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380B1 -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380B1
KR100790380B1 KR1020070070420A KR20070070420A KR100790380B1 KR 100790380 B1 KR100790380 B1 KR 100790380B1 KR 1020070070420 A KR1020070070420 A KR 1020070070420A KR 20070070420 A KR20070070420 A KR 20070070420A KR 100790380 B1 KR100790380 B1 KR 100790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x
payment
credit card
credit
taxp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제이에스텔레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제이에스텔레콤(주) filed Critical 한국제이에스텔레콤(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06Q40/123Tax preparation or sub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용결제를 통해 조세를 납부하는 담세자에게는 신용결제를 통한 후불결제 및 분할납부 서비스를 제공하고, 신용카드사 서버에게는 미납조세 연체대금의 변제를 예방시켜주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게는 세수확보를 향상시켜주는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납세번호 및 조세납부대금 등의 정보가 기록된 조세납부통지서를 이용하여 조세 납부 시 신용결제를 요청하는 담세자(10)가 소지한 신용카드(11)와; 납세발행기관(20)이 보유한 것으로 납세발행기관(20)의 관련정보인 납세발행기관용 가맹점정보가 기저장되어, 입력되는 조세납부대금정보 및 상기 신용카드(11)에 기록된 신용카드회원정보를 판독하여 조세납부대금정보, 신용카드회원정보 및 납세발행기관용 가맹점정보로 이루어진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며, 그 전송된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에 대응되는 조세납부 승인신호를 전송받아 요청된 조세의 신용결제를 수행하는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 판독기(21)와; 상기 신용카드 판독기(21)로부터 전송되는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를 외부로 중계전송하고, 그 중계전송된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에 대응되는 조세납부 승인신호를 상기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 판독기(21)로 중계전송하는 PG서버(30)와; 상기 PG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를 판독하여 조세납부관련 결제승인을 결정한 후, 그 결정된 값인 조세납부 승인신호를 상기 PG서버(30)로 전송하며, 승인된 조세납부대금을 상기 납세발행기관(20)으로 계좌이체를 요청하는 조세납부대금 계좌 이체 요청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신용카드사 서버(40)와;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40) 및 상기 납세발생기관(20)이 보유한 은행계좌정보가 기저장된 것으로,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40)로부터 전송되는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요청신호에 의해 상기 납세발행기관(20)이 보유하고 있는 은행계좌로 신용결제 승인된 조세납부대금을 송금하는 은행서버(50);로 이루어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 및 방법{Tax collection system that a trust settlement was use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신용결제를 통해 조세를 납부하는 담세자에게는 신용결제를 통한 후불결제 및 분할납부 서비스를 제공하고, 신용카드사 서버에게는 미납조세 연체대금의 변제를 예방시켜주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게는 세수확보를 향상시켜주는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세(租稅)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그 경비에 충당할 재력을 얻기 위하여 반대급부 없이 일반국민으로부터 강제적으로 부과 및 징수하는 금전 또는 재물을 뜻한다.
조세는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국세와 지방세로 구분되는데 이 중 국세에는 소득세, 법인세, 상속세, 종합부동산세, 부가가치세, 특별소비세 및 증여세 등이 있고, 지방세에는 재산세, 취득세, 주민세, 등록세, 면허세, 자동차세 등등 다양한 취지에 따라 세분화되어 징수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여러 다양한 조세를 납부하는 실질적인 납부자인 담세자는 또한, 개인, 개인사업자 및 법인사업자 등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유용하게 소용될 조세가 2004년을 기준으로 국세의 경우 18조 6,230억원 정도가 체납된 상태이고, 여기에 3조 2,668억원에 달하는 지방세 체납액까지 포함한다면 21조원을 상회하고 있는 실정이다.(국세청 9월 국회 제출자료와 행정자치부 세정연감 참조)
이처럼, 체납액이 많은 이유는 담세자들이 납부하는 여러 세금 중 납부금액이 큰 것들이 있기 때문이다. 즉, 담세자 중 개인인 경우 소득세가 적게는 수십만원대서부터 수백만원대이고, 상속세나 증여세의 경우 수천만원대가 넘는 경우도 허다하고, 개인사업자 및 법인사업자 또한, 부가가치세가 수천만원대에서 많게는 수억원대까지 이를 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 앞에서 언급한 소득세 등 기타 여러 조세까지 납부해야 하기 때문에 가계 및 업체에 크나큰 경제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납부금액이 큰 조세들과 더불어 여러 조세들이 특정기간에 집중될 경우 담세자들은 조세납부 의지조차 꺾여지기 때문에 조세체납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고, 이러한 천문학적 규모의 체납 조세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게는 재정의 막대한 손실과 관리비용을 야기시키고, 담세자에게는 가산금의 부담(지방세법 제27조) 또는, 재산, 예금 또는 봉급 등이 압류되는 등의 체납처분(지방세법 제28조)이 조치되기 때문에 국가나 담세자에게 모두 악영향을 끼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를 해소하고자 지방세를 징수하는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신용결제를 통해 조세징수를 함으로써 담세자는 신용결제를 통한 후불결제(결제일로부터 최대 55일)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할부를 통한 분할납부(3개월 ∼ 12개월) 서비스도 제공받는 이점이 있어 시행되었으나 담세자가 신용결제된 조세대금을 납부하지 않을 경우 그 미납된 신용결제 조세대금을 신용카드사에서 변제(辨濟)해야 하는 위험성 때문에 조세의 신용결제 서비스가 활성화를 저해하는 폐인으로 작용한다.
더욱이, 조세의 신용결제 서비스의 저해로 인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조세의 체납으로 인한 재정의 막대한 손실과 관리비용을 지출해야 하는 악순환이 여전히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용결제를 통해 조세 납부 시 담세자 측에게 신용결제를 통한 후불결제 및 분할납부 서비스를 제공 도중 신용결제된 조세대금이 연체된다 할지라도 신용카드사에서 이를 변제하는 것을 예방하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납부방법의 다양화를 통해 세수확보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신용결제를 통해 조세를 납부하는 담세자에게는 신용결제를 통한 후불결제 및 분할납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담세자가 신용결제된 조세대금을 연체할 경우 신용카드사 서버에서 발생하는 폐해 즉, 미납조세 연체대금을 변제하는 것이 사전에 예방시켜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납부방법을 통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게는 세수확보를 향상시켜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은 납세번호 및 조세납부대금 등의 정보가 기록된 조세납부통지서를 이용하여 조세 납부 시 신용결제를 요청하는 담세자(10)가 소지한 신용카드(11)와; 납세발행기관(20)이 보유한 것으로 납세발행기관(20)의 관련정보인 납세발행기관용 가맹점정보가 기저장되어, 입력되는 조세납부대금정보 및 상기 신용카드(11)에 기록된 신용카드회원정보를 판독하여 조세납부대금정보, 신용카드회원정보 및 납세발행기관용 가맹점정보로 이루어진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며, 그 전송된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에 대응되는 조세납부 승인신호를 전송받아 요청된 조세의 신용결제를 수행하는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 판독기(21)와; 상기 신용카드 판독기(21)로부터 전송되는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를 외부로 중계전송하고, 그 중계전송된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에 대응되는 조세납부 승인신호를 상기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 판독기(21)로 중계전송하는 PG(Payment Gateway)서버(30)와; 상기 PG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를 판독하여 조세납부관련 결제승인을 결정한 후, 그 결정된 값인 조세납부 승인신호를 상기 PG서버(30)로 전송하며, 승인된 조세납부대금을 상기 납세발행기관(20)으로 계좌이체를 요청하는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요청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신용카드사 서버(40)와;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40) 및 상기 납세발생기관(20)이 보유한 은행계좌정보가 기저장된 것으로,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40)로부터 전송되는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요청신호에 의해 상기 납세발행기관(20)이 보유하고 있는 은행계좌로 신용결제 승인된 조세납부대금을 송금하는 은행서버(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요청신호는 신용카드회원정보 및 납세번호정보, 조세납부대금정보로 이루어지고, 상기 납세발행기관(20)에는 조세납부용 통신단말(22)을 포함하며, 상기 은행서버(50)는 상기 신용카드회원정보에 포함된 담세자(10)의 은행계좌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결제일마다 저축된 예금 중 상기 조세납부대금 만큼 상기 담세자(10)의 은행계좌에서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40)가 보유한 은행계좌로 계좌이체하여 송금하되, 상기 담세자(10)의 은행계좌에 저축된 예금이 조세납부대금보다 적을 경우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불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40)로 전송하고,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40)는 전송된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불능신호를 참조하여, 조세미납대금과 납세번호로 이루어진 조세연체 환급요청신호로 가공한 후 이를 PG서버(30)를 경유하여 상기 납세발행기관(20)의 조세납부용 통신단말(22)로 전송하며, 상기 납세발행기관(20)의 조세납부용 통신단 말(22)은 전송된 조세연체 환급요청신호를 판독한 후 조세미납대금 만큼의 금액인 미납조세환급액 및 납세번호를 포함하는 미납조세환급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은행서버(50)로 전송하고, 해당 담세자(10)가 연체한 조세관련정보와 조세연체금액으로 이루어진 조세미납고지신호를 생성하며,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담세자(10)에게 그 생성된 조세미납고지신호를 통보하고, 상기 은행서버(50)는 전송된 미납조세환급신호를 판독한 후 해당 납세발행기관(20)의 은행계좌에서 해당 신용카드사 서버(40)의 은행계좌로 환급요청된 미납조세환급액을 송금한다.
상기 조세납부대금정보는 담세자가 조세납부대금을 일시불로 요청한 경우 일시불 조세납부대금정보이고, 분할납부로 요청한 경우 할부개월 수 및 할부개월 별 조세납부대금으로 이루어진 정보이다.
상기 납세발행기관(20)이 보유한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 판독기(21)는 담세자(10)가 소지한 신용카드(11)에 기록된 신용카드 회원정보를 판독하는 수단으로 담세자(10)가 소지한 신용카드(11)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 판독기(21)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신용카드(11)가 마그네틱카드인 경우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 판독기(21)는 마그네틱 리더기를 사용할 수 있고, 신용카드(11)가 RF카드인 경우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 판독기(21)는 RF리더기를 사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RF카드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방식이 적용된 카드로서 소형 반도체 칩을 이용해 특정정보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전송처리하는 무선식별시스템 기반하의 신용카드이다. 또는, 신용카드가 IC카드(Integrated Circuit card)인 경우 상기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 판독기(21)는 IC리더기를 사 용하는 등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담세자(10)가 조세납부를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PC)를 이용하여 신용결제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 판독기(21)는 납세발행기관이 운영하는 홈페이지도 될 수 있다.
또한,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 판독기(21)에 기저장된 납세발행기관용 가맹점 정보는 납세발행기관의 행정구역별 납세발행기관 명칭, 주소지 및 연락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납세발행기관(20)이 보유한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 판독기(21)와 조세납부용 통신단말(22)은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연동되어 제공될 수 있다. 먼저, 분리되어 제공될 경우 상기 조세납부용 통신단말(22)은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PC)를 사용할 수 있고, 연동되어 제공될 경우 상기 조세납부용 통신단말(22)은 POS(Point-of-sale)단말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POS단말이란 백화점, 슈퍼마켓, 소매점 등에 설치되어 단품 판매 관리, 재고 관리, 고객 관리, 매출 관리 등에 사용되며, 거래 데이터를 판매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즉시 수집하고 기록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POS 단말기는 단품 별로 수집된 판매 정보와 매입, 배송 등의 활동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컴퓨터로 처리하여, 각 부분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보로 가공 및 전달할 수 있게 해주는 유용한 단말기로서, 이를 조세납부하는데 이용할 경우 다양하고도 많은 조세들을 간단한 식별코드로 구분하여 제공함으로써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납부 시 보다 간소하고, 편리하게 신용결제를 수행할 수 있게 제공한다.
상기 PG서버(30)는 온라인 상에서 전자결제대행을 비롯해 승인/정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체가 운영하는 서버이다.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40)는 롯데카드, 삼성카드, 엘지카드, 현대카드, 신한카드 등으로 이루어진 전업계 카드사와 국민은행, 우리은행, 외환은행, 제주은행 등으로 이루어진 겸영은행계 카드사가 신용결제 수행을 위해 개별적으로 운영하는 서버를 통칭한다.
그리고 신용결제에 의한 조세 납부 후 담세자(10)가 연체를 하였을 경우 이를 인지한 납세발행기관(20)에서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담세자(10)에게 이를 통보하는데, 그 통신수단은 전자메일통보, 단문메시지(SMS) 통보, 팩스 통보 또는 유선 통보(자동응답서비스 포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을 이용하여 조세를 징수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을 이용하여 조세를 징수하는 방법은 조세의 납부를 신용결제를 통해서 요청하는 단계(S10)와, 상기 조세 납부 요청에 의해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판독기를 이용하여 담세자의 신용카드회원정보 및 조세납부대금정보를 포함하는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를 생성 후 PG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20)와, 상기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판독기로부터 전송된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를 신용카드사 서버로 중계전송하는 단계(S30)와, 상기 PG서버로부터 전송된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를 판독하여 조세납부관련 승인 결제승인 결정 후 생성되는 조세납부 승인신호를 상기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판 독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여 신용결제를 통한 조세납부를 수행하는 단계(S40)와, 상기 신용결제를 통한 조세납부를 수행한 후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요청신호를 생성한 후 은행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50)와, 상기 전송된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요청신호를 참조하여 해당 납세발행기관의 은행계좌로 조세납부대금을 송부하는 단계(S60)와, 상기 은행서버에서 신용카드를 통해 결제된 조세의 납부기일이 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70)와, 신용카드를 통해 결제된 조세의 납부기일인 경우 해당 담세자의 은행계좌에 저축된 예금이 조세납부대금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단계(S80)와, 해당 담세자의 은행계좌에 저축된 예금이 조세납부대금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은행서버에서 조세납부와 관련하여 계좌이체를 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불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90)와, 상기 전송된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불능신호에 해당하는 조세의 종류가 국세 또는 지방세인지 확인하는 단계(S100)와, 상기 전송된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불능신호에 해당하는 조세의 종류가 지방세인 경우 신용카드사에서 조세의 연체에 따른 별도의 체납독촉 없이 전송된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불능신호를 참조하여, 조세미납대금과 납세번호로 이루어진 조세연체 환급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G서버를 경유하여 납세발행기관의 조세납부용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S110)와, 상기 전송된 조세연체 환급요청신호를 참조하여 미납조세환급액 및 납세번호를 포함하는 미납조세환급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은행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20)와, 상기 전송된 미납조세환급신호를 참조하여 해당 납세발생기관의 은행계좌에서 해당 신용카드사 서버의 은행계좌로 미납조세금액을 송금하는 단계(S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신용카드를 통해 결제된 조세의 납부기일인 경우 해당 담세자의 은행계좌에 저축된 예금이 조세납부대금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S80단계에 있어서, 해당 담세자의 은행계좌에 저축된 예금이 조세납부대금보다 큰 경우 결제할 조세납부대금 정도의 금액을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가 보유한 은행계좌로 계좌이체를 수행하는 단계(S81)와, 상기 계좌이체된 조세납부대금이 분할납부가 요청된 조세납부대금인지 확인하다는 단계(S82)와, 상기 계좌이체된 조세납부대금이 분할납부가 요청된 조세납부대금인 경우 분할납부 개월 수가 남았는지 확인하는 단계(S83)를 포함하여, 분할납부가 요청된 조세납부대금의 분할납부 개월 수가 남아있는 경우 상기 신용카드를 통해 결제된 조세의 납부기일이 되었는지 확인하는 S70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송된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불능신호에 해당하는 조세의 종류가 국세 또는 지방세인지 확인하는 S100단계에 있어서,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불능신호에 해당하는 조세의 종류가 국세인 경우 신용카드사에서 신용결제된 국세가 연체되었고, 그 연체된 신용결제된 국세의 납부를 독촉하는 신용카드사용 국세체납 독촉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01)와, 상기 생성된 신용카드사용 국세체납 독촉정보를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담세자에게 통보하는 단계(S102)와, 상기 통보된 신용카드사용 국세체납 독촉정보에 의해 담세자가 체납된 신용결제된 국세를 납부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S103)와, 담세자가 체납된 신용결제된 국세를 설정된 연체납부기간동안 납부하지 않은 경우 정해진 회수까지 신용카드사용 국세체납 독촉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담세자에게 통보하는 단계(S104)와, 상 기 정해진 회수까지 주기적으로 통보되는 신용카드사용 국세체납 독촉정보에 의해 담세자가 체납된 신용결제된 국세를 납부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S105)를 포함하여, 정해진 회수까지 주기적으로 통보된 신용카드사용 국세체납 독촉정보에 의해 서도 담세자가 체납된 신용결제된 국세를 납부하지 않은 경우 조세의 종류가 국세인 조세미납대금과 납세번호로 이루어진 조세연체 환급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G서버를 경유하여 납세발행기관의 조세납부용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S110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120단계 중, 상기 은행서버로 미납조세환급신호 전송 후 상기 조세납부용 통신단말은 연체한 조세관련정보와 조세연체금액으로 이루어진 조세미납고지신호를 생성하여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담세자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여 담세자(10)가 조세를 납부하고자 할 경우 먼저 납세발행기관(20)에 방문하여 신용결제를 통해 조세납부를 한다고 요청(S10)하면, 납세발행기관(20)은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판독기(21)에 해당 담세자(10)의 신용카드(11)를 판독하여 신용카드회원정보를 입력시킨 후 조세납부통지서에 기재된 조세납부대금도 키조작을 통해 입력한다. 이때, 담세자(10)가 조세납부대금의 분할납부를 요청한 경우 분할납부 개월수도 키조작을 통해 함께 입력한다.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판독기(21)는 입력된 해당 담세자(10)의 조세납부대금정보 및 신용카드회원정보와 더불어 기저장된 납세발행기관용 가맹점정보를 취합 하여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를 PG서버(30)로 전송(S20)한다. 여기서, 조세납부대금정보는 담세자가 일시불로 납부요청한 경우 일시불 조세납부대금정보로 생성되고, 분할납부로 요청한 경우 할부개월 수 및 할부개월 별 조세납부대금으로 이루어진 정보로 구분되어 생성된다.
PG서버(30)는 전송된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동시에 신용카드사 서버(40)로 중계전송(S30)한다.
신용카드사 서버(40)는 중계전송된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를 판독하여 조세납부관련 결제승인을 결정한 후, 그 결정된 값인 조세납부 승인신호를 PG서버(30)로 전송하면, PG서버(30)는 전송된 조세납부 승인신호를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 판독기(21)로 중계전송하면,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 판독기(21)는 중계전송된 조세납부 승인신호를 참조하여 프린터(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조세납부용 매출전표를 출력함으로서 신용결제를 통한 조세납부의 수행(S40)을 완료한다.
여기서, 담세자(10)가 조세납부를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PC)를 이용하여 신용결제를 수행한 경우 조세납부용 매출전표는 인터넷 상에서 전자영수증 형태로 개인용 컴퓨터(PC) 화면에 표시되고, 개인용 컴퓨터(PC)의 주변장치인 프린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신용카드사 서버(40)는 신용카드회원정보 및 납세번호정보, 조세납부대금정보로 이루어진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요청신호를 은행서버(50)로 전송(S50)한다.
은행서버(50)는 전송된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요청신호에 의해 해당 납세발 행기관(20)의 은행계좌로 신용결제 승인된 조세납부대금을 송금(S60)한다.
이로 인해, 담세자(10)는 조세의 납부마감일 이후 최대 55일간 조세 납부를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세납부금액이 큰 경우 분할납부를 통해 경제적 부담을 감하면서 납부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납부마감일 이후 결제 및 분할납부를 통해서도 조세납부금액을 납부하지 못할 경우 연체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은행서버(50)는 신용카드회원정보에 포함된 담세자(10)의 은행계좌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결제일(S70)마다 저축된 예금을 검색함으로써 해당 담세자(10)의 은행계좌에 저축된 예금이 조세납부대금보다 작은지 확인(S80)한다.
확인된 해당 담세자(10)의 은행계좌에 저축된 예금이 조세납부대금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담세자의 은행계좌에서 결제할 조세납부대금 정도의 금액을 신용카드사 서버(40)가 보유한 은행계좌로 계좌이체를 수행(S81)하여 송금한다.
그리고 계좌이체된 조세납부대금이 분할납부가 요청된 조세납부대금인지를 확인(S82)하여 분할납부가 아닌 일시불로 납부요청한 대금인 경우 조세의 신용결제 서비스를 종료하고, 그 계좌이체된 조세납부대금이 분할납부가 요청된 조세납부대금인 경우에는 분할납부 개월 수가 남았는지 확인(S83)한다.
분할납부가 요청된 조세납부대금의 분할납부 개월 수가 남아있는 경우에는 나머지 할부개월 수만큼 조세납부대금을 계좌이체하기 위해 신용카드(11)를 통해 결제된 조세의 납부기일이 되었는지 재차 확인하고, 조세납부대금의 분할납부 개월 수가 남아있지 않은 경우에는 조세의 신용결제 서비스를 종료한다.
그러나 조세납부대금보다 해당 담세자(10)의 은행계좌에 저축된 예금이 작은 경우 은행서버(50)는 조세납부와 관련하여 계좌이체를 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불능신호를 생성하여 신용카드사 서버(40)로 전송(S90)한다.
신용카드사 서버(40)는 전송된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불능신호에 해당하는 조세의 종류가 국세 또는 지방세인지 확인(S100)한다.
먼저, 전송된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불능신호에 해당하는 조세의 종류가 지방세인 경우 신용카드사에서 조세의 연체에 따른 별도의 체납독촉 없이 전송된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불능신호를 참조하여, 조세미납대금과 납세번호로 이루어진 조세연체 환급요청신호로 가공한 후 이를 PG서버(30)로 전송한다.
PG서버(30)는 전송된 조세연체 환급요청신호를 납세발행기관(20)의 조세납부용 통신단말(22)로 전송(S110)하면, 조세납부용 통신단말(22)은 전송된 조세연체 환급요청신호를 판독한 후 조세미납대금 만큼의 금액인 미납조세환급액 및 납세번호를 포함하는 미납조세환급신호를 생성하여 은행서버(50)로 전송(S120)한다.
이후 조세납부용 통신단말(22)은 연체한 조세관련정보와 조세연체금액으로 이루어진 조세미납고지신호를 생성하여 담세자(10)에게 통보함으로써 체납된 조세금액에 대해 일정기간 후까지 연체납부 유예기간을 제공한다.
또한, 은행서버(50)는 전송된 미납조세환급신호를 판독한 후 해당 납세발행기관(20)의 은행계좌에서 해당 신용카드사 서버(40)의 은행계좌로 환급요청된 미납조세환급액을 송금(130)함으로써 해당 신용카드사 서버(40)는 조세대금의 연체로 인한 야기되는 어떠한 피해도 받지 않는다.
그리고 전송된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불능신호에 해당하는 조세의 종류가 지방세인 경우 신용카드사에서 조세의 연체에 따른 별도의 체납독촉을 하게 되는데 이는, 국세의 경우 국가의 재정을 충당하기 위한 귀중한 재원이기 때문에 신용카드사 차원에서 연체에 따른 독촉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국가의 재원이 체납으로 인해 환급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불능신호에 해당하는 조세의 종류가 국세인 경우 신용카드사에서 신용결제된 국세가 연체되었고, 그 연체된 신용결제된 국세의 납부를 독촉하는 신용카드사용 국세체납 독촉정보를 생성(S101)한다.
신용카드사 서버(40)는 생성된 신용카드사용 국세체납 독촉정보를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담세자(10)에게 통보(S102)한다.
이후, 통보된 신용카드사용 국세체납 독촉정보에 의해 담세자(10)가 체납된 신용결제된 국세를 납부하였는지 확인(S103)하여, 담세자(10)가 체납된 신용결제된 국세를 납부한 경우 그 납부된 국세인 조세가 분할납부가 요청된 조세납부대금인지를 확인(S82)하여 담세자(10)가 올바르게 신용결제된 조세를 납부할 수 있게 제공한다.
그리고 체납된 신용결제된 국세를 설정된 연체납부기간동안 납부하지 않은 경우 정해진 회수까지 신용카드사용 국세체납 독촉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담세자에게 통보(S104)하는데 여기서, 담세자(10)에게 주기적으로 통보되는 신용카드사용 국세체납 독촉정보의 회수는 신용카드사의 정해진 이용약관에 따른다.
이후, 정해진 회수까지 주기적으로 통보되는 신용카드사용 국세체납 독촉정보에 의해 담세자가 체납된 신용결제된 국세를 납부하였는지 확인(S105)하여 정해진 회수까지 주기적으로 통보된 신용카드사용 국세체납 독촉정보에 의해 서도 담세자가 체납된 신용결제된 국세를 납부하지 않은 경우 조세의 종류가 국세인 조세미납대금과 납세번호로 이루어진 조세연체 환급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G서버를 경유하여 납세발행기관의 조세납부용 통신단말로 전송(S110)하는 과정으로 순환함으로써 담세자(10)의 신용결제된 국세의 연체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신용카드사의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을 이용하여 조세를 징수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담세자 11 : 신용카드
20 : 납세발행기관 21 :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 판독기
30 : PG서버 40 : 신용카드사 서버
50 : 은행서버

Claims (7)

  1. 삭제
  2. 납세번호 및 조세납부대금 등의 정보가 기록된 조세납부통지서를 이용하여 조세 납부 시 신용결제를 요청하는 담세자(10)가 소지한 신용카드(11)와; 납세발행기관(20)이 보유한 것으로 납세발행기관(20)의 관련정보인 납세발행기관용 가맹점정보가 기저장되어, 입력되는 조세납부대금정보 및 상기 신용카드(11)에 기록된 신용카드회원정보를 판독하여 조세납부대금정보, 신용카드회원정보 및 납세발행기관용 가맹점정보로 이루어진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며, 그 전송된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에 대응되는 조세납부 승인신호를 전송받아 요청된 조세의 신용결제를 수행하는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 판독기(21)와; 상기 신용카드 판독기(21)로부터 전송되는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를 외부로 중계전송하고, 그 중계전송된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에 대응되는 조세납부 승인신호를 상기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 판독기(21)로 중계전송하는 PG서버(30)와; 상기 PG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를 판독하여 조세납부관련 결제승인을 결정한 후, 그 결정된 값인 조세납부 승인신호를 상기 PG서버(30)로 전송하며, 승인된 조세납부대금을 상기 납세발행기관(20)으로 계좌이체를 요청하는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요청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신용카드사 서버(40)와;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40) 및 상기 납세발생기관(20)이 보유한 은행계좌정보가 기저장된 것으로,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40)로부터 전송되는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요청신호에 의해 상기 납세발행기관(20)이 보유하고 있는 은행계좌로 신용결제 승인된 조세납부대금을 송금하는 은행서버(50);로 이루어진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요청신호는 신용카드회원정보 및 납세번호정보, 조세납부대금정보로 이루어지고,
    상기 납세발행기관(20)에는 조세납부용 통신단말(22)을 포함하며,
    상기 은행서버(50)는 상기 신용카드회원정보에 포함된 담세자(10)의 은행계좌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결제일마다 저축된 예금 중 상기 조세납부대금 만큼 상기 담세자(10)의 은행계좌에서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40)가 보유한 은행계좌로 계좌이체하여 송금하되, 상기 담세자(10)의 은행계좌에 저축된 예금이 조세납부대금보다 적을 경우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불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40)로 전송하고,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40)는 전송된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불능신호를 참조하여, 조세미납대금과 납세번호로 이루어진 조세연체 환급요청신호로 가공한 후 이를 PG서버(30)를 경유하여 상기 납세발행기관(20)의 조세납부용 통신단말(22)로 전송하며,
    상기 납세발행기관(20)의 조세납부용 통신단말(22)은 전송된 조세연체 환급요청신호를 판독한 후 조세미납대금 만큼의 금액인 미납조세환급액 및 납세번호를 포함하는 미납조세환급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은행서버(50)로 전송하고, 해당 담세자(10)가 연체한 조세관련정보와 조세연체금액으로 이루어진 조세미납고지신호를 생성하며,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담세자(10)에게 그 생성된 조세미납고지신호를 통보하고,
    상기 은행서버(50)는 전송된 미납조세환급신호를 판독한 후 해당 납세발행기관(20)의 은행계좌에서 해당 신용카드사 서버(40)의 은행계좌로 환급요청된 미납조세환급액을 송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
  3. 삭제
  4. 조세의 납부를 신용결제를 통해서 요청하는 단계(S10)와,
    상기 조세 납부 요청에 의해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판독기를 이용하여 담 세자의 신용카드회원정보 및 조세납부대금정보를 포함하는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를 생성 후 PG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20)와,
    상기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판독기로부터 전송된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를 신용카드사 서버로 중계전송하는 단계(S30)와,
    상기 PG서버로부터 전송된 조세납부 승인요청신호를 판독하여 조세납부관련 승인 결제승인 결정 후 생성되는 조세납부 승인신호를 상기 납세발행기관용 신용카드판독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여 신용결제를 통한 조세납부를 수행하는 단계(S40)와,
    상기 신용결제를 통한 조세납부를 수행한 후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요청신호를 생성한 후 은행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50)와,
    상기 전송된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요청신호를 참조하여 해당 납세발행기관의 은행계좌로 조세납부대금을 송부하는 단계(S60)와,
    상기 은행서버에서 신용카드를 통해 결제된 조세의 납부기일이 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70)와,
    신용카드를 통해 결제된 조세의 납부기일인 경우 해당 담세자의 은행계좌에 저축된 예금이 조세납부대금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단계(S80)와,
    해당 담세자의 은행계좌에 저축된 예금이 조세납부대금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은행서버에서 조세납부와 관련하여 계좌이체를 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불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90)와,
    상기 전송된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불능신호에 해당하는 조세의 종류가 국세 또는 지방세인지 확인하는 단계(S100)와,
    상기 전송된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불능신호에 해당하는 조세의 종류가 지방세인 경우 신용카드사에서 조세의 연체에 따른 별도의 체납독촉 없이 전송된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불능신호를 참조하여, 조세미납대금과 납세번호로 이루어진 조세연체 환급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G서버를 경유하여 납세발행기관의 조세납부용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S110)와,
    상기 전송된 조세연체 환급요청신호를 참조하여 미납조세환급액 및 납세번호를 포함하는 미납조세환급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은행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20)와,
    상기 전송된 미납조세환급신호를 참조하여 해당 납세발생기관의 은행계좌에서 해당 신용카드사 서버의 은행계좌로 미납조세금액을 송금하는 단계(S1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카드를 통해 결제된 조세의 납부기일인 경우 해당 담세자의 은행계좌에 저축된 예금이 조세납부대금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S80단계에 있어서,
    해당 담세자의 은행계좌에 저축된 예금이 조세납부대금보다 큰 경우 결제할 조세납부대금 정도의 금액을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가 보유한 은행계좌로 계좌이체 를 수행하는 단계(S81)와,
    상기 계좌이체된 조세납부대금이 분할납부가 요청된 조세납부대금인지 확인하다는 단계(S82)와,
    상기 계좌이체된 조세납부대금이 분할납부가 요청된 조세납부대금인 경우 분할납부 개월 수가 남았는지 확인하는 단계(S83)를 포함하여, 분할납부가 요청된 조세납부대금의 분할납부 개월 수가 남아있는 경우 상기 신용카드를 통해 결제된 조세의 납부기일이 되었는지 확인하는 S70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불능신호에 해당하는 조세의 종류가 국세 또는 지방세인지 확인하는 S100단계에 있어서,
    조세납부대금 계좌이체 불능신호에 해당하는 조세의 종류가 국세인 경우 신용카드사에서 신용결제된 국세가 연체되었고, 그 연체된 신용결제된 국세의 납부를 독촉하는 신용카드사용 국세체납 독촉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01)와,
    상기 생성된 신용카드사용 국세체납 독촉정보를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담세자에게 통보하는 단계(S102)와,
    상기 통보된 신용카드사용 국세체납 독촉정보에 의해 담세자가 체납된 신용결제된 국세를 납부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S103)와,
    담세자가 체납된 신용결제된 국세를 설정된 연체납부기간동안 납부하지 않은 경우 정해진 회수까지 신용카드사용 국세체납 독촉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담세자에게 통보하는 단계(S104)와,
    상기 정해진 회수까지 주기적으로 통보되는 신용카드사용 국세체납 독촉정보에 의해 담세자가 체납된 신용결제된 국세를 납부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S105)를 포함하여, 정해진 회수까지 주기적으로 통보된 신용카드사용 국세체납 독촉정보에 의해 서도 담세자가 체납된 신용결제된 국세를 납부하지 않은 경우 조세의 종류가 국세인 조세미납대금과 납세번호로 이루어진 조세연체 환급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G서버를 경유하여 납세발행기관의 조세납부용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S110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S120단계 중, 상기 은행서버로 미납조세환급신호 전송 후 상기 조세납부용 통신단말은 연체한 조세관련정보와 조세연체금액으로 이루어진 조세미납고지신호를 생성하여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담세자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방법.
KR1020070070420A 2007-05-28 2007-07-13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 및 방법 KR100790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292 2007-05-28
KR20070051292 2007-05-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380B1 true KR100790380B1 (ko) 2008-01-03

Family

ID=39216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420A KR100790380B1 (ko) 2007-05-28 2007-07-13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03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909A (ko) * 2002-02-01 2003-08-09 (주)아이삭글로벌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13485A (ko) * 2002-08-07 2004-02-14 조승호 자동화기기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 및 방법, 그 방법에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KR20040035267A (ko) * 2002-10-19 2004-04-29 엘지카드 주식회사 세금 납부를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909A (ko) * 2002-02-01 2003-08-09 (주)아이삭글로벌 부가가치세 환급을 위한 거래 내역의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13485A (ko) * 2002-08-07 2004-02-14 조승호 자동화기기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 및 방법, 그 방법에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KR20040035267A (ko) * 2002-10-19 2004-04-29 엘지카드 주식회사 세금 납부를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0122B1 (en) Host-managed gift card program
AU2007319459B2 (en) Payment processing system debt conversion notification
AU2006203968B2 (en) Auto substantiation for over-the-counter transactions
US200803130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yment Service Using Bar Code
US20060085335A1 (en) Point of sale systems and methods for consumer bill payment
KR101791470B1 (ko) 매출채권의 거래 방법
CA2682123A1 (en) Tax repayment method for foreigner
JP2010509699A5 (ko)
JP2007510190A (ja) 販売時点情報管理購買システム
US200901718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cure Processing of Electronic Transactions
CN105431873A (zh) 用于将促销应用至支付交易的方法和系统
KR20100134897A (ko) 가맹점 대금 정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1595507A (zh) 支付处理系统债务转变通知
KR100790380B1 (ko)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 및 방법
JP2021185445A (ja) 店舗管理システム及び店舗管理方法
JP2004213167A (ja) 還付金決済システム
KR101185489B1 (ko)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2602103A (zh) 用于处理资金支出交易的方法、系统和计算机程序产品
JP2005276061A (ja) 個人立替経費精算プログラム、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40038654A (ko) 가맹점에 대한 결제 정보 제공 시스템
KR100573300B1 (ko) 포인트를 담보로 한 대출 금융 및 상품구매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98504A (ko)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
KR101162928B1 (ko) 매개시스템을 이용한 거래 및 카드결제 시스템 및 방법
JP2022073528A (ja) 自己信託を利用した無担保ファンディング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キャッシュレジスタ
US20070198408A1 (en) Methods to facilitate cash pay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