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1567A - 탈수대상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탈수대상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1567A
KR20030061567A KR1020020002186A KR20020002186A KR20030061567A KR 20030061567 A KR20030061567 A KR 20030061567A KR 1020020002186 A KR1020020002186 A KR 1020020002186A KR 20020002186 A KR20020002186 A KR 20020002186A KR 20030061567 A KR20030061567 A KR 20030061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watering
passage part
transfer passage
dehydration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기
Original Assignee
황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기 filed Critical 황성기
Priority to KR1020020002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1567A/ko
Publication of KR20030061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56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수장치의 전반부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위한 탈수대상물 공급장치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탈수장치의 직전에 설치하여 탈수대상물을 탈수장치로 이송하는 것은 물론, 탈수장치에서 본격적으로 탈수과정을 실시하기 이전에 어느정도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예비탈수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지지대(40)상에 설치하되, 대부분의 본체가 천공판재(11a)로써 이루어진 채 가로로 연장된 이송통로부(10)와; 이 이송통로부(10)의 직상부에 고정되어 탈수대상물을 받아 들이기 용이한 도입측 슈트(20)와; 이 이송통로부(10)의 끝단부에 고정되어 탈수대상물을 다음의 탈수장치로 전달하기에 용이한 배출측 슈트(30)와; 상기 이송통로부(10)의 내부를 따라 전진, 후퇴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53)의 로드(54)에 연결된 압송판(52)과, 이 압송판을 포함하는 케이스(51)로 이루어진 압송기구(50); 및 상기 압송기구(5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케이스(51)의 양측면에 설치된 가이드수단(60);으로 구성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탈수대상물 공급장치{Waste Supply Device for Waste Dehydration System}
본 발명은 탈수장치의 전반부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위한 탈수대상물 공급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분을 함유하는 탈수대상물(예컨대, 제품의 원료나 산업폐기물 등)을 탈수장치로 공급하는데 있어서, 공급능력만을 발휘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상물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어느 정도 미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비탈수 수단으로 사용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지, 폐섬유, 폐수지 등 각종 자원을 재활용 하기 위해 재생시키는 재생산업분야라든지, 임의의 제품을 생산하되, 세척을 하는 과정에서 물속에서 건져올리는 원자재라든지, 소각을 위해 탈수과정을 거쳐야 하는 쓰레기 처리분야에서는 필수적으로 탈수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탈수장치는 원심분리식, 유압 압착식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어떠한 형태의 탈수장치라도 탈수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예비탈수수단을 가지는 것이 좋다.
그러나 종래의 탈수장치들은 예비탈수수단을 갖지 못하였거나, 예비탈수수단을 갖고자 하여도 예비탈수를 위해 탈수대상물을 이송하고 반송하는 등의 공정이 추가되므로 탈수 효율이 상승하는 반면에 처리속도가 떨어지고, 이와 같이 추가되는 공정에 맞게 실시수단 및 장치들이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에 시설비가 높아지는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탈수장치의 직전에 설치하여 탈수대상물을 탈수장치로 이송하는 것은 물론, 탈수장치에서 본격적으로 탈수과정을 실시하기 이전에 어느정도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예비탈수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지지대상에 설치하되, 대부분의 본체가 천공판재로써 이루어진 채 가로로 연장된 이송통로부와; 이 이송통로부의 직상부에 고정되어 탈수대상물을 받아 들이기 용이한 도입측 슈트와; 이 이송통로부의 끝단부에 고정되어 탈수대상물을 다음의 탈수장치로 전달하기에 용이한 배출측 슈트와; 상기 이송통로부의 내부를 따라 전진, 후퇴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된 압송판과, 이 압송판을 포함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진 압송기구; 및 상기 압송기구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케이스의 양측면에 설치된 가이드 수단;으로 구성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탈수대상물 공급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탈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압송기구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압송기구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송통로부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이송통로부11 : 연장부재
20 : 도입측 슈트30 : 배출측 슈트
40 : 지지대41 : 물받이
42 : 배수관50 : 압송기구
51 : 케이스52 : 압송판
53 : 유압실린더54 : 로드
60 : 가이드수단61 : 브라켓트
62 : 롤러 어셈브리63 : 지지프레임
64 : 가이드레일
이하 본 발명의 탈수대상물 공급장치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탈수대상물 공급장치를 설치한 실시예의 탈수 시스템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상세 단면도이다.
이는 도면에서 보듯이 도입측 슈트(20)와, 배출측 슈트(30)를 포함하는 이송통로부(10)와, 그 내부에서 작동하는 압송기구(50)로 이루어 진다.
이송통로부(10)는 지지대(40)상에 설치하되, 대부분의 본체가 천공판재(11a)로써 이루어진 것이고, 도입측 슈트(20)는 이 이송통로부(10)의 직상부에 고정되어 탈수대상물을 받아 들이기 용이하도록 되어 있으며, 배출측 슈트(30)는 이 이송통로부(10)의 끝단부에 고정되어 탈수대상물을 다음의 탈수장치로 전달하기에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도입측 슈트(20)와 배출측 슈트(30)는 그 기능이 중요할 뿐 모양과 형태는 중요치 않으며, 특히 전, 후 로 설치될 컨베이어나 탈수장치 등의 구조에 맞게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상기한 이송통로부(10)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상기 이송통로부(10)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천공판재로써 만들어 지며, 전체 구간을 하나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연장부재(11)를 복수로 조립하여 구성한다.
이송통로부(10)의 길이는 탈수대상물이 옮겨지게 되는 바, 그 길이가 길 수록 이송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탈수에 도움이 되는 점과, 설치 장소의 환경에 제약을 받는다는 상반된 점이 예상된다.
둘째, 상기 이송통로부(10)는 탈수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그 내경부 모양을 원형이나 사각형 등 모양을 달리 설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탈수대상물의 성격에 따라 이송저항이나, 이송속도, 등의 영향을 감안하여 설계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이송통로부(10)는 도입측 슈트(20)가 설치된 도입부보다 배출측 슈트(30)가 설치된 배출부가 더 높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설계하는 것이 좋으며, 그 저면에는 떨어지는 물을 효과적을 배출시키기 위해 물받이(41)와, 배수관(4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탈수대상물이 이송되면서 자연적으로 떨어지는 물이 다음 공정의 탈수장치로 보내지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역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편, 압송기구(50)의 가이드수단(60)은 상기 케이스(51)의 좌, 우 측면에서 브라켓트(61)를 이용하여 부착한 롤러 어셈브리(62)와, 이 롤러 어셈브리가 전, 후로 안내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63) 상에 설치한 가이드레일(64)로 구성된다.
이는 유압기구의 큰 힘으로 작동하는 압송기구가 전, 후진 할 때 무리가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의 도면중 미설명 부호 C1은 공급측 컨베이어 시스템이고, C2는 배출측 컨베이어 시스템, D는 탈수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탈수대상물 공급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탈수대상물이 이동되면서 예비탈수가 이루어 진다.
먼저, 이송통로부(10)속에서 일정 주기를 가지고 간헐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이송하여 별도의 동력없이 자연적인 탈수과정이 실시되는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급측 컨베이어 시스템을 통해 도입측 슈트(20)로 탈수대상물이 계속 투입되면, 압송기구(50)가 탈수대상물을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이송통로부(10)속으로 밀어 이송시킨다.
즉, 압송기구(50)가 유압실린더(53)의 로드(54)에 의해 전진하면, 일차 투입된 탈수대상물을 배출측 슈트(30)가 있는 쪽으로 밀어 낸다.
그리고 이와 같이 압송기구(50)가 전진해 있는 동안에는 상기 도입측 슈트(20) 속의 폐기물은 상기 압송기구(50)의 상면에 얹혀 대기 상태로 있다가 압송기구(50)가 후퇴하면 다시 낙하하게 되고 낙하한 폐기물을 다시 압송기구(50)가 밀어 전진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작동을 반복하였을 때, 간헐적이고 지속적인 이송 공급이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탈수대상물 속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이송통로부(10)의 구멍들을 통해 아래로 떨어지며, 떨어지는 물은 물받이(41)를 통해 배수관(42)로 빠져 나갈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탈수대상물 공급장치는 본격적인 탈수장치의 직전에 설치하되, 탈수대상물을 다수의 구멍들을 가진 이송통로부의 속에서 압송기구에 의해 간헐적이면서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송통로부의 상기 구멍들을 통해 대부분의 물이 빠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예비탈수를 위해 별도의 이송공정과 반송공정, 예비탈수기구 등을 마련하지 않아도 충분히 예비탈수가 되기 때문에 탈수에 필요한 시간과, 노력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의 탈수대상물 공급장치는 예비탈수에 영향을 미치는 이송통로부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고, 또 그 내경 모양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탈수대상물에 대해서도 호환성 있게 널리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압송기구는 압송기능에 맞게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고장이 없고, 수명이 오래 갈 수 있어 더 좋은 것이다.

Claims (5)

  1. 지지대(40)상에 설치하되, 대부분의 본체가 천공판재(11a)로써 이루어진 채 가로로 연장된 이송통로부(10)와;
    이 이송통로부(10)의 직상부에 고정되어 탈수대상물을 받아 들이기 용이한 도입측 슈트(20)와;
    이 이송통로부(10)의 끝단부에 고정되어 탈수대상물을 다음의 탈수장치로 전달하기에 용이한 배출측 슈트(30)와;
    상기 이송통로부(10)의 내부를 따라 전진, 후퇴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53)의 로드(54)에 연결된 압송판(52)과, 이 압송판을 포함하는 케이스(51)로 이루어진 압송기구(50); 및
    상기 압송기구(5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케이스(51)의 양측면에 설치된 가이드수단(60);
    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대상물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송통로부(10)는 그 내면모양을 원형으로 하고, 그 내부를 왕복할 압송기구(50)의 압송판(52)을 여기에 상응하는 원형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대상물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송통로부(10)는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그 단면 모양이 일치되는 다수의 연장부재(11)를 조립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대상물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송통로부(10)는 도입측 슈트(20)가 설치된 도입부보다 배출측 슈트(30)가 설치된 배출부쪽이 더 높도록 기울기를 가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대상물 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이드수단(60)은 상기 케이스(51)의 좌, 우 측면에서 브라켓트(61)를 이용하여 부착한 롤러 어셈브리(62)와, 이 롤러 어셈브리가 전, 후로 안내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63)상에 설치한 가이드레일(64)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대상물 공급장치.
KR1020020002186A 2002-01-15 2002-01-15 탈수대상물 공급장치 KR200300615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186A KR20030061567A (ko) 2002-01-15 2002-01-15 탈수대상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186A KR20030061567A (ko) 2002-01-15 2002-01-15 탈수대상물 공급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442U Division KR200275479Y1 (ko) 2002-02-04 2002-02-04 탈수대상물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567A true KR20030061567A (ko) 2003-07-22

Family

ID=32218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186A KR20030061567A (ko) 2002-01-15 2002-01-15 탈수대상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156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1186A (ja) * 1991-11-08 1993-05-28 Ishigaki Mech Ind Co 生ごみの脱水方法並びにその装置
KR950011011U (ko) * 1993-10-14 1995-05-15 고승은 증기침투 직접 가열식 다습 폐기물 탈수장치
KR960009847U (ko) * 1994-09-16 1996-04-12 김민남 탁상용 거울
JPH1052680A (ja) * 1996-08-09 1998-02-24 Masato Eguchi 生ごみ処理方法および処理機
KR19980025489U (ko) * 1996-11-04 1998-08-05 안정오 쓰레기 탈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1186A (ja) * 1991-11-08 1993-05-28 Ishigaki Mech Ind Co 生ごみの脱水方法並びにその装置
KR950011011U (ko) * 1993-10-14 1995-05-15 고승은 증기침투 직접 가열식 다습 폐기물 탈수장치
KR960009847U (ko) * 1994-09-16 1996-04-12 김민남 탁상용 거울
JPH1052680A (ja) * 1996-08-09 1998-02-24 Masato Eguchi 生ごみ処理方法および処理機
KR19980025489U (ko) * 1996-11-04 1998-08-05 안정오 쓰레기 탈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S356890A3 (en) Continuously and automatically working apparatus for dewatering sludge, particularly after clarification
WO2010107162A1 (en) Organic waste treatment device using high pressure-inducing screw and housing having slits
UA90096C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л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08649092U (zh) 一种污泥成型机
KR200275479Y1 (ko) 탈수대상물 공급장치
US4062779A (en) Apparatus for thickening and extracting the liquid from a sludge
KR20030061567A (ko) 탈수대상물 공급장치
KR1003379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62888B1 (ko) 슬러지 탈수 장치
CN207094631U (zh) 一种垃圾压干焚烧装置
JP3138283B2 (ja) し渣搬送装置
CN113795322B (zh) 筛装置及处理系统
KR100358860B1 (ko) 슬러지 탈수장치
CN212285274U (zh) 一种含特殊输送带的挤压设备
KR200270984Y1 (ko) 산업폐기물의 탈수장치
KR20140014562A (ko) 고형물 수분감량장치
KR100307668B1 (ko) 롤러집약형슬러지고압탈수장치
KR20030061566A (ko) 산업폐기물의 탈수방법 및 탈수장치
JPH03268897A (ja) スクリーン渣の脱水方法
US5875707A (en) Dewatering press
KR950001025Y1 (ko) 폐기슬러지 탈수장치의 탈수구조
KR100246812B1 (ko) 벨트압축 탈수장치
KR19980028706A (ko) 쓰레기 탈수장치
CN220114077U (zh) 一种垃圾处理用干湿分离装置
JPH04294899A (ja) スクリーン渣脱水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