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4037A -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와 그에 적합한 디지털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와 그에 적합한 디지털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4037A
KR20030064037A KR1020020004454A KR20020004454A KR20030064037A KR 20030064037 A KR20030064037 A KR 20030064037A KR 1020020004454 A KR1020020004454 A KR 1020020004454A KR 20020004454 A KR20020004454 A KR 20020004454A KR 20030064037 A KR20030064037 A KR 20030064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digital audio
audio signal
digital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열
Original Assignee
이두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열 filed Critical 이두열
Priority to KR1020020004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4037A/ko
Publication of KR20030064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037A/ko

Links

Landscapes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장치 또는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와 연결이 가능하면서 오디오 데크를 구비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와 상기 오디오 데크에서 사용 가능한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 기록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는,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와 연결이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수신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복조하는 복조 처리부; 복조 처리부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MPEG 레이어 3로 변환하는 레이어 변환부; 및 레이어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DAB 송신측에서 송신한 디지털 오디오 또는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기존에 비해 고 음질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오디오 신호에 대한 원활한 이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와 그에 적합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DAB receiver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 audio signal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이하 DAB라고 약함) 수신장치와 그에 적합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를 디지털 오디오 장치 또는 유/무선 방식으로 접속된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는 DAB와 그에 적합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아날로그 FM/AM 방송은 날로 증가하는 고층 빌딩 및 주택의 밀집화에따른 다중 경로 전파 환경과 이동 수신시 반송파 주파수의 도플러효과 등의 영향으로 인해 음질 열화가 심화되고 있다. 또한 VHF대역의 방송국 수가 늘어남에 따라 주파수 혼잡도가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아날로그 FM/AM방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CD(Compact Disc) 수준의 고 음질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안된 장치가 DAB 수신 장치이다.
상기 DAB 수신 장치는 기존의 FM/AM 방식을 대체한 디지털 방식을 이용하여 DAB 전용 위성 또는 DAB 전용 지상파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이동시나 고정된 장소에서 사용자에게 CD수준의 고 음질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안된 장치이다.
그러나, 현재 제안되어 있는 DAB 수신 장치는 DAB 전용 위성 또는 DAB 전용 지상파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일반 아날로그 오디오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따라서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장치가 일반 아날로그 오디오 장치로 제한될 뿐 아니라 실질적으로 만족할 만한 고 음질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보관함에 따라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통신망과 같은 매개체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서는 다시 인코딩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에 대한 원활한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현재 DAB 신호 송신측과 DAB 수신 장치간에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MPEG layer 2(MP2)에 의해 압축된 데이터이다. 그러나, 기존에 제안되어 있는 대부분의 디지털 오디오 장치는 MPEG layer 3 압축기법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 제안되어 있는 DAB 수신 장치는 기존의 디지털 오디오 장치와 호환성이 없다.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는 상술한 디지털 오디오 장치의 일종으로서, 현재 다양한 타입의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중 하나이다. 이러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는 MP3(MPEG Layer 3) 플레이어와 같이 대용량의 음악 데이터를 음질 저하 없이 압축하여 기록하고 재생할 수 있는 장치이다. 따라서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는 카세트 플레이어와 같은 오디오 시스템(또는 오디오 데크)에 장착(insert)하면, MP3 플레이어에서 제공하는 것과 같은 대용량의 음악 데이터를 고품위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제안되어 있는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는 상술한 DAB 수신장치와의 연결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오디오 장치 또는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와 연결이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오디오 테크를 구비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에 구비되는 오디오 데크에서 사용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와 유선 방식으로 연결이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는,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와 연결이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수신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복조하는 복조 처리부; 복조 처리부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MPEG 레이어 3로 변환하는 레이어 변환부; 및 레이어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송수단은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 및 디지털 컨텐츠를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헤드부를 구비하고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를 구동시키는 데크; 레이어 변환부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헤드부에서 수신할 수 있는 신호로 변조하는 변조부, 상기 레이어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유선 방식과 무선 방식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정합 처리를 하는 유/무선 정합부; 레이어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유/무선 정합부와 변조부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부;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에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전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이어 변환부는 MPEG 레이어 2를 MPEG 레이어 3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컨텐츠로 수신하거나 디지털 오디오 신호 및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컨텐츠로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무선 정합부는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식 또는 USB 또는 IEEE 1394와 같은 시리얼 버스를 이용한 유선 통신 방식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와 연결이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컨텐츠를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메모리;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컨텐츠 및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로 송출하는 헤드부;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기 위하여 디코딩하는 디코더;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신호로 제공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시리얼 버스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와 디지털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정합부;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헤드부와 정합부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와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간에 디지털 컨텐츠에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데크에 장착이 가능한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의 기능 블록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블록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의 외관 예시 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100)의 기능 블록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100)는, 디지털 튜너(101), 듀얼 싱크 (Dual Sync) 처리부(102), 디지털 복조 처리부(103), 제어부(104), 기능키 군(105), 원격 신호 수신부(106), 레이어(layer) 변환부(107), 디지털 오디오 신호 및 디지털 데이터 전송부(108), 디코더(109), 변조부(110), 헤드부(111), 증폭기(112), 스피커(113), 유/무선 정합부(114),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이하 DAC라고 약함)(115)로 구성된다.
디지털 튜너(101)는 제어부(104)에 의해 제어된 채널을 통해 미 도시된 DAB 전용 위성 또는 미 도시된 DAB 전용 지상파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를 프론트 엔드(front end)에서 처리 가능한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키고, 이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I채널과 Q채널의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여 각각 듀얼 싱크 처리부(102)로 전송한다. 이 때, 수신되는 디지털 컨텐츠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거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듀얼 싱크 처리부(102)는 입력되는 I채널과 Q채널을 후단의 복조 처리에 사용할 수 있도록 밴드 패스 필터링(band-pass filtering)한다.
디지털 복조 처리부(103)는 듀얼 싱크 처리부(102)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 각각 정해진 방식에 따라 복조처리를 한다. 디지털 복조 처리부(103)에서 수행되는 복조 처리는 CDFDM, Ⅱ/4 DQPSK(Digital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비터비(Viterbi) 디코더, 시공간 디 인터링빙(time/frequency deinterleaving)과 같은 처리를 포함한다.
제어부(104)는 기능 키 군(105) 및 원격신호 수신부(106)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원하는 채널이 선국되도록 디지털 튜너(101)를 제어하고, 듀얼 싱크 처리부(102), 디지털 복조 처리부(103) 및 디지털 오디오 신호 및 디지털 데이터 전송부(108)의 동작을 제어한다.
원격신호 수신부(106)는 리모콘과 같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기능 키 군(105)과 상기 미 도시된 리모콘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100)의 동작은 물론 도 2에 도시된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키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리모콘 또는 기능 키 군(105)은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재생(PLAY) 키, 녹음(REC)키, REW키, FF키, 정지(STOP)키, 상시 REC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어 변환부(107)는 디지털 복조 처리부(103)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디지털 데이터를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레이어(layer) 3(MP3라고도 함)으로 변환시킨다. 이 때, 디지털 복조 처리부(103)로부터 전송되는디지털 컨텐츠는 MPEG 레이어 2(MP2라고도 함)에 의해 압축된 신호이다. 따라서 레이어 변환부(107)는 MP2로 압축된 디지털 컨텐츠를 MP3에 따라 압축된 디지털 컨텐츠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다. MPEG 레이어 2에 따른 압축에 관련된 기술과 MPEG 레이어 3에 따른 압축에 관련된 기술은 MPEG 규격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다.
디지털 오디오 신호 및 디지털 데이터 전송부(108)는 제어부(104)에 의해 제어되어 레이어 변환부(107)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변조부(110) 또는 유/무선 정합부(114)로 전송한다. 디지털 오디오 신호 및 디지털 데이터 전송부(108)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부로 표현할 수 있다.
변조부(11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 및 디지털 데이터 전송부(108)로부터 전송되는 MPEG 레이어 3에 의해 압축된 디지털 컨텐츠와 제어부(104)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헤드부(111)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조한다.
유/무선 정합부(114)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 센서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 또는 USB 또는 IEEE1394와 같은 시리얼 버스를 이용한 유선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된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미 도시됨)로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는 컴퓨터 단말기와 같은 유/무선 단말기, 기존의 MP3,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DAB 수신 장치(100)를 이용하여 DAB 수신 장치(100)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미 도시됨)로 디지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출할 수 있다.
헤드부(111)는 변조부(110)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어신호를 도 2에 도시된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로 전송하거나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증폭기(112)로 전송한다. 이러한 헤드부(111)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100)의 정면 외관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을 때, 도 3의 오디오 데크에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도 3의 오디오 데크는 도 3에 도시된 바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가 장착되고,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를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오디오 데크는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증폭기(112)는 헤드부(111)로부터 전송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출력이 가능하도록 소정 치 증폭한다. 증폭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113)를 통해 출력된다.
디코더(109)는 디지털 복조 처리부(103)로부터 출력되는 복조 처리된 디지털 컨텐츠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도록 디코딩한다. DAC(115)는 디코딩된 디지털 컨텐츠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시켜 증폭기(112)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의 블록 도로서, 카세트 테이프형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는 헤드부(201), 복조부(202), 메모리(203), 제어부(204), 기능키 센서(205), 디코더(206), D/A 변환기(207), 스피커(208), 및시리얼 버스 정합부(209)를 포함한다.
헤드부(201)는 도 1에 도시된 헤드부(111)와 접촉되어 자기 신호를 전송하는 자기 헤드로서,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의 녹화(또는 기록)모드인 경우에 헤드부(111)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재생모드인 경우에는 헤드부(111)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DAB 수신 장치(100)에서 발생된 경우에, 헤드부(201)는 헤드부(111)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어신호는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R-CH를 통해 전송되고, 제어신호는 L-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11)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 대신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복조부(202)는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의 동작 모드가 녹음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헤드부(201)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어신호를 설정된 방식에 따라 복조한다. 즉, 복조부(202)는 상기 변조부(110)에서 이루어지는 변조방식과 역 방식으로 설정된 복조 방식으로 헤드부(201)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어신호를 복조한다. 이 때, 이용되는 변복조 방식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디지털 오디오 신호 변복조방식에서의 변복조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복조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MPEG 레이어 3로 압축된 신호이다. 복조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부(203)로 전송된다. 복조된 제어신호는 제어부(204)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가 녹음모드이외의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도 복조부(202)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메모리부(203)는 리드(read) 및 라이트(write)가 가능한 것으로, 1개 이상의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204)는 기능키 센서(205)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들(미 도시됨)의 출력신호 또는 복조부(202)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복조부(202)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 또는 기능키 센서(205)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현재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메모리(203)에 기록되도록 제어하거나 메모리(203)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형태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읽혀지도록 제어한다.
기능키 센서(205)는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에 부가된 기능 키 또는 DAB 수신 장치(100)에 구비되어 있는 오디오 데크에 장착되어 있는 기능키의 제어여부를 센싱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204)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디코더(206)는 메모리(203)로부터 전송되는 압축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원래의 형태로 복원한다. D/A변환부(207)는 제어부(204)에 의해 제어되어 디코더(206)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헤드부(201)로 전송하거나 스피커(208)로 전송한다.
시리얼 버스 정합부(209)는 USB 또는 IEEE 1394버스와 같은 시리얼 버스를 통해 DAB 수신 장치(100)로부터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하는데 DAB 수신 장치(100)와 제어부(204)간에 송수신이 필요한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DAB 수신 장치(100)가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어신호를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로 전송하고,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DAB 수신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하거나 DAB 수신 장치(100)로부터 다운받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카세트 테이프형 기록 및 재생장치(200)를 통해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구현된 예이다.
그러나,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가 동 출원인이 2001년 3월 20일자로 출원한 특허 출원 번호 제 2001-14299 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현된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가 오디오 데크에 장착될 경우를 고려하여 DAB 수신 장치(100)는 간단한 변형에 의해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DAB 수신장치(100)내에 이미 마련되어 있는 DAC(115)를 오디오신호를 재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 뿐 아니라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장치 또는 유/무선 단말기와 같은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DAB 송신측에서 송신한 디지털 오디오 또는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기존에 비해 고 음질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오디오 신호에 대한 원활한 이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MP3 압축기법을 이용하고 있는 디지털 오디오 장치와 호환성이 있는 DAB 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DAB 수신장치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 기록 및 재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청구범위로 정해질 것이다.

Claims (11)

  1.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와 연결이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수신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복조하는 복조 처리부;
    상기 복조 처리부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MPEG 레이어 3로 변환하는 레이어 변환부; 및
    상기 레이어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를 구동시키는 데크;
    상기 레이어 변환부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헤드부에서 수신할 수 있는 신호로 변조하는 변조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 레이어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유선 방식과 무선 방식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정합 처리를 하는 유/무선 정합부;
    상기 레이어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유/무선 정합부와 상기 변조부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부;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에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전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는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및 재생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 레이어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유선 방식과 무선 방식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정합 처리를 하는 유/무선 정합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변환부는 MPEG 레이어 2를 MPEG 레이어 3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상기 디지털 컨텐츠로 수신하거나 디지털 오디오 신호 및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컨텐츠로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
  8.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정합부는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식 또는 USB 또는 IEEE 1394와 같은 시리얼 버스를 이용한 유선 통신 방식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 디바이스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
  9.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와 연결이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컨텐츠를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컨텐츠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로 송출하는 헤드부;
    상기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기 위하여 디코딩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재생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신호로 제공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시리얼 버스를 통해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와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정합부;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헤드부와 상기 정합부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와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간에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는 상기 헤드부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복조하여 상기 메모리로 전송하는 복조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데크에 장착이 가능한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KR1020020004454A 2002-01-25 2002-01-25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와 그에 적합한 디지털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KR20030064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454A KR20030064037A (ko) 2002-01-25 2002-01-25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와 그에 적합한 디지털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454A KR20030064037A (ko) 2002-01-25 2002-01-25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와 그에 적합한 디지털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037A true KR20030064037A (ko) 2003-07-31

Family

ID=3221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454A KR20030064037A (ko) 2002-01-25 2002-01-25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와 그에 적합한 디지털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40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075A (ko) * 2002-03-05 2003-09-13 (주)프리샛 코리아 Mp3 인코더가 내장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0171A (ja) * 1997-04-11 1998-10-27 Fujitsu Ten Ltd Dab受信システム
EP1113605A2 (en) * 1999-11-22 2001-07-04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dentification and purchase of broadcast digital music and other types of information
WO2001061894A2 (en) * 2000-02-18 2001-08-23 Penguinradio,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gital audio broadcasts and digital audio files via a computer network
JP2001339679A (ja) * 2000-05-26 2001-12-07 Alpine Electronics Inc デジタルオーディ機器
KR20030062747A (ko) * 2002-01-18 2003-07-28 (주)프리샛 코리아 변복조장치 및 외부장치와 연동하는 저장매체를 구비한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0171A (ja) * 1997-04-11 1998-10-27 Fujitsu Ten Ltd Dab受信システム
EP1113605A2 (en) * 1999-11-22 2001-07-04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dentification and purchase of broadcast digital music and other types of information
WO2001061894A2 (en) * 2000-02-18 2001-08-23 Penguinradio,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gital audio broadcasts and digital audio files via a computer network
JP2001339679A (ja) * 2000-05-26 2001-12-07 Alpine Electronics Inc デジタルオーディ機器
KR20030062747A (ko) * 2002-01-18 2003-07-28 (주)프리샛 코리아 변복조장치 및 외부장치와 연동하는 저장매체를 구비한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075A (ko) * 2002-03-05 2003-09-13 (주)프리샛 코리아 Mp3 인코더가 내장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9961B1 (ko) 멀티미디어전송방법및멀티미디어플레이어
US20010048748A1 (en) Receiver/transmitter for use with an audio system for broadcasting audio signals
KR20050042037A (ko) 디지털 오디오 장치
US20040136696A1 (en) Video/audio recording apparatus
KR20030064037A (ko)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와 그에 적합한 디지털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JP200130619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無線送信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H0348718B2 (ko)
KR100380046B1 (ko) 자동차의 디지탈 오디오 시스템
KR100355414B1 (ko) 와이어리스 마이크의 녹음/재생장치
KR20010008949A (ko) 휴대용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
KR19980073521A (ko) 멀티미디어용 오디오송수신시스템
KR200262879Y1 (ko) 탈ㆍ부착이 가능한 저장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오디오방송 수신기
JP4411725B2 (ja) 送受信装置、受信装置及び送信装置
KR20030025602A (ko) 동영상 수신 기능을 갖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JP3849164B2 (ja) オーディオ装置
US20040125707A1 (en) Retrieving content of various types with a conversion device attachable to audio outputs of an audio CD player
KR930005436B1 (ko) 멀티방식의 음성신호 기록시스템
KR200290274Y1 (ko) 외장형 표시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KR20030062747A (ko) 변복조장치 및 외부장치와 연동하는 저장매체를 구비한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JPH10322670A (ja) 映像/音声伝送システム
JP3119038B2 (ja) ディジタル情報記録再生装置
JPH04245721A (ja) 案内装置
KR100638108B1 (ko) 오디오 시스템 및 그에 적용되는 무선 헤드폰
KR200375305Y1 (ko)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휴대용 오디오신호재생 장치
KR19980078110A (ko) 유무선 출력 기능을 갖는 사운드 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