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504A -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504A
KR20230098504A KR1020230072192A KR20230072192A KR20230098504A KR 20230098504 A KR20230098504 A KR 20230098504A KR 1020230072192 A KR1020230072192 A KR 1020230072192A KR 20230072192 A KR20230072192 A KR 20230072192A KR 20230098504 A KR20230098504 A KR 20230098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affiliated
representative
service
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익
최성규
Original Assignee
코드블럭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드블럭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드블럭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72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8504A/ko
Publication of KR20230098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06Q20/325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using mobile network messaging services for payment, e.g. 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5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 G06Q20/045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the tickets being sent electroni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7Cancellation of a transa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신의 상점 내지 온라인 쇼핑몰에서 한정된 상품 아이템과 현금결제 수단만을 보유하고, 신용카드 단말기 등 다양한 결제 수단을 구비하지 못한 소상공인들을 위하여 패드 등 이동기기와 PC를 주요 단말기로 하여 신용 및 직불 카드 결제는 물론 ARS, 스마트폰, 계좌이체 및 상품권 등 다양한 결제수단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는 크로스결제 플랫폼과 매출 관리기능을, 구매자에게는 구입상품 선택 및 서비스에 대한 불만 혹은 반품 발생 시 소정기간 결제대금의 예치(에스크로)기능을 부여하여 소상공인들을 부속가맹점으로 하여 그 거래 촉진과 안정화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으며, 문자(SMS)결제 기반으로 상품 선택, 정정 및 승인 단계를 각 거침으로써 부정 거래 및 신용카드 도용의 방지는 물론 구매자 본인의 구매의사를 보다 더 확고하게 할 수 있고, 구매자의 구매자료 분석을 기초로 하여 판매자의 향후 사업운영방안 분석자료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of providing platform service for representative merchants based on text message(sms)payment}
본 발명은 자신의 상점 내지 온라인 쇼핑몰에서 한정된 상품 아이템과 현금결제 수단만을 보유하고, 신용카드 단말기 등 다양한 결제수단을 구비하지 못한 소상공인(판매자)들을 위하여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안전하고 안정적인 사업운영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2021년 통계청의 소상공인 실태조사 결과(잠정)에 의하면, 국내 소상공인의 점포는 4,117천 개이고 그 종사자수는 7,205천 명인데 이는 전년도 대비 점포는 10천 개, 종사자수는 77천 명 줄어든 것이다. 그리고 사업체당 창업비용은 88백만 원이고 그중 본인 부담금은 66백만 원인데 이는 전년도보다 각 4백만 원, 1백만 원 증가한 것인데, 상기 소상공인들의 사업실적은 사업체당 225백만 원, 영업이익은 28백만 원으로 전년도 대비 각 6백만 원, 8백만 원 늘어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국내 소상공인 통계치는 팬데믹에 의한 심각한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710여만 명의 베이붐머들의 조기 퇴직으로 인한 1인 기업 등 소상공인의 급증가 추세에 의하여 상쇄된 것으로서 향후 팬데믹 상황 해제가 완전하게 되면 감소 추세는 쉽게 반전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리고 한국은행의 발표에 의하면, 2021년 중 국내 지급카드 이용규모(일평균 2.8조 원, 이는 2023.1/4분기에 일평균 3.1조 원을 돌파하였다.)는 전년 대비 9.4% 증가, 오히려 민간소비 회복 등으로 신용카드(전년대비 +10.2%)와 체크카드(+7.6%) 이용규모가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결제형태별로는 모바일기기 등을 통한 결제가 늘어나면서 비대면결제가 확대되었는데 이는 업종별로는 전자상거래, 여행 등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업종에서 증가하였고, 지역별로도 모든 지역에서 골고루 증가한 것이다.
또한 소액결제망을 통한 계좌이체(+19.7%)는 비대면 금융거래 선호 지속 등으로 증가하였으며 어음·수표(+3.6%) 결제금액도 전자어음 발행 확대에 따라 증가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인인증 방식별로 살펴보면, 모바일기기 등을 통한 결제(일평균 1.1조 원)에서 카드기반 간편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중은 편의성 선호 등으로 확대 추세를 보이고 있어 2021년 4분기 중에는 그 비중이 46.3%를 차지하였고 한다. 여기서 카드기반 간편결제 서비스란, 카드 정보를 모바일기기 등에 미리 저장해 두고, 거래시 간편인증수단(비밀번호 입력, 지문인식 등)을 이용해 결제하는 서비스(간편결제 이외의 방식에는 카드번호, 카드 유효기간, CVC 번호 등으로 본인을 인증하여 결제하는 방식이 있음)로서 이는 2021년 1분기 41.6%, 2분기 41.2%, 3분기 43.9%, 4분기 46.3%로 꾸준하게 증가하였다. 즉, 상기 카드기반 간편 결제 서비스 중 핀테크 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한 비중은 2021년 4분기 64.6%를 차지하는 등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로써 카드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증가에 따른 부정 거래 및 카드 도용의 위험도 급증하고 있다.
그런데 과당경쟁, 묻지마 창업, 960조 원(2022년 3월 기준)에 이르는 소상공인 빚폭탄, 그룹사 혹은 대형 업체의 사업영역 침해 등 어느 것 하나 국내 소상공인들에게 충격을 주지 않는 것이란 거의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흐름 속에서 국내 소상공인의 대책은 일방적으로 정부나 일부 민간단체에서 독단적으로 수립하여 집행하기보다는 소상공인들 스스로 소상공인의 자생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 수 있는 인프라구조를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 조성하여야 할 당위성이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상기 새로운 소상공인 패러다임이란 정부나 특정 기관이나 단체가 독단적으로 만들어 강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또한 중대기업들의 골목상권 진입을 무조건 억제해 오히려 저성장을 초래할 것도 아니어서 소상공인들의 자주성 및 자립성을 촉진하여 자연스럽게 자생적인 생태계를 조성하며 이를 바탕으로 중대기업과도 공생 발전할 수 있는 사회적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할 것인 바 이를 완수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소상공인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통합적인 인적·물적 인프라 구비와 그를 지원하느 플랫폼서비스 제공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하여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신의 상점 내지 온라인 쇼핑몰에서 한정된 상품아이템과 현금결제수단만을 보유하고, 신용카드 단말기 등 다양한 결제수단을 구비하지 못한 소상공인들을 위하여 우선 문자(SMS,Short Message Service)결제를 기반으로 안전하고 안정적인 사업운영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결제수단을 선택적으로 모두 시행할 수 있는 크로스결제 플랫폼과 매출 및 아이템 관리기능을, 구매자에게는 구입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불만 혹은 반품 발생시 소정기간 결제대금의 예치(에스크로)기능을 부여하여 소상공인들의 거래 촉진, 거래 안전성 및 안정화를 제고하는 등 자립적인 소상공인 상태계 조성에 일조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기능적 구조로는 판매자인 소상공인에게 신용카드 단말기를 설치하는 비용과 유지관리 비용부담 없이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구매자의 패드 등 이동기기로 신용 및 직불 카드 결제는 물론 전화결제(ARS), 스마트폰결제, 계좌이체 및 상품권결제 등 다양한 결제수단을 용이하게 제공하는 과제를 본 발명에 의한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크로스결제 플랫폼서비스의 도입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크로스결제 플랫폼에 의한 결제 과정은 판매자(소상공인)나 구매자(소비자)가 용이하게 접근하되 각 개인의 정보보호가 철저히 이루어지기 위하여 인터넷 솔루션 Web3.0과 HTML5의 적용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매자인 소비자의 입장에서 보면 주문 및 결제 이후에 구입한 그 상품이나 서비스에 불만이나 반품 의사가 있는 경우에는 소정기간 내 대금의 지급보류나 지급 정지를 요구할 수 있는 에스크로(결제대금 예치)제도를 도입시 행하여 거래의 신뢰성이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제의 달성만으로도 판매자인 소상공인의 거래 안전성 및 매출의 증대를 크게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판매자인 소상공인의 사업운영실적 평가 및 향후 사업계획 수립을 독립적으로 시행하기 위하여 자체 판매내역 및 추가 아이템 선정 등 관리를 투명하고 정확하게 할 필요가 있으며, 안전하고 안정적인 지속거래를 바탕으로 향후 거래상품 아이템을 추가 개발함으로써 좀 더 발전적으로 사업 관리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아울러 상기 소상공인의 거래, 결제 및 그 결제 대행을 하는 신용카드사 및 결제대행업체(PG) 입장에서는, 부정 거래 및 신용카드 도용 결제를 사전 예방 및 적발, 이해당사자 통지 기능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신용카드 결제금액 연체 및 부실율을 획기적으로 저감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하는 각 과제 들을 해결하는 수단을 좀 더 구체적으로 도모하기 위하여 모든 각 절차와 해법들을 정의하고 정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자신의 상점 내지 온라인 쇼핑몰에서 한정된 상품 아이템과 현금결제 수단만을 보유하고 신용카드 단말기 등 다양한 다른 결제수단을 구비하지 못하고 비용 문제 등으로 달리 별도로 하기도 어려운 소상공인(판매자)들을 위하여 패드 등 이동기기와 PC를 주요 단말기로 하여 신용 및 직불 카드 결제는 물론 ARS, 스마트폰, 계좌이체 및 상품권 등 다양한 결제수단을 선택적으로 모두 시행할 수 있는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크로스결제 플랫폼과 매출 및 세금 관리기능 제공을, 구매자(소비자)에게는 구입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불만 혹은 반품 발생 시 소정기간 결제대금의 예치(에스크로)기능을 부여하여 소상공인들의 거래 촉진과 안정화를 제고하기 위해서 안출된 대표가맹점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표가맹점 : 여기서 대표가맹점이란 PG(Payment Gateway) 등 신용카드사와 단독가맹점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곤란한 중소쇼핑몰 혹은 소상공인을 대신해 카드사와 대표가맹점 계약을 맺고 신용카드 결제 및 지불을 대행한 후에 하부 쇼핑몰 및 소상공인에게 수수료를 받는 업체를 말한다. 상기 단독가맹점이란 전자상거래상의 인터넷 신용카드 결제를 위해 상점에서 직접 카드사들과 키인(Key-in) 특약, 수기전표(무전표)특약과 EDI가맹점 특약을 맺고 전자결제대행(PG)서비스를 이용하는 가맹점을 의미한다. 이때 PG사에서는 전자결제대행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과 VAN을 통한 결제데이터만을 카드사로 전송해주는 역할만을 하게 된다. 여기서 카드이용자의 카드청구서상 가맹점명도 각 가맹명으로 표기되지만 단독가맹점의 경우에는 수기전표(무전표)특약 체결시 각 카드사와 보증관계를 설정하게 되며, 그 보증관계에 따라서 월승인한도 역시 별도로 책정하게 되어 상당한 제약과 한계점이 있게 된다. 이에 대표가맹점이란 상점에서 카드사와 단독가맹점 계약을 직접 맺을 수 없거나 단독가맹점의 관리의 불편함이나 제한으로 인해 기존의 각 카드사들과 인터넷 신용카드 결제를 위한 단독가맹점 계약을 체결한 PG 등 대형가맹점을 이용하여 전자상거래를 하는 방법으로서 카드승인, 카드사 매입, 결제데이터의 중계 및 정산 등 모든 업무를 대표가맹점 자체 혹은 VAN과 전자결제대행(PG) 시스템을 통해서 수행하며, 카드이용자의 카드청구서상 가맹점명은 대표가맹점 이름으로 표기된다. 즉, 단독가맹점과 대표가맹점 차이는 요약하면 가맹점 주체에 따른 책임소재, 입금 주체 및 소비자의 결제내역 기장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 출원인이 보유한 등록상표 크레시 서비스플랫폼이 대표가맹점이며, 페이 태그가 출원인이 보유한 PG라고 할 것이다.
크로스결제 플랫폼의 도입 : 본 발명은 기능적으로 판매자인 소상공인에게 신용카드 단말기를 설치하는 비용과 유지관리 비용부담 없이 구매자의 이동기기로 신용 및 직불 카드 결제는 물론 전화결제(ARS), 스마트폰결제, 계좌이체 등 다양한 결제 수단을 거의 모두 용이하게 제공하는 과제를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결제 플랫폼의 도입으로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크로스결제 플랫폼은 크로스결제(Cross payment), 즉 다양한 결제수단을 대응하는 크로스결제 솔루션은 그를 제공하는 대행업체들이 많으므로 이를 수수료를 부담하고 이용하면 될 것인데 소상공인이 단독적으로 도입하면 비용부담이 너무 클 것이므로 대표가맹점이 이를 대표하여 가입하고, 소상공인들은 부속가맹점으로서 그 중 일부 기능이나 서비스를 차용하면 실효성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주요 이용기기가 구매자와 판매자의 모바일이나 PC이지만 Web3.0과 HTML5를 채택하여 상기 크로스플랫폼에 적용하면 이용기기에서도 크게 구애받지 않게 되는 잇점을 갖게 된다.
에스크로(Escrow, 결제대금 예치)의 도입 : 일반적으로 에스크로(Escrow)란 구매자와 판매자 간 신용관계가 불확실할 때 제3 자가 상거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계를 하는 매매보호 서비스로서, 원래는 법률적인 용어로서 조건부 양도증서 즉, 특정물을 제3 자에게 기탁하고 일정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대방에게 교부할 것을 약속하는 문서로 주로 부동산거래 분야에서 사용되었는데 최근 전자상거래의 경우에는 거래대금을 제3 자에게 맡긴 뒤 물품 배송을 확인하고 판매자에게 지불하는 제도라는 의미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즉, 소비자가 대금을 은행 등 공신력 있는 제3 자에 보관시켰다가, 배송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판매자 계좌로 입금하는 것으로, 물품을 받지 못했거나 반품할 경우에는 금융기관이 보관금으로 즉시 환불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사기 피해 등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고 당사자들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쉽다. 판매자도 후불제를 했을 때 겪을 수 있는 채권추심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에스크로(Escrow)는 구체적으로는 판매자, 구매자와 제3 자의 사이에서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된다. 그 절차는 1)구매자는 제3 자에게 대금을 맡긴다. 2)판매자는 제3 자에게의 입금을 확인하고 구매자에게 상품을 발송한다. 3)구매자는 송부된 상품을 확인하고 제삼자에게 상품이 도착했음을 알린다. 다만 당초의 거래 내용과 다른 경우는, 상품을 반송하거나 거래를 파기할 수 있다. 4)제3 자는 판매자에게 대금을 송금한다. 5)판매자는 대금을 수령한다(이것으로 거래는 종료한다). 이때 중개하는 제3 자는 에스크로(Escrow)제공사업자로서 일정한 수수료를 받는 것으로써 수익을 얻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매자인 소비자의 입장에서 보면 결제 이후에 구입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불만이나 반품 의사가 있는 경우에 소정기간 내 대금의 지급보류나 지급정지를 요구할 수 있는 에스크로(결제대금 예치)제도를 도입, 시행하면 거래의 신뢰성이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달성만으로도 매출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소상공인에게 매출정산서비스 제공 : 또한 판매자인 소상공인은 자신의 운영 실적 평가 및 계획수립을 위하여 판매 내역 및 세금 관리를 투명하고 정확하게 할 필요가 있는데 결제 수단이 여러 가지로 다양한 경우에는 정확한 장부 기재는 물론, 영수증 발부와 정산관리를 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결제 플랫폼은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하지만 결국 거의 모든 결제수단을 포함하므로 보다 종합적인 매출관리는 물론 정산처리, 영수증 발부 및 세금관리까지 가능하게 되고 향후 상품 및 서비스 아이템 개발에도 분석기초 데이터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문자(SMS)결제 서비스 제공: 본 발명에 따른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은, 각 소상공인들이 대표가맹점 관리웹서버에 무속가맹점으로 등록하고 자신들이 판매하는 상품 및 서비스, 희망하는 결제방법 등을 등록하는 등록 단계;와 대표가맹점에서 상기 단계에서 등록된 부속가맹점을 위하여 구매자들이 결제할 수 있는 결제창을 마련하고 아울러 그 웹페이지 주소(URL)와 QR코드(Quick Response code)를 부여하는 준비 단계;와 소상공인이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한 후에 구매자에게 상기 결제창이 있는 유알엘(URL) 혹은 QR코드를 이메일 혹은 SMS 전송 혹은 현장에서 제시하여 제시받은 구매자가 해당 부속가맹점의 결제창에 접속하여 결제방법, 구입 상품 혹은 서비스 종류를 선택하여 결제하는 결제단계;와 상기 판매한 상품 혹은 서비스의 결제 종류와 판매 금액을 부속가맹점 데이터베이스서버에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부속가맹점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미리 마련된 부속가맹점별 거래데이터와 비교평가하고 소정의 추세분석표를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작성된 부속가맹점 거래데이터베이스와 추세분석표를 토대로 대표가맹점에서 각 부속가맹점에 대한 결제대금의 지급 시기를 다르게 적용하여 지급하는 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통상적인 단계이고 바람직하기도 하다.
그리고 상기와는 다른 측면의 단계별 흐름으로는 구매자는 판매자, 즉 부속가맹점으로부터 구입한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불만과 반품의 의사가 있는 경우에는 소정기간 내에 부속가맹점 혹은 대표가맹점에 자기의 의사와 지급보류 내지는 지급거절의 의사를 통지할 수 있는 단계;와 다르게는 결제대금 지급영수증을 전자 통지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 다르게는 대표가맹점은 신용 및 직불카드결제는 물론 ARS, 스마트폰, 계좌이체 및 상품권결제 등을 선택적으로 모두 할 수 있는 크로스결제 플랫폼을 구축하여 VAN, 전자지불 결제대행업체(PG) 및 각 결제회사에 대표가맹점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거친 후에 관리웹페이지서버를 마련하여 부속가맹점으로 가입등록 신청을 받아 심사한 후에 등록하는 단계;와 신용직불카드 결제는 문자결제를 기반으로 전화결제(ARS) 혹은 스마트폰결제 등 다양한 결제수단 들을 수용하는 크로스플랫폼을 통하여 결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를 거쳐 결제된 거래 내역을 고객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고 평가하여 상기 부속가맹점의 거래평가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하여 부속가맹점에 의한 부정거래 및 카드 도용을 사전에 적발하고 이행당사자에게 문자로 통지하는 단계;와 구매자의 신청에 의해 결제대금의 지급을 보류하거나 정지할 수 있는 단계를 구비하도록 하며, 상기 부속가맹점 거래평가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해당 부속가맹점의 향후 취급 상품아이템을 개발,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단계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판매자인 소상공인은 본 발명에 의한 대표가맹점의 부속가맹점으로서 상술한 바 단독가맹점과 거의 유사한 지위와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자신의 상점 내지 온라인 쇼핑몰에서 한정된 상품 아이템과 현금결제 수단만을 보유하고, 신용카드 단말기 등 다양한 결제 수단을 구비하지 못한 소상공인들을 위하여 패드 등 이동기기와 PC를 주요 단말기로 하여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 결제는 물론 ARS, 스마트폰, 계좌이체 및 상품권 등 다양한 결제수단을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크로스결제 플랫폼과 매출 관리기능을, 구매자에게는 구입상품 선택 및 서비스에 대한 불만 혹은 반품 발생시 소정기간 결제대금의 예치(에스크로)기능을 부여하여 소상공인들의 거래 촉진과 안정화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으며, 문자(SMS)로 상품 선택, 권고와 정정, 승인 단계를 각 거치게 되어 부정 거래 및 신용카드 도용의 방지는 물론 구매자(소비자) 본인의 구매의사를 보다 확고하게 할 수 있고, 상기 소비자 구매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판매자인 소상공인들의 향후 사업운영 방안 분석자료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하여 소상공인(판매자) 및 구매자(소비자)를 위한 거래 촉진과 안정화를 제고하는, 자립적인 소상공인 상태계를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시스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의 업무처리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을 위한 고객센터(1877-2005)의 업무처리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문자(SMS) 간편결제 업무흐름도이다.
도 5의 1내지 2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소상공인(부속가맹점)에 대해 일실시예로서 ARS(전화결제)의 업무처리 흐름도이다. 도 5의 1은 신규로 간편결제 서비스를 가입하는, 도 5의 2는 신규로 신용카드를 등록하는 업무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소상공인(부속가맹점)에 대해 결제창이 있는 URL과 QR코드를 생성해주는 일 사례 화면이다.
도 7의 1 내지 5는 구매자의 다양한 결제수단에 따른 크로스결제 플랫폼을 이용하여 결제처리 사례 들의 종래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7a는 ARS(전화결제), 도 7b는 스마트폰결제, 도 7c는 신용카드결제, 도 7d는 계좌이체, 도 7e는 상품권결제 사례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시스템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한 업무처리 흐름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과정별로 나누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은 우선, 일 주체인 판매자 소상공인(이는 단독가맹점이 아니라 부속가맹점이다, 200)을 위한 크로스결제는 대표가맹점(100,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출원인의 쇼핑몰 서버(크레시 서비스플랫폼)(110)과 실질적으로는 같은 서비스서버이다)에 의한 거래 내역 및 평가데이터베이스의 구비, 결제대금의 예치(Escrow) 기능, 소상공인의 거래평가 데이터베이스(112, Database, 이하 DB)에 의한 상품 아이템 관리 및 예측 보고 기능 등을 구비한 그 대표가맹점(100) 운영 방법에 있어서 우선 각 소상공인(200)들이 대표가맹점(100) 웹서버에 부속가맹점으로 등록하고 자신들이 판매하는 상품 및 서비스, 희망하는 결제방법을 등록하는 등록 단계(201);와 대표가맹점(100)에서 등록된 부속가맹점(200)을 위하여 구매자(500)들이 결제할 수 있는 결제창을 마련하고 그 웹페이지 주소(URL)와 QR코드를 부여하는 준비 단계(202);와 상기 소상공인(200)이 구매자(500)에게 자신의 상품과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여 그것을 주문하면 구매자에게 상기 결제창이 있는 유알엘(URL) 혹은 QR코드를 이메일 혹은 문자(SMS) 전송하거나 현장에서 제시하여 구매자가 해당 부속가맹점의 결제창에 접속하여 결제방법 및 주문 상품 및 서비스를 각 선택하여 결제하는 결제단계(203);와 상기 판매 상품 및 서비스의 결제 종류와 금액을 확인한 후에 집계하여 부속가맹점 고객평가(DB)서버(112)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부속가맹점 DB서버에 저장된 자료를 평가하고 소정의 보고서를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작성된 부속가맹점 평가자료와 보고서를 토대로 대표가맹점(100)에서 각 부속가맹점(200)에 고객정산자료DB(113)를 작성하는 통상적인 상거래의 흐름에 따른 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차별적으로 구매자(500)에게 상품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501) 이후 그리고 그에 대한 주문 단계 이전에, 혹은 주문 단계에서 본 발명에 의한 간편결제 서비스를 가입하도록 하여 고객관리서버(111)에서 간편결제서비스 등록가입자에게 고유보안문자를 부여하는 단계(502)를 추가로 더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주문 상품서비스 결제 단계(20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상거래와 결제 단계와 차별하여 단지 주문 상품서비스를 결제하는 것만이 아니고 추가로 구매자의 주문 상품 및 서비스와 고유보안번호를 구매자(500)의 전화로 발신(203) 받아서 그 발신자 전화번호와 고객관리서버(111)의 간편결제 서비스에 등록된 전화번호와 고유보안번호의 동일성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504)를 추가로 더 거친 후에 상기 주문거래의 신용직불 카드, ARS, 스마트폰, 계좌이체 및 상품권 결제 등 결제 및 영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505)에 이르게 되는 바 사전 등록과 그 등록된 전화번호와 고유보안번호 등 2개의 요인의 체크를 순차로 더 거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단계에 대한 보다 더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사용하여 추가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추가 단계의 흐름으로는 구매자(500)는 판매자인 부속가맹점(200)으로부터 구입한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불만과 반품의 의사가 있는 경우에는 소정기간 내에 부속가맹점(200) 혹은 대표가맹점(100)에 자기의 의사와 지급보류 내지는 지급거절 의사를 통지할 수 있는 단계(506);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데 대표가맹점(100)은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하여 현금결제는 물론 신용직불 카드결제, ARS, 스마트폰, 계좌이체 및 상품권 결제 등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크로스결제 플랫폼(310)을 구축하여 VAN, 전자지불 결제대행업체(PG) 및 각 결제회사에 대표가맹점(100)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거친 후에 웹서버페이지를 마련하여 부속가맹점(200)으로 가입등록 신청을 받아 심사한 후에 등록하는 단계(201);와 신용카드 결제는 물론 전화결제(ARS) 혹은 스마트폰결제 등 다양한 결제 수단들을 대부분 수용하는 크로스결제 플랫폼(310)을 통하여 결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를 거쳐 결제된 거래 내역을 고객거래평가DB(112)에 저장하고 평가하여 부속가맹점(200)의 고객거래평가DB(112)를 작성하여 각 부속가맹점(200)에 의한 부정 및 사기 거래를 사전에 적발, 통지하는 처리 단계와 구매자(500)의 신청에 의해 결제대금의 지급을 보류하거나 정지할 수 있는 단계(506);를 더 구비하도록 하며 상품 및 서비스 아이템 관련 관리 및 예측 등 부가적인 기능을 추가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우선 본 발명의 주체가 되는 것은 대표가맹점(100)인데, 본 발명의 차별성 중 다른 하나는 국내 4,117천 점 중 거의 60%인 2,400여천 점이나 되는 현금 판매 이외는 달리 결제 수단이 없는 소상공인(200)을 대상으로 하여 신용카드와 직불카드는 물론 더 나아가 상품권결제 등까지 다양한 결제수단을 크로스결제 플랫폼을 통하여 제공한다는 데 있다.
크로스결제 플랫폼(310) 제공 방법 : 상기한 바와 같이 현금 판매 이외는 달리 결제 수단이 없는 소상공인(200)이 다양한 결제수단을 보유하기 위하여는 소상공인(200)은 일 판매자로서 다양한 결제수단을 보유하고 있는 본 발명에 의한 대표가맹점(100)에 부속가맹점(200)으로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판매자인 소상공인(200)은 본인이 제공하고자 하는 상품 및 서비스, 결제 방법 등을 본 발명에 의한 대표가맹점(100)의 고객관리웹서버(111)를 통하여 등록한다. 그리고 소상공인(200)이 본 발명에 의한 제공 방법 서비스 중 ARS로 가입, 등록하는 방법은 도 5의 1 내지 2로 예시한 업무흐름도와 같다.
소상공인(판매자)의 부속가맹점(200)의 등록을 받은 대표가맹점(100)은 이를 심사하여 승인하고, 승인이 되면 대표가맹점(100)에 구매자(500)가 결제할 수 있는 결제창을 포함하는 유알엘(URL)과 QR코드를 생성하여 소상공인(200)에게 제공하는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이를 수령한 부속가맹점(200)은 구매자(500)가 상품서비스의 선택(501)을 도와서 구매의사를 표시(503)하면 상기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폰 등 이동기기로 결제창 URL에 연결하도록 URL 및 QR코드를 제공(202)하고 구매자(500)가 인터넷상의 결제창을 연결하여 결제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구매자(500)는 도 7a 내지 도 7e의 실시례와 같이 결제 단계에서 다양한 결제수단을 선택하여 결제할 수 있는데 그러한 수단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결제대행업체(300)의 결제지원 플랫폼이나 다른 부가통신사업자(VAN)을 결제지원 모듈을 이용하여 결제하는 크로스결제 플랫폼(310)을 구비하도록 한다.
국내 결제대행업체 들은 다양한 결제지원 플랫폼을 제공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일부 제한된 서비스만 제공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는 결제창에서 다양한 결제지원 플랫폼의 결제 모듈을 제공하는 쇼핑몰서버(크레시 Cresh 쇼핑몰 서비스플랫폼)(110)의 고객관리웹서버(111)을 연계를 거쳐서 결제할 수 있도록 제공하면, 크로스결제 플랫폼(310)의 구현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출원인이 보유하고 있는 결제대행(300)서비스는 페이 태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속가맹점(200)에서 제공하는 결제창의 유알엘(URL)과 QR코드를 생성하는 바람직한 일 실시례의 예시는 도 6과 같다. 이때 유알엘(URL)은 Uniform resource locator의 약자로서 웹 문서의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들에 있는 파일의 위치를 표시하는 을 말하며, QR코드는 Quick reponse code의 약자로서 사각형의 가로세로 격자무늬에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2차원(매트릭스) 형식의 코드로서 1994년 일본 덴소웨이브사(社)가 개발하였으며 상기 덴소웨이브사가 특허권을 행사하지 않겠다고 선언하여 그 후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종래의 바코드가 20자 내외의 숫자 정보만 저장할 수 있는 반면에 QR코드는 숫자 최대 7,089자, 문자(ASCII) 최대 4,296자, 이진 8비트 최대 2,953바이트, 한자 최대 1,817자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일반 바코드보다 인식속도와 인식률, 복원력이 뛰어나다. 바코드가 주로 계산이나 재고관리, 상품확인 등을 위해 사용된다면 QR코드는 마케팅이나 홍보, PR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 기존 바코드를 읽을 수 있는 전용단말기는 상품 판매자만 소유할 수 있어 소비자들이 바코드를 이용하여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했지만 QR코드의 경우는 인터넷에 연결되는 스마트폰만 있으면 소비자들이 직접 상품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QR코드는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활용도가 높아졌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무료로 제공되는 QR코드 스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은 후에 스마트폰으로 광고 및 홍보지 등에 게재된 QR코드를 스캔하기만 하면 각종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 QR코드의 정보 제공은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넘나들며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종이잡지에 나온 모 제품의 QR코드에 스마트폰을 갖다 대면 그 제품의 웹사이트로 연결되어 생산, 유통, 가격 및 정보 등 각종 상품정보와 이벤트정보, 쿠폰 혜택 등을 얻을 수 있고 스포츠 경기나 영화 포스터의 QR코드를 스캔하면 홍보동영상 및 사진 정보, 할인권 및 입장권 정보, 영화관 또는 경기장 정보까지 받을 수 있다. 또 QR코드 만들기 공개 사이트를 이용하면 쉽게 QR코드를 만들 수도 있다.
따라서, 자기 상품과 서비스를 홍보하고 싶은 부속가맹점(200)은 쉽게 명함에 QR코드를 부착함으로써 자신을 소개할 수 있고 블로그, 트위터 또는 오프라인 광고지에 삽입하여 홍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고객관리웹서버(111)와 고객거래평가DB(112)를 구축하는 방법 : 고객관리웹서버(111)와 고객거래평가DB(112)를 구축하는 방법은 상기한 본 발명자들이 국내등록특허 10-1422136 "가맹점거래평가모형을 통한 신용카드 매출채권 담보부 대출서비스 위험관리방법" 에서의 거래흐름에 의거해 가맹점을 평가하는 가맹점거래평가모형을 그대로 도입하여 가맹점(소상공인)의 흐름, 즉 거래 데이타를 평가함에 있어서 우선 소상공인(200)의 등록을 인터넷웹서버로 신청받아 제공하고자 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종류 및 결제수단 등을 선택하도록 하여 부속가맹점(200)을 등록하도록 하여 이를 바탕으로 결제지원 웹페이지를 별도로 생성하여 이를 부속가맹점(200)에게 제공한다. 이때 대표가맹점(100)은 부속가맹점(200)을 등록하기 전에 실사를 통하여 등록자격 심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표가맹점(100)은 부속가맹점(200)의 업종별, 지역별, 계절별 및 요일별 거래평가모델을 제공하는 본 발명자들이 사전에 구축해 둔 쇼핑몰서버(크레시)(110)을 활용하여 부속가맹점(200)의 거래를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하면서 동시에 상기 거래평가모델을 계속 수정하면서 다시 해당 부속가맹점(200)의 발생 거래실적을 평가하여 혹시 발생할 수도 있는 부속가맹점(200)의 부정 및 사기 데이터를 적출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정당한 평가는 물론 거래 내역을 제대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구매자(500)는 자기 의사로 구매한 이후에 당초 구매의사가 바뀌어 구매한 상품 및 서비스 구매를 보류하거나 취소 내지는 정지할 수가 있다. 이런 경우에 관하여 국내의 경우 공정거래위원회가 1985년 소비자분쟁해결기준을 제정한 이래로 현재 541개 품목에 대하여는 보상기준과 품질보증 및 부품보유기간 등을 강제하고 있는 등 소비자보호 움직임이 점차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를 소상공인(200)의 입장에서 살펴 보면 구매자(500)의 주문 이후에 보류나 취소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신품 교환이나 환불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신용카드 회사의 승인을 받고 판매, 고객에게 배송하였다고 하여도 일정기간 동안에는 그 판매대금을 사용할 수 없는 처지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거래 흐름에 대응하기 위하여 에스크로(Escrow, 결제대금예치제)가 있는데, 에스크로 제도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한 바 있으므로 추가 설명을 생략하지만, 요약하면 결제대금을 제3 자가 구매자(500)로부터 받아 예치(보관)하고 있다가 환불하거나 판매자(200)에게 소정기간이 경과한 후에 지급하는 제도로서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취지의 제도로서 국내 인터넷 쇼핑몰의 경우에 에스크로 실시를 강제하는 방안을 정부에서 추진중에 있다. 그리고 굳이 상기와 같은 추세에 따른 것은 아니지만 신용카드나 전화 결제를 받은 경우에도 전자는 평균 5일, 후자는 평균 45일 정도 결제사가 의도적으로 입금을 늦추고 있어서 자금운영에 곤란을 겪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소비자를 보호한다는 차원에서 불가피하게 에스크로(120)을 실시한다고 하더라도 부속가맹점(200)의 자금사정을 호전시키기 위하여는 대표가맹점(100)이 자체적으로 에스크로(120)를 실시하면서 한편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이 선행 국내 등록 특허에서의 거래 흐름에 의해 가맹점을 평가하는 가맹점거래평가모형을 그대로 도입하여 가맹점(소상공인, 200)의 거래흐름, 즉 거래 데이타를 평가하는 쇼핑몰서버(크레시)(110)을 활용하여 즉시결제 서비스와 대출 서비스를 실시하여 이를 부속가맹점(200)들이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자금운영에서 바람직할 수도 있다.
계속적인 고객정산자료DB(113)의 작성, 갱신 및 보고서 제공 방법 : 본 발명자들의 선행 등록 특허에 의하여 구축된 쇼핑몰서버(크레시)(110)에 의한 부속가맹점(200)의 자료를 계속 축적하고, 지속적으로 평가하여 적정한 고객거래평가DB(112)를 구축해 나가면서 소정의 정산보고서를 작성하여 부속가맹점(200) 및 세무당국(900)에 제공하도록 하여 소상공인(200)들은 별도의 장부 기재 없이 실시간으로 업무정산을 할 수 있으며 세무당국(900)은 새로운 세원 개발과 관리에 정확성을 기할 수 있는데 유용하게 된다.
구매자(500)에게 결제대금의 전자 영수증 제공 ; 구매자가 구입한 상품 혹은 서비스에 대하여 결제수단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구매자가 신청한 이동기기를 통하여 영수증 및 세금계산서를 고객관리웹서버(111) 및 이메일로 동시에 제공하도록 한다. 등록신청 페이지는 PC 연결과 스마트 이동기기로 인터넷에서 겸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쇼핑몰서버(크레시)(110) 및 고객관리웹서버(111)의 구축 방법 : 본 발명에서 쇼핑몰서버(크레시 서비스플랫폼 서버)(110)가 플랫폼이라는 것은 기차역에서 기차를 타고 내리는 곳이란 의미인데 이것이 단상, 무대 따위의 사전적 의미가 바뀌어 컴퓨터 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는 기초를 이루는 컴퓨터 기반 시스템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대개 메인프레임이라는 것은 대규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플랫폼이다. 또 MS-DOS나 윈도우, UNIX 등의 운영체계는 각종 응용 소프트웨어가 실행될 수 있는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 대부분의 응용 프로그램들은 특정 플랫폼에서만 운용되도록 개발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일부 프로그램들이 다른 플랫폼에서도 운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다. 그런데, 플랫폼이라고 불리기 위해서는 자기는 판만 깔아놓고, 물론 자신은 아무 일도 안 한다는 건 아니지만 남들이 들어와서 뭔가를 하는데 그들간의 거래로 인해 자기가 이득을 얻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를 대하여 쇼핑몰서버(크레시)(110)은 불특정 다수인을 사용자로 하지만 대표가맹점(100), 소상공인(부속가맹점)(200), 세무당국(900), 여신사 등 다소 제한적으로 API 환경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여기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는 사용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플랫폼(운영체제)에 어떤 처리를 위해서 호출할 수 있는 서브 루틴 또는 함수의 집합들을 말한다. 쇼핑몰서버(크레시)(110)은 고객관리웹서버(111)을 통하여 부속가맹점(200), 판매자 혹은 여신사로 등록을 할 수 있는데 등록을 하면 미리 구비된 고객거래평가DB(112)를 기초로 하여 축적되는 거래 데이타를 이용하여 인공지능형으로 고객 거래평가모델을 계속적으로 진화시켜 결국 고객에게 적정한 고객거래평가DB(112)를 구비하게 된다. 즉, 쇼핑몰서버(크레시)(110)의 특징 중이 하나는 인터넷에 의한 상호 호환적인 고객관리가 이루어지며 그 고객관리가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이미 본 발명자들의 선행 등록특허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선행 들고특허에 의하면 부속가맹점(200)과 여신사의 등록과 거래평가를 바탕으로 즉시결제 서비스와 대출 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으며 동시에 에스크로(120)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등록특허의 쇼핑몰서버(크레시)(110)의 특징적인 차별성은 부속가맹점(200)의 부정 혹은 사기 거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절차를 구비하는 등 거래 위험을 저감하여 여신사의 대출 공급을 제고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한편 에스크로(120)의 기능 보유로 소비자보호를 도모할 수 있으며 소상공인(200)에게그와 다른 흐름으로서 즉시결제 및 대출 서비스를 실시하여 자금 유동성을 확보해주는 절차와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판매대금, 즉 결제대금을 자동으로 집금해주는 동시에 판매 실적 혹은 세원의 정산 및 보고서 작성 기능을 구비하여 판매자(200), 세무당국(900) 및 여신사에게 관리 효과와 관리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등록특허에서 즉시결제 및 대출 서비스, 세무 관련 관리에 대해서 이 특허 등록하였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청구하지 아니한다.
또한 쇼핑몰서버(크레시)(110)의 또 다른 중요한 효과는 상세하게 전술한 바와 같이 고객관리웹서버(111)의 구축, 고객관리평가서버 및 크로스결제 플랫폼 API 구축에 있어서 HTML5를 사용하여 PC나 스마트 이동기기에서 동시에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기기에서 고속으로, 상호 호환성이 강하게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상기 Web3.0의 환경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쇼핑몰서버(크레시)(110)과 개인정보 보호 방법 : 본 발명에 의한 실시 내용에서 특징적인 사항은 고객관리웹서버(111)를 두고 여러 가지 결제수단을 제공하는 결제회사(400)를 대상으로 크로스결제 플랫폼(310)을 제공한다는 것인데 이는 처리 희망자가 결제대행업체(PG)(300)을 이용하거나 직접 결제회사의 결제처리모듈을 가져다 직접 연결하여 처리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우에 개인정보 보호와 처리 데이터의 관리에 있어서 고려할 사항들이 보다 많아진다. 그리고 신용카드 결제에 있어서 수기거래특약이라고 하여, 카드가맹점이 카드사와 특약을 체결하여 시행한 전자상거래나 통신 판매 등 고객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거래거나 직접 신용카드를 긁지 않는 무서명거래 결제를 실시함에 있어 결제승인 절차가 허술하여 금융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카드사는 사고발생 금액을 상기 특약에 의거 거의 전부 카드가맹점에 부담시키고 있어 불공정 시비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자기 권한 밖의 일로서 상기 특약은 원칙적으로 카드사와 가맹점 간 개별 약정으로 보아야 하기 때문에 직접 개입이 어렵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카드사에서는 수기거래특약에 체결함에 있어 거의 1:1의 담보 제공을 강제하고 있다. 이에 각 단독가맹점에게 상기와 같이 부담스러운 수기거래특약에 각 가맹점이 매달리는 이유는 수기거래특약을 체결하면 부여 한도내에서는 카드번호와 유효기간, 사용금액만으로 결제승인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수기거래특약에 의한 결제를 하다가 추가로 승인 절차를 도입하자 매출이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는 사례 보고도 많다. 그렇지만 수기거래특약에 의한 결제승인은 간단하지만 그 보다는 위조 및 변조 신용카드 범죄에 거의 무방비하며 게다가 부정한 의도를 가진 가맹점에 의해 악용될 가능성이 상존하여 소비자보호에 역행하며 가맹점과 카드사의 다툼을 제공하여 결국 신용사회 흐름에 역행할 여지가 많다. 그렇다고 하여 가맹점별로 카드사 수준의 보안대책을 강구할 수도 없다.
따라서, 쇼핑몰서버(크레시)(110)은 각 부속가맹점별로 달리 강구하여야 하는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절차를 별도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쇼핑몰서버(크레시)(110)에서는 고객관리웹서버(111)를 통하여 소상공인(200)은 구매 의사 표시가 있는 구매자(500)에게 결제창을 연결할 수 있는 QR코드나 유알엘(URL)을 제공하여 구매자(500)을 특정할 수 있으며 구매자의 결제 수단 중 가장 문제의 소지가 많은 신용카드 결제의 경우에는 카드 소유자의 이름, CVC(Card validation code)등을 추가로 입력받도록 하며 사고가 발생하면 VAN사나 PG로부터 관련 정보를 입수해 추적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그리고 쇼핑몰서버(크레시)(110)에 있어서 개인정보의 보호를 위한 방화벽을 설치와 관련 정보접근 설계는 매우 중요한 기능 요소가 된다.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을 위한 고객센터(1877-2005)의 업무처리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문자(SMS) 간편결제 업무흐름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종래의 현금결제 이외 다른 결제 수단을 보유하지 못한 판매자인 소상공인(200)에게는 다양한 결제 수단의 제공을 하기 위하여는 우선, 먼저 구매자가 본 발명에 의한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100) 플랫폼서비스 제공을 위한 고객센터에 가입 및 등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도 3은 일례로서 상기 고객센터 전화번호를 1877-2005를 사용한 경우이지만, 구매자(500)의 선등록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신규 상품서비스 주문 단계(503)에서 동시에 등록할 수가 있다.
상기 도 3은 구매자(500)가 고객센터 전용번호(1877-2005)에 전화를 걸어 가입하여 등록하는 업무절차의 흐름을 보여 주고 있다.
구매자는 상기 전용번호로 전화를 걸어, 간편결제 가입여부를 선택하고 가입자 정보 즉, 생년월일 혹은 사업자번호 10자리를 입력하면 다음 단계인 신용카드등록의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신용카드의 등록 단계에서는 ARS 안내에 따라 카드번호, 카드 유효기간, 카드 비밀번호 등 카드정보를 입력한 후에 고유의 간편결제서비스 보안번호(6자리)를 입력하여 등록한다.
상기와 같은 고객센터의 기능은 카드 등록은 물론 카드 해지, 서비스 해지 및 상담원 상담의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문자(SMS) 간편결제 업무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은 종래의 일방적인 문자(SMS) 송수신에 의한 방법이 아니라 양방향 문자(SMS)에 의한 결제 방법이라는 점에서 차별성(A 표시부분)을 갖는다. 즉, 구매자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는 먼저 카드등록 및 간편결제 서비스 가입을 하여야 한다. 다만 상기 카드 등록이나 서비스 가입을 하지 아니한 신규 구매자의 경우에는 판매자인 소상공인이 현장 및 PC,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플랫폼서버, 즉 고객관리웹서버(111)의 소상공인(200)용 백오피스(Back office) 입력화면에서 즉시 주문 상품과 주문자 등록을 시행하여 이미 등록된 구매자와 같게 주문 요청을 한 주문자에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플랫폼서버 백오피스 입력화면 일 실시예는 아래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소상공인(부속가맹점)에 대해 결제창이 있는 URL과 QR코드를 생성해주는 일 사례 화면이다.
상기 도 5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미 전술한 바와 같다.
도 7a 내지 도 7e는 구매자의 다양한 결제수단에 따른 크로스결제 플랫폼을 이용하여 결제처리 사례 들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7a는 ARS(전화결제), 도 7b는 스마트폰결제, 도 7c는 신용카드결제, 도 7d는 계좌이체, 도 7e는 상품권결제 화면이다.
상기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결체처리 수단의 일반적인 예시도로서 이와 같은 결제 수단은 출원인들이 보유한 페이 태그와 각 연계되어 서비스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종래의 현금결제 이외 다른 결제 수단을 보유하지 못한 판매자인 소상공인(200)에게는 다양한 결제 수단의 제공과 운전 자금의 용이한 조달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정확한 매출정산을 가능하게 하고 구매자(200)에게는 다양한 결제 수단과 에스크로(120)를 통하여 구매 상품 및 서비스의 안전한 결제 수단을 제공하며 결제대행업체(300)에게는 서비스거래량의 증가와 크로스플랫폼(310)의 제공 기회를 부여하며 세무당국(900)에게는 새로운 세원의 개발과 정확한 관리를 가능하게 하여 대표가맹점(100)에게는 쇼핑몰서버(크레시)(110)을 이용한 에스크로(120)서비스, 즉시결제 서비스 및 대출서비스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즉시결제 및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신사에게는 대출부실 위험 및 상환비용을 저감 효과를 제공하는 등 다양하고 강력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술한 기능 중에서 새로운 세원 개발과 정확한 관리, 즉시결제 서비스 및 대출서비스 및 결제대행업체(페이 태그)와 크레시 서비스플랫폼서버(110)의 구체적인 기능 등은 본 발명에서 청구하는 범위 밖의 것임이 상당하므로, 여기서는 별도로 주가 기술하지는 아니한다.
도 1의 부호 설명
100 대표가맹점(이는 본 발명의 주체가 된다.)
110 쇼핑?? 서버(크레시 서비스플랫폼 서버)
120 에스크로 서비스제공 서버
200 소상공인(이는 판매자 겸 부속가맹점)
300 결제대행업체(PG)
310 크로스결제 플랫폼
400 신용카드사 등 결제회사
500 구매자
900 세무 당국
도 2의 부호 설명
200 소상공인(판매자, 부속가맹점)
201 부속가맹점,대표가맹점에 등록, 변경, 조회
202 대표가맹점, URL, QR 코드 등 결제방법 제공
203 주문 상품서비스/결제보안번호 문자발신
500 구매자
501 상품서비스 제공
502 간편결제 서비스 가입
503 상품서비스 주문
504 주문 상품서비스/결제보안번호 문자확인
505 신용/직불 카드, ARS, 스마트폰, 계좌이체, 상품권 결제 등 결제/영수 확인
506 결제금액 지급 보류/정지
이하 다른 부호는 도 1의 기재와 같다.

Claims (6)

  1. 자신의 상점 내지 온라인 쇼핑몰에서 한정된 상품 아이템과 현금결제 수단만을 보유하고, 신용카드 단말기 등 다양한 결제 수단을 구비하지 못한 소상공인들을 위하여 패드 등 이동기기와 PC를 주요 단말기로 하여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 결제는 물론 ARS, 스마트폰, 계좌이체 및 상품권 등 다양한 결제수단을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크로스결제 플랫폼과 매줄 관리기능을, 구매자에게는 구입상품 선택 및 서비스에 대한 불만 혹은 반품 발생시 소정기간 결제대금의 예치(에스크로) 기능을 부여하여 소상공인들의 거래 촉진과 안정화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으며, 문자(SMS)로 기반으로 등록된 고유보안번호와 발신 전화번호는 물론 상품 선택, 권고와 정정, 승인 단계 등을 순차로 각 거치므로 부정 거래 및 신용카드 도용의 방지, 소비자 본인의 구매의사를 확고하게 확인할 수 있고, 거래 후 구매자의 구매자료를 분석을 통하여 판매자의 상품서비스 아이템 선정 등 향후 사업운영방안 분석자료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판매자인 소상공인들이 대표가맹점 관리웹서버에 부속가맹점으로 등록하고 자신들이 판매하는 상품 및 서비스, 희망하는 결제방법을 등록하는 등록 단계;와 대표가맹점에서 등록된 부속가맹점을 위하여 구매자들이 결제할 수 있는 결제창을 마련하고 그 웹페이지 주소(URL)와 QR코드를 부여하는 준비 단계;와 소상공인이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한 후에 구매자에게 상기 결제창이 있는 유알엘(URL) 혹은 QR코드를 이메일 혹은 문자(SMS) 전송 혹은 현장에서 제시하고,
    구매자는 상기 부속가맹점이 제공한 유알엘(URL) 혹은 QR코드, ARS로 고객센터에 접속하여 간편결제 서비스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유알엘(URL) 혹은 QR코드, ARS로 통하여 부속가맹점 쇼핑몰 서버를 통하여 제공하는 상품 및 서비스를 주문하는 단계;와 QR 코드결제창에 접속하여 결제방법 및 구입 상품 및 서비스를 각 선택하여 결제하는 결제단계; 및
    상기 부속가맹점 쇼핑몰 서버는, 상기 구매자의 간편결제 서비스 등록시 구매자의 성명(상호), 전화번호 등 인적사항과 신용카드번호를 입력받아 등록하면서 고유보안번호를 부여하는 단계;와 구매자가 상품 및 서비스 주문을 하면 즉시 구매자가 등록한 전화번호로 등록된 고유보안번호와 상품서비스 주문내역을 문자(SMS) 발신하는 단계;를 거친 후에 구매자에게 상품서비스의 정정 및 승인, 고유보안번호의 회신을 받는 단계;와 구매자의 발신전화번호와 고유보안번호가 일치하면 주문 상품서비스를 승인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폐기하는 단계;를 거친 후 순차로 구매자로부터 결제받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단계에서 구매자가 상기 결제창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결제 수단은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하되 신용 및 직불 카드 결제는 물론 ARS(전화결제), 스마트폰, 계좌이체 및 상품권 결제 등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크로스결제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항, 제 2항에 있어서,
    부속가맹점이 대표가맹점 관리웹서버에 부속가맹점으로 등록하고 자신들이 판매하는 상품서비스, 희망하는 결제방법을 등록하면 대표가맹점에서 등록된 부속가맹점별로 거래평가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하며 부속가맹점에서 거래가 이루어지면 이를 기준으로 다시 부속가맹점 거래평가모형이 수정되어 이를 바탕으로 부속가맹점 거래의 적정성을 평가하고 관리하고, 거래 상품서비스 아이템의 통계자료 및 향후 예측치를 제공하는 쇼핑몰 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항, 제 2항 및 제 4항에 있어서,
    소상공인은 사전에 대표가맹점 관리웹서버에 부속가맹점으로 등록한 후에 구축한 부속가맹점별로 독립적인 거래평가데이타베이스를 부속가맹점의 발생 거래를 평가하여 부속가맹점에서 발생하는 부정 및 사기 거래를 사전에 적발하여 이를 확인 및 실사하여 이상자료 발생 시 부속가맹점 및 대표가맹점 등에 문자(SMS)로 통지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단계에서 구매자가 부속가맹점으로부터 구입한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불만과 반품의 의사가 있는 경우에 소정기간 내에 부속가맹점 혹은 대표가맹점에 상품서비스 구매 취소 내지는 교환의 의사를 표명하면서 결제대금의 지급보류 내지는 지급거절의 의사를 통지하면 상기 상황이 종료될 때까지 결제대금을 예치하는 에스크로(Escrow)기능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30072192A 2023-06-02 2023-06-02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0985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192A KR20230098504A (ko) 2023-06-02 2023-06-02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192A KR20230098504A (ko) 2023-06-02 2023-06-02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504A true KR20230098504A (ko) 2023-07-04

Family

ID=87156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192A KR20230098504A (ko) 2023-06-02 2023-06-02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85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60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sales tax deduction information from monetary card transactions
US8401965B2 (en) Payment handling
US20150371212A1 (en) Integrated transaction and account system
KR101791470B1 (ko) 매출채권의 거래 방법
US201500326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ppending Supplemental Payment Data to a Transaction Message
US20060085335A1 (en) Point of sale systems and methods for consumer bill payment
US11030589B2 (en) Hosted disbursement system
US20100100461A1 (en) Payment transaction system
US20130013502A1 (en) Facilitation of Transactions Using a Transaction Code
US201702869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ded transaction processing
WO20111469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ppending supplemental payment data to a transaction message
KR100960285B1 (ko) 신용카드 시스템을 응용한 바이어 뱅크 중심의 국제 무역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7899A (ko) 현금결제 이외에는 별도의 결제수단이 없는 소상공인을 위한 크로스결제 플랫폼 및 에스크로 기능을 구비한 대표가맹점 운영 방법
KR102472450B1 (ko) 전자지갑을 이용한 결제대금 즉시 정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04543A (ko) 인증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 기반 대리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098504A (ko) 문자(sms)결제를 기반으로 한 대표가맹점 플랫폼서비스 제공 방법
US20130103477A1 (en) Transa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07026160A (ja) 決済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240057797A (ko) 은행중심의 국내 및 국제 무역 결제 프로세스
KR100790380B1 (ko) 신용결제를 이용한 조세징수 시스템 및 방법
WO2022087033A1 (en) Federated currency payment exchange system
Byron et al. Online Monetary
CA2289395A1 (en) Procurement and settlement system and method
KR20040044616A (ko) 인터넷을 통한 대금 결재 대행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AU2012201358A1 (en) Auto substantiation for over-the-counter trans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