를 상기 VAN 서버를 통해 상기 신용카드 가맹점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신용카드 조회기나 상기 컴퓨터를 이용해 매출전표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단계 (f)에서
    상기 매출전표에는 공급받는자의 사업자 등록번호가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방법.
  19. 기업 내에 설치되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를 이용한 거래 내역을 확인하기 위한 다수의 단말기, 상기 다수의 단말기가 접속되며 상기 거래 내역을 저장하는 기업 신용카드 서버 및 상기 기업 신용카드 서버로 상기 거래 내역을 제공하는 신용카드사로 구성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신용카드사에 구비된 신용카드사 서버가 상기 기업의 상기 거래 내역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상기 기업 신용카드 서버가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에 접속하고 인증키를 입력하는 단계;
    (c)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인증키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d) 상기 기업 신용카드 서버는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에 상기 거래 내역을 요청하는 단계;
    (e)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는 상기 기업 신용카드 서버로 상기 거래 내역을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기업 신용카드 서버는 전송된 상기 거래 내역을 수신하여 저장하는단계; 및
    (g) 상기 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기업 신용카드 서버에 저장된 상기 거래 내역을 조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 신용카드 서버가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거래 내역은 부가가치세 환급용 양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가치세 환급용 양식은 상기 기업의 사업자 등록번호, 상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를 이용한 거래가 발생한 가맹점의 상호, 상기 가맹점의 사업자 등록번호, 상기 부가가치세 환급카드의 카드번호, 거래 총액, 부가가치세액, 거래 일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방법.
KR1020020005974A 2002-02-01 2002-02-01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65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974A KR20030065909A (ko) 2002-02-01 2002-02-01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974A KR20030065909A (ko) 2002-02-01 2002-02-01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909A true KR20030065909A (ko) 2003-08-09

Family

ID=3222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974A KR20030065909A (ko) 2002-02-01 2002-02-01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590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168B1 (ko) * 2002-12-11 2005-11-28 김경호 카드단말기의 비용결제 처리방법
KR100790380B1 (ko) * 2007-05-28 2008-01-03 한국제이에스텔레콤(주)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 및 방법
KR100841278B1 (ko) * 2006-11-24 2008-06-25 장부나라(주) 부가가치세 자동관리 단말기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100845315B1 (ko) * 2006-07-28 2008-07-10 하모니테크주식회사 회계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실행 가능한 부가세환급 증빙자료 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570A (ko) * 1999-05-21 1999-11-05 김윤효 신용카드사용으로각종세금,국민연금,의료보험금의부과를하는시스템및방법.
KR20000024404A (ko) * 2000-02-11 2000-05-06 서민철 인터넷 영수증
KR20010060331A (ko) * 1999-12-21 2001-07-06 노장우 신용카드 가맹점에 대한 즉시 결제 시스템 및 그의 처리방법
KR20010099574A (ko) * 2000-04-29 2001-11-09 이경우 Ic 카드화한 사업자 등록증
KR20010109377A (ko) * 2000-05-30 2001-12-10 서동석 인터넷을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80792Y1 (ko) * 2002-04-02 2002-07-06 (주)아이삭글로벌 부가가치세 환급 기능을 갖는 신용카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570A (ko) * 1999-05-21 1999-11-05 김윤효 신용카드사용으로각종세금,국민연금,의료보험금의부과를하는시스템및방법.
KR20010060331A (ko) * 1999-12-21 2001-07-06 노장우 신용카드 가맹점에 대한 즉시 결제 시스템 및 그의 처리방법
KR20000024404A (ko) * 2000-02-11 2000-05-06 서민철 인터넷 영수증
KR20010099574A (ko) * 2000-04-29 2001-11-09 이경우 Ic 카드화한 사업자 등록증
KR20010109377A (ko) * 2000-05-30 2001-12-10 서동석 인터넷을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80792Y1 (ko) * 2002-04-02 2002-07-06 (주)아이삭글로벌 부가가치세 환급 기능을 갖는 신용카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168B1 (ko) * 2002-12-11 2005-11-28 김경호 카드단말기의 비용결제 처리방법
KR100845315B1 (ko) * 2006-07-28 2008-07-10 하모니테크주식회사 회계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실행 가능한 부가세환급 증빙자료 제공방법
KR100841278B1 (ko) * 2006-11-24 2008-06-25 장부나라(주) 부가가치세 자동관리 단말기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100790380B1 (ko) * 2007-05-28 2008-01-03 한국제이에스텔레콤(주)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375B1 (ko) 영수증 제공 방법, pos 단말기, 전자 영수증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US8070056B2 (en) Handheld device for selling transaction instruments via web-based tools
US75363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charge applied to a financial account
AU2005330645B2 (en) Automated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and approach with currency conversion
AU2008233513B2 (en) Tax repayment method for foreigner
US20160300235A1 (en) Tracking physical locations of transaction instruments
US20070164106A1 (en) System for online electronic receipt management and method therefor
JP2016105332A (ja) 商品販売管理システム
US200301151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transactions
JP2009176121A (ja) 経営管理システム
JP6495090B2 (ja) 電子決済ツール発行処理システム
JP4282882B2 (ja) 支出管理システム、支出管理方法及び記憶媒体
KR20030065909A (ko)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방법 및 시스템
JPH09128656A (ja) ポイント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280792Y1 (ko) 부가가치세 환급 기능을 갖는 신용카드
KR20030005746A (ko) 신용카드결제 시스템을 이용한 고객관리방법
KR100421191B1 (ko) 수금카드를 이용한 대금 정산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92056B1 (ko) 가상단말기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63931A (ko) 마일리지 운영 방법
KR20030070348A (ko) 신용 카드를 이용한 무역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79147A (ko) 전자적인 거래 기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인터넷가계부 및 회계 장부 서비스 방법
JP2002230282A (ja) 金融機関における手形業務で用いられ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21036463A (ja) 商品データ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商品データ処理方法
KR100416563B1 (ko) 카드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된 반자동 전표 시스템
KR20020096579A (ko) 온라인 회계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