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9858A -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9858A
KR20030059858A KR1020020000152A KR20020000152A KR20030059858A KR 20030059858 A KR20030059858 A KR 20030059858A KR 1020020000152 A KR1020020000152 A KR 1020020000152A KR 20020000152 A KR20020000152 A KR 20020000152A KR 20030059858 A KR20030059858 A KR 20030059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ojection
memory
helper devic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0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식
Original Assignee
김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식 filed Critical 김효식
Priority to KR1020020000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9858A/ko
Priority to AU2002239141A priority patent/AU2002239141A1/en
Priority to PCT/KR2002/000460 priority patent/WO2003056435A1/en
Publication of KR20030059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985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프로젝션으로 출력하는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에 있어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제 1 메모리; 상기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는 USB 콘트롤러; 상기 USB 콘트롤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제 2 메모리; 상기 제 1메모리에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 제어부; 상기 중앙 제어부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아 그래픽 포트로 출력하는 그래픽 콘트롤러; 상기 제 1 메모리, USB 콘트롤러, 제 2 메모리, 중앙 제어부 및 그래픽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컴퓨터로 부터 USB 콘트롤러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받아 제 2 메모리에 저장한 후, 이를 처리하여 그래픽 콘트롤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보다도 가볍고 휴대하기에 편리하며 저가의 프로젝션 기능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방법{PROJECTION HELPER DEVICE AND PORJE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로부터 USB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한 후 이를 그래픽 콘트롤러를 통하여 프로젝션으로 출력하는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제안회의 혹은 영업회의 등에서 프로젝션을 이용하여 프리젠테이션을 하는 것이 국내외에서의 일반적인 추세이다. 예를 들면 미국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파워 포인트로 회의 내용을 작성하여 이를 노트북이나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에 입력하여 프로젝션을 연결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노트북이나 개인용 컴퓨터는 휴대하기에 불편할뿐만 아니라 비용면에 있어서도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안된 것으로, 컴퓨터로부터 USB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한 후 이를 그래픽 콘트롤러를 통하여 프로젝션으로 출력하는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를 이용한 프로젝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 110... 제 1 메모리
112... 제 2 메모리 120... 리모콘 수신부
130... D/A 변환기 140... A/D 변환기
150... 그래픽 콘트롤러 160... USB
170... 중앙 제어부 180... 전원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는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프로젝션으로 출력하는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에 있어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제 1 메모리; 상기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는 USB 콘트롤러; 상기 USB 콘트롤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제 2 메모리; 상기 제 1메모리에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 제어부; 상기 중앙 제어부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아 그래픽 포트로 출력하는 그래픽 콘트롤러; 상기 제 1 메모리, USB 콘트롤러, 제 2 메모리, 중앙 제어부 및 그래픽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컴퓨터로 부터USB 콘트롤러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받아 제 2 메모리에 저장한 후, 이를 처리하여 그래픽 콘트롤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제어부로 부터 상기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디지털 데이타를 음성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A/D 변환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부터 음성 아날로그 데이터를 입력받아 음성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 2 메모리로 저장하는 D/A 변환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부를 무선으로 온/오프하고, 상기 그래픽 콘트롤러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전환하는 리모콘 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지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는 메모리(110,112), USB 콘트롤러(160), 중앙 제어부(170), 그래픽 콘트롤러(150),전원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모리(110,11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중앙 제어부(170)가 처리할 데이터가 저장되는 구성요소이다.
롬(110)은 컴퓨터의 전원이 꺼지더라도 데이터를 잃지 않는 특성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그램은 하기에서 설명할 중앙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컴퓨터로 부터 USB 포트(162)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를 처리하여 그래픽 콘트롤러(150)로 전송한다.
플래시 메모리(112)는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블록단위로 내용을 지울 수도 있고, 다시 프로그램 할 수도 있으므로 속도가 빠르고 수정이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 다른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를 활용하여 프로젝션을 통하여 출력될 데이터 저장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래시 메모리에 보다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이미지를 저장시 압축하고 복원하여 프로젝션에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32 MB 정도의 메모리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래픽이 포함된 데이터인 경우에는 64 MB 이상의 메모리를 장착하는 것이 더 바람직 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에 따라서는 메모리 모듈을 추가(8MB배수)로 설치함으로써 메모리를 일정 수준까지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USB (Universal Serial Bus)콘트롤러(160)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100) 외부의 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한 USB 포트(162)를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USB는 직렬 포트의 일종으로서, 오디오플레이어, 조이스틱, 키보드, 전화, 스캐너 및 프린터 등과 같은 주변기기와 컴퓨터 간의 플러그 앤 플레이 인터페이스로서, 직렬 포트보다 더 빠르고, 연결하기 편리하다. USB는 12 Mbps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지원하고 PC를 사용하는 도중에 연결해도 인식을 하며, 주변기기의 전원이 필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100)는 USB 포트(162)를 통하여 컴퓨터와 통신하는 경우에는, 프로젝션으로 출력할 각종 데이터(파워 포인트를 사용하여 작성한 파일 등)를 컴퓨터에서 프린터하는 방식으로 USB 포트(162)로 데이터를 다운 로드 받을 수 있다.
USB 포트(162)에 접속되는 컴퓨터에는 USB 포트(162)를 통하여 데이터를 다운 로드 받을 수 있는 윈도우용 드라이버(Driver)를 탑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라이버는 데이터의 다운로드시 적합한 자료 형식으로 압축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USB 주변장치 버스 표준은 인텔, 컴팩, IBM, DEC, 마이크로소프트, NEC, 노던 텔레콤 등의 기업에 의해 개발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와 컴퓨터간 인터페이스로 USB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비용부담없이 컴퓨터와의 접속에 있어서 높은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중앙 제어부(170)는 상기 롬(110)에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램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하기에서 설명할 그래픽 콘트롤러로 전송한다.
그래픽 콘트롤러(150)는 상기 중앙 제어부(17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아 그래픽 포트(152)로 출력한다. 그래픽 포트(152)는 전송받은 데이터(문서, 이미지 등)를 출력할 프로젝션과 접속한다.
그래픽 콘트롤러(150)는 메모리 내의 문자나 그래픽 패턴(비트맵)을 화면을 재생시키는 데 사용되는 신호로 변환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어떤 그래픽 콘트롤러를 쓰느냐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최대 해상도와 재생주기 그리고 표현할 수 있는 색상 수가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그래픽 콘트롤러로는 CGA (Color Graphics Adapter), EGA (Enhanced Graphics Adapter), VGA (Video Graphics Array)등이 있으며, 특히, VGA는 많은 컴퓨터 제작업체들에게 최소한의 표준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고, 모든 IBM PC 호환기종은 VGA 표준을 지원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콘트롤러(150)로는 VGA 모드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VGA는 640×480의 해상도에서는 16색을 표현할 수 있고, 320×200의 해상도에서는 256색을 표현할 수 있는 융통성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프로젝션을 통하여 출력할 데이터의 성질에 따라서 고해상도의 출력을 바라는 경우에는 XGA (Extended Graphics Array) 및 SVGA (Super VGA)의 그래픽 콘트롤러(150)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부(180)는 상기 메모리(110,112), USB 콘트롤러(160), 중앙 제어부(170) 및 그래픽 콘트롤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프로젝션 도우미 장치(100)는 일반 데스크 탑 컴퓨터 및 노트북 컴퓨터보다 소형의 외관을 구비한 장치로 저전력 배터리를 사용하여 장시간 동작 가능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100)는 A/D변환기(130), D/A변환기(140) 및 리모콘 수신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D(Analog to Digital)변환기(130)는 플래시 롬(112)에 저장된 데이터 중 음성 디지털 데이타를 음성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스피커 인터페이스(132)를 통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D/A(Digital to Analog)변환기(140)는 마이크 인터페이스(142)를 통하여 마이크로부터 음성 아날로그 데이터를 입력받아 음성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플래시 롬(110)에 저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100)는 문서, 이미지 뿐만 아니라 설명회 등에서 발생하는 질문사항이나 토론사항을 녹음하여 이를 재생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리모콘 수신부(120)는 리모콘과 무선으로 리모콘 인터페이스(122)를 통하여 통신하며, 상기 전원부(180)를 무선으로 온/오프하고, 상기 그래픽 콘트롤러(15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리모콘은 기존의 사용되는기술을 활용하여 구현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를 이용한 프로젝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를 이용한 프로젝션 방법은 초기화 단계, 데이터 다운로드 단계 및 데이터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초기화 단계(S100)는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상태로 초기화하는 단계이다.
초기화 단계(S100) 이후에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에 연결된 컴퓨터 화면을 통하여 선택된 데이터를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로 다운로드를 선택한다.
데이터 다운로드 단계(S200)는 초기화된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의 USB 포트를 통하여 컴퓨터의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이다. 다운로드는 컴퓨터에 탑재된 드라이버(Driver)에 의해 가능하다.
본 단계에서는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의 USB 포트를 통하여 컴퓨터의 데이터를 수신(S210)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압축하여 제 2 메모리에 저장(S220)한다. 컴퓨터에서 프로젝터로 출력할 데이터를 모두 수신 받기 위하여 저장된 데이터가 컴퓨터로 부터 수신된 마지막 데이터인지를 판단(S230)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이란 저장공간을 절약하거나 데이터 전송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그래픽 관련 데이터는 GIF, JPEG 및 PNG등의 압축된 이미지 파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디지털 비디오와 디지털 오디오 압축에 관한 표준을 지원하는 MPEG 방식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출력가능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다운로드 단계(S200) 이후에, 사용자는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에 다운로드된 데이타가 필요한 장소로 이동한다. 그리고, 컴퓨터에서 다운로드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하여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프로젝터를 연결하고 데이터 출력 단계를 진행한다.
데이터 출력 단계(S300)는 상기 다운로드된 데이터를 그래픽 포트를 통하여 프로젝터로 출력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는 제 2 메모리에 압축 저장된 데이터를 압축해제(S310)하고, 압축해제된 데이터를 그래픽 포트를 통하여 프로젝터로 출력(S320)한다. 컴퓨터에서 프로젝터로 선택된 데이터를 모두 출력하기 위하여 출력된 데이터가 선택된 데이터의 마지막 데이터인지를 판단(S330)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젝터로 출력된 화면의 앞/뒤 화면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리모콘의 조작으로 프로젝터로 출력되는 화면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단계 이후에 마이크로부터 음성 아날로그 데이터를 입력받아 음성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 2메모리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회의석상(제안회의 혹은 영업회의)에서 프레젠테이션시 질문사항 및 회의내용을 음성으로 저장하여 스프커로 출력함으로써 간편한 휴대용 녹음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의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컴퓨터로부터 USB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한 후 이를 그래픽 콘트롤러를 통하여 프로젝션으로 출력하는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보다도 가볍고 휴대하기에 편리하며 저가의 프로젝션 기능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의석상(제안회의 혹은 영업회의)에서 프레젠테이션시 질문사항 및 회의내용을 음성으로 저장하여 스프커로 출력함으로써 간편한 휴대용 녹음장치기능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프로젝션으로 출력하는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에 있어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제 1 메모리;
    상기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는 USB 콘트롤러;
    상기 USB 콘트롤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제 2 메모리;
    상기 제 1 메모리에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 제어부;
    상기 중앙 제어부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아 그래픽 포트로 출력하는 그래픽 콘트롤러;
    상기 제 1 메모리, USB 콘트롤러, 제 2 메모리, 중앙 제어부 및 그래픽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컴퓨터로 부터 USB 콘트롤러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받아 제 2 메모리에 저장한 후, 이를 처리하여 그래픽 콘트롤러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로 부터 상기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디지털 데이타를 음성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A/D 변환기;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부터 음성 아날로그 데이터를 입력받아 음성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 2 메모리로 저장하는 D/A 변환기;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를 무선으로 온/오프하고, 상기 그래픽 콘트롤러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전환하는 리모콘 수신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의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를 이용한 프로젝션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초기화하는 단계;
    (b) 상기 초기화된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의 USB 포트를 통하여 컴퓨터의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c) 상기 다운로드된 데이터를 그래픽 포트를 통하여 프로젝터로 출력하는단계;
    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를 이용한 프로젝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의 USB 포트를 통하여 컴퓨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2)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압축하여 제 2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b3) 상기 저장된 데이터가 컴퓨터로 부터 수신된 마지막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를 이용한 프로젝션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제 2메모리에 압축 저장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단계;
    (c2) 상기 압축해제된 데이터를 그래픽 포트를 통하여 프로젝터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를 이용한 프로젝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리모콘의 조작에 의하여 프로젝터로 출력되는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를 이용한 프로젝션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후에.
    마이크로부터 음성 아날로그 데이터를 입력받아 음성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 2메모리로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를 이용한 프로젝션 방법.
KR1020020000152A 2002-01-03 2002-01-03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방법 KR20030059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152A KR20030059858A (ko) 2002-01-03 2002-01-03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방법
AU2002239141A AU2002239141A1 (en) 2002-01-03 2002-03-19 Projection helper and the projection method thereof
PCT/KR2002/000460 WO2003056435A1 (en) 2002-01-03 2002-03-19 Projection helper and the projec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152A KR20030059858A (ko) 2002-01-03 2002-01-03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858A true KR20030059858A (ko) 2003-07-12

Family

ID=19718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152A KR20030059858A (ko) 2002-01-03 2002-01-03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30059858A (ko)
AU (1) AU2002239141A1 (ko)
WO (1) WO200305643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2045U (ko) * 1994-09-02 1996-04-17 이인순 휴대용 컴퓨터 영상 투영기
JPH10326123A (ja) * 1997-05-23 1998-12-08 Prod K Design Jimusho:Kk プレゼンテーション用コンピュータ
KR200290277Y1 (ko) * 2001-11-27 2002-09-26 김경구 리모콘 제어 파워포인트 기능과 빔프로젝트 연결 기능이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
KR200290280Y1 (ko) * 2001-12-24 2002-09-26 주식회사 씨엠테크 프리젠테이션용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정보단말기
KR200314900Y1 (ko) * 2003-02-20 2003-05-27 조광선 휴대용 발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668B1 (ko) * 1997-11-13 2003-02-26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디스플레이 장치
KR20010105523A (ko) * 2000-05-13 2001-11-29 이명의 개선된 전자책 단말 장치
KR100371634B1 (ko) * 2000-09-19 2003-02-11 주식회사 인텔릭스 휴대형 프리젠테이션 장치
KR100340282B1 (ko) * 2001-07-14 2002-06-14 정광균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2045U (ko) * 1994-09-02 1996-04-17 이인순 휴대용 컴퓨터 영상 투영기
JPH10326123A (ja) * 1997-05-23 1998-12-08 Prod K Design Jimusho:Kk プレゼンテーション用コンピュータ
KR200290277Y1 (ko) * 2001-11-27 2002-09-26 김경구 리모콘 제어 파워포인트 기능과 빔프로젝트 연결 기능이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
KR200290280Y1 (ko) * 2001-12-24 2002-09-26 주식회사 씨엠테크 프리젠테이션용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정보단말기
KR200314900Y1 (ko) * 2003-02-20 2003-05-27 조광선 휴대용 발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239141A1 (en) 2003-07-15
WO2003056435A1 (en) 200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5403B2 (en) External storage device for image pickup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7123212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display method and system for a handheld computing device
WO2004070593A1 (ja) 周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その本体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9686504B2 (en) Remote resource access interface apparatus
KR20090008045A (ko) 디스플레이장치, 호스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309667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40066970A (ko)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장치
EP1417557A2 (en) Display device having stand-alone operational mode and input means which otherwise controls host computer
JP5060979B2 (ja) 携帯情報装置およびそのモード切替方法
KR20030059858A (ko) 프로젝션 도우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방법
AU2009266567B2 (en) Terminal apparatus using a peripheral apparatus of another terminal via the control of one terminal,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KR100581057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외부디스플레이장치간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US20090089465A1 (en) Plug and Play Display Device Over Ultra Wideband Link
US8423684B2 (en) Display apparatus operated in multiple modes and mode changing method thereof
CN1266583C (zh) 一种投影显示设备
US20040075815A1 (en) Projection device with a microprocessor module
JP2005128994A (ja) マルチモード携帯型電子装置及び関連のav信号出力方法
JP2006127085A (ja) 複合機能システム
US20040095597A1 (en) Method of providing print data to a printer without utilizing a graphical device interface of an operating system
KR20050040549A (ko) 외부장치를 자동 인식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80055359A (ko) 멀티미디어 복합형 디스플레이 모니터장치
JP2005190101A (ja)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この装置に接続されたクレードル
KR20050013417A (ko) 무선디스플레이장치를 채택한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KR20060068144A (ko) 폰트 설정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40064495A (ko) 이중 모드 lcd 제어기를 이용한 이중 모드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