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0615A -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 Google Patents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0615A
KR20030060615A KR1020020001387A KR20020001387A KR20030060615A KR 20030060615 A KR20030060615 A KR 20030060615A KR 1020020001387 A KR1020020001387 A KR 1020020001387A KR 20020001387 A KR20020001387 A KR 20020001387A KR 20030060615 A KR20030060615 A KR 20030060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lectric wire
electric
demolition
power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7376B1 (ko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1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376B1/ko
Publication of KR20030060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전주에 연결 배선된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과 경과지 변경공사에 있어서, 별도의 바이패스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도 각 전주에 설치되는 전선 이선기구를 이용하여 신, 구 전선간의 바이패스에 의한 순차적 전기의 분리연결에 의해 무정전으로 전선 교체 및 전주교체와 전주이설과 경과지 변경공사를 할 수 있도록 하되, 한번의 전선이선기구 설치작업 및 이선작업에 의해 다수의 전선을 무정전으로 교체 및 이설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에 관한 것으로,
전선이선기구를 설치하는 전선이선기구 설치공정과, 전선이선기구에 의해 철거전선을 다른 곳으로 옮겨 교체 및 이설전선의 설치공간을 확보하는 전선이선공정과, 전선연선기구 설치공정과, 전선연선기구에 의해 새로운 전선을 설치하는 공정과, 설치전선과 철거전선의 연결에 의한 바이패스로 정전없이 철거전선의 전기를 차단하는 전주내 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에 있어서,
전선이선기구를 일측에만 설치하여 일측전선만 타측으로 이선시킨 후, 그 해당 교체전선을 전기한 무정전 배전공법으로 전선을 교체하되, 나머지 교체전선은 별도의 이선공정이 없이 전기한 기 이선전선을 바이패스선으로 활용하여 전기한 전선연선기구 설치공정과 설치전선 설치공정과 철거전선 철거공정과 바이패스에 의한 무정전 연결공법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서,
신,구 전선의 교체 및 이설 작업시 한번의 전선 이선기구 설치작업과 이에의한 전선이선작업에 의해 다수의 전선을 교체 및 이설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wire-changing device inside of electric pol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본 발명은 각 전주에 연결 배선된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과 경과지 변경공사에 있어서, 별도의 바이패스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도 각 전주에 설치되는 전선 이선기구를 이용하여 신, 구 전선간의 바이패스에 의한 순차적 전기의 분리연결에 의해 무정전으로 전선 교체 및 전주교체와 전주이설과 경과지 변경공사를 할 수 있도록 하되, 한번의 전선이선기구 설치작업 및 전선이선작업에 의해 다수의 전선을 무정전으로 교체 및 이설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수요의 급증에 따라 이에 대응한 전력설비가 계속 확충되고 있으며, 전력 사용자의 전기품질에 대한 요구수준이 높아지면서 순간의 정전도 민원의 대상이 되어 보상청구등의 전기 사용자의 집단행동과 소송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서 배전공사시에 양질의 전력공급을 위해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는 무정전 공법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무정전 공법에 의한 배전공사는, 이동용 변압기차공법, 바이패스(By-pass)케이블 공법, 공사용 개폐기 공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은 케이블차와 작업구간에 필요한 케이블, 공사용 개폐기, 이동용 변압기차, 활선바켓트럭 및 활선작업용 공기구 일체를 갖추고, 바이패스케이블을 설치하여 전력의 공급을 바이패스되게 한 후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작업을 실시하고 다시 바이패스케이블을 철거하여야 배전공사가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배전선로 전기용량이 5,000KVA를 초과하는 배전선로는 기존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을 적용한 작업시에 기존 케이블 공법용 케이블의 허용용량이 5,000KVA이하이기 때문에 배전선로의 용량을 5,000KVA이하로 줄이기 위하여 타 배전선로로 전력부하를 절체하는데 따른 많은 시간과 인건비가 낭비되고, 효과적 배전선로의 계통운영에도 심각한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한 전주에 상하 2회선 이상의 배전선로는 상단 배전선로의 무정전작업을 현행 무정전 공법으로는 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기한 배전공사에는 많은 공사인력이 필요하고, 50m로 규격화되어 있는 바이패스케이블을 200∼300m 구간에 설치하기 위해 대단히 위험한 특별고압의 접속점을 많이 만들게 되어 접속불량과 접속점의 방호장치등을 사용하여야 되고, 설치와 철거를 자주 반복하므로서 많은 인건비의 낭비와 바이패스 케이블의 손상이 가속되어 안전을 더욱 위협하는 위험물이 되고, 안전사고나 불시 정전사고가 난다면 고가의 비용으로 전기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에 반하여 더 많은 민원과 경제적 손실 및 인명피해를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리한 부하 절체작업으로 불안한 배전선로 계통운영과 2회선 이상의 배전선로의 상단선로는 무정전공법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001년 특허출원 제32587호 와 같이, 전주내 전선 이선기구 및 전선연선기구를 이용하여 전주내에서 신구 교체 및 이설전선간의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가며 신구 전선간의 전기의 분리 연결에 의해 별도의 바이패스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기가 끊기지 않는 무정전으로 신구전선을 교체 및 이설할 수 있는 공법을 제공하여 전력부하 절체작업없이 2회선 이상의 상단 배전선로의 무정전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전력품질의 향상과 또한 이동용 변압기차 공법을 변압기 교체시외에는 사용하지 않는 신기술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안전한 공사가 가능하게 하며 공사중이더라도 바이패스 케이블로 인한 보행자의 보행이나 차량 통과에 지장을 주지 않게 한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을 고안 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주내 전선 이선기구 및 전선연선기구를 이용하여 전주내에서 신구 교체 및 이설전선간의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가며 신구 전선간의 전기의 분리 연결에 의해 신구전선을 교체 및 이설할 수 있는 공법은,
교체 및 이설코저 하는 전선마다 전선 이선기구 및 연선기구를 설치하여 작업 후 다시 철거하는 공법이지만 한번의 전선이선으로 다수의 전선을 교체 및 이선할 수 있는 공정에도 전선이선작업을 반복하므로서 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설치전선과 철거전선의 연결에 의한 바이패스로 정전없이 철거전선의 전기를 차단하는 전주내 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에 있어서, 전선이선기구를 일측에만 설치하여 일측전선만 타측으로 이선시킨 후, 그 해당 교체전선을 전기한 무정전 배전공법으로 전선을 교체하되, 나머지 교체전선은 별도의 이선공정이 없이 기 이선전선을 바이패스선으로 활용하여 전선연선기구 설치공정과 설치전선 설치공정과 철거전선 철거공정과 바이패스에 의한 무정전 연결공법을 반복수행하여 신,구 전선의 교체 및 이설 작업시 한번의 전선 이선기구 설치작업과 이에 의한 이선작업에 의해 다수의 전선을 교체 및 이설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무정전 배전공법 중 전선이선기구를 설치한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의 무정전 배전공법 중 전선이선기구에 의한 전선이선공정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의 무정전 배전공법 중 신전선을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공정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의 무정전 배전공법 중 이미 전선이선기구에 의해 이선 된 구전선과 두번째 작업할 구전선을 연결하여 작업하는 공정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의 무정전 배전공법 중 이미 전선이선기구에 의해 이선 된 구전선과 세번째 작업할 구전선을 연결하여 작업하는 공정 설명도.
도 6 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인류주 및 내장주용 전선이선기구의 실시예도
도 7 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핀장주용 전선이선기구의 실시예도
도 8 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완금연장용 전선이선기구의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완금 2 : 핀장주용 전선이선기구
3 : 내장주 및 인류주용 전선이선기구
4 : 철거전선 5 : 신전선
6 : 구전선7 : 완금연장용 전선이선기구
이하, 전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기술수단을 첨부도면의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무정전공법에 의한 배전공법은 임시송전공법인 바이패스 케이블공법을 사용하지 않고 전선이선기구만을 사용하는 신기술로서, 이때 전주내에서 전선을 이선키 위한 기구는, 완금에 고정키 위한 지지판과 고정볼트로 되는 완금고정수단과, 전선이선용 롤러와 아암체로 된 전선이선수단과, 완금연장용 보조암과, 전선이선수단을 완금고정수단에 축설하여 아암체가 회전 신축자재되게 하기 위한 아암고정구, 축봉과 축파이프, 축지지용클램프, 위치고정구로 되는 축회전 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선이선기구를 그 용도별로 구체적으로 보면,
도 6 은 현수애자가 설치된 인류주 및 내장주에 설치할 목적으로 된 전선이선기구(3)의 실시예이다.
완금고정수단(10)의 ㄷ자형 지지판(11)(11')을 양측으로 형성하고, 그 하측에 고정볼트(12)를 나사삽입한다.
전선이선수단(20)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2단으로 형성된 절연재질의 아암체(23)(23') 상단에 일측부가 전개가능한 롤러(21)(21')를 설치하고, 상하아암체(23)(23')의 연결부는 높이조절용 클램프(24)로 결합 형성하고, 높이 조절 클램프(24) 측면에 활선장선기용 고리(22)(22')를 형성한다.
축회전수단(30)은, 클램프(31c)가 형성된 원통체상의 아암고정구(31) 양측에 각각 축봉(32)과, 내부면에 스플라인(33s)이 형성된 축파이프(33)를 용착 형성하고, 이를 지지판(11)(11')의 상부에 결합 형성된 축지지용 클램프(34)에 삽입되게 하되, 축파이프(33)측에는 외주면에 스플라인(35s)과 플랜지(35f)가 형성된 위치고정구(35)를 삽입되게 하고, 지지판(11)의 측면에 위치고정구 지지수단(11s)과 위치고정구 안전핀(11b)이 설치된 것이다.
도 7 은 핀장주에 사용될 목적의 전선이선기구(2)의 실시예이다.
완금고정수단(10)의 ㄷ자형 지지판(11)을 일측으로만 형성하고, 그 상부에 형성된 축회전수단(30)은 축지지부(36)에 스토퍼(37)에 의해 일정구간 회전가능한 스프링이 내장된 축봉(38)을 삽입하여 그 선단에 절연재질의 아암체(23) 결합용 패드(39p)가 부착된 클램프(39)를 장착한다.
도 8 는 전선이선기구를 완금 외측에서 사용하기 위해 완금을 외측으로 연장하는 보조아암으로 된 전선이선기구(7)의 실시예도이다.
그 완금연장용 전선이선기구(7)는 완금용 지지판(41)과 삽입구(42) 및 완금고정용 핀(45)(45')으로 된 결합부와, 활선 장선기용 고리(44)와 LP애자용 구멍(46)이 형성된 절연재질의 연장아암(43)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된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본 발명의 무정전배전공법을 공정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그 배전공법을 요약해보면, 도 1 의 도시와 같이 인류주와 내장주와 핀장주의 완금상에 인류주용 및 내장주용 핀장주용 전선이선기구(2)(3)를 각각 설치하는 전선이선기구 설치공정과,
도 2의 도시와 같이 전선이선기구(2)에 의해 철거전선(4)을 완금(1) 및 완금연장수단의 다른 공간으로 이동시켜 교체 및 이설전선의 설치공간을 확보하는 전선이선공정과,
이선된 전선의 활선을 방호하고 핀장주의 LP애자상부에 전선연선기구를 설치하는 공정과,
도 3의 도시와 같이 활선이 방호되고 확보된 전선 설치공간 및 LP애자의 상부에 설치된 연선기구에 설치전선의 연선과 긴선을 실시하여 새로운 신전선(5)을 설치하는 전선 설치공정과,
설치전선과 철거전선(4)의 연결에 의한 바이패스로 정전없이 철거전선(4)의 전기를 차단하는 전주내 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에 있어서,
전선이선기구(2)를 일측에만 설치하여 일측전선만 타측으로 이선시킨 후, 그 해당 교체전선을 전기한 무정전 배전공법으로 전선을 교체하되,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나머지 교체전선은 별도의 전선이선공정이 없이 전기한 기 이선전선을 바이패스선으로 활용하여 전기한 전선연선기구 설치공정과 설치전선 설치공정과 철거전선 철거공정과 바이패스에 의한 무정전 연결공법을 반복하여 수행한 후, 바이패스선으로 사용한 철거전선(4)을 철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공정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완금(1)상 내장주 및 인류주에는 완금연장용 전선이선기구(7)와 내장주 및 인류주용 전선이선기구(3) 또는 점퍼선처리 필요시 핀장주용 전선이선기구(2)를 설치하고, 핀장주에는 완금연장용 전선이선기구(7)와 핀장주용 전선이선기구(2)를설치하여 철거전선(4)을 일측으로 이선하여 새로운 전선(5)의 설치공간을 확보하여 새로운 전선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새로운 전선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 아직 전류가 살아 있는 활선상태인 철거전선과 새로운 전선을 서로 연결하여 바이패스시킨 후 그 사이에 분기선로나 변압기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를 새로운 설치전선에 연결하여 무정전으로 전력공급을 하면서 점퍼용 바이패스 케이블과 COS용 바이패스 케이블을 사용하여 분기선로나 변압기 등을 무정전 공급처리한다.
이와같이 준비작업이 완료되면 철거전선(4)을 전원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전기를 차단하는 첫번째 전선의 무정전 전기 분리공정이 완료된다.
첫번째 전선의 교체작업이 완료되면, 전선이선기구에 의해 이선되어 있는 철거전선을 다시 다음 작업할 전선에 연결하여 바이패스 시킨 후, 구전선을 신전선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전선이선기구에 의해 처음 이선된 철거전선을 이용하여 다수의 전선들을 교체한 후에 철거전선을 철거하고, 전주에 설치되어 있던 전선이선기구들을 철거하므로서 무정전상태의 전선교체 및 전주교체와 전주이설과 경과지변경공사작업이 모두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각 전주에 연결 배선된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과 경과지 변경공사에 있어서, 전주내의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하여 활선상태에서 교체및 이설할 전선을 옮기고 그 자리에 새전선을 설치한 후 별도의 바이패스케이블이 필요없이 전류를 바이패스되게 하므로서 무정전상태에서 전선교체 및 전주교체와 전주이설과 경과지변경공사를 매우 안전하면서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고,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을 적용한 시공을 하기 위한 대용량 배전선로의 부하 절체작업을 무리하게 하지 않아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배전선로의 계통운영을 할 수 있고, 특히 2단 이상의 배전선로 상단선로에 대한 무정전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전력품질의 향상 뿐만 아니라 변압기 교체작업 등과 같이 이동용 변압기차 공법을 필요시에만 적용할 수 있게 되어 획기적으로 공사비가 절감되면서도 보행자나 통과차량에 대하여 케이블 설치로 인한 지장을 주지 않아 민원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번의 전선이선기구의 설치 및 전선이선작업에 의해 다수 전선의 교체 및 이설이 가능케 하므로서 작업 시간과 인력의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선이선기구를 설치하는 전선이선기구 설치공정과,
    전선이선기구에 의해 철거전선을 다른 곳으로 옮겨 교체 및 이설전선의 설치공간을 확보하는 전선이선공정과,
    전선연선기구 설치공정과,
    전선연선기구에 의해 새로운 전선을 설치하는 공정과,
    설치전선과 철거전선의 연결에 의한 바이패스로 정전없이 철거전선의 전기를 차단하는 전주내 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에 있어서,
    전선이선기구를 일측에만 설치하여 일측전선만 타측으로 이선시킨 후, 그 해당 교체전선을 전기한 무정전 배전공법으로 전선을 교체하되,
    나머지 교체전선은 별도의 전선이선공정이 없이 전기한 기 이선전선을 바이패스선으로 활용하여 전기한 전선연선기구 설치공정과, 설치전선 설치공정과, 철거전선 철거공정과, 바이패스에 의한 무정전 연결공법을 반복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2002-0001387A 2002-01-10 2002-01-10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0407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387A KR100407376B1 (ko) 2002-01-10 2002-01-10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387A KR100407376B1 (ko) 2002-01-10 2002-01-10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615A true KR20030060615A (ko) 2003-07-16
KR100407376B1 KR100407376B1 (ko) 2003-11-28

Family

ID=3221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387A KR100407376B1 (ko) 2002-01-10 2002-01-10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3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134B1 (ko) * 2004-09-10 2006-12-08 태형전기(주)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
KR100842282B1 (ko) * 2007-01-03 2008-06-30 주식회사 동해 무정전 바이패스 주상 배전장치 및 방법
KR100844037B1 (ko) * 2006-08-24 2008-07-04 주식회사 평일 무정전 공법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케이블 교체방법
WO2012015160A1 (ko) * 2010-07-26 2012-02-02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251B1 (ko) 2005-09-09 2007-05-29 (주)한백 지상변압기용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KR100864966B1 (ko) * 2006-04-24 2008-10-22 에스엠 종합개발 주식회사 전선의 교체방법
KR102120585B1 (ko) 2019-04-11 2020-06-08 이덕환 무정전 공사용 상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315B1 (ko) * 1997-10-02 2001-09-17 이종훈 활선가공지선설치기구및설치공법
KR200238070Y1 (ko) * 1999-01-20 2001-10-27 이상철 활선 가설용 케이블 지지장치
KR200173079Y1 (ko) * 1999-09-18 2000-03-15 백운혁 활선 롤러
JP2001186616A (ja) * 1999-12-24 2001-07-06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架空電線のバイパス工法
KR100355492B1 (ko) * 2001-06-11 2002-10-14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200252786Y1 (ko) * 2001-06-12 2001-11-16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134B1 (ko) * 2004-09-10 2006-12-08 태형전기(주)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
KR100844037B1 (ko) * 2006-08-24 2008-07-04 주식회사 평일 무정전 공법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케이블 교체방법
KR100842282B1 (ko) * 2007-01-03 2008-06-30 주식회사 동해 무정전 바이패스 주상 배전장치 및 방법
WO2012015160A1 (ko) * 2010-07-26 2012-02-02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7376B1 (ko) 200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04197B2 (en) Wire-changing device inside of electric pol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AU2002304197A1 (en) Wire-changing device inside of electric pol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KR101103553B1 (ko) 간격유지용 절연 가이더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
WO2018128269A1 (ko) 절연활선장선기와 바이패스점퍼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주 경간내 전선을 분리하여 사선상태에서 구간내 작업을 하는 무정전 배전공법
KR101122499B1 (ko)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US20170338633A1 (en) Quick connect and disconnect cable junction box
KR100407376B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0355492B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2631021B1 (ko) 선로 작업 방법
KR100479320B1 (ko) 가공 임시선을 이용한 단상선로의 무정전 배전공법
KR200252786Y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CN103825222B (zh) 一种带电更换220kV窄基塔耐张绝缘子串用工具
AU2015249876B2 (en) Temporary transfer bus
KR20100036065A (ko) 활선상태에서 배전선로의 교체시공방법
CN105514868A (zh) 一种熔丝具上引线绝缘固定支架
CN111342282B (zh) 内装螺栓电缆转接装置
CN111403974B (zh) 螺旋式电缆转接装置
CN203014267U (zh) 跨马式直路卡具
CN114362041B (zh) 直线杆改耐张杆的方法及直线杆改耐张杆金具
CN102969672B (zh) 跨马式直路卡具
CN111313318A (zh) 一种跳线间隔棒带电消缺装置
CN111342448A (zh) 内芯卡盘电缆转接装置
CN111342447A (zh) 新型旁路电缆作业在配网线路环网柜中的应用
CN105703272A (zh) 一种可带电安装、拆卸及更换直线托线器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