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8954A - 액체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기 위한 입자 트랩,액체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입자트랩의 용도 - Google Patents

액체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기 위한 입자 트랩,액체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입자트랩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8954A
KR20030058954A KR1020027017704A KR20027017704A KR20030058954A KR 20030058954 A KR20030058954 A KR 20030058954A KR 1020027017704 A KR1020027017704 A KR 1020027017704A KR 20027017704 A KR20027017704 A KR 20027017704A KR 20030058954 A KR20030058954 A KR 20030058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 trap
porous
flow
particles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9770B1 (ko
Inventor
롤프 브뤼크
마이케 라이치히
페터 트라이버
Original Assignee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64692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005895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filed Critical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58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8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7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3/00Separating particles from liquids, or liquids from solids, otherwise than by sedimentation or filt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3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in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3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inertial or centrifugal separators, e.g. of cyclone type, optionally combined or associated with agglom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30/00Structure of catalyst support or particle filter
    • F01N2330/30Honeycomb suppor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al details
    • F01N2330/38Honeycomb suppor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al details flow channels with means to enhance flow mixing,(e.g. protrusions or proj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30/00Structure of catalyst support or particle filter
    • F01N2330/60Discontinuous, uneven properties of filter material, e.g. different material thicknes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Higher filter capacity upstream than downstream in sam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10Residue burn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30Exhaust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기 위한 입자 트랩 및 액체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체 흐름에는 유동 채널(1)을 통하여 유동하는 입자가 포함되는데, 이 유동 채널의 한 면에는 돌출부, 험프, 융기부(3) 등과 같은 내부가 위치한다. 채널벽(2)의 반대편 영역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다공성 구조로 되어 있다. 액체 흐름에 이 입자 트랩을 통하여 유동하는 입자가 포함되는 경우에, 입자는 다공성 채널벽(2)측으로 전환되어, 여기에 접착된다. 그런 다음, 이들은 재생에 의해 다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입자 트랩 및 이와 관련된 방법은 내연 엔진, 특히 디젤 엔진의 배기 시스템 내에서 구체적으로는 그을음 필터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Description

액체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기 위한 입자 트랩, 액체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입자 트랩의 용도{PARTICLE TRAP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THE FLOW OF A LIQUID, METHOD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THE FLOW OF A LIQUID AND USE OF SAID PARTICLE TRAP}
도입부에 기술된 유형의 입자 트랩은 유동하는 액체 내에 함유되며 액체 흐름으로부터 고체 입자를 분리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입자 트랩은 비히클로부터 배출되는 디젤 배기 가스를 세정시키는 경우에 특히 실용적인 현저함이 있다. 이 경우, 입자를 산화시켜 입자 트랩을 재생시킬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 배기 시스템에 사용되는 파이프 내에 트랩을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자동차 배기 가스 중의 입자는, 종종 예를 들어 자동차 배기 시스템 내 및/또는 촉매 변환기 내의 코팅 및/또는 외벽 상에 축적된다. 로딩량이 달라지면, 이들은 예를 들어 그을음 덩어리와 같은 입자 덩어리의 형태로 배출된다.
입자를 분리시키기 위해서, 가끔씩 필터라고 하는 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이일반적이다. 기본적으로 스크린에 의해 입자가 포획될 수 있다 하더라도, 이들은 2가지의 현저한 결함을 보유하고 있다: 첫째로 스크린이 막히게 될 수 있다는 것이며, 둘째로 스크린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은 압력 강하가 유발된다는 것이다.
스크린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촉매 변환기의 벌집형 본체가 막힐 위험, 즉 귀금속 내의 기공이 막힐 위험이 있으며, 오염 물질 또는 산소 중 어느 하나가 입자에 의해 덮혀진 위치에서 귀금속내로 확산되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다. 또한, 자동차 배출물에 대해 만족스러운 값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 이 값은 입자량을 감소시키지 않고서도 초과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 및 필터의 결함을 방지하면서 촉매 변환기의 활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배기 가스 입자를 포획하기 위한 요소(element)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액체가 유동하는 하나 이상의 유동 채널을 구비하며 액체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기 위한 입자 트랩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입자 트랩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자 트랩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기본적인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재료로 만들어진 영역이 중간층에 의해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 트랩의 설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유동 방향에서 보았을 때 내부가 채널벽으로부터 유동 채널의 내부로 갈수록 조금씩 더 돌출되어 있는 내부를 구비한 설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유동 채널의 내부로 동일한 거리만큼 연장되어 있으며, 차례대로 배열된 내부를 구비한 입자 트랩의 설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하류 촉매 지지체에 대해 지지되어 있는 입자 트랩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유동 채널(2): 다공성 채널벽
(2a): 중간층(3): 돌출부
(4): 채널벽(5): 입자 트랩
(6): 배기 시스템 (7): 내연 엔진
(8): 유동 방향(9): 촉매 지지체
(10): 고정핀
따라서, 본 발명은 입자 트랩, 및 가능한 최고의 효율을 가지며 액체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는, 도입부에 기재된 유형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과제를 기초로 하고 있으며, 이미 분리된 입자는 후속적으로 산화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입자 트랩이 재생될 수 있다.
도입부에 기재된 유형의 입자 트랩에서,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항의 특징에 의해서 달성된다. 따라서, 입자를 상기 액체 흐름으로부터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재료로 만들어진 영역으로 전환시키도록 하는 배열로 된,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재료로 만들어진 하나 이상의 영역을 구비한 유동 채널벽, 및 전환(diverting) 또는 안내(guiding) 구조로서 작용하는 내부를 구비한 유동 채널이 제공된다.
도입부에서 언급된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과제가 입자 트랩을 사용하여 액체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청구항 제 11항에 의해 달성되는데, 상기 방법에서 입자 트랩을 통하여 유동하는 액체 입자를, 입자 트랩 내의 하나 이상의 유동 채널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전환 또는 안내 구조에 의해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채널 상으로 보내거나 전환시킨다.
이것은, 놀랍게도 내부에 의해 상기 액체 흐름으로부터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재료로 만들어진 영역측으로 전환되는 입자가 가로막음 및/또는 밀착에 의해 다공성 채널에 부착된 채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유동하는 액체의 유동 프로파일에서의 압력차가 중요하다. 상기 압력차에 의해 부가적이고 국소적으로 압력이 감소되어 압력 조건이 증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압력차가 보상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공성 벽을 통한 여과 효과가 얻어진다.
폐쇄된 스크린 또는 필터 시스템과는 달리, 흐름에 대한 블라인드 앨리(blind alley)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입자 트랩은 개방되어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특성에 의해서, 예를 들어 개방 뷰(view)가 20%라는 것은 단면에서 보았을 때 영역의 대략 20%를 통하여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함으로써 입자 트랩을 특성화할 수도 있다. d (수력) = 0.8mm인 600cpsi 지지체에 대해서, 이것은 0.1㎟을 초과하는 영역에 상응할 것이다.
입자 트랩의 재료로는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등이 적당하며, 유동 채널을 설계하는 경우에 내부의 대략 반대편에 위치한 채널벽의 적어도 일부가 다공성 재료로 되어 있어야 한다.
사용되는 다공성 재료는 임의의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의 소결시킨 물질 및/또는 섬유상 물질일 수 있으며; 그을음 입자의 부착 및 접착 이외에 (예를 들어 넓은 기하학적 표면적, 넓은 유입 영역, 적당한 깊이의 구조),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재료의 치수 안정성, 강도 및 내부식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 트랩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자동차의 촉매 변환기에 공지되어 있는 것과 같은 벌집형 본체 상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특히 현저한 효과를 발휘한다. 이러한 경우에, 다공성 채널벽은, 예를 들어 다공성 재료를 사용하여 전체적인 벌집형 본체를 형성함으로써 생성된다.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재료를 사용하여 벌집형 본체를 형성할 경우에, 다공성 재료를 통하여 액체가 유동할 수 있는 양은 전적으로 다공성 채널벽에 의해 입자 트랩을 통한 방사상 흐름이 달성될 수 있을 정도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채널벽은 유동 채널의 전체 길이 또는 전체적인 채널벽의 일부에 걸친 채널벽인 것으로 고려된다.
전환 또는 안내 구조, 말하자면 내부에 의해, 즉 특정 속도에서 입자가 액체로부터 이들이 접착되는 다공성 벽 상으로 전향된다. 입자 트랩에서, 입자가 스트라이커(striker) 및 캐쳐(catcher) 원리에 기초하여 분리되는데, "스트라이커(striker)"에 상응하는 전환 구조는 입자를 다공성 채널벽 또는 중간층에 위치한 "캐쳐"측으로 전환시킨다. 유동 채널 내에 존재하는 상기 전환 구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입자 트랩 내의 유동 채널 구조는 달라질 수도 있다.
유동 채널의 단면은, 평균 크기의 입자가 채널 중의 최소점 조차도 통과할 수 있도록 치수화된다. 상기 단면은 전환 또는 안내 구조의 영향을 받으며, 유동 채널의 길이에 대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 트랩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비다공성 채널벽 상에 배열되는 중간층으로 형성된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재료로 만들어진 영역들로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사용되는 재료가 훨씬 더 다양하게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 트랩의 실시 구체예는 개선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돌출부(projection), 험프, 융기부(protuberance) 등을 포함하는 내부가, 필요에 따라 축방향으로 오프셋되는 방식으로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재료로 만들어진 영역의 반대편 채널벽 밖으로 돌출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내부는 제조 기술의 측면에서 용이하게 그리고 최적의 위치에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상기 과정은 유리한 개선예에 따라 액체의 유동 방향에서 보았을 때 다수의 돌출부, 험프, 융기부 등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며, 이들 모두가 채널벽에서부터 유동 채널 내부로 동등한 정도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과정은 액체의 유동 방향에서 보았을 때 다수의 돌출부, 험프, 융기부 등이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유동 방향에서 보았을 때 채널벽으로부터 유동 채널 내부로 갈수록 조금씩 더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2가지 경우 모두에, 유리한 구성에 따라서 채널벽의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영역을 구비한 돌출부, 험프, 융기부 등의 그룹 배열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전환 및 안내 구조를 적당히 적응시키고 유동 채널을 구조화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입자 트랩 내의 연속적인 부분 영역에서 제 1 유속을 갖는 구조에 의해 전환되는 입자 모두가 우선적으로 다공성 채널벽 위로 전향된 다음, 예를 들어 보다 고속인 제 2 입자 유속을 갖는 입자가 보다 소형인 전환 구조 등의 위로 전환되지 않게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비히클의 조작 상태에 따라서 달라지나, 이 경우에 입자 트랩에 의해 임의의 유속에 대한 분리 특성이 제공된다.
전환 및 안내 구조의 기하학적 형태에 의해서 입자 트랩을 통하여 유동하는 액체의 유압 및 유속이 조절될 수 있으며, 최적 분리 속도로 맞춰질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예를 들어 유동 채널 내부로의 돌출부, 험프, 융기부 등의 증가되는 방사상 정도에 의해 보다 고속인 입자가 전환될 뿐만 아니라 다공성 채널벽에 인접하게 놓여있는 입자가 전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재료로 만들어진 벽 영역의 흐름에 포함되어야 하는 입자의 확산 거리는 점점 더 짧아지게 된다.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재료로 만들어진 영역측으로 향하는 배기 가스 내에 계속해서 함유되어 있는 입자의 2 내지 15%, 특히 4 내지 8%를 각각 전환시키는, 입자 트랩의 내부가 전환 또는 안내 구조로서 작용하는 입자 트랩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상응하는 시험으로부터,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입자 트랩을 사용하면 매우 낮은 압력 강하만이 유발되며, 서로 및/또는 유동 방향에서 앞뒤로 오프셋되도록 배열된 충분한 수의 전환 또는 안내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입자가 매우 효율적으로 제거된다. 필요에 따라, 각각에 소수의 전환 또는안내 구조가 구비된 이러한 유형의 입자 트랩 다수가 직렬로 배열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서로를 지지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전환 또는 안내 구조의 수는 특히, 다공성 재료측으로 또는 다공성 재료를 통하여 전체 가스 흐름이 적어도 통계학적으로 전환되는 방식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시험으로부터, 이러한 유형의 10 내지 15개의 전환 구조가 유동 방향에서 볼때 차례대로 연결된 경우에, 흐름 내에 함유된 입자의 분리 효율이 90% 초과, 심지어는 95% 초과이다.
이러한 경우, 배기 가스 내에 계속해서 함유되어 있는 입자의 전환은,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재료의 다공도(porosity) 및/또는 입자 트랩의 전환 또는 안내 구조의 크기를 적합하게 설계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실시된다. 이것은, 충분하게 높은 채널벽의 다공도가 보장된다면, 예를 들어 낮은 흐름 전환도 뿐만 아니라 보다 소형인 전환 구조가 필요하다. 이 경우, 특히 유동 경로를 연결시키는 경우에 압력이 감소되는 영역이 하류의 전환 구조에 인접하게 그리고 유동 방향에서 볼때 하류에 형성되기 때문에, 입자가 다공성 재료 내로 빨려 들어간다. 입자 트랩이 유동하는 배기 가스의 유동 조건을 개선시키는데 적합하게 작용하는 경우, 압력 손실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특히 효과적으로 입자가 분리된다.
실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입자 트랩이 다수의 유동 채널을 구비한 벌집형 본체부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한 개선점이다. 이 구체예에서, 상기 입자 트랩은 자동차 공학에 있어서 특히 적합하다. 자동차 운행 시스템의 다양한 (동력학적) 부하 변동을 수용하기 위해서, 원뿔형 시스템 또는 원뿔형 요소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WO 93/20339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시스템이 확장된 채널을 구비하고 있어서, 입자 트랩에 적당한 전환 또는 난류 형성 구조가 설치된다면, 입자를 포획하기 위한 특히 바람직한 조건이 채널 중의 일부 지점에서 임의의 물질 처리량에 대해 조성된다.
액체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채널벽을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재생된다는 점에 의해 보다 유리하게 활용된다. 이 경우, 다양한 보조제가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첨가될 수 있다. 일면에서, 상기 보조제는 충분한 양의 NO2를 제공하는 상류 촉매 변환기 및/또는 입자가 산화되는 것을 보조하여 입자 트랩이 재생되는 상류에 첨가되는 첨가제이다.
또한, NO2축적기, 예를 들어 BaSnO3와 같은 페로프스카이트(perovskite) 또는 그밖의 바륨-주석 페로프스카이트로 만들어진 축적기; 또는 바륨 알루미네이트로 만들어진 NO2축적기; 및/또는 바륨 제올라이트로 만들어진 축적기가 입자 트랩에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입자 트랩의 점유도에 대한 함수로서 방출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보조하는 경우에, 이 방법은 입자 트랩에 의해 결정되는 압력 강하에 따라 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 트랩은, 특히 내연 엔진, 특히 디젤 엔진의 배기 시스템에서 특히 유리하게 사용된다. 입자 트랩을 그을음 필터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 경우, 그을음 필터는 입자 트랩이 없는 배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것보다 훨씬 소형일 것이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입자를 함유하는 액체가 유동 방향(8: 화살표로 표시)으로 유동하는 유동 채널(1)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채널벽(2)은 완전한 다공성 구조로 되어 있다. 채널벽 반대측은 돌출부, 험프 또는 융기부(3)의 형태로 된 내부이다. 이 위치에서의 채널벽(4)은 비다공성이다. 낮은 유속에서, 액체 입자가 돌출부, 험프 또는 융기부(3)에 의해 포획되어, 접착이 이루어지는 다공성 채널벽(2) 측으로 전환된다. 입자 트랩이 재생되는 동안에, 이들은 예를 들어 고온에서 산소를 사용하여 산화되거나, 저온에서 이산화질소를 사용하여 산화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도 2는 입자를 함유하는 액체가 유동 방향(8: 화살표로 표시)으로 유동하는 유동 채널(1)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채널벽(4)은 완전한 비다공성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다공성 재료로 된 중간층(2a)이 존재한다. 돌출부, 험프, 융기부(3) 등이 이러한 중간층(2a)에 대해 근소하게 오프셋되거나 반대측으로 배열되어 있어서, 이 경우에 액체로부터 분리된 입자가 다공성 중간층(2a) 상으로 전환되어, 이 층 내에 접착된다.
도 3은, 유동 방향(8)에서 볼때 차례대로 배열된 돌출부, 험프, 융기부(3a, 3b, 3c, 3d, 3e)가 흐름의 단면에 대해 이들의 방사상 정도(radial extent)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입자는 보다 고속에서 일지라도 전환되며, 이러한 입자와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진 벽 영역 사이의 거리가 점차적으로 감소되기 때문에, 입자의 접착 영역에 대한 거리도 점차적으로 단축된다.
도 4에서, 도시되어 있는 유동 채널(1)의 전체 부분이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즉, 이것은 돌출부, 험프, 융기부(3) 및 2개의 채널벽(2) 모두에 적용된다). 이 경우, 돌출부, 험프, 융기부 등의 방사상 정도는 일정하다. 필수 사항은 아니나, 동일한 다공성 재료가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내연 엔진(7)의 배기 시스템(6) 내의 입자 트랩(5)에 대한 구체예의 배열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 경우, 입자 트랩(5)이 유동 방향(8)에서 보았을 때 하류에 배열되는 촉매 지지체(9)에 대해 직접적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입자 트랩(5)이 유동 채널(1) 내에, 바람직하게는 촉매 지지체(9) 및 입자 트랩(5)의 단면에 걸쳐 일정하게 배열된 고정핀(10)에 의해 유지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상기 용어 "내연 엔진(7)"이라는 것은 점화연소형 엔진 이외에, 구체적으로 디젤 연료로 작동되는 여객 수송용 자동차 및/또는 모터사이클의 엔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고정핀(10)은, 이들이 유동 채널(1)과 거의 동일한 단면을 가지며 이러한 채널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 경우에, 상기 촉매 지지체(9)는, 예를 들어 그을음 필터와 같은, 배기 가스를 세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부품으로 교체될 수도 있다.

Claims (17)

  1. 액체가 유동하는 하나 이상의 유동 채널(1)을 구비하며, 액체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기 위한 입자 트랩(5)으로서,
    유동 채널(1)의 벽(2,4)이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재료로 만들어진 하나 이상의 영역을 구비하며, 유동 채널(1)이 입자를 이러한 액체 흐름으로부터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재료로 만들어진 영역으로 전환시키도록 하는 배열로 된, 전환(diverting) 또는 안내(guiding) 구조로서 작용하는 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트랩(5).
  2. 제 1항에 있어서,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재료로 만들어진 영역이 비다공성 채널벽(4) 상에 배열된 중간층(2a)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트랩(5).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돌출부(projection), 험프(hump), 융기부(protuberance) (3) 등을 포함하는 내부가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재료로 만들어진 영역 반대편에 위치한 채널벽(2, 4)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그리고 필요에 따라 축방향으로 오프셋되는 방식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트랩(5).
  4. 제 3항에 있어서, 액체의 유동 방향(8)에서 보았을 때, 다수의 돌출부, 험프, 융기부(3a, 3b, 3c, 3d, 3e) 등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며, 이들 모두가 채널벽(2)에서부터 유동 채널(4) 내부로 동등한 정도로 돌출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트랩(5).
  5. 제 3항에 있어서, 액체의 유동 방향에서 보았을 때, 다수의 돌출부, 험프, 융기부(3a, 3b, 3c, 3d, 3e) 등이 차례대로 배열되며, 이들이 채널벽(4)에서부터 유동 채널(1) 내부로 갈수록 조금씩 더 돌출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트랩(5).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채널벽(4)의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기도 하는 영역을 구비한 돌출부, 험프, 융기부 등이 그룹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트랩(5).
  7. 제 1항 및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동 채널(1) 전부 및/또는 내부가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트랩(5).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유동 채널(1)을 구비한 벌집형 본체(honeycomb body)의 일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트랩(5).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환 또는 안내 구조로서 작용하는 내부가, 각각의 경우에, 이들이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재료로 만들어진 영역 측으로의 배기 가스 내에 계속해서 함유되어 있는 입자의 2 내지 15%, 특히 4 내지 8%를 전향(deflect)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트랩(5).
  10. 제 9항에 있어서, 배기 가스 내에 계속해서 함유되어 있는 입자를,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재료의 다공도 및/또는 전환 또는 안내 구조의 크기를 적당히 설계함으로써 전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트랩(5).
  11. 입자 트랩(5) 내의 액체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입자 트랩(5)을 통하여 유동하는 액체 입자를, 입자 트랩(5)의 하나 이상의 유동 채널(1)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전환 또는 안내 구조에 의해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채널벽(2, 4) 상으로 보내거나 전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12. 제 11항에 있어서, 입자를 입자 트랩(5)의 여러 부분 영역에서의 유속에 대한 함수로서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채널벽(2) 상으로 전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채널벽(2)을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재생(regenerate)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재생 과정을 입자 트랩(5)의 점유도(degree of occupation)에 대한 함수로서 방출되는 보조제에 의해 보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경우에, 배기 가스 내에 계속해서 함유되어 있는 입자의 2 내지 15%, 특히 4 내지 8%를, 하나 이상의 전환 또는 안내 구조에 의해 다공성 또는 고다공성 재료로 만들어진 영역 측으로 전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내연 엔진, 특히 디젤 엔진의 배기 시스템에서의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입자 트랩(5)의 용도.
  17. 그을음 필터와 함께 사용되는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입자 트랩(5)의 용도.
KR1020027017704A 2000-06-27 2001-06-08 유체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기 위한 입자 트랩, 유체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입자 트랩의 용도 KR100849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31200A DE10031200A1 (de) 2000-06-27 2000-06-27 Partikelfalle zum Abscheiden von Partikeln aus dem Strom eines Fluids, Verfahren zum Abscheiden von Partikeln aus dem Strom eines Fluids und Verwendung einer Partikelfalle
DE10031200.4 2000-06-27
PCT/EP2001/006529 WO2002000326A2 (de) 2000-06-27 2001-06-08 Partikelfalle und verfahren zum abscheiden von partikeln aus dem strom eines flui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954A true KR20030058954A (ko) 2003-07-07
KR100849770B1 KR100849770B1 (ko) 2008-07-31

Family

ID=764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704A KR100849770B1 (ko) 2000-06-27 2001-06-08 유체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기 위한 입자 트랩, 유체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입자 트랩의 용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712884B2 (ko)
EP (1) EP1294466B2 (ko)
JP (1) JP4761695B2 (ko)
KR (1) KR100849770B1 (ko)
CN (1) CN1218767C (ko)
AU (1) AU7964701A (ko)
DE (2) DE10031200A1 (ko)
MY (1) MY126660A (ko)
RU (1) RU2260469C2 (ko)
WO (1) WO200200032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8334B2 (en) 2001-05-15 2005-11-2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business process to maintain privacy in distributed recommendation systems
US7141088B2 (en) * 2001-08-08 2006-11-2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xhaust gas purifying apparatus
JP4166005B2 (ja) * 2001-08-10 2008-10-15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トラップ装置および方法
DE20117873U1 (de) * 2001-11-06 2002-02-14 Emitec Emissionstechnologie Offener Filterkörper mit verbesserten Strömungseigenschaften
US7090714B2 (en) * 2002-06-17 2006-08-15 Hitachi Metals, Ltd. Ceramic honeycomb filter
EP1519779B1 (en) 2002-06-26 2011-11-09 Københavns Universitet (University of Copenhagen) Dual porosity filter
DE10254764A1 (de) 2002-11-22 2004-06-03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Abgasanlage
DE10254661A1 (de) * 2002-11-22 2004-06-09 Umicore Ag & Co.Kg Verfahren zur Beschichtung eines Katalysatorträgers enthaltend zwei unterschiedliche Teilstrukturen mit einer katalytisch aktiven Beschichtung und dadurch erhaltener Katalysator
US6908498B2 (en) * 2002-11-26 2005-06-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Carbon-concentrated microwave regenerated diesel particulate trap
DE10257113A1 (de) 2002-12-05 2004-06-24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Partikelfalle mit beschichteter Faserlage
DE102004000044B4 (de) * 2004-11-17 2013-08-29 Mann + Hummel Gmbh Luftfiltersystem
DE102005000890A1 (de) 2005-01-07 2006-08-31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erfahren zum Entfernen von Partikeln aus Abgasen sowie Faserlage und Partikelfilter dazu
JP4528153B2 (ja) * 2005-02-23 2010-08-18 日本碍子株式会社 目封止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方法
US7340888B2 (en) * 2005-04-26 2008-03-11 Donaldson Company, Inc. Diesel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system
US7739898B2 (en) * 2005-06-24 2010-06-2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xhaust gas sensor system
DE102005031816A1 (de) 2005-07-06 2007-01-18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erfahren zur Reduzierung des Partikel- und Stickoxidanteils im Abgasstrom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und entsprechende Abgasaufbereitungseinheit
EP1919613B1 (en) * 2005-08-05 2009-10-07 Basf Catalysts Llc Diesel exhaust article and catalyst compositions therefor
DE102005038707A1 (de) 2005-08-15 2007-03-08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eines Abgases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US7862640B2 (en) 2006-03-21 2011-01-04 Donaldson Company, Inc. Low temperature diesel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system
US7621981B2 (en) * 2006-12-29 2009-11-24 Cummins Filtration Ip,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ispersing heat within a particulate filter
DE102007011487A1 (de) 2007-03-07 2008-09-11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erfahren zur Überwachung der Funktionsfähigkeit eines Partikelfilters, sowie entsprechendes Abgassystem
DE102007032734A1 (de) 2007-07-13 2009-01-15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erfahren zur Regeneration wenigstens eines Partikelagglomerators sowie Kraftfahrzeug umfassend eine Abgasnachbehandlungsanlage
JP5099684B2 (ja) * 2007-08-06 2012-12-19 ボッシュ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
DE102008003658A1 (de) * 2008-01-09 2009-07-16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Wabenkörper mit strukturiertem Blechmaterial
US20100154393A1 (en) * 2008-12-19 2010-06-24 Ronald Graham Silver Combination partial flow particulate filter and catalyst
DE102009018422A1 (de) 2009-04-22 2010-11-04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schichteten Wabenkörpers
DE102009055958A1 (de) * 2009-11-27 2011-06-01 Afc Air Filtration & Containment Gmbh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Verunreinigungen aus einem Luftstrom
DE102010020450A1 (de) 2010-05-12 2011-11-17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tallischen Trägerfläche für eine Abgasbehandlungseinheit
DE202010007120U1 (de) * 2010-05-21 2011-09-07 Novomatic Ag Kühlluftreiniger eines Elektronikgeräts
DE102010034250A1 (de) 2010-08-13 2012-02-16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Halterung für zumindest eine Elektrode in einer Abgasleitung
DE102010045508A1 (de) 2010-09-15 2012-03-15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Rußpartikel enthaltendem Abgas
DE102010045506A1 (de) 2010-09-15 2012-03-15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s elektrischen Feldes in einem Abgassystem
DE102010045507A1 (de) 2010-09-15 2012-03-15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Anordnung für eine Stromversorgung einer Komponente in einem Abgasystem
MX337339B (es) 2010-09-30 2016-02-26 Sulzer Chemtech Ag Separador de gotas.
DE102010051655A1 (de) * 2010-11-17 2012-05-24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Rußpartikel enthaltendem Abgas
DE102011011683B4 (de) 2011-02-18 2015-06-25 Oberland Mangold Gmbh Katalysatortechnik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Partikeln
CN102606260A (zh) * 2012-03-18 2012-07-25 张子生 柴油机碳烟颗粒物净化装置
EP2858736B1 (de) * 2012-06-11 2016-12-28 Carl Freudenberg KG Filterelement mit filtertaschen
JPWO2015022937A1 (ja) * 2013-08-14 2017-03-02 住友化学株式会社 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
CN107469479B (zh) * 2016-06-07 2023-06-06 苏州苏瑞膜纳米科技有限公司 流体处理装置
DE112019001098T5 (de) * 2018-03-02 2021-02-04 Sony Corporation Verfahren zum optimieren von feinteilchenansaugbedingung, feinteilchentrennungsvorrichtung, feinteilchentrennungssystem und feinteilchentrennungsprogramm
CN112755933B (zh) * 2021-01-13 2023-12-26 广东工业大学 多级反应微流道结构、微流控芯片和非均相反应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0058A (en) * 1961-10-03 1965-06-22 Farr Co Cylindrical dust-separating device
JPS49128124A (ko) 1973-04-18 1974-12-07
US3957133A (en) * 1975-09-10 1976-05-18 Scovill Manufacturing Company Muffler
US4437867A (en) * 1977-05-12 1984-03-20 Lerner Bernard J Removal of undesired components from gases
IT1106530B (it) * 1978-01-16 1985-11-11 Fiat Spa Dispositivo per la separazione di particelle di piombo dai gas di scarico di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US4597262A (en) 1984-09-07 1986-07-01 Retallick William B Catalytic converter for a diesel engine
DE3502448A1 (de) * 1985-01-25 1986-07-31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russpartikeln und anderen festkoerperteilchen aus dem abgas von kraftfahrzeugen
US4969328A (en) * 1986-10-21 1990-11-13 Kammel Refaat A Diesel engine exhaust oxidizer
DE3744265C2 (de) 1987-12-24 1996-07-11 Emitec Emissionstechnologie Rußfilter zur Abgasreinigung in Kraftfahrzeugen
US4895083A (en) 1988-11-14 1990-01-23 Mcdilda John A Whole tire disposal system
DE8900467U1 (ko) 1989-01-17 1990-05-17 Emitec Emissionstechnologie
JP2722828B2 (ja) 1991-03-06 1998-03-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フィルタ
US6068674A (en) * 1992-02-18 2000-05-30 Francis A. L. Dullien Removal of suspended fine particles from gases by turbulent deposition
EP0635097B1 (de) 1992-04-03 1995-09-13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Konischer wabenkörper
DE4234931A1 (de) 1992-10-16 1994-04-21 Schwaebische Huettenwerke Gmbh Katalysator
US5606854A (en) * 1995-04-20 1997-03-04 Air Filter Plus Inc. Exhaust filter
JPH0949421A (ja) 1995-05-30 1997-02-18 Sumitomo Electric Ind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パティキュレートトラップ
JP3434117B2 (ja) 1996-03-29 2003-08-0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パティキュレートトラップ
FR2755035B1 (fr) * 1996-10-29 2001-09-14 Renault Dispositif destine a debarrasser un courant gazeux passant dans une ligne de conduite des particules solides qu'il entraine
JPH10176519A (ja) 1996-12-18 1998-06-30 Sumitomo Electric Ind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パティキュレートトラップ
GB9717034D0 (en) * 1997-08-13 1997-10-15 Johnson Matthey Plc Improvements in emissions control
US5857326A (en) 1997-11-24 1999-01-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Exhaust poison trap
US6474060B2 (en) * 1999-11-17 2002-11-05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Exhaust gas recirculation filtration system
JP4636640B2 (ja) * 1999-11-26 2011-02-23 東洋紡績株式会社 フィルターユニット及びフィル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61695B2 (ja) 2011-08-31
MY126660A (en) 2006-10-31
WO2002000326A2 (de) 2002-01-03
US20030097934A1 (en) 2003-05-29
US6712884B2 (en) 2004-03-30
RU2260469C2 (ru) 2005-09-20
WO2002000326A3 (de) 2002-05-16
CN1438911A (zh) 2003-08-27
EP1294466A2 (de) 2003-03-26
JP2004502064A (ja) 2004-01-22
EP1294466B2 (de) 2014-04-30
DE10031200A1 (de) 2002-01-17
AU7964701A (en) 2002-01-08
CN1218767C (zh) 2005-09-14
DE50107296D1 (de) 2005-10-06
EP1294466B1 (de) 2005-08-31
KR100849770B1 (ko) 200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770B1 (ko) 유체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기 위한 입자 트랩, 유체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입자 트랩의 용도
US7727498B2 (en) Method for removing soot particles from an exhaust gas, associated collecting element and system
CN101801499B (zh) 排气后处理过滤器和包含其的排气后处理系统
KR100627923B1 (ko) 롤링 재생 디젤 미립자 트랩
EP2002094B1 (en) Low temperature diesel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system
US7225613B2 (en) Diesel engine after treatment device for conversion of nitrogen oxide and particulate matter
KR101035215B1 (ko) 배기가스에 함유된 입자의 제거 방법, 섬유층 및 미립자필터
JP4395360B2 (ja) 排気浄化装置
JP2004084666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ガスからのスス微粒子の除去
KR101009197B1 (ko) 배기 가스 필터 및 배기 가스 정화 방법
WO2005045207A1 (ja) セラミックハニカムフィルタ、排気ガス浄化装置及び排気ガス浄化方法
JP4412641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及び排気ガス浄化方法
US20070081925A1 (en) Exhaust gas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1098926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CN109209591B (zh) 排放物控制基板
EP3617465A1 (en) Device for treating exhaust gas from eng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12