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088A - 동맥경화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동맥경화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088A
KR20030063088A KR1020020061469A KR20020061469A KR20030063088A KR 20030063088 A KR20030063088 A KR 20030063088A KR 1020020061469 A KR1020020061469 A KR 1020020061469A KR 20020061469 A KR20020061469 A KR 20020061469A KR 20030063088 A KR20030063088 A KR 20030063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form
related information
amplitude increase
pulse wave
increas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구라도시히꼬
나리마쯔기요유끼
담뽀아끼라
혼다다까시
Original Assignee
니폰 콜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콜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콜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3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08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2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08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from analysis of pulse wave characteristics
    • A61B5/02125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from analysis of pulse wave characteristics of pulse wave propagation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4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 A61B2562/043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in a linear arr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생체 동맥경화 검사장치 (10) 는 생체의 일부분 (38) 으로부터의 맥파를 검출하는 맥파 검출 장치 (54); 맥파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맥파에 기초하여, 맥파의 진행파 성분에 대한 맥파의 반사파 성분의 비율을 나타내는 진폭증가 지수를 판정하여, 이 판정된 진폭증가 지수에 기초하여 생체의 동맥경화를 검사하도록 하는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 (96); 맥파 검출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맥파의 파형의 변동에 관한 1 종류 이상의 파형 관련정보를 구하는 하나 이상의 파형 관련정보 획득 장치 (28, 86; 68, 88; 54, 90; 70, 92; 72, 94); 표시 장치 (79); 진폭증가 지수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되는 진폭증가 지수를 표시하도록 표시장치를 동작시키는 진폭증가 지수 표시수단 (98); 및 진폭증가 지수에 더하여, 파형 관련정보 획득장치에 의해 구한 파형 관련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장치를 동작시키는 파형 관련정보 표시수단 (100) 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동맥경화 검사장치{ARTERIOSCLEROSIS INSP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진폭증가 지수에 기초하여 생체의 동맥경화를 검사하는 동맥경화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관에 전파하는 맥파는 혈관의 분기부분 또는 테이퍼링 부분에서 반사되기 때문에, 맥파의 검출파형은, 혈액이 생채의 심장에서 분출되어 생체의 혈관말초부분을 향하여 전파할 때 발생되는 진행파 성분, 및 진행파가 반사될 때 발생되는 반사파 성분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AI라 하는 맥파 진폭증가 지수는 맥파의 진행파 성분에 대한 반사파 성분의 비율을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진폭증가 지수 (AI) 는, 맥파의 반사파 성분의 발생 시점에서의 맥파의 크기로부터 맥파의 진행파 성분의 피크점의 크기를 감산하여 얻은 차이를 검출 맥파의 맥압으로 나누어 얻은 값의 백분율로 결정된다.
동맥경화가 진행함에 따라, 맥파의 반사파 성분의 비율이 증가하여 진폭증가 지수도 증가한다. 따라서, 진폭증가 지수는 동맥 경화를 평가하는데 이용되는 지수로서 유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진폭증가 지수는 맥파의 파형에 기초하여 판정된다. 그러나, 맥파의 파형은 동맥 경화 뿐만 아니라 혈압과 같은 여러 파라미터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으로 판정되는 진폭증가 지수는 매우 가변적이거나 변동이 심하여, 현 단계에서는, 진폭증가 지수만을 기초하여 동맥경화를평가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의 동맥경화를 진폭증가 지수에 기초하여 높은 정확도로 진단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 동맥경화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동맥경화 검사장치의 회로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
도 2는 도 1의 장치중의 압맥파 검출 프로브가 생체의 경부상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도 2의 압맥파 검출 프로브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내는 확대도.
도 4는 압력 센서 소자의 어레이가 도 1에 도시된 압맥파 센서의 가압면에 제공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의 압맥파 센서의 압력 센서 소자들중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압맥파 신호 (SM2) 로 나타내는 경동맥파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의 장치중의 전자 제어장치의 필수 제어기능들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공통시간축을 따라, 대동맥압, 좌심실압, 좌심방압, 심전도 및 심음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어장치의 CPU (중앙 처리 장치) 제어기능의 일부분을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9는 도 6에 도시된 CPU 제어기능의 다른 부분을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도 9의 단계 S23 및 S24에 표시되는 레이더차트.
도 11은 도 1의 장치와 상이한 동맥경화 검사장치의 전자 제어장치의 필수 제어기능들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어장치의 CPU 제어기능들을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동맥경화 검사장치
36 : 압맥파 검출 프로브
79 : 표시장치
86 : 혈압치 판정수단
88 : 심박수 판정수단
90 : 분출시간 판정수단
92 : 사전분출 주기 판정수단
94 : 신장 판정수단
96 :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
98 : 진폭증가 지수 표시수단
100 : 파형 관련정보 표시수단
102 : 보정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
상술한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르면, 생체의 일부분으로부터의 맥파를 검출하는 맥파 검출 장치; 맥파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맥파에 기초하여, 맥파의 진행파 성분에 대한 맥파의 반사파 성분의 비율을 나타내는 진폭증가 지수를 판정하여, 이 판정된 진폭증가 지수에 기초하여 생체의 동맥경화를 검사하도록 하는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 맥파 검출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맥파의 파형의 변동에 관한 1 종류 이상의 파형 관련정보를 구하는 하나 이상의 파형 관련정보 획득 장치; 표시 장치; 진폭증가 지수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되는 진폭증가 지수를 표시하도록 표시장치를 동작시키는 진폭증가 지수 표시수단; 및 진폭증가 지수에 더하여, 파형 관련정보 획득장치에 의해 구한 파형 관련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장치를 동작시키는 파형 관련정보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생체 동맥경화 검사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르면, 파형 관련정보 획득 장치는 맥파의 파형 변동에 관한 파형 관련정보를 구하고, 파형 관련정보 표시수단은 진폭증가 지수에 더하여, 이렇게 구한 파형 관련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장치를 동작시킨다. 검사자가 진폭증가 지수에 기초하여 생체의 동맥경화를 검사하는 경우, 검사자는 파형 관련정보를 고려한 상태에서 진폭증가 지수를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검사자는 진폭증가 지수에 기초하여 생체의 동맥경화를 고도의 정확도로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동맥경화 검사장치는, 맥파 검출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맥파의 파형 변동과 각각 관련되는 복수 종류의 파형 관련정보를 각각 구하는 복수의 파형 관련정보 획득장치, 및 진폭증가 지수에 더하여, 복수의 파형 관련정보 획득장치에 의해 구한 복수 종류의 파형 관련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장치를 동작시키는 파형 관련정보 표시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표시장치는 복수 종류의 파형 관련정보 및 진폭증가 지수를 동시에 표시한다. 따라서, 검사자는 복수 종류의 파형 관련정보를 고려한 상태에서 진폭증가 지수를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자는 진폭증가 지수에 기초하여 생체의 동맥경화를 높은 정확도로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파형 관련정보 표시수단은 진폭증가 지수에 더하여, 복수의 파형 관련정보 획득장치에 의해 구한 복수 종류의 파형 관련정보의 다차원 그래픽도를 표시하도록 표시장치를 동작시킨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검사자는 복수 종류의 파형 관련정보를 한눈에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르면, 생체의 일부분으로부터의 맥파를 검출하는 맥파 검출 장치; 맥파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맥파에 기초하여, 맥파의 진행파 성분에 대한 맥파의 반사파 성분의 비율을 나타내는 진폭증가 지수를 판정하는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 맥파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맥파의 파형의 변동에 관한 1 종류 이상의 파형 관련정보를 구하는 하나 이상의 파형 관련정보 획득 장치; 및 파형 관련정보 획득장치에 의해 구한 파형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진폭증가 지수를, 파형 관련정보 획득장치에 의해 구한 파형 관련정보가 사전 설정된 표준값과 동일한 경우에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에 판정되는 보정 진폭증가 지수로 보정하여, 보정 진폭증가 지수에 기초하여 생체의 동맥경화를 검사하도록 하는 보정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을 구비하는 생체 동맥경화 검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태양에 따르면, 파형 관련정보 획득장치는 진폭증가 지수에 영향을 주는 맥파의 파형에 관한 파형 관련정보를 구하고, 보정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은 진폭증가 지수를, 파형 관련정보가 사전설정된 표준값과 동일한 경우에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에 의해 판정되는 보정 진폭증가 지수로 보정한다. 따라서, 보정 진폭증가 지수는 파형 관련정보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아, 검사자가 보정 진폭증가 지수에 기초하여 생체의 동맥경화를 고도의 정확도로 검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과,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형태]
이하, 도면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동맥경화 검사장치 (10) 의 회로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2는, 헝겊 백내에 수용되는 밸트형 헝겊 백 및 고무백을 포함하여, 생체로서 환자의 상완부 (14) 를 권회하는데 이용되는 팽창형 커프를나타낸다. 커프 (12) 는 배관 (20) 을 통하여 압력 센서 (16) 및 압력 제어 밸브 (18) 에 접속된다. 압력 제어 밸브 (18) 는 배관 (22) 을 통하여 공기펌프 (24) 에 접속된다. 이 압력 제어 밸브 (18) 는 공기펌프 (24) 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정하여, 압력이 조정된 공기를 커프 (12) 로 공급하거나 압축 공기를 커프 (12) 로부터 배출시켜, 커프 (12) 의 공기압을 제어한다.
압력 센서 (16) 는 커프 (12) 의 공기압을 검출하여, 그 검출 공기압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 (SP) 를 정압 필터 회로 (26) 및 맥파 필터 회로 (28) 로 공급한다. 정압 필터 회로 (26) 는 압력 신호 (SP) 로부터, 검출 공기압의 정압 성분, 즉, 커프 (12) 의 가압력 (이하, 커프압 (PC) 이라 함) 을 나타내는 커프압 신호 (SC) 를 변별하는 저대역 통과 필터를 구비한다. 필터 회로 (26) 는 도시되지 않은 A/D (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기를 통하여 전자 제어장치 (32) 에 커프압 신호 (SC) 를 공급한다. 맥파 필터 회로 (28) 는 압력신호 (SP) 로부터,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검출 공기압의 진동성분을 나타내는 커프맥파 신호 (SM1) 를 변별하는 대역통과필터를 구비한다. 이 필터회로 (28) 는 도시되지 않은 A/D 변환기를 통하여 제어 장치 (32) 에 커프맥파 신호 (SM1) 를 공급한다. 커프맥파 신호 (SM1) 로 나타내는 진동성분은 커프 (12) 에 의해 가압되는 상완부 (14) 의, 도시되지 않은 상완동맥으로부터 커프 (12) 로 전달되는 상완맥파 (wb) 이다.
본 발명의 동맥경화 검사장치 (10) 는 경동맥파 검출장치로서 기능하는, 도 2에 도시된 압맥파 검출 프로브 (36) 를 구비한다. 압맥파 검출 프로브 (36) 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40) 에 의해, 생체의 목부분 (38) 상에 권회된다. 도 3에 더욱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압맥파 검출 프로브 (36) 는 컨테이너형 센서 하우징 (42); 이 센서 하우징 (42) 을 수용하는 케이스 (44); 및 센서 하우징 (42) 과 나사결합으로 끼워맞추어지고, 케이스 (44) 내에 제공되는, 도시되지 않은 전기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센서 하우징 (42) 을 경동맥 (46) 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공급나사 (48) 를 구비한다. 밴드 (40) 에 의해, 압맥파 검출 프로브 (36) 는 목부분 (38) 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센서 하우징 (42) 의 개구단이 목부분 (38) 의 생체표면 (50) 과 대향하게 된다.
또한, 압맥파 검출 프로브 (36) 는 다이아프레임 (52) 을 통하여 센서 하우징 (42) 의 내측벽에 죄어져 있는 압맥파 센서 (54) 를 구비하며, 이 센서 (54) 는 하우징 (52) 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센서 하우징 (42) 의 개구단 외측으로 전진가능하다. 센서 하우징 (42), 다이아프레임 (52) 등은 서로 공조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펌프 (58) 로부터 압력 제어 밸브 (60) 를 통하여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압력실 (56) 을 형성하여, 압맥파 센서 (4) 가 압력실 (56) 내의 공기압에 대응하는 가압력으로 생체표면 (50) 에 대항하여 가압되도록 한다.
센서 하우징 (2) 및 다이어프레임 (52) 은 서로 공조하여, 경동맥 (46) 에 대하여 압맥파 센서 (54) 를 가압하는 가압 장치 (62) 를 제공하며, 공급 나사 (48) 및 도시되지 않은 모터는 서로 공조해, 경동맥 (46) 의 폭방향으로 압맥파 센서 (54) 를 이동시키는 폭방향 이동장치 (64) 를 제공하여 센서 (50) 가 생체 표면 (50) 상에 가압되는 가압위치를 변경하도록 한다.
압맥파 센서 (54) 는 가압면 (66), 및 경동맥 (46) 의 폭방향, 즉, 공급 나사 (48) 와 평행한, 센서 (54) 의 이동 방향으로, 경동맥 (46) 의 지름보다 큰 길이에 걸쳐 규칙적인 간격으로 가압면 (66) 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반도체 가압 센싱 소자 (E; 이하, "가압 센싱 소자"라 함) 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개의 가압 센싱 소자 (E(a), E(b), ..., E(o)) 가 예를 들면, 0.6mm 의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압맥파 검출 프로브 (36) 는 경동맥 (46) 바로 위에 있는 목부분 (38) 의 생체표면 (50) 에 대하여 가압되어, 압맥파 센서 (54) 가 경동맥 (46) 으로부터 생성되어 신체 표면 (50) 으로 전파되는 압맥파 (즉, 경동맥파 (wc)) 를 검출하도록 하고, 이 검출 경동맥파 (wc) 를 나타내는 압맥파 신호 (SM2) 를 도시되지 않은 A/D 변환기를 통하여 제어 장치 (32) 에 공급하도록 한다. 압맥파 센서 (54) 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압맥파 신호 (SM2) 로 나타내는 경동맥파 (wc) 의 예는 도 5의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동맥경화 검사장치 (10) 는 심전계 (68), 심음 마이크로폰 (70) 및 입력 장치 (72) 를 더 구비한다. 심전계 (68) 는, 부착된 전극 사이에 생체의 심장이 위치되도록 생체의 생체표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전극 (63) 을 구비한다. 심전계 (68) 는 전극 (73) 을 통하여 심근의 활동전위를 검출하고, 도시되지 않은 A/D 변환기를 통하여 제어장치 (32) 에, 그 검출된 활동전위를 나타내는 심전계 신호 (SE) 를 공급한다.
심음 마이크로폰 (70) 은 도시되지 않은 접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도시되지 않은 생체의 가슴에 부착된다. 마이크로폰 (70) 은 생체의 심장으로부터 발생되는 심음을 전기신호, 즉 심음신호 (SH) 로 변환하는, 도시되지 않은 압전소자를 포함한다. 심음 신호 증폭기 (74) 는 도시되지 않은 4 종류의 필터를 구비하며, 이 4 종류의 필터는 공조하여, 큰 에너지를 갖는 로우 피치 성분을 감쇠함으로써 마이크로폰 (70) 으로부터 공급되는 심음 신호 (SH) 의 하이 피치 성분을 증폭하여 필터링한다. 증폭기 (74) 에 의해 증폭되어 필터링된 심음 신호 (SH) 는 도시되지 않은 A/D 변환기를 통하여 제어장치 (32) 에 공급된다.
입력장치 (72) 는 생체의 신장 (T) 을 입력하는 의사 또는 간호사와 같은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키들을 구비한다. 입력장치 (72) 는 입력된 생체의 신장 (T) 을 나타내는 신장신호 (ST) 를 제어 장치 (32) 에 공급한다.
제어 장치 (32) 는 CPU (76; 중앙 처리 장치), ROM (77; 판독전용 메모리), RAM (78;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 도시되지 않은 I/O (입력 및 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소위,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제공된다. CPU (76) 는 RAM (78) 의 임시기억기능을 이용하여, ROM (77) 내에 사전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신호를 처리하고, I/O 포트를 통하여 공기펌프 (24, 58) 및 압력 제어 밸브 (18, 60) 에 구동신호를 공급하여 커프압 (PC) 및 압력실 (56) 내의 압력을 제어한다. 또한, CPU (76) 는 제어장치 (32) 에 각각 공급되는 커프맥파 신호 (SM1), 압맥파 신호 (SM2), 커프압 신호 (SC2), 심전계 신호 (SE), 심음 신호 (SH) 및 신장신호 (ST) 에 기초하여, 혈압치 (BP) 및 진폭증가 지수 (AI) 와 같은 파형 관련정보의 피스를 구하여 판정하며, 이렇게 획득된 정보 및 지수를 표시하도록 표시장치 (79) 를 동작시킨다.
도 6은 동맥경화 검사장치 (10) 의 제어장치 (32) 의 필수 제어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최적 가압위치 판정수단 (80) 은, 소정의 가압 위치 변경조건이 만족되는지, 즉, 모든 소자들 (E) 에 의해 검출되는 각각의 압력들중의 최고압을 검출하는 압맥파 센서 (54) 의 압력 센싱 소자 (E) 들중의 하나 (이하, "최고압 검출 소자 (EM)" 라 함) 가 압력 센싱 소자 (E) 어레이의 소정의 상대 단부들중 하나에 위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소자 (E) 어레이의 각각의 소정의 상대 단부는 소자 (E) 어레이의 상대 단부들중의 대응하는 하나를 포함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범위, 또는 어레이의 상대단부에 위치되는 각각의 소자 (E) 들중의 대응하는 하나를 포함한 소정 개수의 소자 (E) 들을 수용하는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최고압 검출 소자 (EM) 는 경동맥 (46) 바로 위에 위치되는 소자 (E) 들중의 하나이다. 이 가압 위치변경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최적 가압 위치 판정 수단 (80) 은 후속 가압 위치 변경동작을 수행한다. 일단, 가압 장치 (62) 가 압맥파 센서 (54) 를 생체표면 (50) 으로부터 분리이동시킨 후에는, 폭방향 이동 장치 (64) 가 가압 장치 (62) 및 센서 (54) 를 소정의 거리로 이동시킨 다음, 다시 가압 장치 (62) 가, 후술할, 최적 가압력 (HDP0) 보다 작은, 상당히 낮은 소정의 제 1 가압력 (HDP1) 으로 센서 (54) 를 가압한다. 이 상태에서, 다시, 판정수단 (80) 이 소정의 가압 위치 변경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판단한다. 판정수단 (80) 은, 가압 위치 변경조건이 더 이상 만족되지 않을 때까지, 바람직하게는, 최고압 검출 소자 (EM) 가 소자 (E) 어레이의 소정의 중간부분에 위치될 때까지, 상술한 동작 및 판단의 수행을 반복한다. 소자 (E) 들의 어레이 각각의 상대 단부 위치에 대해 적용되는 소자 개수 또는 길이는 압맥파 센서 (54) 에 의해 가압되어질 동맥 (즉, 경동맥 (46)) 의 지름에 기초하여 정해지며, 지름의 1/4 정도가 될 수 있다.
최적 가압 위치 판정수단 (80) 이 압맥파 센서 (54) 를 최적 가압 위치로 위치시킨 후, 가압력 변경 수단 (82) 이 상당히 낮은 소정의 레이트로 연속적으로 또는 생체의 심박마다 응답하여 계단형상으로, 소정의 가압력 범위내에서 가압장치 (62) 에 의해 센서 (54) 에 인가되는 가압력 (HDP; hold-down pressure) 을 변경한다. 가압력 (HDP) 의 변경동안에 구한 경동맥파 (wc) 에 기초하여, 변경수단 (82) 은 최적 가압력 (HDP0) 을 결정하고, 가압 장치 (62) 에 의해 센서 (54) 에 인가되는 가압력을 이렇게 결정된 최적 가압력 (HDP0) 으로 유지시킨다. 여기서, 최적 가압력 (HDP0) 은, 가압력 (HDP) 으로 가압된 최고압 검출 소자 (EM) 에 의해 검출되는 경동맥파 (wc) 의 맥압 (PP; 즉, 경동맥파 (wc) 의 1 심박 동기맥의 최대 크기에서 최소 크기를 감산하여 얻은 차이) 이 소정의 하한맥압 (PPL) 보다 작은 값이 되지 않도록 결정된다. 하한맥압 (PPL) 은 명확한 경동맥파 (wc) 가 검출될 수 있음을 보장하는 값으로서 실험적으로 미리 결정된다. 맥압 (PP) 이 너무 작으면, 명확한 경동맥파 (wc) 가 구해질 수 없다.
커프압 변경 수단 (84) 은 정압 필터 회로 (26) 로부터 공급되는 커프압 신호 (SC) 에 기초하여 압력 제어 밸브 (18) 및 공기 펌프 (24) 를 동작시켜, 환자의최고혈압치 (BPSYS) 보다 더 높은 소정의 상승 목표압 (예를 들면, 180mmHg) 으로 커프압 (PC) 을 급격하게 승압시킨 다음, 소정의 레이트, 예를 들면, 2 또는 3 mmHg/sec 로 커프압을 순차적으로 완만하게 감소시킨다. 혈압치 판정 수단 (86) 이 후술할 바와 같이, 환자의 혈압치 (BP) 를 판정한 후, 변경 수단 (84) 이 대기압으로 커프압을 배압시킨다.
혈압치 판정수단 (86) 은 정압 필터 회로 (26) 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커프압 신호 (SC), 및 맥파 필터 회로 (28) 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커프 맥파 신호 (SM1) 에 기초하여, 커프압 변경 수단 (84) 의 제어하에서 커프압 (PC) 의 완만한 감소 동안에, 잘 알려져 있는 오실로메트릭 방법에 따라 환자의 최고혈압치 (BPSYS), 평균혈압치 (BPMEAN) 및 최저혈압치 (BPDIA) 를 판정한다. 이렇게 판정된 최고혈압치 (BPSYS) 는 상완맥파 (wb) 의 각각의 순차 심박 동기맥의 피크점에 대응한다. 따라서, 최고혈압치 (BPSYS) 가 승압함에 따라, 상완맥파 (wb) 의 각각의 순차 심박 동기맥의 피크점의 크기도 증가한다. 또한, 상완맥파 (wb) 의 각각의 심박 동기맥의 피크점의 크기가 변동함에 따라, 경동맥파 (wc) 의 각각의 심박 동기맥의 피크점 (pc) 의 크기도 변동한다. 따라서, 최고혈압치 (BPSYS) 가 변동함에 따라, 경동맥파 (wc) 의 각각의 심박 동기맥의 피크점 (pc) 의 크기도 변동하고, 이에 따라 경동맥파 (wc) 의 각각의 심박 동기맥의 파형도 변동한다. 따라서, 최고혈압치 (BPSYS) 는 맥파의 파형과 관련되는 일종의 파형 관련정보이고, 혈압치 판정수단 (86) 은 일종의 파형 관련정보 획득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심박수 판정수단 (88) 은 심전계 (68) 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심전계 신호 (SE) 로 나타나는 심전 맥파 (즉, 심전도) 의 2개의 순차 심박 동기맥의 각각의 소정 주기부분 (예를 들면, 각각의 R 파) 사이의 시간간격을 맥주기 (RR (sec)) 로서 판정하고, 이 맥주기 (RR) 의 역수 (즉, 1/RR) 에 60을 곱하여 심박수 (HR (/min) 를 판정한다. 심박수 (HR) 의 변동은 맥파의 2개의 순차 심박 동기맥의 각각의 상승점들 사이의 시간간격의 변동을 나타낸다. 따라서, 심박수 (HR) 가 변동함에 따라, 맥파의 파형 또한 변동한다. 따라서, 심박수 (HR) 는 일종의 파형 관련정보이고, 심박수 판정수단 (88) 은 일종의 파형 관련정보 획득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분출시간 판정수단 (90) 은 대동맥 판막이 개방되어 혈액이 생체의 좌심실로부터 분출되는 분출시간 (ET) 을 반복적 및 간접적으로 판정한다. 도 7은 공통시간축을 따라, 대동맥압, 좌심방압, 좌심실압, 심전도 및 심음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동맥파의 상승점과 디크로틱 노치 (dicrotic notch) 사이의 시간 차이는 분출시간 (ET) 으로서 판정될 수 있다. 한편, 경동맥파 (wc) 의 파형이 대동맥파의 파형과 유사하기 때문에, 경동맥파 (wc) 는 대동맥파를 대신하여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압맥파 센서 (54) 에 의해 연속적으로 검출되는 경동맥파 (wc) 의 상승점과 디크로틱 노치 사이의 시간차이가 분출시간 (ET) 으로 결정된다. 분출시간 (ET) 은, 시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맥파의 진행파 성분의 크기이다. 따라서, 분출시간 (ET)이 변동함에 따라, 맥파의 파형도 변동한다. 따라서, 분출시간 (ET) 은 일종의 파형 관련정보이고, 분출시간 판정수단 (90) 은 일종의 파형 관련정보 획득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사전분출 주기 판정수단 (92) 은 대동맥의 개방, 즉, 혈액의 분출 개시점과 심장 수축시의 개시점 사이에 시간주기인 사전분출 주기 (PEP) 를 간접적으로 판정한다. 예를 들면, 먼저, 사전분출 주기 판정수단 (92) 은, 심전계 (68) 가 심실근의 흥분을 나타내는 파 (Q파, R파, S파) 를 검출할 때의 시간과, 심음 마이크로폰 (70) 이 제 2 심음 Ⅱ의 개시점을 선택할 때의 시간 사이의 시간 (T1) 을 판정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판정된 시간 (T1) 은 사전분출 주기 (PEP) 와 분출시간 (ET) 의 합과 동일하다. 따라서, 사전분출 주기 판정수단 (92) 은 시간 (T1) 에서, 분출시간 판정수단 (90) 에 의해 판정되는 분출시간 (ET) 을 감산하여 사전분출 주기 (PEP) 를 판정한다. 사전분출 주기 (PEP) 는 좌심실의 심근수축 개시점으로부터 혈액의 분출 개시점까지의 시간주기로서, 등용적성 수축시간이라고도 한다. 사전분출 주기 (PEP) 가 증가함에 따라, 혈액의 분출개시시의 압력도 승압하고, 이에 따라 분출 시간이 감소한다. 따라서, 사전분출 주기 (PEP) 가 변동함에 따라, 맥파의 파형도 변동한다. 따라서, 사전분출 주기 (PEP) 는 일종의 파형 관련정보이고, 사전분출 주기 판정수단 (92) 은 일종의 파형 관련정보 획득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신장판정수단 (94) 은 입력장치 (72) 로부터 공급되는 신장신호 (ST) 에 기초하여, 생체의 신체 (T) 를 판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맥파는 진행파 성분과 반사파 성분으로 구성되며, 반사파 성분은 총장골동맥의 분기점에서 주로 발생된다. 신장 (T) 이 가변함에 따라, 맥파가 검출되는 위치와 총장골동맥의 분기점 사이의 거리가 가변하여, 맥파가 검출되는 위치에 반사파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가변한다. 따라서, 신장 (T) 이 가변함에 따라, 진행파와 반사파 성분의 중첩정도가 가변한다. 따라서, 신장 (T) 은 일종의 파형 관련정보이고, 신장 판정수단 (94) 은 일종의 파형 관련정보 획득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 (96) 은, 먼저, 센서 (54) 에 인가되는 가압력 (HDP) 이 최적 가압력 (HDP0) 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압맥파 센서 (54) 의 최고압 검출 소자 (EM) 에 의해 연속적으로 검출되는 경동맥파 (wc) 의 심박 동기맥내에 포함되어 있는 진행파와 반사파 성분 (wi 및 wr) 각각의 피크점 (pi 및 pr) 의 각각의 발생 시점을 판정한다. 다음,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 (96) 은 반사파 성분 (wr) 의 피크점 (pr) 발생 시점에서의 경동맥파 (wc) 의 크기에서, 진행파 성분 (wi) 의 피크점 (pi) 발생 시점에서의 경동맥파 (wc) 의 크기를 감산하여 압력차이 (△P) 를 판정하며, 또한 경동맥파 (wc) 의 심박 동기맥의 최대 크기에서 경동맥파 (wc) 의 심박 동기맥의 최소 크기를 감산하여 맥압 (PP) 을 판정한다. 또한, 판정수단 (96) 은 다음 식 (1) 에 압력차이 (△P) 및 맥압 (PP) 을 대입하여, 진폭증가 지수 (AI) 를 판정한다.
AI = (△P / PP) X 100 (%) -----------(1)
이하, 경동맥파 (wc) 의 진행파 성분 (wi) 의 피크점 (pi) 의 발생시점을 판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경동맥파 (wc) 는 도 5의 파선으로 도시되는 진행파성분 (wi) 을 포함하며, 진행파 성분 (wi) 의 피크점 (pi) 은, 합성 경동맥파 (wc) 의 피크점 (pc) 및 상승점 사이에 발생하는 합성 경동맥파 (즉, 관측 맥파) 의 변곡점 또는 최대점에 대응한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진행파 (wi) 의 피크점 (pi) 이 관측 맥파 (wc) 의 변곡점에 대응한다. 최종적으로, 연속적으로 구해진 압맥파 신호 (SM2) 는 변곡점 또는 최대점을 검출하는 공통처리를 받는다. 여기서, 공통처리는 미분처리 또는 필터 처리가 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반사파 성분 (wr) 의 피크점 발생 시점은 진행파 성분 (wi) 의 피크점 (pi) 에 따른 제 1 최대 크기의 발생시점이다. 따라서, 진행파 (wi) 의 피크점 (pi) 이 경동맥파 (wc) 의 피크점 (pc) 과 일치하지 않는 도 5에 도시된 경우에서는, 경동맥파 (wc) 의 피크점 (pc) 의 발생 시점이 반사파 (wr) 의 피크점의 발생시점으로서 판정된다. 한편, 진행파 (wi) 의 피크점 (pi) 이 매우 커서, 진행파 (wi) 의 피크점 (pi) 이 경동맥파 (wc) 의 피크점을 정의하는 경우에는, 진행파 (wi) 의 피크점 (pi) 에 후속하는 제 1 최대점의 발생 시점은 반사파 (wr) 피크점의 발생 시점으로서 판정된다.
진폭증가 지수 표시수단 (98) 은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 (96) 에 의해 판정되는 진폭증가 지수 (AI) 를 표시하도록 표시장치 (79) 를 동작시킨다.
파형 관련정보 표시수단 (100) 은 상술한 여러 종의 파형 관련정보 획득수단에 의해 구한 각 종의 파형 관련정보를 진폭증가 지수 (AI) 와 함께 표시하도록 표시장치 (79) 를 동작시킨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파형 관련정보 표시수단(100) 은 혈압치 판정수단 (86) 에 의해 판정되는 최고혈압치 (BPSYS), 심박수 판정 수단 (88) 에 의해 판정되는 심박수 (HR), 분출시간 판정수단 (90) 에 의해 판정되는 분출시간 (ET), 사전분출 주기 판정수단 (92) 에 의해 판정되는 사전분출 주기 (PEP) 및 신장 판정수단 (94) 에 의해 판정되는 신장 (T) 을, 진폭증가 지수 (AI) 와 함께 표시하도록 표시장치 (79) 를 동작시킨다. 표시수단 (100) 은 각종 파형 관련정보를 수치 또는 그래픽으로 표시하도록 표시장치 (79) 를 동작시킬 수 있다.
표시장치 (79) 가 진폭증가 지수 (AI) 및 여러 종의 파형관련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기 때문에, 의사나 간호사와 같은 의료인은 진폭증가 지수 (AI) 와 각종 파형 관련정보를 동시에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진폭증가 지수 (AI) 가 파형에 기초하여 판정되기 때문에, 의료인이 각종 파형 관련정보를 동시에 관찰하는 경우, 이 진폭증가 지수 (AI) 에 기초하여, 생체의 동맥경화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발명자 등에 의해 수행되는 실험에 따르면, 진폭증가 지수 (AI) 와 각종 파형 관련정보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진폭증가 지수 (AI) 와 최고혈압치 (BPSYS) 또는 분출시간 (ET) 간은 양의 상관관계이고, 진폭증가 지수 (AI) 와 심박수 (HR), 사전분출 주기 (PEP), 또는 신장 (T) 간은 음의 상관관계이다. 따라서, 측정된 최고혈압치 (BPSYS) 와 측정된 분출시간 (ET) 이 평균값보다 더 높거나 긴 경우, 또는, 측정된 심박수 (HR), 측정된 사전분출 주기 (PEP), 또는 입력되거나 측정된 신장 (T) 이 평균값보다 더 작거나 짧은 경우, 표시장치 (79) 상에 표시되는진폭증가 지수값 (AI) 이, 더욱 정확한 동맥경화 진단을 행할 때의 값보다 좀더 작게 평가되어야 한다. 이와 반대로, 측정된 최고혈압치 (BPSYS) 와 측정된 분출시간 (ET) 이 평균값보다 더 낮거나 짧은 경우, 또는, 측정된 심박수 (HR), 측정된 사전분출 주기 (PEP), 또는 입력되거나 측정된 신장 (T) 이 평균값보다 더 높거나 긴 경우, 표시장치 (79) 상에 표시되는 진폭증가 지수값 (AI) 이, 더욱 정확한 동맥경화 진단을 행할 때의 값보다 좀더 크게 평가되어야 한다.
도 8 및 도 9는 도 6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CPU (76) 의 제어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에서, 먼저, CPU가 단계 S1 (이하에서는 "단계(들)"란 용어는 생략함) 를 수행한다. S1에서, CPU는, 입력장치 (72) 가 생체의 신장 (T) 등을 입력하도록 동작되었지, CPU 가 입력장치 (72) 로부터 신장 신호 (ST) 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긍정적인 판단이 나올 때까지 S1을 반복한다. 한편, S1에서 긍정적인 판단이 나오면, 제어 단계는 신장 판정수단 (94) 에 대응하는 S2로 간다. S2에서, CPU가 입력장치 (72) 로부터 공급되는 신장신호 (ST) 에 기초하여 생체의 신장 (T) 을 판정 또는 식별한다.
다음, 제어 단계는 최적 가압위치 판정수단 (80) 에 대응하는 S3 내지 S5로 간다. 먼저, S3에서, CPU 가 가압장치 (62) 를 동작시켜, 압력실 (56) 내의 압력을 변경하여, 압맥파 센서 (54) 에 인가되는 가압력 (HDP) 을 사전설정된 제 1 가압력 (HDP1) 으로 변경시킨다. 이 제 1 가압력 (HDP1) 은, 각각의 압력 센싱소자 (E) 에 의해 검출되는 각각의 경동맥파 (wc) 의 각각의 S/N 비가 매우 커 이들 경동맥파 (wc) 의 각각의 피크점 (pc) 의 각각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게 보장하는 가압력 (HDP) 으로서 실험적으로 미리 결정된다.
다음, S4에서, CPU는, 가압 위치 갱신 조건 (즉, APS 기동 조건) 이 만족되는지, 예를 들면, 모든 소자 (E) 들에 의해 검출되는 각각의 압력들중 최고압을 검출하는, 가압 센싱 소자 (E) 들중의 한 EM이 소자 (E) 어레이의 소정의 상대단부들중의 하나에 위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 S4에서 부정적인 판단이 나오면, 제어 단계는 후술될 S6으로 간다.
이와 반대로, S4에서, 긍정적인 판단이 나오면, 즉, 경동맥 (46) 에 대한 압맥파 센서 (54) 의 현위치가 부적합하게 나오면, 제어 단계는 S5로 가 APS 제어 루틴을 수행한다. 이 루틴에서, CPU는, 최고압 검출 소자 (EM) 가 소자 어레이의 대략 중간에 위치되는 최적 가압 위치로 센서 (54) 가 이동하도록 동작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CPU는 센서 (54) 를 생체 표면 (50) 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가압장치 (62) 를 동작시키고, 이어서, 가압장치 (62) 와 센서 (54) 를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폭방향 이동장치 (64) 를 동작시킨 다음, 제 1 가압력 (HDP1) 에서 센서 (54) 를 재가압하도록 가압 장치 (62) 를 동작시킨다. 이 상태에서, CPU는, 최고압 검출 소자 (EM) 가 압력 센싱 소자 (E) 어레이의 소정의 중간범위에 위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 긍정적인 판단이 나올 때 까지, 상술한 가압 및 판단 동작을 반복한다.
S5에서, 압맥파 센서 (54) 가 최적 가압 위치에 위치되거나, S4 에서 부정적인 판단이 나오는 경우, 제어 단계는 S6으로 가, 현조건에서 최고압 검출 소자 (EM) 를 식별한 다음, 가압력 판정 수단 (82) 에 대응하는 S7, 즉 HDP 제어 루틴으로 간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CPU는 가압장치 (62) 를 동작시켜, 센서 (54) 에 인가되는 가압력 (HDP) 이 제 1 가압력 (HDP1) 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승압되게 한다. 이러한 가압력 (HDP) 의 승압 동안에, CPU는, S6에서 판정된, 최고압 검출 소자 (EM) 에 의해 검출되는 경동맥파 (wc) 의 맥압 (PP) 이 사전설정된 하한 맥압 (PPL) 보다 큰 최적 가압력 (HDP0) 을 판정하여, 이렇게 판정된 최적 가압력 (HDP0) 으로, 센서 (54) 에 인가되는 가압력 (HDP) 을 유지시킨다.
다음, 제어 단계는 S8로 가, CPU가 압맥파 센서 (54) 의 최고압 검출소자 (EM) 로부터 공급되는 압맥파 신호 (SM2), 심전계 (68) 로부터 공급되는 심전계 신호 (SE), 및 신호 (SE) 로 나타내는 한 R파 검출 시간과 다음 R파 검출 시간 사이의 시간주기 동안에 심음 마이크로폰 (70) 으로부터 공급되는 심음신호 (SH) 를 판독한다. 따라서, CPU는 신호 (SM2), 신호 (SE) 및 신호 (SH) 각각의 1 심박 동기맥을 판독한다. 다음, 제어 단계는 S9로 가, 공기펌프 (58) 를 정지시키고 압력 제어 밸브 (60) 를 동작시켜 센서 (54) 에 인가되는 가압력 (HDP) 이 대기압으로 감소되도록 한다.
다음, 제어 단계는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 (96) 에 대응하는 S10 내지 S13으로 간다. S10에서, CPU는 한 맥의 상승점에 대응하는 시간으로부터 동일맥의 피크점 (pc) 에 대응하는 시간까지 진행하는, S8에서 판독된 경동맥파 (wc) 의 1심박 동기맥의 일부분을 4차미분 처리 또는 분석을 수행하여, 상승점과 피크점 (pc) 사이의 부분에 발생하는 변곡점 또는 최대점을 판정한 다음, 이렇게 판정된 변곡점 또는 최대점의 크기를 진행파 (wi) 의 피크점 (pi) 크기로서 판정한다.
다음, 제어 단계는 S11로 가, CPU 는 S8에서 판독된 경동맥파 (wc) 의 한 맥의 반사파 (wr) 피크점의 발생시점을 판정하여, 이렇게 판정된 반사파 (wr) 피크점의 발생시점에서의 경동맥파 (wc) 의 크기를 판정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S10에서 판정되는 진행파 (wi) 피크점 (pi) 의 크기가, 관찰된 경동맥파 (wc) 의 최대 크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동맥파 (wc) 최대 크기의 발생시점에서의 경동맥파 (wc) 의 크기는 반사파 (wr) 피크점의 발생시점에서의 경동맥파 (wc) 의 크기로서 판정되며, 진행파 (wi) 피크점 (pi) 의 크기가, 관찰된 경동맥파 (wc) 의 최대 크기와 일치하는 경우, 진행파 (wi) 피크점 (pi) 에 따른 제 1 최대 크기의 발생시점에서의 경동맥파 (wc) 의 크기는 반사파 (wr) 피크점의 발생시점에서의 경동맥파 (wc) 의 크기로서 판정된다.
다음, S12에서, CPU는 S8에서 판독된 경동맥파 (wc) 의 한 맥의 맥압 (PP) 을 판정한다. 이후, S13에서, CPU는 S11에서 판독된, 반사파 (wr) 피크점의 발생시점에서의 경동맥파 (wc) 의 크기에서, S10에서 판독된, 진행파 (wi) 피크점 (pi) 의 크기를 감산하여 압력차이 (△P) 를 판정한다. CPU는 이렇게 판정된 압력차이 (△P), 및 S12에서 판정된 맥압 (PP) 을, 식 (1) 로 표현되는 진폭증가 지수 계산공식에 대입하여 진폭증가 지수 (AI; %) 를 판정한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S14 및 그 이후의 단계들을 설명한다. 먼저, 심박수 판정수단 (88) 에 대응하는 S14에서, CPU는 S8에서 판독된 심전계 신호 (SE) 의 2개의 순차 심박 동기맥의 각각의 R파간의 시간간격과 동일한 맥주기 (RR) 를 판정하여, 맥주기 (RR) 의 역수 (1/RR) 에 60을 곱하여 심박수 (HR; /min) 를 계산한다.
다음, 제어단계는 분출시간 판정수단 (90) 에 대응하는 S15로 간다. S15에서, CPU는 S8에서 판독된 경동맥파 (wc) 의 1 심박 동기맥의 디크로틱 노치 및 상승점을 판정하여, 이 디크로틱 노치 및 상승점의 각각의 발생시점간의 시간차이를 분출시간 (ET) 으로서 판정한다.
이후, 제어단계는 사전분출 주기 판정수단 (92) 에 대응하는 S16으로 간다. S16에서, CPU는 S8에서 판독된 심음파형 (즉, 심음도) 의 제 2 심음 Ⅱ의 개시점을 판정하고, 심전도의 R파 발생시점으로부터 이 제 2 심음 Ⅱ 개시점의 발생시점까지의 시간주기 (T1) 를 판정하여, 최종적으로, 이 시간주기 (T1)에서, S15에서 판정된 분출시간 (ET) 을 감산하여 사전분출 주기 (PEP) 를 판정한다.
다음, 제어단계는 S17 내지 S22로 가, 생체의 혈압치 (BP) 를 측정한다. 먼저, S17에서 CPU는 공기펌프 (24) 를 개시하고 압력 제어 밸브 (18) 를 동작시켜, 커프압 (PC) 을 급격하게 승압시키기 시작한다. 이후, S18에서, CPU는 커프압 (PC) 이 상승목표압 (PCM) 을 초과했는지를 판단한다. 커프압 (PC) 의 급격한 승압 동안에 긍정적인 판단이 나올때 까지 S18을 반복한다. 한편, S18에서 긍정적인 판단이 나오면, 제어단계는 S19로 가, 공기펌프 (24) 를 정지시키고압력 제어 밸브 (18) 를 동작시켜, 약 3mmHg/sec 의 레이트로 커프압 (PC) 을 완만하게 감소시키기 시작한다.
다음, 제어단계는 혈압치 판정수단 (86) 에 대응하는 S20 및 S21 로 간다. S20에서, CPU는 커프압 (PC) 의 완만한 감소 동안에 연속적으로 얻어진 커프맥파 신호 (SM1) 로 나타내는 상완 맥파의 순차 심박 동기맥의 각각의 진폭변동에 기초하여, 잘 알려져 있는 오실로메트릭 혈압 판정 알고리즘에 따라 생체의 최고혈압치 (BPSYS), 평균혈압치 (BPMEAN) 및 최저혈압치 (BPDIA) 를 판정한다. 다음, S21에서, CPU는 혈압치 (BP) 의 판정이 S20에서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최저혈압치 (BPDIA) 가 S20에서 최종적으로 판정되기 때문에, S21에서, CPU는 최저혈압치 (BPDIA) 가 판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혈압 판정 알고리즘이 진행되는 동안에, S21에서 긍정적인 판단이 나올 때까지 S20을 반복한다.
한편, S21에서 긍정적인 판단이 나오는 경우, 제어 단계는 S22로 가, 압력 제어 밸브 (18) 를 동작시켜, 커프압 (PC) 을 대기압으로 감소시킨다. 상술한 플로우차트에서는, S17 내지 S19 및 S22가 커프압 변경 수단 (84) 에 대응한다.
다음, 제어단계는 진폭증가 지수 표시수단 (98) 에 대응하는 S23으로 간다. S23에서, CPU는 표시장치 (79) 의 스크린상의 소정의 위치에, S23에서 판정된 진폭증가 지수 (AI) 를 표시하도록 표시장치 (79) 를 동작시킨다. 이후, 제어 단계는 파형 관련정보 표시수단 (100) 에 대응하는 S24로 간다. S24에서, CPU는 S2에서 판정된 신장 (T), S14에서 판정된 심박수 (HR), S15에서 판정된 분출시간(ET) 및 S20에서 판정된 최고혈압치 (BPSYS) 의 각각의 그래픽 표시를 표시하도록 표시장치 (79) 를 동작시킨다. 도 10은 S23 및 S24에서 표시장치 (79) 에 의해 표시되는 레이더차트 (즉, 오각형 그래프) 를 나타낸다. 진폭증가 지수 (AI) 는 레이더차트의 중심부에 표시된다.
상술한 플로우차트를 이용하는 실시형태에서는, S2, S14, S15, S16 및 S20 에서, 제어장치 (32) 가 경동맥파 (wc) 의 파형 또는 형상의 변동에 각각 관련되는 신장 (T), 심박수 (HR), 분출시간 (ET), 사전분출 주기 (PEP) 및 최고혈압치 (BPSYS) 를 판정한다. 또한, 제어장치는 S24 (파형 관련정보 표시수단 (100)) 에서 진폭증가 지수 (AI) 에 더하여, 신장 (T), 심박수 (HR), 분출시간 (ET), 사전분출 주기 (PEP) 및 최고혈압치 (BPSYS) 를 표시하도록 표시장치 (79) 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의료인이 진폭증가 지수 (AI) 에 기초하여, 생체의 동맥경화를 검사하는 경우, 의료인은 생체의 신장 (T), 심박수 (HR), 분출시간 (ET), 사전분출 주기 (PEP) 및 최고혈압치 (BPSYS) 를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인은 진폭증가 지수 (AI) 에 기초하여 동맥경화에 대한 더욱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플로우차트를 이용하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장치 (32) 가 S24 (파형 관련정보 표시수단 (100)) 에서 진폭증가 지수 (AI) 에 더하여, 신장 (T), 심박수 (HR), 분출시간 (ET), 사전분출 주기 (PEP) 및 최고혈압치 (BPSYS) 를 단일 레이더차트에 표시하도록 표시장치 (79) 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의료인은 신장 (T), 심박수 (HR), 분출시간 (ET), 사전분출 주기 (PEP) 및 최고혈압치 (BPSYS) 모두를 한번에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 이용된 소자가 본 실시형태에서 동일소자로 대응하는 경우 동일한 부재번호로 표시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는 도 1에 도시된 장치 (10) 와 상이한 동맥경화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장치의 전자제어장치 (32) 의 필수 제어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 제 2 장치는 제 2 장치의 제어장치 (32) 의 제어 기능에 대해서만 제 1 장치 (10) 와 상이하다. 즉, 제 2 장치의 제어기능들이, 제 1 장치의 제어기능들의 파형 관련정보 표시수단 (100) 및 진폭증가 지수 표시수단 (98) 을 대신하여 보정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 (102) 을 채용하는 점에서, 제 2 장치의 제어장치 (32) 의 제어기능들은 제 1 장치의 제어장치 (32) 의 기능들과 상이하다. 이하, 보정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 (102) 을 설명한다.
보정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 (102) 은, 혈압치 판정수단 (86) 에 의해 판정된 최고혈압치 (BPSYS), 심박수 판정수단 (88) 에 의해 판정된 심박수 (HR), 분출시간 판정수단 (90) 에 의해 판정된 분출시간 (ET), 사전분출 주기 판정수단 (92) 에 의해 판정된 사전분출 주기 (PEP), 및 신장 판정수단 (94) 에 의해 판정된 신장 (T) 이 각각의 사전설정된 표준값과 동일한 경우,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 (96) 에의해 판정되는 진폭증가 지수 (AI) 를 수단 (96) 에 의해 판정될 보정 진폭증가 지수 (AI’) 로 보정한다. 혈압치 판정수단 (86), 심박수 판정수단 (88), 분출시간 판정수단 (90), 사전분출 주기 판정수단 (92) 및 신장 판정수단 (94) 은 각각 일종의 파형 관련정보 획득수단이다. 이하, 보정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 (102) 이 보정 진폭증가 지수 (AI’) 를 판정하는 방법을, 도 12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의 플로우차트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S1 내지 S22와 동일한, 도시되지 않은 22개의 단계를 포함하며, 도 9에 도시된 S23 및 S24를 대신하여 SS23 및 SS24를 채용한다. SS23에서, 제어장치 (32) 또는 CPU (76) 는 S2에서 판정된 신장 (T), S14에서 판정된 심박수 (HR), S15에서 판정된 분출시간 (ET), S16에서 판정된 사전분출 주기 (PEP) 및 S20에서 판정된 최고혈압치 (BPSYS) 각각과, 미리 실험적으로 판정된 각각의 표준값들중 대응하는 하나 사이의 차이를 판정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CPU는 S2에서 판정된 신장 (T) 에서, 신장 (T) 에 대하여 미리 판정된 표준값을 감산하여 신장차이 (△T) 를 판정하고, 이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심박수 차이 (△HR), 분출시간 차이 (△ET), 사전분출 주기 차이 (△PEP) 및 최고혈압치 차이 (△BPLSYS) 를 판정한다. 다음, SS24에서, CPU는 S13에서 판정된 진폭증가 지수 (AI), 및 SS23에서 판정된 신장차이 (△T), 심박수 차이 (△HR), 분출시간 차이 (△ET), 사전분출 주기 차이 (△PEP) 및 최고혈압치 차이 (△BPLSYS) 를, 보정 진폭증가 지수 판정공식을 나타내는 다음 식 (2) 에 대입하여, 보정 진폭증가 지수 (AI’) 를 판정한다.
AI’= AI + a△T+ b△HR+ c△ET+ d△PEP+ e△BPLSYS-------(2)
여기서, a, b, c, d 및 e는 미리 실험적으로 판정되는 상수이다.
식 (2) 로 표현되는 보정 진폭증가 지수 판정공식은 진폭증가 지수 (AI) 를 보정 진폭증가 지수 (AI’) 로 보정하기 때문에, 실제 판정된 신장 (T) 과 같이 실제로 구한 파형 관련정보와 소정의 파형 관련정보 표준값 사이의 차이가 클수록, 진폭증가 지수 (AI) 와 보정 진폭증가 지수 (AI’) 사이의 차이가 크게 된다. 따라서, 식 (2) 에 따라 판정된 보정 진폭증가 지수 (AI’) 는, 파형 관련정보가 표준값과 동일한 경우에 판정되는 진폭증가 지수 (AI) 와 동일하다.
상술한 도 12의 플로우차트를 사용하는 실시형태에서는, SS32 및 SS24 (보정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 (102)) 에서, 제어 장치 (32) 는 진폭증가 지수 (AI) 를 파형 관련정보가 사전설정된 표준값과 동일한 경우에 판정되는 보정 진폭증가 지수 (AI’) 로 보정한다. 따라서, 이 보정 진폭증가 지수 (AI’) 에 기초하여, 동맥경화를 높은 정확도로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이용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다르게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동맥경화 검사장치 (10) 에서는, 경동맥파 (wc) 를 검출하는 압맥파 검출 프로브 (36) 가 맥파 검출장치로서 채용된다. 그러나, 맥파 검출장치는 생체의 상완부, 손목, 대퇴부 또는 발목과 같은, 목부분 (38) 이외의부분에서의 맥파를 검출하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동맥경화 검사장치 (10) 에서는, 5종의 파형 관련정보, 즉, 신장 (T), 심박수 (HR), 분출시간 (HR), 사전분출 주기 (PEP) 및 최고혈압치 (BPLSYS) 가 판정된다. 그러나, 파형 관련정보 종류의 개수는 상술한 개수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한 종류의 파형 관련정보만을 얻을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진폭증가 지수 (AI) 를 판정하는데 이용되는 진폭증가 지수 계산공식 (식 (1)) 의 분모는 맥압 (PP) 이다. 그러나, 분모로서 진폭을 이용하는 공식도 동맥경화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경동맥파 (wc) 의 진행파성분의 피크점 발생시점에서의 경동맥파 (wc) 의 진폭 (즉, 크기) 으로 식 (1) 의 맥압 (PP) 을 대체할 수도 있다.
식 (2) 로 표현되는 보정 진폭증가 지수 계산공식은 다음 식 (3) 에 의해 표현되는 공식으로 대체되어, 보정 진폭증가 지수 (AI’) 를 계산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AI’= (1+ a1△T+ b1△HR+ c1△ET+ d1△PEP+ e1△BPLSYS) X AI -------(3)
여기서, a1, b1, c1, d1및 e1는 미리 실험적으로 판정되는 상수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달리 변형하여 실시형태를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종류의 파형 관련정보 및 진폭증가 지수를 표시장치에 동시에 표시하기 때문에, 검사자는 복수 종류의 파형 관련정보를 고려한 상태에서 진폭증가 지수를 평가할 수 있으므로, 검사자는 진폭증가 지수에 기초하여 생체의 동맥경화를 높은 정확도로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진폭증가 지수에 더하여, 복수의 파형 관련정보 획득장치에 의해 구한 복수 종류의 파형 관련정보의 다차원 그래픽도를 표시하도록 표시장치를 동작시키기 때문에, 검사자가 복수 종류의 파형 관련정보를 한눈에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8)

  1. 생체의 일부분 (38) 으로부터의 맥파를 검출하는 맥파 검출 장치 (54);
    상기 맥파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맥파에 기초하여, 상기 맥파의 진행파 성분에 대한 상기 맥파의 반사파 성분의 비율을 나타내는 진폭증가 지수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된 진폭증가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의 동맥경화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 (96);
    상기 맥파 검출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맥파의 파형의 변동에 관한 1 종류 이상의 파형 관련정보를 구하는 하나 이상의 파형 관련정보 획득 장치 (28, 86; 68, 88; 54, 90; 70, 92; 72, 94);
    표시 장치 (79);
    상기 진폭증가 지수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되는 상기 진폭증가 지수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장치를 동작시키는 진폭증가 지수 표시수단 (98); 및
    상기 진폭증가 지수에 더하여, 상기 파형 관련정보 획득장치에 의해 구한 상기 파형 관련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장치를 동작시키는 파형 관련정보 표시수단 (100)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동맥경화 검사장치 (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맥파 검출장치 (54) 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맥파의 상기 파형 변동과 각각 관련되는 복수 종류의 파형 관련정보를 각각 구하는 복수의 파형 관련정보 획득장치 (28, 86; 68, 88; 54, 90; 70, 92; 72, 94) 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관련정보 표시수단 (100) 은 상기 진폭증가 지수에 더하여, 상기 복수의 파형 관련정보 획득장치에 의해 구한 상기 복수 종류의 파형 관련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장치 (79) 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동맥경화 검사장치 (1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관련정보 표시수단 (100) 은 상기 진폭증가 지수에 더하여, 상기 복수의 파형 관련정보 획득장치 (28, 86; 68, 88; 54, 90; 70, 92; 72, 94) 에 의해 구한 상기 복수 종류의 파형 관련정보의 다차원 그래픽도 (도 10) 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장치 (79) 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동맥경화 검사장치 (10).
  4. 생체의 일부분 (38) 으로부터의 맥파를 검출하는 맥파 검출 장치 (54);
    상기 맥파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맥파에 기초하여, 상기 맥파의 진행파 성분에 대한 상기 맥파의 반사파 성분의 비율을 나타내는 진폭증가 지수를 판정하는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 (96);
    상기 맥파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맥파의 파형의 변동에 관한 1 종류 이상의 파형 관련정보를 구하는 하나 이상의 파형 관련정보 획득 장치 (28, 86; 68, 88; 54, 90; 70, 92; 72, 94); 및
    상기 파형 관련정보 획득장치에 의해 구한 상기 파형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진폭증가 지수를, 상기 파형 관련정보 획득장치에 의해 구한 상기 파형 관련정보가 사전 설정된 표준값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에 판정되는 보정 진폭증가 지수로 보정하고, 상기 판정된 보정 진폭증가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의 동맥경화를 검사하도록 하는 보정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동맥경화 검사장치 (1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진폭증가 지수 판정수단 (102) 에 의해 판정되는 상기 보정 진폭증가 지수를 표시하도록 표시장치 (79) 를 더 구비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보정 진폭증가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의 동맥경화를 검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동맥경화 검사장치 (10).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관련정보 획득 장치 (28, 86; 68, 88; 54, 90; 70, 92; 72, 94) 는 상기 생체의 최고혈압치, 심박수, 분출시간, 사전분출 주기 및 신장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파형 관련정보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생체 동맥경화 검사장치 (10).
  7.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파형 관련정보 획득 장치 (28, 86; 68, 88; 54, 90; 70, 92; 72, 94) 는 상기 생체의 최고혈압치, 심박수, 분출시간, 사전분출 주기 및 신장 중 2 이상의 파라미터를 복수 종류의 상기 파형 관련정보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생체 동맥경화 검사장치 (10).
  8.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파형 관련정보 획득 장치 (28, 86; 68, 88; 54, 90; 70, 92; 72, 94) 는 상기 생체의 최고혈압치, 심박수, 분출시간, 사전분출 주기 및 신장 중 3 이상의 파라미터를 복수 종류의 상기 파형 관련정보로 구하며,
    상기 파형 관련정보 표시수단 (100) 은 상기 진폭증가 지수에 더하여, 상기 3 이상의 파라미터를 각각 나타내는 3 이상의 축을 갖는 레이더 차트 (도 10) 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장치 (79) 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생체 동맥경화 검사장치 (10).
KR1020020061469A 2002-01-18 2002-10-09 동맥경화 검사장치 KR200300630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09612 2002-01-18
JP2002009612A JP3675764B2 (ja) 2002-01-18 2002-01-18 動脈硬化検査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088A true KR20030063088A (ko) 2003-07-28

Family

ID=19191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469A KR20030063088A (ko) 2002-01-18 2002-10-09 동맥경화 검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02754B2 (ko)
EP (1) EP1332715A3 (ko)
JP (1) JP3675764B2 (ko)
KR (1) KR20030063088A (ko)
CN (1) CN1285319C (ko)
TW (1) TW5411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6061B2 (ja) * 2002-03-01 2005-02-02 コーリンメディカル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動脈硬化検査装置
WO2003073931A1 (fr) * 2002-03-05 2003-09-12 Dainippon Pharmaceutical Co., Ltd. Appareil de carte d'electrocardiographie et procede associe
JP2004016746A (ja) * 2002-06-20 2004-01-22 Nippon Colin Co Ltd 循環動態評価装置
JP3587837B2 (ja) * 2002-09-27 2004-11-10 コーリンメディカル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動脈硬化度評価装置
JP2004135733A (ja) * 2002-10-16 2004-05-13 Nippon Colin Co Ltd 生体情報測定装置
JP4517619B2 (ja) * 2002-12-05 2010-08-04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脈波測定装置
JP4590844B2 (ja) * 2003-08-26 2010-12-0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循環器機能判定装置
HU0400426D0 (en) * 2004-02-18 2004-04-28 Illyes Miklos Dr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dynamic characteristic of blood and for complex monitoring of circulatory system
RU2338458C2 (ru) * 2004-02-18 2008-11-20 Миклош ИЙЕШ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измерения гемодинамических параметров
US8956292B2 (en) 2005-03-02 2015-02-17 Spacelabs Healthcare Llc Trending display of patient wellness
JP2008531209A (ja) * 2005-03-02 2008-08-14 スペースラブス メディカル 患者の健康のトレンディングディスプレイ
JP5399602B2 (ja) * 2005-04-22 2014-01-29 フクダ電子株式会社 生体情報出力装置及び方法並びに生体情報レポート
US20080221930A1 (en) 2007-03-09 2008-09-11 Spacelabs Medical, Inc. Health data collection tool
JP4971041B2 (ja) * 2007-06-11 2012-07-11 株式会社デンソー 血圧測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8870780B2 (en) 2008-10-15 2014-10-2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heart function
MX2012004462A (es) 2009-10-16 2012-06-27 Spacelabs Healthcare Llc Tubo de flujo de luz mejorado.
US9604020B2 (en) 2009-10-16 2017-03-28 Spacelabs Healthcare Llc Integrated, extendable anesthesia system
WO2011119512A1 (en) 2010-03-21 2011-09-29 Spacelabs Healthcare, Llc Multi-display bedside monitoring system
WO2012068567A1 (en) 2010-11-19 2012-05-24 Spacelabs Healthcare, Llc Dual serial bus interface
CN103260503B (zh) * 2010-12-08 2015-05-13 欧姆龙健康医疗事业株式会社 血压信息测定装置
CA2825405A1 (en) 2011-01-27 2012-08-0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he circulatory system
US9629566B2 (en) 2011-03-11 2017-04-25 Spacelabs Healthcare Llc Methods and systems to determine multi-parameter managed alarm hierarchy during patient monitoring
US10987026B2 (en) 2013-05-30 2021-04-27 Spacelabs Healthcare Llc Capnography module with automatic switching between mainstream and sidestream monitoring
JP6208526B2 (ja) * 2013-10-15 2017-10-04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生体情報表示装置及び生体情報表示用プログラム
JP6608141B2 (ja) * 2014-01-24 2019-11-20 国立大学法人九州工業大学 健康状態評価支援システム
CN103941873B (zh) * 2014-04-30 2017-05-10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识别方法和设备
US9568354B2 (en) 2014-06-12 2017-02-14 PhysioWave, Inc. Multifunction scale with large-area display
US9546898B2 (en) 2014-06-12 2017-01-17 PhysioWave, Inc. Fitness testing scale
US10130273B2 (en) 2014-06-12 2018-11-20 PhysioWave, Inc. Device and method having automatic user-responsive and user-specific physiological-meter platform
US9943241B2 (en) 2014-06-12 2018-04-17 PhysioWave, Inc. Impedance measureme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9949662B2 (en) 2014-06-12 2018-04-24 PhysioWave, Inc. Device and method having automatic user recognition and obtaining impedance-measurement signals
US9693696B2 (en) 2014-08-07 2017-07-04 PhysioWave, Inc. System with user-physiological data updates
US9498137B2 (en) 2014-08-07 2016-11-22 PhysioWave, Inc. Multi-function fitness scale with display
US10945671B2 (en) 2015-06-23 2021-03-16 PhysioWave, Inc. Determining physiological parameters using movement detection
US10553306B2 (en) 2015-11-20 2020-02-04 PhysioWave, Inc. Scaled-bas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utomatically updating patient profiles
US11561126B2 (en) 2015-11-20 2023-01-24 PhysioWave, Inc. Scale-based user-physiological heuristic systems
US10923217B2 (en) 2015-11-20 2021-02-16 PhysioWave, Inc. Condition or treatment assessment methods and platform apparatuses
US10436630B2 (en) 2015-11-20 2019-10-08 PhysioWave, Inc. Scale-based user-physiological data hierarchy service apparatuses and methods
US10980483B2 (en) 2015-11-20 2021-04-20 PhysioWave, Inc. Remote physiologic parameter determination methods and platform apparatuses
US10395055B2 (en) 2015-11-20 2019-08-27 PhysioWave, Inc. Scale-based data access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es
US10390772B1 (en) 2016-05-04 2019-08-27 PhysioWave, Inc. Scale-based on-demand care system
US10215619B1 (en) 2016-09-06 2019-02-26 PhysioWave, Inc. Scale-based time synchrony
CN109464136B (zh) * 2018-11-29 2020-11-13 东莞市康助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动脉硬度显示方法、系统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11043A1 (en) * 1989-03-24 1990-10-04 Eastern Medical Testing Services, Inc. A method and apparatus for ascertaining the contour of the pressure pulse in the central arteries from the contour of the pressure pulse in the peripheral arteries
JP3533406B2 (ja) * 2001-07-02 2004-05-31 コーリンメディカル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動脈硬化評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02754B2 (en) 2004-03-09
JP3675764B2 (ja) 2005-07-27
CN1432338A (zh) 2003-07-30
CN1285319C (zh) 2006-11-22
EP1332715A2 (en) 2003-08-06
EP1332715A3 (en) 2003-08-13
JP2003210422A (ja) 2003-07-29
TW541159B (en) 2003-07-11
US20030139675A1 (en) 200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63088A (ko) 동맥경화 검사장치
US7029449B2 (en) Arteriosclerosis inspecting apparatus
US6428482B1 (en) Central-artery-pressure-waveform estimating apparatus
EP1426008B1 (en) Blood pressure measuring apparatus
KR100865050B1 (ko) 진폭증가 지수 판정장치 및 동맥경화 검사장치
US6602198B2 (en) Automatic blood-pressure measuring apparatus
EP0378683A1 (en) Automatic sphygmomanometer
US6652465B2 (en) Blood-pressure measurement apparatus capable of heart function assessment
KR20030082369A (ko) 진폭 증가 지수 측정 장치
US20030158489A1 (en) Pressure-pulse-wave detecting apparatus
US6884221B2 (en) Circulatory-organ evaluating apparatus
US6793628B2 (en) Blood-pressure measuring apparatus having augmentation-index determining function
EP1245183A1 (en) Pressure-pulse-wave detecting apparatus
KR20030069035A (ko) 자율신경기능 평가장치
US6669646B1 (en) Arteriosclerosis evaluating apparatus
US7097621B2 (en) Filter for use with pulse-wave sensor and pulse wave analyzing apparatus
KR20030082359A (ko) 진폭 증가 지수 측정 장치
KR20100050890A (ko) 혈압 측정 장치 및 혈압 측정 방법
US20030069490A1 (en) Pulse-wave-characteristic-point determining apparatus, and pulse-wave-propagation-velocity-related-information obtaining apparatus employing the pulse-wave-characteristic-point determining apparatus
JPH06292660A (ja) オシロメトリック式血圧測定装置
JPH0245033A (ja) 血圧モニタ装置
JPH0577416B2 (ko)
JPH11206724A (ja) 血圧計
JP2004016744A (ja) 動脈硬化評価装置
JP2002010985A (ja) 血圧測定装置及び血圧値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